KR100666795B1 -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795B1
KR100666795B1 KR1020050117221A KR20050117221A KR100666795B1 KR 100666795 B1 KR100666795 B1 KR 100666795B1 KR 1020050117221 A KR1020050117221 A KR 1020050117221A KR 20050117221 A KR20050117221 A KR 20050117221A KR 100666795 B1 KR100666795 B1 KR 100666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olypropylene resin
alpha
resin composit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연
한인수
조성민
이동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저무니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 및 무기충전재를 적정 함량으로 첨가하여 냄새가 없고 경도, 유연성, 내열성, 저온 충격성, 사출 성형성 및 발포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사출발포 일체성형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인스트루먼트 판넬(Instrument Panel, 이하 인판넬), 도어트림 또는 필라류 표피재에 적합한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출발포, 폴리프로필렌, 저온충격성, 도어트림, 필라, 표피재

Description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A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one step injection-foam molding process}
본 발명은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저무니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 및 무기충전재를 적정 함량으로 첨가하여 냄새가 없고 경도, 유연성, 내열성, 저온 충격성, 사출 성형성 및 발포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사출발포 일체성형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인스트루먼트 판넬(Instrument Panel, 이하 인판넬), 도어트림 또는 필라류 표피재에 적합한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내장재 중에 인판넬, 도어트림 등은 단층 또는 삼층 구조(표피재/발포재/심재)로 이용되고 있는데 단층구조는 소형급 차종에 적용되고 있고 삼층구조는 중형급 이상 차종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단층 구조의 경우 표면 스크래치성 불량과 외관상의 저급 느낌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삼층구조의 경우 단층 구조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으나 3층 구조에 따른 공정수가 단층에 비해 4 배나 많아 원가 구성상에서 공정비 부담이 매우 커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삼층구조 인판넬 제품의 경우 표피재를 진공 성형 또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 캘랜더링 성형을 통해 제조하고, 심재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PC/ABS)를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하여 발포 금형속에서 표피재와 심재를 넣은 후 폴리우레탄 발포를 시행한다. 이러한 많은 공정 수를 줄이면서 단층구조의 약점을 보완하여 삼층구조와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러한 공정 수 단축의 대안으로서 표피재를 심재에 덮어 씌우는 삽입성형을 생각 해 볼 수 있는데 이 성형 및 유사 성형 방식에서 대두되는 것이 표피재용 연질 수지의 사출 성형성 문제이다. 이러한 성형 방식의 경우 제품의 구성상 표피재 층이 1 ~ 2 mm로 매우 얇아 재료의 사출 성형성이 얼마나 우수한가가 중요한 척도가 된다. 이러한 표피재 삽입 사출 성형의 용도로 열가소성 가황체(Thermoplastic Vulcanizate), 스티렌계 탄성체(Styrene-Ethylene- Butadiene-Styrene), 폴리우레탄계 탄성체 등이 있다. 먼저, 열가소성 가황체의 경우 연질 특성을 위해 다량의 올레핀계 고무가 사용되어 사출 성형성이 매우 나쁜 약점을 고무 성분의 가교를 통해 도메인화 함으로 해서 소량의 폴리프로필렌이 유동층이 되어 사출을 유도하나 사용된 가교제로 인해 냄새 문재가 심하며, 또한 잔량 가교제로 인해 장기 내열 시험 시 탈색이 일어나 최근 자동차사의 보증 기간 연장 방침에 대응하기가 어렵고, 스티렌계 및 폴리우레탄계 탄성체의 경우 사출 성형성 및 기타 특성 양호하나 가격이 매우 고가여서 이 역시 상업화의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부드러운 느낌(Soft Feel, 유연성)과 냄새가 없으며 삽입 성형 또는 유사 사출 기술에 적용될 표피재 재료를 개발함에 있어 소재의 부드러운 느낌을 위해 사용되는 고무류의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사출 성형성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소재 구성 및 제조 방식을 찾아내는 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여 삽입 성형 및 유사 사출기술로 성형이 가능한 표피재 개발을 위하여 본 발명자는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고무와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에 가공유(Process Oil)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적정 함량으로 마스터 배치화하여 자동자 내장재 표피재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4-0047800호]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 제조사 및 성형업체에서는 지속적인 원가절감과 비용감소의 압박으로 공정 수 감소효과가 미미한 삽입 성형공법 보다는 심재와 표피재를 연속적으로 사출하고 발포시키는 발포사출 일체 성형공법을 적용하려는 추세로서, 상기 발명에서 