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154B1 -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 Google Patents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154B1
KR100665154B1 KR20050099076A KR20050099076A KR100665154B1 KR 100665154 B1 KR100665154 B1 KR 100665154B1 KR 20050099076 A KR20050099076 A KR 20050099076A KR 20050099076 A KR20050099076 A KR 20050099076A KR 100665154 B1 KR100665154 B1 KR 10066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authentication
numerical value
transmit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9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082A (ko
Inventor
히로야 야마모또
마사히로 우메와까
신지 오스기
가즈마사 지기라
아끼라 이께따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송신기에 설치된 불휘발성 메모리에의 기입 횟수를 삭감한다. 송신기는,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규칙에 따라서 증가시키고,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수신기는, 제1 수치를 수신하여, 제1 수치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2 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2 수치를 제1 수치에 갱신한다. 또한, 송신기는, 제1 수치가 소정의 수치 증가할 때마다, 제1 수치에 해당 소정의 수치를 가산한 수치인 제3 수치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한다. 그리고, 전지 교환 등에 의해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가 소거되면, 송신기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제1 수치로서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한다.
송신기, 수신기, CPU, RAM, 플래시 메모리, 액츄에이터

Description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KEYLESS ENTRY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기가 구비하는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 코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기가 구비하는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기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기가 구비하는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기가 구비하는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송신기의 롤링 코드를 리세트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1 : 송신기
2, 52 : 수신기
11 : 전지
12 : 조작 스위치
13, 21 : CPU
14, 22 : RAM
15, 23 : 플래시 메모리
16 : 송신 회로
24 : 수신 회로
25 : 구동 회로
26 : 액츄에이터
27 : 배터리
31, 73 : 인증 코드 갱신부
32, 71 : 인증 코드 송신부
33 : 백업부
34, 75 : 인증 코드 복원부
35 : 송신 코드
41 : 인증 코드 수신부
42 : 인증부
61, 62 : 송수신 회로
72 :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
74 : 백업부
76 : 난수 수신부
77 : 암호화부
78 : 암호화 신호 송신부
79 : 리세트 신호 수신부
80 : 인증 코드 리세트부
91 : 인증 코드 수신부
92 : 인증 코드 산출부
93 : 인증부
94 :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
95 : 난수 송신부
96 : 암호화 신호 수신부
97 : 복호부
98 : 리세트 신호 송신부
특허 문헌 1 : 특개 2000-314252호 공보
본 발명은, 자동차나 주택 등의 자물쇠의 시정·해정에 이용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나 주택 등의 여러가지 분야에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휴대 가능한 송신기와,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신기로부터 수신기에 무선으로 신호가 송신되어, 자물쇠의 시정·해정이 행해진다.
또한, 이러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는, 송신기로부터 수신기에 송신되는 신호에 롤링 코드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시큐러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롤링 코드는, 송신기 내에 설치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고, 일회의 송신마다 갱신된다(특허 문헌 1). 이에 의해, 학습 리모콘 등을 이용한 부정한 신호에 의한, 자물쇠의 시정·해정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휘발성 메모리의 롤링 코드를 일회의 송신마다 갱신하는 경우, 실 사용을 10년으로서 약 10만회의 재기입이 가능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불휘발성 메모리에서, 페이지를 복수 갖게 하는 것이나, 1 비트를 2 셀로 구성하는 것 등의 물리적인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그러나, 불휘발성 메모리에 이들이 물리적인 대책을 실시함으로써 칩 면적이 비대화하여, 송신기의 코스트 업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송신기에 설치된 불휘발성 메모리에의 기입 횟수를 삭감함으로써, 불휘발성 메모리에의 물리적인 대책을 불필요한 것으로 하여, 송신기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규칙에 따라서 증가시키는 인증 수치 갱신부와, 상기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수치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제2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를 수신하는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1 수치에 갱신하는 인증부를 구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가 소정의 수치 증가할 때마다, 상기 제1 수치에 상기 소정의 수치 이상의 수치를 가산한 수치인 제3 수치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백업부와, 상기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상기 제1 수치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복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규칙에 따라서 감소시키는 인증 수치 갱신부와, 상기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수치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제2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를 수신하는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1 수치에 갱신하는 인증부를 구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가 소정의 수치 감소할 때마다, 상기 제1 수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수치 이상의 수치를 감한 수치인 제3 수치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백업부와, 상기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상기 제1 수치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복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상기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송신기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인증 수치 갱신부와, 상기 인증 수치 송신부와,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백업부와, 상기 인증 수치 복원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상기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수신기로서, 상기 메모리와, 상기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인증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서로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서,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수치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치에 따라서 무선으로 송신되어 온다,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인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 와, 상기 인증 완료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수치를 소정의 증가분 값만큼 증가시키는 인증 수치 갱신부와,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가 소정의 수치 증가할 때마다, 상기 제1 수치에 상기 소정의 수치를 가산한 수치인 제3 수치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백업부와, 