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281B1 -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281B1
KR100664281B1 KR1020057008978A KR20057008978A KR100664281B1 KR 100664281 B1 KR100664281 B1 KR 100664281B1 KR 1020057008978 A KR1020057008978 A KR 1020057008978A KR 20057008978 A KR20057008978 A KR 20057008978A KR 100664281 B1 KR100664281 B1 KR 100664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vibration
members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7796A (ko
Inventor
이성환
조민철
신수연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700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2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증대시켜 경계층의 발달을 억제함으로써, 실외공기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전열판들과; 상기 전열판들 사이에 적층되고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제1공기통로에 배열되어 상기 제1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제1진동부재들과; 상기 제1진동부재들과 교차되게 상기 전열판들 사이에 적층되고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제2공기통로에 배열되어 상기 제2통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제2진동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HEAT EXCHANGE OF VENTILAT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서로 교환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 장치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함과 아울러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장치로서, 실외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정화기와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열을 흡입되는 실외 공기로 전달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환기 장치의 사시도이다.
환기 장치는 실외와 실내를 구획하는 벽에 장착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에 내장되어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 작용을 하는 송풍팬(4,6)과,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정화기(미도시)와, 상기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어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의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8)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2)는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에 관통되어 그 한쪽 측면은 실내에 위치되고 반대쪽 측면은 실외에 위치된다. 이때, 실외에 위치되는 케이스(2)의 측면에는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 흡입구(10)와 실내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 토출구(12)가 각각 형성되고, 실내에 위치되는 케이스(2)의 측면에는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실내 토출구(14)와 실외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는 실내 흡입구(16)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6)은 상기 실외 토출구(12)와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압을 제공하는 토출용 송풍팬(4)과, 상기 실내 토출구(14)와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압을 제공하는 흡입용 송풍팬(6)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heat exchanger:8)는 얇은 평판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들(20) 사이의 공간에 각각 적층되고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제1주름 플레이트(first corrugation plate:22)와, 상기 제1주름 플레이트(22)와 교대로 상호 직교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적층되고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제2주름 플레이트(second corrugation plate:2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주름 플레이트(22,24)는 삼각 형태로 절곡되어 그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각각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통과하면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8)는 전체적인 모양이 제1주름 플레이트(22), 베이스 플레이트(20), 제2주름 플레이트(2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8)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양쪽 측면은 각각 실외 흡입구(outdoor suction hole:10) 및 실내 토출구(14)와 연결되어 실외공기가 통과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다른 양쪽 측면은 각각 실외 토출구(12) 및 실내 흡입구(16)와 연결되어 실내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주름 플레이트(22)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제2주름 플레이트(24)를 통과하는 실내공기가 서로 교차되게 통과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를 통해 실내공기의 열이 실외공기로 전달되는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흡입용 송풍팬(6)이 구동되면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 흡입구(10)로 흡입되고 제1주름 플레이트(22)를 통과하여 실내 토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토출용 송풍팬(4)이 구동되면 실내공기는 실내 흡입구(16)로 흡입되고 제2주름 플레이트(24)를 통과하여 실외 토출구(12)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주름 플레이트(22)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제2주름 플레이트(24)를 통과하는 실내공기가 서로 교차되어 흐르면서 실내공기가 가지고 있는 열이 베이스 플레이트(20)를 통해 실외공기로 전달되고 상기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한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토출되는 실내공기에 함유된 열을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흡수하여 실내로 토출되기 때문에 환기 작용시 실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는 제1주름 플레이트(22)와 제2주름 플레이트(24)가 일정 형태의 주름을 갖는 하나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주름 플레이트를 흐르는 공기가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경계층(S)이 발달되어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지 못하여 환기시 실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또한 실내 공기를 회복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증가되며 실내 공기조화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름 플레이트(22)와 제2주름 플레이트(24)의 관내를 흐르는 점성을 가진 공기가 관내 표면을 흘러가면 공기입자가 관내 표면과 접촉하는 면에서 공기의 점성 때문에 관내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고, 관내 표면에서 떨어지면서 공기는 점점 자신의 속도를 회복해서 고체표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는 자유흐름의 속도를 갖게 된다. 