유연성(저경도)과 성형성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파라핀계 가공유가 사출발포 일체성형 시 표면 핀홀(Pin-hole) 현상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어 발포를 하지 않는 삽입 성형용으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으로는 적용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사출발포 일체 성형 공정에서는 중간재인 폴리우레탄 발포 폼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표피재를 사출과 동시에 발포시켜 부드러운 느낌(Soft Feel)의 쿠션(cushion)감을 부여 하고 있는데, 본 특허에서 유연성(저경도)과 성형성 보강을 위해 사용하는 파라핀계 가공유가 소재의 용융장력을 급격히 감소시켜 발포 시 발포 셀이 터지는 표면 핀홀(Pin-hole) 현상을 야기시켜 자 동차 내장재 표피재용으로 사용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파라핀계 가공유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저분자 물질이 표면으로 쉽게 전이되어 담가가 높아지는 치명적인 약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냄새 또한 다소 심하게 발생되어 최근, 무색, 무취 등의 소비자들의 감성품질 향상 요구에 대한 대응이 어려워 파라핀계 가공유를 사용한 본 발명품은 삽입 성형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고 공정 수 감소효과가 탁월한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으로는 사용을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출 성형성 향상을 위한 유동성 증가를 위해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는 구조적으로 열에 취약하여 성형 시 쉽게 분해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심하여 안정제의 과량처방으로 해결을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안정제의 표면 전이와 이로 인한 변색 및 담가 상승 등의 문제점들이 발견되어 이의 개선 또한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파라핀계 가공유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사용의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노력 하였다.
그 결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저무니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 및 무기첨가제를 일정 함량 사용하여 제반 물성 저하 없이 사출 성형성 뿐만 아니라 발포특성이 우수하여 사출발포 일체성형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표피재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냄새가 없고 경도, 유연성, 내열성, 저온 충격성 및 사출 성형성 및 발포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사출발포 일체성형이 가능한 사출발포 일체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a)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 ~ 10 의 알파-올레핀 11 ~ 25몰%의 이원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5 ~ 20 중량%;
(b) 에틸렌과
탄소수 2 ~ 10의 알파-올레핀 함량이 10 ~ 30 중량%이고, 무니점도가 3 ~ 10(ML1+4, 121 ℃)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50 ~ 70 중량%;
(c) 옥텐 함량이 10 ~ 40 중량%이고, 용융지수가 500 ~ 1500 g/10 분(2.16 kg, 230 ℃)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 10 ~ 30 중량%; 및
(d) 무기 충전재 3 ~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성과 발포특성이 우수하여 삽입 성형뿐만 아니라, 사출 발포 일체 성형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에 본 발명자에 의하여 제안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4-0047800]을 개선한 것으로, 파라핀계 가공유와 폴리프로필렌 왁스 대신 용융장력 저하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거의 없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를 사용하여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제반 물성의 저하 없이 사출 성형성 및 발포특성을 향상 시켜 사출발포 일체성형이 가능케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 ~ 10의 알파-올레핀 11 ~ 25몰%의 이원 공중합체로서, 용융지수가 10 ~ 100 g/ 10분(230 ℃)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 바람직하게는 용융지수가 30 g/10 분(230 ℃, 2.16 Kgf)인 것을 사용하며, 용융지수가 10 g/ 10분(230 ℃) 미만 시 사출성형성이 저하되고, 100 g/ 10분(230 ℃) 초과 시 용융장력이 취약하여 발포 셀이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5 ~ 20 중량% 범위로 사용하며, 5 중량% 미만 시 사출 성형과 내열성에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 초과 시 경도의 급속한 증가와 저온 충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b) 저무니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저무니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내충격성 보강과 경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에틸렌과 탄소수 2 ~ 10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 알파-올레핀은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프로펜, 및 옥텐 등이 있으며, 이러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에 틸렌-옥텐 고무(EOR)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에틸렌-옥텐 고무의 경우 공단량체인 옥텐의 측쇄의 길이가 길어 저온에서의 충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탄소수 2 ~ 10의 알파-올레핀 함량이 10 ~ 30 중량% 이며, 무니점도가 3 ~ 10(ML1+4, 121 ℃)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알파-올레핀 함량이 10 중량% 미만 시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30 중량% 초과한 공중합체는 현재 중합기술로 생산이 불가능하다. 