상기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상기 제1 수치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복원부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제2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를 수신하는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제2 수치보다 크고, 또한, 최소의 상기 제3 수치인 제4 수치를 산출하여, 해당 제4 수치를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산출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 또는 상기 제4 수치보다 상기 증가분 값만큼 큰 경우에, 상기 인증 완료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 또는 상기 제4 수치보다 상기 증가분 값만큼 큰 경우에,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1 수치에 갱신하는 인증부를 구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서로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서,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수치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치에 따라서 무선으로 송신되어 오는,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인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인증 완료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수치를 소정의 증가분 값만큼 감소시키는 인증 수치 갱신부와,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가 소정 수치 감소할 때마다, 상기 제1 수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수치를 감한 수치인 제3 수치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백업부와, 상기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상기 제1 수치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복원부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제2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를 수신하는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제2 수치보다 크고, 또한 최소의 상기 제3 수치인 제4 수치를 산출하여, 해당 제4 수치를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산출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 또는 상기 제4 수치보다 상기 증가분 값만큼 작은 경우에, 상기 인증 완료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 또는 상기 제4 수치보다 상기 증가분 값만큼 작은 경우에,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1 수치에 갱신하는 인증부를 구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서로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송신기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인증 수치 송신부와, 상기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인증 수치 갱신부와,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백업부와, 상기 인증 수치 복원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서로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수신기로서, 상기 메모리와, 상기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인증 수치 산출부와, 상기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와, 상기 인증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전체 구성==
(1) 하드웨어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자동차의 자물쇠의 시정·해정을 행하기 위한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해당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송신기(1) 및 수신기(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신기(1)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도어 로크나 스티어링 로크의 열쇠 구멍에 삽입하는 키의 핸들부 등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기(2)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이너 미러의 근방 등에 설치되어 있다.
송신기(1)는, 전지(11), 조작 스위치(12), CPU(13), RAM(Random Access Memory)(14), 플래시 메모리(15), 및 송신 회로(16)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11)는, 송신기(1)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 스위치(12)는, 이용자로부터의 시정·해정의 지시를 접수하는 스위치이다. CPU(13)는, 송신기(1)의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RAM(14)에는, CPU(13)가 사용하는 작업용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송신기(1)로부터 수신기(2)에 송신되는 롤링 코드도, RAM(14)에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롤링 코드는 초기값이 「0」이고, 조작 스위치(12)가 조작될 때마다, 1씩 카운트 업된다. 또한, RAM(14)은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조작 스위치(12)의 조작에 관계 없이, 전지(11)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15)는,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프로그램이나 보존용의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15)가 프로그램을 기억하지 않고, 별도 프로그램 저장용의 ROM(Read Only Memory)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송신 회로(16)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데이터로 변환하고, 이것을 증폭하여 전자파로서 송출하는 회로이다. 전자파로서는, 전파나 적외선이 이용된다.
수신기(2)는, CPU(21), RAM(22), 플래시 메모리(23), 수신 회로(24), 및 구동 회로(25)를 구비하고 있다.
CPU(21)는, 수신기(2)의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RAM(22)에는, CPU(21)가 사용하는 작업용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플래시 메모리(23)는,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프로그램이나 보존용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23)에는, 송신기(1)로부터 전회 수신한 롤링 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23)가 프로그램을 기억하지 않고, 별도 프로그램 저장용의 ROM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수신 회로(24)는, 송신기(1)로부터 송출된 전자파를 수신하고, 이것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CPU(21)에 입력하는 회로이다. 구동 회로(25)는, 자동차의 자물쇠를 시정·해정하는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26)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이다. 또한, 수신기(2)의 각 부(21∼25)에는, 자동차의 배터리(27)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2) 기능 구성
다음으로, 송신기(1) 및 수신기(2)가 구비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송신기(1)가 구비하는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송신기(1)는, 인증 코드 갱신부(인증 수치 갱신부)(31), 인증 코드 송신부(인증 수치 송신부)(32), 백업부(33), 및 인증 코드 복원부(인증 수치 복원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인증 코드 갱신부(31), 백업부(33), 및 인증 코드 복원부(34)는, CPU(13) 및 플래시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인증 코드 송신부(32)는, CPU(13), 플래시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송신 회로(16)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인증 코드 갱신부(31)는,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제1 수치)를 카운트 업(1 가산)한다. 인증 코드 송신부(32)는, 도 3에 도시하는 송신 코드(35)를 생성하여, 해당 송신 코드(35)를 수신기(2)에 송신한다. 송신 코드(35)는, 식별 코드 및 롤링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식별 코드는, 수신기(2)가 송신기(1)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고,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다.
