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820B1 -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820B1
KR101417820B1 KR1020120143129A KR20120143129A KR101417820B1 KR 101417820 B1 KR101417820 B1 KR 101417820B1 KR 1020120143129 A KR1020120143129 A KR 1020120143129A KR 20120143129 A KR20120143129 A KR 20120143129A KR 101417820 B1 KR101417820 B1 KR 101417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value
rolling
expected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879A (ko
Inventor
주현정
고동우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8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3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07C2009/002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dynamically, e.g. variable code - rolling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응답하여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유닛이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 이내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Keyless Entry Control Metho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 무선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차량의 메인유닛에 기저장된 기대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 외부의 해커의 침입이나 스니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2-0055635호(2002. 7. 10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은 키없이도 차량의 도어를 락킹(Locking)하거나 락킹 해제를 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키레스 엔트리코드, Key-Less Entry Code)를 차량의 메인유닛이 입력받아, 이를 해독하여 인증 작업을 거쳐 인증이 유효하게 이루어진 사용자에 대해서만 차량 도어의 락킹 해제 또는 락킹을 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엔트리코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엔트리 코드는 해당 무선유닛과 메인 유닛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고정코드(A), 무선유닛을 조작할 때마다 변화되는 롤링코드(B), 도어 락킹 등의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기능코드(C), 및 체크섬(D)을 포함한다.
도 2는 종래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살펴 보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스마트키(무선유닛)의 기능별 버튼 입력을 받으면(S201), 무선유닛은 버튼 조작횟수에 대한 카운트 코드를 생성하고(S202), 이 카운트코드에 따라 롤링코드(B)를 생성한다(S203). 이어서, 무선유닛은 상기 롤링코드(B)를 포함하고 있는 엔트리코드를 발신한다.
그러면, 차량의 메인유닛은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 코드를 수신하여(S205), 이 엔트리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롤링코드를 메인유닛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대값과 비교함으로써 인증작업을 수행하고(S206), 인증이 완료되면 엔트리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코드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207).
그런데, 엔트리 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롤링코드는 무선유닛에서 키가 조작될 때마다 그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변화된다(예를 들어, 32비트단위의 2진수코드인 경우, 000...001(키조작 1회째) → 000...010(키조작 2회째) → 000...011(키조작 3회째) → 000...100(키조작 4회째) →...). 차량의 메인유닛은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롤링코드를 그 이전에 수신되었던 롤링코드에 따라 기저장된 기대값과 비교하여, 현재 수신된 롤링코드의 값이 상기 기대값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값 중 일정 기대범위(예를 들어, 기대값~기대값+255) 이내인 경우 엔트리코드에 이상이 없음을 인증한다.
예를 들면,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키를 100번째 조작했을 때 발생되는 값인 경우에는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정상 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엔트리코드를 인증한다. 하지만, 무선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키를 300번째 조작했을 때 발생되는 값인 경우에는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비정상 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엔트리코드를 인증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에서는, 1차로 수신된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일정 기대범위(예를 들어, 기대값~기대값+255)를 넘어서 초과하거나 기대값 미만인 경우 그 기대값을 상기 1차 수신된 롤링코드의 코드값으로 대체하여 저장하였고, 이후 롤링코드가 재수신되면 새로이 2차로 수신된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변경된 기대값으로부터 일정 기대범위(예를 들어, 기대값~기대값+255) 내에 있는 경우에는 코드값이 정상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하고 락킹 해제 등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은 해커에 의한 침입이나 스니핑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무선유닛으로부터 1차로 수신된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일정 기대범위(예를 들어, 기대값~기대값+255)를 넘어서 초과하거나 상기 기대값 미만인 경우 메인유닛은 그 기대값을 상기 1차 수신된 롤링코드의 코드값으로 대체하여 저장하였는 바, 이 때 만약 해커가 이를 복사하여 상기 변경된 기대값으로부터 일정 기대범위 이내의 코드값을 가진 롤링코드를 생성하여 발신하게 되면 차량의 문이 열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 무선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차량의 메인유닛에 기저장된 기대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 외부의 해커의 침입이나 스니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응답하여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유닛에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 이내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제 1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고, 이후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면 상기 무선유닛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응답하여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유닛이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 이내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제 1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고, 이후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면 상기 무선유닛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대해 유효성검사를 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검사 결과 유효하다면,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는 롤링코드 검사단계; 및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 이내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롤링코드 검사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제 1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엔트리코드를 재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수신된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변경된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면 상기 무선유닛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대해 유효성검사를 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검사 결과 유효하다면,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는 롤링코드 검사단계;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엔트리코드를 재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수신된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변경된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면 상기 무선유닛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 무선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차량의 메인유닛에 기저장된 기대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으로부터 일정 기대범위를 다수회 벗어나거나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 경우, 외부의 해커의 침입이나 스니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엔트리코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무선유닛(100)과 차량의 메인유닛(200)을 포함한다.