또한 무니점도 3(ML1+4, 121 ℃) 미만 시 분자량 저하로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10(ML1+4, 121 ℃) 초과 시 사출성형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저무니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의 함량은 50 ~ 70 중량% 범위로 사용하며 50 중량% 미만 시 부드러운 느낌과 저온 충격이 낮아지며, 70 중량% 초과 시 사출성형성이 저하되고 재료의 인성과 강성이 심하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c)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는 본 발명을 이루는 핵심 성분으로서 초고용융지수, 저분자량 성분이지만 경도가 낮게 유지되면서 용융장력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어 사출 성형성 및 발포특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성분이며 특히, 기존에 본 발명자에 의하여 제안 기술[대한민국특허출원 제 2004-0047800호]의 발포특성을 향상시키고 담가 상승 및 물성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라핀계 가공유와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성분으로서, 첨가 시 용융장력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이 사출성형성 및 발포특성을 향상 시켜준다. 상기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옥텐 함량이 10 ~ 40 중량%이고, 용융지수가 500 ~ 1500 g/10 분(230℃, 1.6 kg)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옥텐 함량이 30 ~ 40 중량%이고, 용융지수가 500 ~ 1000 g/10 분(230 ℃, 1.6k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옥텐 함량이 10 중량% 미만 시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40 중량% 초과한 공중합체는 현재 중합기술로 생산이 불가능하다. 또한 용융지수가 500 g/10 분(230 ℃, 1.6kg) 미만 시 사출 성형성이 취약해지고, 1500 g/10 분(230 ℃, 1.6kg) 초과 시 용융장력이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는 다우 플라스틱(Dow Plastic, USA)에서 독점적으로 생산하는 제품인데, 기존의 지글로-나타 촉매가 아닌 메탈로센 촉매라는 새로운 촉매로서 제조되는 신물질로서 현재 핫 멜트(Hot Melt) 접착용 필름으로는 소규모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목적으로 적용된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의 함량은 20 ~ 30 중량%로 한정하는데, 에틸렌-옥텐 고무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동성 증가 효과가 좋지 못하며, 30 중량% 초과 시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사출 성형 시 이형성이 떨어지고 용융장력이 저하되어 발포 시 발포 셀이 터지는 표면 핀홀(Pin-hole) 문제가 발생한다.
(d) 무기충전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충전재는 치수 안정성, 내열성 보강,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며, 탈크, 탄산칼슘, 칼슘설페이트, 마그네슘옥사이드, 칼슘스테아레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점토, 및 카본블랙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평균입경 2 ~ 20 ㎛ 범위의 탈크를 사용한다. 상기 무기충전재는 3 ~ 10 중량% 범위로 사용하며, 3 중량% 미만 시 치수 안정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10 중량% 초과 시 제품 전체의 부드러운 느낌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구성 성분들을 혼합기에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압출기로 190 ~ 250 ℃ 온도 범위 하에서 압출한 후 냉각, 고화시켜 펠렛 상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4
아래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성분들을 혼합 후, 혼합물을 압출기로 190 ℃에서 압출한 후 냉각, 고화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완성하였고, 아래 시험 방법에 의한 시험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 6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아래 표 1 에 나타낸 각 성분 함량비로 혼합 후, 혼합물을 압출기로 190 ℃에서 압출한 후 냉각, 고화하여 펠렛 상의 조성물을 완성하였고, 아래 시험 방법에 의한 시험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경도(Shore A) : JIS K 6301에 의해 실험하였으며 15 cm × 15 cm × 0.6 cm 크기의 시편에 스위스 Zwick사의 쇼어 경도 측정기로 측정하였으며, 리텐션(Retention) 시간은 10 초로 하였다.