백업부(33)는, 전지(11)의 소모·교환 등에 의해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소실한 경우에 구비하여, 롤링 코드를 플래시 메모리(15)에 저장한다. 인증 코드 복원부(34)는, 전지(11)의 소모에 의한 전압 저하나 전지(11)의 교환 작업에 수반하는 CPU(13)의 리세트 시에,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RAM(14)에 로드한다.
도 4는, 수신기(2)가 구비하는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수신기(2)는, 인증 코드 수신부(인증 수치 수신부)(41) 및 인증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인증 코드 수신부(41)는, CPU(21), 플래시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수 신 회로(24)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또한, 인증부(42)는, CPU(21) 및 플래시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인증 코드 수신부(41)는, 송신기(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송신 코드를 수신한다. 인증부(42)는, 송신 코드에 설정되어 있는 롤링 코드와, 플래시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 수신한 롤링 코드(제2 수치)를 비교한다. 그리고, 인증부(42)는, 금회 수신한 롤링 코드가 전회 수신한 롤링 코드보다 크면, 올바른 롤링 코드가 송신되어 온 것으로 인식하여, 구동 회로(25)를 통하여 액츄에이터(26)에 시정·해정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계속해서, 인증부(42)는, 금회 수신한 롤링 코드를 플래시 메모리(23)에 저장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23)에는, 송신기(1)의 식별 코드와 대응하여 롤링 코드가 기억된다.
==처리 설명==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1) 송신기의 처리
도 5는, 송신기(1)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조작 스위치(12)가 조작되면, 인증 코드 갱신부(31)는,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판독하고(S501),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카운트 업한다(S 502). 그리고, 백업부(33)는, 카운트 업된 롤링 코드가 100의 배수인 경우(S503: 예),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에 100 가산한 롤링 코드(제3 수치)를 플래시 메모리(15)에 저장한다(S 504).
다음으로, 인증 코드 송신부(32)는, 플래시 메모리(15)로부터 RAM(14)에 로드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판독하고(S505), 롤링 코드와 맞추어서 송신 코드를 생성한다(S506). 그리고, 인증 코드 송신부(32)는, 해당 송신 코드를 수신기(2)에 송신한다(S507).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100회 카운트 업될 때마다, RAM(14)의 롤링 코드에 100 가산한 코드가 플래시 메모리(15)에 백업되게 된다.
여기서, 전지(11)의 소모·교환 등에 의해,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소거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CPU(13)의 리세트 시에, 인증 코드 복원부(34)가,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RAM(14)에 로드한다. 이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15)로부터 RAM(14)에 로드되는 롤링 코드는, 소거되기 직전에 RAM(14)에 기억되어 있던 롤링 코드보다도 큰 값으로 된다.
(2) 수신기의 처리
도 6은, 수신기(2)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인증 코드 수신부(41)가, 송신기(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송신 코드를 수신한다(S601). 다음으로, 인증부(42)는, 해당 송신 코드에 설정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롤링 코드를 RAM(22)으로부터 판독한다(S602). 그리고, 인증부(42)는, 송신기(1)로부터의 롤링 코드가, 수신기(2)가 유지하는 롤링 코드보다 큰 경우(S603: 예), 올바른 롤링 코드가 송신되어 온 것으로 인식하고, 액츄에이터(26)에 구동 신호를 송신한다(S604). 또한, 인증부(42)는, 송신기(1)로부터 수신한 롤링 코드를 RAM(22)의 롤링 코드에 설정하고 (S605), 해당 롤링 코드를 플래시 메모리(23)에 저장한다(S606).