이때 흐르는 공기와 관내 표면에서 떨어지면서 경계층(S)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내 표면을 흐르는 공기가 진행될수록 경계층이 발달되어 관내 표면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실내공기의 열이 베이스 플레이트(20)를 통해 실외공기로 전달되는 열전달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증대시켜 경계층의 발달을 억제함으로써, 실외공기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복수의 전열판과; 실외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전열판들 사이에 적층되는 제1공기통로에 배열되며, 상기 제1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의 충돌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그 실외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제1진동부재와; 실내공기가 상기 실외공기와 교차되게 통과하도록 상기 전열판 사이에 적층되는 제2공기통로에 배열되며, 상기 제2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의 충돌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그 실내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제2진동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의 양쪽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2진동부재가 배열된 측면을 밀폐하는 제1격벽과, 상기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의 다른 양쪽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1진동부재가 배열된 측면을 밀폐하는 제2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은 상기 전열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흐르는 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진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은 전면에 공기가 부딪히면 진동부가 후방으로 휘어지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은 일정 탄성력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은 일정 탄성력을 갖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은 일정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은 상기 전열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1열 진동부재들이 배열되고, 상기 1열 진동부재들의 후방에 상기 1열 진동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2열 진동부재가 배열되며, 상기 제1열 진동부재와 제2열 진동부재는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2열 진동부재는 상기 제1열 진동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열부 및 제2열부의 진동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d1이라 하고, 상기 제1열부의 진동부재들과 제2열부의 진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d2라 하면, 상기 d1과 d2 사이는 5 ≤d2/d1 ≤10의 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의 폭을 L2라 하고, 그 길이를 L1이라 하면,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의 폭과 길이는 1 ≤L1/L2 ≤5의 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의 두께를 t1이라 하고, 상기 전열판들의 두께를 t2라 하면,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의 두께와 전열판들의 두께는 0.5≤t2/t1≤1의 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환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주름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가 적용된 공기의 관로 유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스 4 : 토출용 송풍팬
6 : 흡입용 송풍팬 8 : 열교환기
10 : 실외 흡입구 12 : 실외 토출구
14 : 실내 흡입구 16 : 실내 토출구
50 : 전열판 52 : 제1공기통로
54 : 제1진동부재 56 : 제2공기통로
58 : 제2진동부재 60 : 제1격판
62 : 제2격판 66 : 고정부
68 : 진동부 70 : 제1열부
72 : 제2열부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실시 예로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외와 실내를 구획하는 벽에 케이스(2)가 관통되게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2)의 일측면은 실외에 위치되고 타측면은 실내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2)의 실외에 위치되는 측면에는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 흡입구(10)와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실외 토출구(12)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2)의 실내에 위치되는 측면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흡입구(14)와 실외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 토출구(16)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실외 토출구(12)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는 송풍압을 부여하는 토출용 송퐁팬(4)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실내 토출구(14)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송풍압을 부여하는 흡입용 송풍팬(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 내부의 흡입 유로 상에는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공기 중 함유된 각종 불순물 및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기 정화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실외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와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을 하는 열교환기(8)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평판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전열판(heat exchange plates:50)과, 상기 전열판(50) 사이에 부착되고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제1공기통로(52)에 다수로 배열되어 상기 제1공기통로(52)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제1진동부재들(54)과, 상기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제2공기통로(56)에 다수로 배열되어 상기 제2공기통로(56)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제2진동부재들(5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8)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2공기통로(56)를 밀폐하는 제1격벽(60)이 부착되고, 상기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의 다른 양쪽 측면에는 상기 제2공기통로(56)를 밀폐하는 제2격벽(62)이 부착된다.