2. 저온 충격성 : 파우더 슬러쉬 몰딩 방법으로 제작한 쉬트를 컵 형태의 금형에 고정시킨 후 -40 ℃ 챔버에서 4 시간 정도 정치 후 지름 50 mm, 질량 5 Kg의 구를 1 m 높이에서 자유 낙하 시켜 파단 되는 형상을 관찰 하였으며, 파괴 시 취화(Brittle) 거동을 하면서 파편 조각이 생기면 저온 충격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3. 냄새 : 냄새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으로 제작된 쉬트를 10 cm × 10 cm × 1.5 cm의 크기로 절단 후 4 리터 용량의 밀폐된 용기에 넣은 후 602 ℃로 1시간 20분 가량 가열하고 20 분간 방냉한 후 냄새를 측정하였으며, 냄새 평가는 5인이 평가를 하며 총 5등급으로 하여 냄새가 난다고 평가하는 사람수를 5에서 차감하여 평가하였고, 자동차에 충족되는 수준은 4급 이상이 양호하다.
4. 담가(Fogging Value) : 담가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으로 제작된 쉬트를 직경 70mm 원형으로 절단 후 비이커에 넣은 후 깨끗한 유리판을 덮고 실리콘 오일이 채워진 용기에 중탕을 하여 100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고, 가열 후 유리판을 탁도계(Hazemeter)로 측정하였다.
5. 사출성형성(용융지수, MI) : 사출 성형성은 용융지수(Melt Index, MI)로 평가하 였으며 용융지수가 20 g/10 분 이상이면 금형 내 충진이 가능하여 양호하게 성형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하며, 용융지수는 ASTM D-1238법으로 측정하였고 시험 조건은 230 ℃, 2.16 ㎏f이다.
6. 발포 특성 : 본 특허에서 발포특성은 용융장력(Melt Tension, 이하MT) 값으로 평가하며, 독일 게페르트 사(Geeffert)의 레오텐스 71.97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독일 브라벤더 일축 압출기에 수지를 넣고 220 ℃, 50 rpm 으로 압출하고 다이 아래에 레오텐스 (rheotense)를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레오텐스에는 수지의 연신을 위해 4 개의 바퀴 (wheel)가 장착되어 있으며, 연신 속도는 동일한 비율로 등가속 된다. 측정된 값은 센티뉴튼 (cN)으로 나℃타내는데, 그 측정값이 30 cN 이상이면 발포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별한다.
7. 치수 안정성 : 선팽창 계수로 평가 하며, -30 ℃부터 80 ℃까지 1 ℃/분 승온 시키면서 변화되는 길이를 측정하여 결과가 10 × 10 -5/℃ 이하이면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별한다. 선팽장 계수는 ASTM D 696법으로 측정하고 시편 규격은 50 × 12.5 × 3.2 mm 이다.
구분 (중량%) A B C D E F MI (g/10분) 경도 저온충격 담가 냄새 치수 안정성 발포 특성(cN)
실 시 예 1 15 60 20 5 - - 25 69 2.5 5 8.5 40
2 20 67 10 3 - - 23 75 2 5 9 45
3 10 70 10 10 - - 21 64 2 5 8.5 48
비 교 예 1 15 40 40 5 - - 40 58 2.5 5 9 16
2 - 75 20 5 - - 16 55 2.5 5 11 35
3 15 80 - 5 - - 10 64 2.5 5 9 50
4 20 60 20 - - - 25 50 2.5 5 12 42
5 10 50 20 20 - - 22 80 2.5 5 7 40
6 10 56 - 7 20 7 22 69 2.5 4 8 10
1.A성분: 폴리프로필렌 수지(용융지수 35 g/10분, 에틸렌 함량 8 중량%, 굴곡탄성율 13,000 kgf/㎠), 2.B성분: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고무(무니점도(ML1+4, 121 ℃) 5, 옥텐 함량이 25 중량%) 3.C성분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용융지수 1000 g/10분, 옥텐 함량 20 중량%) 4.D성분 : 평균직경 5 ㎛ 인 탈크 5.E성분 : 파라핀계 가공유(동점도 500 cst(40 ℃)) 6.F성분 : 폴리프로필렌 왁스(점도 200 cps(170 ℃, Brookfield 점도계)
종합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사출발포 일체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경도, 저온 충격성, 용융지수,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냄새와 담가가 자동차용에 적합하며, 기존의 파라핀계 가공유와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발포 특성이 현저히 증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발포 일체성형용 폴리프 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냄새가 없고 경도, 유연성, 내열성, 저온 충격성, 사출 성형성 및 발포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사출발포 일체성형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인스트루먼트 판넬(Instrument Panel, 이하 인판넬) 표피재, 도어트림 표피재 또는 필라류 표피재용으로 사용되어 향후 폴리염화비닐을 올레핀계 소재로 적용함에 있어 환경적인 측면까지 개선할 뿐만 아니라, 공정 단축을 통한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a)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 ~ 10 의 알파-올레핀 11 ~ 25 몰%의 이원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5 ~ 20 중량%;
    (b)에틸렌과,
    탄소수 2 ~ 10의 알파-올레핀 함량이 10 ~ 30 중량%이고, 무니점도가 3 ~ 10(ML1+4, 121 ℃)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50 ~ 70 중량%;
    (c) 옥텐 함량이 10 ~ 40 중량%이고, 용융지수가 500 ~ 1500 g/10 분(2.16kg, 230 ℃)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왁스 10 ~ 30 중량%; 및
    (d) 무기 충전재 3 ~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재는 탈크, 탄산칼슘, 칼슘설페이트, 마그네슘옥사이드, 칼슘스테아레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점토, 및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의 조성물로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표피재.