이와 같이, 수신기(2)에서는, 수신기(2)가 유지하는 롤링 코드보다 큰 롤링 코드가 송신되어 오면, 올바른 롤링 코드로서 인증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신기(2)의 수신 범위 외에서 송신기(1)의 조작 스위치(12)가 조작되는 동작(도드라지게 함)에 의해서 송신기(1)의 롤링 코드만 카운트 업된 경우에도, 그 후에 송신기(1)에서 송출되는 롤링 코드는 올바르게 인증되게 된다. 또한, 송신기(1)에서 RAM(14)의 롤링 코드가 소실한 경우에도, 플래시 메모리(15)로부터 복원된 롤링 코드는, 수신기(2)가 유지하는 롤링 코드보다 큰 값으로 되어, 올바르게 인증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전체 구성==
(1)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송신기(51) 및 수신기(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신기(51)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송신기(1)의 송신 회로(16)를 송수신 회로(61)로 변경한 것이다. 또한, 수신기(5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수신기(2)의 수신 회로(24)를 송수신 회로(62)로 변경한 것이다. 송수신 회로(61, 62)는, 송신 회로(16) 및 수신 회로(24)의 기능을 겸비한 회로이다. 즉, 송신기(51) 및 수신기(52)는, 송수신 회로(61, 62)를 통하여 서로 전자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2) 기능 구성
다음으로, 송신기(51) 및 수신기(52)가 구비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송신기(51)가 구비하는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송신기(51)는, 인증 코드 송신부(인증 수치 송신부)(71),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72), 인증 코드 갱신부(인증 수치 갱신부)(73), 백업부(74), 인증 코드 복원부(인증 수치 복원부)(75), 난수 수신부(76), 암호화부(77), 암호화 신호 송신부(78), 리세트 신호 수신부(79), 및 인증 코드 리세트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인증 코드 수신부(71),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72), 난수 수신부(76), 암호화 신호 수신부(78), 및 리세트 신호 수신부(79)는, CPU(13), 플래시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송수신 회로(61)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또한, 인증 코드 갱신부(73), 백업부(74), 인증 코드 복원부(75), 암호화부(77), 및 인증 코드 리세트부(80)는, CPU(l3) 및 플래시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인증 코드 송신부(71)는, RAM(14)으로부터 식별 코드 및 롤링 코드(제1 수치)를 판독하여 송신 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송신 코드를 수신기(52)에 송신한다.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72)는, 해당 송신 코드에 따라서 수신기(5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인증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 인증 코드 갱신부(73)는, RAM(l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카운트 업한다.
백업부(74)는, 롤링 코드의 플래시 메모리(15)에의 저장을 행한다. 또한, 인증 코드 복원부(75)는, 전지(11)의 소모에 의한 전압 저하나 전지(11)의 교환 작업에 수반하는 CPU(13)의 리세트 시에,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RAM(14)에 로드한다.
난수 수신부(76)는, 수신기(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난수가 설정된 신호인 난수 신호를 수신한다. 암호화부(77)는, 난수 신호에 설정되어 있는 난수를, 수신기(52) 사이에서 미리 정해져 있는 규칙에 따라서 암호화한다. 암호화 신호 송신부(78)는, 암호화부(77)가 암호화한 난수의 신호인 암호화 신호를 수신기(52)에 송신한다. 리세트 신호 수신부(79)는, 해당 암호화 신호에 따라서 수신기(5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세트 신호를 수신한다. 인증 코드 리세트부(80)는, 해당 리세트 신호에 설정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RAM(14) 및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입한다.
도 9는, 수신기(52)가 구비하는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수신기(52)는, 인증 코드 수신부(인증 수치 수신부)(91), 인증 코드 산출부(인증 수치 산출부)(92), 인증부(93),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94), 난수 송신부(95), 암호화 신호 수신부(96), 복호부(97), 및 리세트 신호 송신부(98)를 구비하고 있다. 인증 코드 수신부(91),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94), 난수 송신부(95), 암호화 신호 수신부(96), 및 리세트 신호 송신부(98)는, CPU(21), 플래시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송수신 회로(62)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또한, 인증 코드 산출부(92), 인증부(93), 및 복호부(97)는, CPU(21) 및 플래시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인증 코드 수신부(91)는, 송신기(5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송신 코드를 수신 한다. 인증 코드 산출부(92)는, 플래시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에 기초하여, 송신기(51)의 플래시 메모리(15)에 백업되어 있는 롤링 코드(제3 수치)를 산출하여, 작업용 코드(제4 수치)로서 RAM(22)에 기억한다.
