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072B1 -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072B1
KR100664072B1 KR1020050089539A KR20050089539A KR100664072B1 KR 100664072 B1 KR100664072 B1 KR 100664072B1 KR 1020050089539 A KR1020050089539 A KR 1020050089539A KR 20050089539 A KR20050089539 A KR 20050089539A KR 100664072 B1 KR100664072 B1 KR 10066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variable resistor
displacement
resistanc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072B1/ko
Priority to US11/526,691 priority patent/US762464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하는 대상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감지케이블과; 케이싱에 수용되며, 상기 감지케이블의 타단이 감기는 커넥터가 구비된 기어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변위를 발생시키는 저항변위발생부와; 상기 저항변위발생부에서 발생된 변위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으로부터 변경된 저항값을 판독하여 상기 대상체의 진동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진동하는 대상체의 진동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APPARATUS FOR SENSING THE VIBRATION OF AN OBJECT AND DRUM-WASHER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일 면에서 본 개략도이며,
도 2b는 도 2a와는 반대면에서 본 진동센서장치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진동센서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구비한 드럼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a: 진동센서장치 11,11'11a: 감지케이블
21,21': 기어 21a: 제1 기어
23,23',23a: 커넥터 25a: 제2 기어
31,31',31a: 탄성부재 41,41': 저항변위발생부
41a: 단속변위발생부 또는 래크 51,51',51a: 가변저항
61,61',61a: 제어부 111': 캐비넷
121': 터브 131': 드럼
141': 구동부
본 발명은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진동량을 검출하는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111)과, 캐비넷(111)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21)와, 터브(1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배치되는 드럼(131)과, 이러한 드럼(131)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캐비넷(111)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113)의 연부에는 개구(1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15)가 구비되어 있다.
터브(121)는 캐비넷(111)의 내부에는 전면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고서 배치된다. 터브(121)의 상면에는 일단이 캐비넷(111)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하방향 을 따라 신축 가능한 복수의 지지스프링(123)의 각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터브(121)의 하측에는 터브(121)의 상하방향을 따른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댐퍼(125)가 구비되어 있다. 터브(121)의 후면 측에는 구동부(141)가 장착되는 스파이더(127)가 설치된다.
드럼(131)은 터브(12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체로서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한다. 이러한 드럼(131)의 외주에는 복수의 급수공(미도시)이 개구되어 있어서 세탁물은 터브(121)의 하측에 의해 보존되는 세탁수에 담궈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구동부(141)는 드럼(13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부(141)는 터브(121)의 스파이더(127)의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142)와, 드럼(131)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4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45)과, 그러한 회전축(14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모터(142)는 고정자(142a)와 회전자(142b)로 이루어지고, 회전자(142b)에는 회전축(145)이 압입된다.
가스켓(151)은 터브(121) 및 드럼(131)과 캐비넷(111) 사이의 공간으로 세탁물이 끼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넷(111)에 고정 설치되며,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드럼 세탁기에 있어서, 터브(121)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지스프링(123)에 매달려 캐비넷(111) 내부에서 진동하면서 드럼(131)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분산한다.
그러나, 터브(121)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서는 실제적으로 측정 하기 보다는 드럼(131)의 회전수를 파악하여 예측하였고, 그러한 예측값을 바탕으로 진동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식에 대하여, 터브(121)의 진동을 실제적으로 파악하고 그러한 실제적인 진동값에 근거하여 세탁기의 진동을 제어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진동하는 대상체의 진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상으로도 경제적인 진동센서장치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진동센서장치를 장착하여 드럼세탁기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실제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맞게 제어 가능한 진동센서장치를 구비한 드럼세탁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는 진동하는 대상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감지케이블과; 케이싱에 수용되며, 상기 감지케이블의 타단이 감기는 커넥터가 구비된 기어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변위를 발생시키는 저항변위발생부와; 상기 저항변위발생부에서 발생된 변위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으 로부터 변경된 저항값을 판독하여 상기 대상체의 진동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는 진동하는 대상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감지케이블과; 케이싱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감지케이블의 타단이 감기는 커넥터가 장착된 제1 기어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단속적으로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단속적으로 연동시키는 단속변위발생부와; 상기 단속변위발생부에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연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2 기어의 변위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으로부터 변경된 저항값을 판독하여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연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구비한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중공체인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감싸며 상기 캐비넷에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 제공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또는 캐비넷에 장착되는 위와 같은 진동센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럼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 여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일 면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와는 반대 면에서 본 진동센서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는 진동하는 대상체(3)에 연결되는 감지케이블(11)과, 케이싱(미도시)에 수용되며 감지케이블(11)에 의해 대상체(3)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기어(21)와, 기어(21)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1)와, 기어(21)의 회전에 따라 선형 변위를 발생시키는 저항변위발생부(41)와, 저항변위발생부(41)에서 발생된 변위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51)와, 가변저항(51)에 연결되어 저항의 변화를 판단하는 제어부(61)를 포함한다.