상기 제1진동부재(54)와 제2진동부재(58)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90°로 교차되게 적층되고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진동부재(54,58)의 구체적인 형태를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판(50)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부(66)와, 상기 고정부(66)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흐르는 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진동부(68)로 구성되는 얇은 평판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66)는 전열판(50)의 상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됨이 바람직하고, 고정부(66)를 전열판(50)의 상면에 부착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진동부재(54,58)는 전면에 공기가 부딪히면 진동부(68)가 후방으로 휘어지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얇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거나, 종이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54,58)는 상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플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재(54,58)는 상기 전열판(50)의 상면에 일정 간격(d1)을 두고 배열되는 제1열부(70)와, 상기 제1열부(70)의 후방에 상기 제1열부(70)와 일정 간격(d2)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1열부들 사이의 공간에 각각 배열되는 제2열부(72)가 일정 개수만큼 반복되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열부(70) 및 제2열부(72)의 진동부재들 사이의 간격(d1)과 상기 제1열부(70)의 진동부재와 상기 제2열부(72)의 진동부재 사이의 간격(d2)은 5 ≤d2/d1 ≤10의 식을 만족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 재들의 폭(L2)과 길이(L1)는 1 ≤L1/L2 ≤5의 식을 만족하도록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재들의 두께(t1)와 전열판들의 두께(t2)는 0.5≤t2/t1≤1의 식을 만족하도록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 흡입용 송풍팬(6)이 구동되면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 흡입구(10)로 흡입되어 공기 정화기를 통과하면서 각종 먼지 및 이물질이 제거되고, 제1공기통로(52)를 통과하여 실내 토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토출용 송풍팬(4)이 구동되면 실내공기는 실내 흡입구(16)로 흡입되어 상기 제2공기통로(56)를 통과하여 실외 토출구(12)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공기통로(52)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제2공기통로(56)를 통과하는 실외공기가 전열판(5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되어 흐르면서 실내공기에 함유된 열이 전열판(50)을 통해 실외공기로 흡수되고 상기 열교환이 완료된 실외공기는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열교환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제1공기통로(52)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1진동부재들(58)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사방으로 분산되어 전열판(50)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흐르게 되어 전열판(50)으로의 열전달 성능이 향상되고 상기 제2 공기통로(56)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2진동부재(58)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사방으로 분산되어 전열판(50)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흐르게 되어 전열판(50)으로의 열전달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제1공기통로에 제1진동부재를 부착하고,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제2공기통로에 제2진동부재를 부착하여 제1 및 제2진동부재의 작용에 의해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증대시켜 경계층의 발달을 억제하여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고, 실내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복수의 전열판과;
    실외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전열판들 사이에 적층되는 제1공기통로에 배열되며, 상기 제1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의 충돌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그 실외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제1진동부재와;
    실내공기가 상기 실외공기와 교차되게 통과하도록 상기 전열판 사이에 적층되는 제2공기통로에 배열되며, 상기 제2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의 충돌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그 실내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제2진동부재;
    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의 양쪽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2진동부재가 배열된 측면을 밀폐하는 제1격벽과, 상기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의 다른 양쪽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1진동부재가 배열된 측면을 밀폐하는 제2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는 상기 전열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흐르는 공기에 터블런트(turbulent)를 발생시키 는 진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는 전면에 공기가 부딪히면 진동부가 후방으로 휘어지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는 상기 전열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1열 진동부재들이 배열되고, 상기 1열 진동부재들의 후방에 상기 1열 진동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2열 진동부재가 배열되며, 상기 제1열 진동부재와 제2열 진동부재는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2열 진동부재는 상기 제1열 진동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부 및 제2열부의 진동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d1이라 하고, 상기 제1열부의 진동부재들과 제2열부의 진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d2라 하면, 상기 d1과 d2 사이는 5 ≤d2/d1 ≤10의 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의 폭을 L2라 하고, 그 길이를 L1이라 하면,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의 폭과 길이는 1 ≤L1/L2 ≤5의 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의 두께를 t1이라 하고, 상기 전열판들의 두께를 t2라 하면, 상기 제1 및 제2진동부재들의 두께와 전열판들의 두께는 0.5≤t2/t1≤1의 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KR1020057008978A 2005-05-18 2002-12-02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KR10066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8978A KR100664281B1 (ko) 2005-05-18 2002-12-02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8978A KR100664281B1 (ko) 2005-05-18 2002-12-02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96A KR20050087796A (ko) 2005-08-31
KR100664281B1 true KR100664281B1 (ko) 2007-01-04

Family

ID=3727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978A KR100664281B1 (ko) 2005-05-18 2002-12-02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538B1 (ko) * 2013-05-09 2016-12-28 (유) 숲이온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96A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68423B2 (en) Heat exchanger of ventilating system
AU2002368424B2 (en) Heat exchanger of ventilating system
AU2002368421B2 (en) Heat exchanger of ventilating system
KR100664281B1 (ko)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WO2006035927A1 (ja) 空気調和機の壁掛け型室内ユニット
KR100898926B1 (ko)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KR20050086741A (ko)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KR20050089801A (ko)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AU2002368422B2 (en) Heat exchanger of ventilating system
WO2005010442A1 (ja) 空気調和機
JP2004198068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JPH0526492A (ja) 空気調和機
JP3761377B2 (ja) 熱交換素子
KR920004920Y1 (ko) 공기 조화기의 열교환 장치
JP2008275298A (ja) 空気熱交換ユニット及び熱交換モジュール
KR100535673B1 (ko)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JPS61191880A (ja) 熱交換装置
JPS6229846A (ja) 空調換気装置
JPH10246484A (ja) 換気兼熱交換装置
JP2006336895A (ja) 熱交換機
JPS6229845A (ja) 空調換気装置
JPH07233967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