인증부(93)는, 송신 코드에 설정되어 있는 롤링 코드와, 플래시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 수신한 롤링 코드(제2 수치) 및 RAM(22)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용 코드를 비교한다. 그리고, 금회 수신한 롤링 코드가 전회 수신한 롤링 코드 또는 작업용 코드보다 1 크면, 인증부(93)는, 올바른 롤링 코드가 송신되어 온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인증부(93)는, 구동 회로(25)를 통하여 액츄에이터(26)에 시정·해정 지시 신호를 송신하여, 금회 수신한 롤링 코드를 플래시 메모리(23)에 저장한다. 그리고,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94)는, 인증부(93)에서 송신기(51)가 올바르게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인증 완료 신호를 송신기(51)에 송신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는, 송신기(51)와 수신기(52)가 서로 통신함으로써, 상호 협조하여 롤링 코드를 갱신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스위치(12)를 도드라지게 하여도, 송신기(51)의 롤링 코드만 갱신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부(93)는 금회 수신하는 롤링 코드가 전회 수신한 롤링 코드보다 1 큰 경우에, 올바른 롤링 코드라고 인증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송신기(51)에서 전지(11)의 소모·교환 등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작업용 코드보다 1 큰 롤링 코드에 대해서도, 올바르게 인증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난수 송신부(95)는, 인증부(93)에서 올바르게 인증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난수를 생성하여, 해당 난수를 설정한 신호인 난수 신호를 송신기(51)에 송신한다. 암호화 신호 수신부(96)는, 난수 신호에 따라서 송신기(5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화 신호를 수신한다. 복호부(97)는, 암호화 신호를 송신기(51) 사이에서 미리 정해지고 있는 규칙에 따라서 복호한다. 리세트 신호 송신부(98)는, 복호부(97)에 의해 복호된 신호와 난수 송신부(95)가 송신한 난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설정한 리세트 신호를 송신기(51)에 송신한다.
즉, 롤링 코드가 올바르게 인증되지 않은 경우, 송신기(51)와 수신기(52)의 사이에서 소정의 암호 처리에 의해 송신기(51)의 인증이 행해진다. 그리고, 송신기(51)가 올바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는, 송신기(51)의 롤링 코드가 수신기(51)의 롤링 코드에 리세트된다. 이에 의해, 올바른 송신기(51)임에도 불구하고, 인증부(93)에 의해서 올바르게 인증되지 않는 경우를 구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기(51)가 수신기(52)로부터 송신된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없던 경우, 수신기(52)의 롤링 코드만 갱신되어, 이후, 송신기(51)는 올바르게 인증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경우에 롤링 코드가 리세트됨으로써, 송신기(51)가 올바르게 인증되게 된다.
==처리 설명==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1) 송신기의 처리
도 10은, 송신기(51)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조작 스위치(12)가 조작되면, 인증 코드 송신부(71)는,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판독한다(S1001). 계속해서, 인증 코드 송신부(71)는,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작업용 코드로 세트하고(S1002), 해당 작업용 코드를 카운트 업(1 가산)한다(S1003). 그리고, 인증 코드 송신부(71)는, 플래시 메모리(15)로부터 RAM(14)에 로드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판독하고(S1004), 롤링 코드와 맞추어서 송신 코드를 생성한다(S1005). 그리고, 인증 코드 송신부(71)는, 해당 송신 코드를 수신기(52)에 송신한다(S1006).
그 후, 소정의 기간 내에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72)가 수신기(5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S1007: 예), 인증 코드 갱신부(73)는,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에 작업용 코드를 덮어쓰기한다(S1008). 즉, 인증 코드 갱신부(73)는, 인증 완료 신호에 따라서 RAM(14)의 롤링 코드를 카운트 업하게 된다. 또한, 소정의 기간 내에 인증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S1009: 아니오), RAM(14)의 롤링 코드는 갱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송신기(51)의 조작 스위치(12)가 도드라지더라도, 롤링 코드는 카운트 업되지 않는다.
그리고, 백업부(74)는, 카운트 업된 롤링 코드가 100의 배수인 경우(S1009: 예),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에 100 가산한 롤링 코드를 플래시 메모리(15)에 저장한다(S1010).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인증 코드 복원부(75)는, 전지(11)의 소모·교환 등에 수반하는 CPUl3의 리세트 시에,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 드를 RAM(14)에 로드한다.
(2) 수신기의 처리
도 11은, 수신기(52)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인증 코드 수신부(91)가, 송신기(5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송신 코드를 수신한다(S1101). 다음으로, 인증부(93)는, 해당 송신 코드에 설정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롤링 코드(제3 인증 코드)를 RAM(22)으로부터 판독한다(S1102). 그리고, 인증부(93)는, 송신기(51)로부터의 롤링 코드가, 수신기(52)가 유지하는 롤링 코드보다 1만큼 큰 경우(S1103: 예), 올바른 롤링 코드가 송신되어 온 것으로 인식한다.