KR1020050117221A 2005-12-02 2005-12-02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66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21A KR100666795B1 (ko) 2005-12-02 2005-12-02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21A KR100666795B1 (ko) 2005-12-02 2005-12-02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795B1 true KR100666795B1 (ko) 2007-01-09

Family

ID=3786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221A KR100666795B1 (ko) 2005-12-02 2005-12-02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040A (ko) * 2013-09-19 2016-05-27 란세스 엘라스토머즈 비.브이. 낮은 포깅 물품을 위한 가황성 고무 조성물
CN105670126A (zh) * 2016-04-18 2016-06-15 苏州润佳工程塑料股份有限公司 高强度轻量化薄壁注塑用聚丙烯组合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5785A (ja) 2002-09-02 2004-04-15 Jsp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内成形体
JP3554089B2 (ja) 1995-09-05 2004-08-11 昭和電工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551787B1 (ko) 2004-06-24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표피재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4089B2 (ja) 1995-09-05 2004-08-11 昭和電工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4115785A (ja) 2002-09-02 2004-04-15 Jsp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内成形体
KR100551787B1 (ko) 2004-06-24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표피재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040A (ko) * 2013-09-19 2016-05-27 란세스 엘라스토머즈 비.브이. 낮은 포깅 물품을 위한 가황성 고무 조성물
KR102243348B1 (ko) 2013-09-19 2021-04-22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낮은 포깅 물품을 위한 가황성 고무 조성물
CN105670126A (zh) * 2016-04-18 2016-06-15 苏州润佳工程塑料股份有限公司 高强度轻量化薄壁注塑用聚丙烯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521B1 (ko) 적층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59951B1 (ko) 촉감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EP2305745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foaming, molded foam obtained therefrom, molded composite obtained therefrom, and instrument panel for motor vehicle
KR100891836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고유동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3714874B2 (ja) 射出発泡成形性の良好な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20190036690A (ko)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
JP4969667B2 (ja) マスターバッチペレット及び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成形体の製造方法
JPH09157426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射出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20200135185A (ko) 성형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물품
KR100666795B1 (ko) 사출발포 일체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4496570B2 (ja) 樹脂組成物、発泡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
KR100506714B1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 성형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81192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6175825A (ja) 複合成形体
KR100551787B1 (ko) 자동차 내장재 표피재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US6383654B1 (en)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510750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の発泡成形方法及び発泡成形体
KR20180125745A (ko) 저온사출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JP373143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20160135045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사출 성형방법
KR101574638B1 (ko) 자동차 플로어 카페트용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수지조성물과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883753B1 (ko) 다중 게이트 사출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475868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475873B1 (ko)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20160082803A (ko) 자동차 내장재용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수지조성물,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발포체 및 올레핀 공중합체 발포체 콘솔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