무선유닛(100)은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받는 키입력부(101), 상기 키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인 엔트리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부(103), 상기 엔트리코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02), 및 상기 제어부(103)로부터의 엔트리코드를 송신하는 송신부(104)를 포함한다.
차량의 메인유닛(200)은 무선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따라 차량이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메인유닛(200)은 무선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엔트리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201), 상기 수신부(201)를 통해 전달되는 엔트리코드를 해독하여 해당 엔트리 코드를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기능코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203),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차량의 락 동작 등을 수행하는 락구동부(300), 및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롤링코드에 대응하는 기대값을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0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메인유닛(200)의 수신부(201)는 무선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를 수신하고(S401), 제어부(203)는 상기 수신된 엔트리코드에 기초하여 유효성 검사를 실시한다(S402). 엔트리코드에서 고정코드(A)와 체크섬(D)은 각각의 무선유닛(100)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으로서, 제어부(203)는 도 1의 엔트리코드에서 고정코드(A)와 체크섬(D)을 검사하여 해당 엔트리코드가 정상적인 무선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된 것인지에 대한 유효성검사를 실시한다.
상기 단계(S402)에서의 유효성 검사결과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메인유닛(200)은 메인유닛(200)에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C)를 비교한다(S403).
이 때 만약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예를 들어, 기대값~기대값+255) 이내이면 메인유닛(200)은 기능코드(C)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404). 여기서, 제 1 기대범위는 입력된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정상적인 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시스템 설계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메인유닛(200)은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 이내이면 정상적인 엔트리코드라고 판단하여 인증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메인유닛(200)은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본 프로세스를 완료한다(S405). 이와 같이 기대값을 변경하지 않는 것은 해커 등에 의한 롤링코드의 복사 및 무단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기대값이 변경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커가 바뀐 기대값에 따라 롤링코드를 발신하여 차량에 무단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즉, 설사 무선유닛(100)으로부터 발신되는 롤링코드를 해커가 복사한다고 하더라도, 해커는 메인유닛(200)에 기억된 기대값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조작하여 차량에 무단침입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롤링코드 검사단계(S403)의 검사결과,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제 1 기대범위(예를 들어, 기대값~기대값+255)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메인유닛(200)은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고(S406), 상기 무선유닛(100)으로부터 엔트리코드를 재수신한다(S407). 물론, 이 경우 이하의 단계(S408)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재수신된 엔트리코드에 대하여 상기 단계(S402)에서와 마찬가지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다.
이어서, 메인유닛(200)은 상기 재수신된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한다(S408). 이 때 만약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변경된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예를 들어, 기대값~기대값+255) 이내이면 메인유닛(200)은 기능코드(C)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409). 여기서, 제 2 기대범위는 새로이 입력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정상적인 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메인유닛(200)은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 이내이면 정상적인 엔트리코드라고 판단하여 인증하는 것이다. 제 2 기대범위는 시스템 설계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기대범위와 같은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고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반면, 단계(S408)의 판단결과,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도 벗어난다면, 메인유닛(200)은 해당 무선유닛(100)에 대응하는 아이디(ID)를 폐기하고 본 프로세스를 종료한다(S410). 이는 2회에 걸쳐서도 정상적으로 인증되지 않는 경우 해커 등에 의해 불법적으로 생성된 엔트리코드에 의한 접근일 수 있음을 감안한 것으로서, 해당 엔트리코드를 사용하는 무선유닛(100)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함으로써 해커에 의한 무단침입을 막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메인유닛(200)은 상기 기대값은 변경하지 않고 유지시킨다.