감지케이블(11)의 일단은 스프링(3')에 의해 진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상체(3)에 연결된다. 나아가, 타단은 기어(21)의 커넥터(23)에 감겨 진다. 이러한 감지케이블(11)은 대상체(3)의 진동에 따른 변위를 기어(21)에 바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신장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된다.
기어(21)는 원판형 플레이트의 외주상에 기어이(gear tooth)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기어(21)의 중심부에는 커넥터(23)가 연결된 커넥터축(23')이 회전할 수 없게 압입되어 있다. 기어(21)에 압입된 커넥터축(23')의 끝단은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탄성부재(31)는 기어(21)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토션스프링이다. 탄성부재(31)의 일단은 기어(21),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축(23')에 결합되고, 타단은 케이싱에 결합된다.
저항변위발생부(41)는 기어(21)의 이와 연동되는 이를 가지는 래크(43)와, 래크(43)에서 돌출하여 가변저항(51)에 접속되는 접속돌기(45)를 구비한다. 이러한 래크(43)는 케이싱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변저항(51)는 슬라이딩형 가변저항로서 저항변위발생부(41)의 접속돌기(45)가 선형 이동함에 따라 그와 상이한 위치에서 접속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저항이 가변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저항(51)는 케이싱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제어부(61)는 위와 같은 가변저항(51)의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대상체(3)가 진동하면서 기어(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감지케이블(11)은 대상체(3)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어(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31)는 탄성력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기어(21)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저항변위발생부(41)의 래크(43)도 선형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래크(43)에 고정된 접속돌기(45)의 위치가 선형적으로 변하게 된다. 그 결과로 가변저항(51)와 접속돌기(45)가 접속되는 위치가 변화함으로 인해 가변저항(51)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은 달라진다. 제어부(61)는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의 정도를 파악하여 대상체(3)의 진동량을 파악하게 된다.
다시 대상체(3)가 진동하면서 기어(21)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감지케이블(11)에는 장력이 해제되고 대신에 탄성부재(31)에 저장된 탄성력이 기어(21)를 앞서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래크(43)는 앞서와 다른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되고, 접속돌기(45) 또한 앞서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변저항(51)와 접속하게 된다. 그 결과로 가변저항(51)에서는 가변된 저항값이 출력된다. 제어부(61)는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로서 대상체(3)의 진동량을 파악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대상체(3)의 진동 방향에 따라 기어(21)의 감지케이블(11)의 장력 또는 탄성부재(31)의 탄성력에 의해 일 방향 또는 그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러한 기어(21)에 연동된 래크(43) 또한 일 방향 또는 그와 반대의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래크(43)의 선형 이동은 접속돌기(45)와 가변저항(51) 간의 접속 위치의 변화를 가져오고, 그에 따라 가변저항(51)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제어부(61)는 대상체(3)의 진동량, 나아가 진동 방향까지도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진동센서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는 진동하는 대상체(3)에 연결되는 감지케이블(11')과, 케이싱(미도시)에 수용되며 커넥터축(23")이 압입되어 결합되고 감지케이블(11')이 감기는 커넥터(23')를 구비하며 감지케이블(11')에 의해 대상체(3)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기어(21')와, 기어(21')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1')와, 기어(21')의 회전에 따라 회전 변위를 발생시키는 저항변위발생부(41')와, 저항변위발생부(41')에서 발생된 변위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51')와, 가변저항(51')에 연결되어 저항의 변화를 판단하는 제어부(61')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변저항(51')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로서 회전 변위를 입력받아 저항이 가변된다. 그에 따라, 저항변위발생부(41')는 기어(21')와 치합되어 회전하며 회전형 가변저항(51')의 입력축(51")에 압입되는 변위기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진동센서장치는 회전형 가변저항(51') 및 그에 따라 회전 변위를 발생시키는 저항변위발생부(41')를 채용한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다. 