이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S1103: 아니오), 인증 코드 산출부(92)는, RAM(22)으로부터 판독한 롤링 코드보다 크고, 또한, 100의 배수로 되는 최소의 코드를 산출하여, 작업용 코드로 세트한다(S1104). 즉, 작업용 코드는, 송신기(51)의 플래시 메모리(15)에 백업되어 있는 롤링 코드이다. 그리고, 인증부(93)는, 송신기(51)로부터의 롤링 코드가, 해당 작업용 코드보다 1만큼 큰 경우(S1105: 예), 올바른 롤링 코드가 송신되어 온 것으로 인식한다.
이들 2개의 조건(S1103: 예, S1105: 아니오)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면, 인증부(93)는, 액츄에이터(26)에 구동 신호를 송신한다(S1106). 또한, 인증부(93)는, 송신기(51)로부터 수신한 롤링 코드를 RAM(22)의 롤링 코드에 설정하고(S1107), 해당 롤링 코드를 플래시 메모리(23)에 저장한다(S1108). 그리고,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94)는, 올바르게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인증 완료 신호를 송신기(51)에 송 신한다(S1109).
(3) 리세트 처리
도 12는, 송신기(51)의 롤링 코드를 리세트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도 11에 도시한 처리에서, 송신기(51)로부터의 롤링 코드가 올바른 것이라고 인식되지 않은 경우(S1105: 아니오)에, 실행된다.
우선, 수신기(52)의 난수 송신부(95)는, 난수를 생성하고 (S1201), 해당 난수를 설정한 난수 신호를 송신기(51)에 송신한다(S1202).
송신기(51)의 난수 수신부(76)는, 해당 난수 신호를 수신한다(S1203). 그리고, 암호화부(77)는, 해당 난수 신호에 설정되어 있는 난수를 수신기(52) 사이에서 미리 정해져 있는 규칙에 따라서 암호화한 암호화 신호를 생성한다(S1204). 계속해서, 암호화 신호 송신부(78)가, 해당 암호화 신호를 수신기(52)에 송신한다(S1205).
수신기(52)의 암호화 신호 수신부(96)는, 송신기(5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화 신호를 수신한다(S1206). 그리고, 복호부(97)가, 해당 암호화 신호를 송신기(51) 사이에서 미리 정해져 있는 규칙에 따라서 복호한다(S1207). 복호부(97)에 의해 복호된 신호와 난수 송신부(95)가 송신한 난수가 일치하는 경우(S1208: 예), 리세트 신호 송신부(98)는, 플래시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설정한 리세트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리세트 신호를 송신기(51)에 송신한다(S1209).
송신기(51)의 리세트 신호 수신부(79)는, 수신기(5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세트 신호를 수신한다(S1210). 그리고, 인증 코드 리세트부(80)는, RAM(14) 및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리세트 신호에 설정되어 있는 롤링 코드에 갱신한다(S1211, S1212).
이에 의해, 송신기(51)의 RAM(14) 및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수신기(52)의 RAM(22) 및 플래시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와 일치한다. 그리고, 송신기(51)이 다음에 롤링 코드를 송신하면, 수신기(52)에서 송신기(51)가 올바르게 인증되게 된다.
또한, 송신기(51)로부터 송신된 암호화 신호가 부정한 경우(S1208: No), 수신기(52)가 차량 탑재의 경적 장치를 제어하여 경적을 울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신기(52)가 송신기(51)의 식별 코드(35)를 설정한 경고 신호를 송신하여, 정규의 송신기(51)가 해당 경고 신호를 수신하고 경고음의 출력 등을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3자에 의한 부정한 해정(解錠) 조작인 소위 해킹 행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1 실시 형태의 송신기(1)에서, 롤링 코드는, 매회가 아니고, 소정의 횟수(100회)마다 플래시 메모리(불휘발성 메모리)(15)에 기입된다. 이에 의해, 기입 횟수에 상한이 있는 플래시 메모리에의 기입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RAM(휘발성 메모리)(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소정의 횟수 갱신될 때마다, 더욱 소정의 횟수 갱신한 롤링 코드가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입된다. 그리고, 전지(11)의 소모·교환 등에 의해서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소거된 경우,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RAM(14)에 기입된다. 이에 의해, 송신기(1)로부터 송신되는 롤링 코드가, 수신기(2)가 유지하는 롤링 코드보다도 반드시 커져서, 송신기(1)가 올바르게 인증되게 된다.