상기에서, 메인유닛(200)에 의해 폐기된 무선유닛(100)은, 이후 다른 무선유닛에 의해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후 시동이 종료되거나 또는 관리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후 시동이 종료되는 경우, 폐기 상태에서 다시 정상사용 상태(활성화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키레스엔트리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 무선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차량의 메인유닛에 기저장된 기대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으로부터 일정 기대범위를 다수회 벗어나거나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 경우, 외부의 해커의 침입이나 스니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응답하여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유닛에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 이내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제 1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고,
    이후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변경된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면 상기 무선유닛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2. 삭제
  3.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응답하여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유닛이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 이내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제 1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고, 이후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변경된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면 상기 무선유닛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4.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대해 유효성검사를 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검사 결과 유효하다면,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는 롤링코드 검사단계;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 이내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상기 롤링코드 검사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제 1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엔트리코드를 재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수신된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변경된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면 상기 무선유닛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5. 삭제
  6. 차량의 메인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으로서,
    무선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엔트리코드에 대해 유효성검사를 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검사 결과 유효하다면, 기저장된 기대값과 상기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1 롤링코드를 비교하는 롤링코드 검사단계;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기대값에 대한 제 1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롤링코드의 코드값에 따라 상기 기대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무선유닛으로부터 엔트리코드를 재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수신된 엔트리코드에 포함된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을 상기 변경된 기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롤링코드의 코드값이 상기 변경된 기대값에 대한 제 2 기대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면 상기 무선유닛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KR1020120143129A 2012-12-10 2012-12-10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KR101417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29A KR101417820B1 (ko) 2012-12-10 2012-12-10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29A KR101417820B1 (ko) 2012-12-10 2012-12-10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79A KR20140075879A (ko) 2014-06-20
KR101417820B1 true KR101417820B1 (ko) 2014-07-16

Family

ID=5112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129A KR101417820B1 (ko) 2012-12-10 2012-12-10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8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565B1 (ko) 1999-09-16 2001-11-09 이계안 차량의 키레스엔트리방법
JP2007224663A (ja) 2006-02-24 2007-09-06 Tokai Rika Co Ltd 車両用施解錠制御装置
KR20100054597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ke 시스템의 롤링코드 제어방법
JP2012057368A (ja) 2010-09-09 2012-03-22 Tokai Rika Co Ltd 車両の無線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565B1 (ko) 1999-09-16 2001-11-09 이계안 차량의 키레스엔트리방법
JP2007224663A (ja) 2006-02-24 2007-09-06 Tokai Rika Co Ltd 車両用施解錠制御装置
KR20100054597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ke 시스템의 롤링코드 제어방법
JP2012057368A (ja) 2010-09-09 2012-03-22 Tokai Rika Co Ltd 車両の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79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5112A1 (en) Networked access control system
CN105976466B (zh) 一种汽车门禁开门方法
US9280653B2 (en) Security access method for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US7886355B2 (en) Subsidy lock enabled handset device with asymmetric verification unlock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KR101216306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구성 파라미터 갱신
US9129455B2 (e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passive entry
US2007005062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lash IC replacement hacking attack
US10515498B2 (en) Electric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204444A (ja) センサへの操作及び/又はセンサのセンサデータへの操作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200052910A1 (en) Retention and revocation of operation keys by a control unit
WO2008008686A2 (en) Control of fleet vehicles with common transmitters
WO2002027441A1 (en) System for protecting static and dynamic data against unauthorised manipulation
CN106912046A (zh) 单向密钥卡和交通工具配对
CA3006190C (en) Electric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3028806C (en) Electric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17820B1 (ko) 차량의 키레스엔트리 제어방법
US20190028487A1 (en) Indirect Authorization Transport
US20210019970A1 (en) Managing administration privileges of an electronic lock
CN102902927A (zh) 一种修改加密锁密码的方法及系统
CN107380122B (zh) 一种实现车辆解锁的方法及装置
CN111447062A (zh) 一种用于车辆的密码管理系统
US20220150239A1 (en) Mitigation of brute force attack to device pin
WO20191293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and/or authorization
JP6960482B2 (ja) 通信マスタ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411797B1 (ko) 하드웨어 기반의 차량 사이버보안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