따라서, 기입 가능한 횟수를 늘리기 위해서 플래시 메모리의 페이지를 복수갖게 하는 것이나, 1 비트를 2 셀로 구성하는 것 등의 물리적인 대책이 불필요해져서, 송신기(1)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롤링 코드를 1씩 카운트업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카운트 업하는 수치는 1보다 큰 값이어도 된다. 또한, 송신기(1)의 플래시 메모리(15)에 백업되는 롤링 코드는,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더 소정의 횟수 갱신한 값(100을 가산한 값)으로 하였지만, 소정의 횟수보다 더 많은 횟수 갱신한 값이어도 된다. 또한, 송신기(1)의 조작 스위치(12)가 조작될 때마다, 롤링 코드가 카운트 다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송신기(51)에서도, 롤링 코드는, 매회가 아니고, 소정의 횟수마다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입된다. 이에 의해, 기입 횟수에 상한이 있는 플래시 메모리(15)에의 기입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즉, 기입 횟수를 늘리기 위해서 플래시 메모리(15)의 페이지를 복수 갖게 하는 것이나, 1 비트를 2 셀로 구성하는 것 등의 물리적인 대책이 불필요해져서, 송신기(51)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51)와 수신기(52)가 서로 통신을 함으로써 롤링 코드를 상호 협조하여 갱신시키고 있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는, 롤링 코드의 차가 소정의 값인 경우에만, 올바르게 인증되게 된다. 그러나, 송신기(51)에서, 롤링 코드를 RAM(14)에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전지(11)의 소모·교환 등에 의해서 롤링 코드가 소거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송신기(51)에서는,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를 소정의 횟수 갱신할 때마다, 더욱 소정의 횟수 갱신한 롤링 코드를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입하고 있다. 그리고, 전지(11)의 소모·교환 등에 의해서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꺼진 경우, 플래시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롤링 코드가 RAM(14)에 기입된다. 따라서, 수신기(52)에서는, 플래시 메모리(15)로부터 복원된 경우의 롤링 코드에 대해서도, 올바르게 인증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RAM(14)를 이용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15)에의 기입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즉, 기입 가능한 횟수를 늘리기 위해서 플래시 메모리의 페이지를 복수 갖게 하는 것이나, 1 비트를 2 셀로 구성하는 것 등의 물리적인 대책이 불필요해져서, 송신기(1)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증 가능한 롤링 코드가 2개로 한정되고 있기 때문에, 시큐러티 레벨이 현저히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롤링 코드가 카운트 다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11)의 소모·교환 등에 수반하는 CPU(13)의 리세트 시에, 플래시 메모리(15)에 백업된 롤링 코드를 RAM(14)에 로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롤링 코드를 복원하는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12)가 눌러진 타이밍에서, 플래시 메모리(15)의 롤링 코드와 RAM(14)의 롤링 코드를 비교하여, 이들 2개의 롤링 코드의 차가 100 이내가 아닌 경우, RAM(14)의 롤링 코드가 소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플래시 메모리(15)의 롤 링 코드를 RAM(14)에 로드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도 포함된다.
송신기에 설치된 불휘발성 메모리에의 기입 횟수를 삭감함으로써, 불휘발성 메모리에의 물리적인 대책을 불필요한 것으로 하여, 송신기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8)

  1.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규칙에 따라서 증가시키는 인증 수치 갱신부와,
    상기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수치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제2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를 수신하는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1 수치에 갱신하는 인증부
    를 구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가 소정의 수치 증가할 때마다, 상기 제1 수치에 상기 소정의 수치 이상의 수치를 가산한 수치인 제3 수치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백업부와,
    상기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상기 제1 수치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복원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2.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규칙에 따라서 감소시키는 인증 수치 갱신부와,
    상기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수치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제2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를 수신하는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1 수치에 갱신하는 인증부
    를 구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가 소정의 수치 감소할 때마다, 상기 제1 수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수치 이상의 수치를 감한 수치인 제3 수치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백업부와,
    상기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상기 제1 수치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복원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송신기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인증 수치 갱신부와, 상기 인증 수치 송신부와,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백업부와, 상기 인증 수치 복원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4. 제1항 또는 제2항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수신기로서, 상기 메모리와, 상기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인증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수치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치에 따라서 무선으로 송신되어 온,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인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인증 완료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수치를 소정의 증가분 값만큼 증가시키는 인증 수치 갱신부와,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가 소정의 수치 증가할 때마다, 상기 제1 수치에 상기 소정의 수치를 가산한 수치인 제3 수치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백업부와,
    상기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상기 제1 수치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복원부
    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제2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를 수신하는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제2 수치보다 크고, 또한, 최소의 상기 제3 수치인 제4 수치를 산출하여, 해당 제4 수치를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산출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 또는 상기 제4 수치보다 상기 증가분 값만큼 큰 경우에, 상기 인증 완료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 또는 상기 제4 수치보다 상기 증가분 값만큼 큰 경우에,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1 수치에 갱신하는 인증부
    를 구비하는 수신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6.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수치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치에 따라서 무선으로 송신되어 오는,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인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인증 완료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수치를 소정의 증가분 값만큼 감소시키는 인증 수치 갱신부와,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가 소정의 수치 감소할 때마다, 상기 제1 수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수치를 감한 수치인 제3 수치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백업부와,
    상기 제3 수치를 판독하여, 해당 제3 수치를 상기 제1 수치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복원부
    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제2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수치를 수신하는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제2 수치보다 크고, 또한 최소의 상기 제3 수치인 제4 수치를 산출하여, 해당 제4 수치를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는 인증 수치 산출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 또는 상기 제4 수치보다 상기 증가분 값만큼 작은 경우에, 상기 인증 완료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제2 수치 또는 상기 제4 수치보다 상기 증가분 값만큼 작은 경우에, 인증이 올바르게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1 수치에 갱신하는 인증부
    를 구비하는 수신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의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송신기로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인증 수치 송신부와, 상기 인증 완료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인증 수치 갱신부와,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백업부와, 상기 인증 수치 복원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8. 제5항 또는 제6항의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수신기로서, 상기 메모리와, 상기 인증 수치 수신부와, 상기 인증 수치 산출부와, 상기 인증 완료 신호 송신부와, 상기 인증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20050099076A 2004-10-21 2005-10-20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KR100665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6851 2004-10-21
JP2004306851A JP2006118205A (ja) 2004-10-21 2004-10-21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送信機、および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082A KR20060049082A (ko) 2006-05-18
KR100665154B1 true KR100665154B1 (ko) 2007-01-09

Family

ID=3620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9076A KR100665154B1 (ko) 2004-10-21 2005-10-20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87403A1 (ko)
JP (1) JP2006118205A (ko)
KR (1) KR100665154B1 (ko)
CN (1) CN1763341A (ko)
TW (1) TWI281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0215A1 (en) * 2005-05-06 2006-11-09 Norton Eric M Remote controlled security lock
US20080088412A1 (en) * 2006-09-28 2008-04-17 Daryl Carvis Cromer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 of portable security module to conserve battery life
JP4917478B2 (ja) * 2007-05-25 2012-04-18 株式会社ケーヒン 乱数発生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JP5130279B2 (ja) * 2009-12-09 2013-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駆動源搭載機器の盗難防止装置
JP5643171B2 (ja) * 2011-10-14 2014-12-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
JP2015061261A (ja) * 2013-09-20 2015-03-30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これらにおけ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42718B2 (ja) * 2014-06-02 2018-06-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通信システム
JP2015232861A (ja) * 2014-06-11 2015-1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0947B2 (en) * 2002-01-04 2006-05-23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including secure synchronization
US7231041B2 (en) * 2003-08-19 2007-06-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 motor vehicle remote keyless en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81529B (en) 2007-05-21
US20060087403A1 (en) 2006-04-27
KR20060049082A (ko) 2006-05-18
JP2006118205A (ja) 2006-05-11
CN1763341A (zh) 2006-04-26
TW200615436A (en)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154B1 (ko)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EP1411477B1 (en) Handling device and method of security data
US5767784A (en) Initialization method for keyless entry system
US5923758A (en) Variable key press resynchronization for remote keyless entry systems
US9725071B2 (en) Key fob button sequence for accessing keypad reprogramming mode
US20090022317A1 (en) Vehicle security system
GB2424739A (en) Two stage transponder secret key programming
US6194991B1 (en) Remote keyless entry rolling code storage method
JP4841950B2 (ja) 電子キー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5844990A (e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5781121A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631962A (en) Circuit and method of encrypting key validation
US20080292098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device
JP5249180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7389692B2 (ja) 車両の貸し出しシステム
JP5462146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H08149127A (ja) トランスミッタ及び受信ユニット
JP2001027063A (ja) 自動車ドアロック制御用送信装置
JP4672362B2 (ja) 照合システム
JP4222809B2 (ja) 非開閉体側通信装置
US20050268088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in-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device used therefor
JP2005350926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の設定解除方法
WO2021192448A1 (ja) 通信システム、機器、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機の製造方法
JP3059606B2 (ja) ロック解除信号送出装置及びロック解除装置
KR101417820B1 (ko)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