그러나, 저항변위발생부(41 및 41')와 가변저항(51 및 51')의 형태가 슬라이딩형(선형)과 회전형으로 상이할 뿐이므로, 본 변형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숙지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는 진동하는 대상체(3)에 일단이 연결되는 감지케이블(11a)과, 케이싱(미도시) 내에 수용되며, 감지케이블(11a)의 타단이 감기는 커넥터(23a)가 연결된 커넥터축(23a')이 압입되어 장착된 제1 기어(21a)와, 케이싱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제1 기어(21a)에 결합되어 제1 기어(21a)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1a)와, 제1 기어(21a)의 회전에 단속적으로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기어(25a)와,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5a)를 단속적으로 연동시키는 단속변위발생부(41a)와, 단속변위 발생부(41a)에서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5a)를 연동시킴에 따라 제2 기어(25a)의 변위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51a)와, 가변저항(51a)로부터 변경된 저항값을 판독하여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5a)의 연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61a)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속변위발생부(41a)는 케이싱 내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기어(21a) 및 제2 기어(25a)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기어(25a)에 압입된 구동축(25a')는 회전형인 가변저항(51a)의 입력축(51a')과 결합되어 제2 기어(25a)에서 발생한 회전 변위를 가변저항(51a)에 전달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기어(25a)는 외주에 연속적으로 기어이가 형성된 것임에 반하여, 제2 기어(25b) 외주 상의 일정 부분에는 기어이가 형성된 치부(25a')가 있고 그 외 부분에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무치부(25a")가 존재한다.
단속변위발생부(41a)는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5a)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동시키는 래크이다.
여기서, 래크(41a)는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5a)와 마주하는 양 측면에 기어이부(41aa 및 41ab)가 형성된다. 제1 기어(21a)와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기어이부(41aa)는 연속적으로 기어이가 형성된 형태이다. 그러나, 제2 기어(25a)와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기어이부(41ab)에는 일정 부분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부(41a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평탄부(41ab')는 제2 기어(25a) 의 무치부(25a")에 대응하며 그의 원주상 길이(d)와 동일한 길이(d)를 가지고서 형성된다. 이러한 길이(d)에 대해서는 제2 기어(25a)와 래크(41a)는 연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동센서장치에 있어서, 대상체(3)의 진동에 따라 제1 기어(21a)가 일 방향 또는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기어(21a)와 제1 기어이부(41aa)를 통해 연동되는 래크(41a)는 선형으로 이동하게 된다. 래크(41a)의 이동 초기에 제2 기어(25a)는 무치부(25a")가 래크(41a)의 제2 기어이부(41ab)의 평탄부(41ab')가 마주하게 놓인 상태에서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한 상태에서 대상체(3)가 보다 진동하여 더 큰 변위를 일으켜서 제1 기어(21a)가 더 회전함에 따라 래크(41a)의 평탄부(41ab')와 제2 기어(25a)의 무치부(25a")가 마주하는 상태가 해소된다. 그 결과로 제2 기어(25a)의 치부(25a')는 래크(41a)의 제2 기어이부(41ab)의 기어이가 형성된 부분과 연동되고, 제2 기어(25a)는 비로서 회전하게 된다.
제2 기어(25a)가 회전함에 따라 그에 결합된 구동축(25a')이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로 구동축(25a')에 결합된 회전형 가변저항(51a)의 입력축(51a')이 회전하게 되고, 이는 가변저항(51a)의 저항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저항의 변화는 가변저항(5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61a)에 의해 판독된다.
이상과 같이, 제2 기어(25a)와 래크(41a)가 일정 길이(d) 동안 서로 연동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 인하여, 그러한 길이 범위 내에 머무르는 진동에 의한 변위는 제어부(61a)가 특별히 인식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대상체(3)의 모든 진 동을 제어부(61a)가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진동에 대해서만 인지하여 그에 맞게 대상체(3)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센서장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진동과 그 이하의 진동(또는 무진동)만을 판별하는 투-웨이 센서(2-way sensor)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구비한 드럼세탁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구비한 드럼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111')과, 세탁수를 저장하고 캐비넷(111') 내부에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브(121')와, 터브(1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1')과, 캐비넷(111')이나 터브(121')에 장착되어 진동하는 대상체인 터브(121')의 진동량을 파악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진동센서장치(1, 1' 및 1a)를 포함한다.
여기서, 캐비넷(111')의 일 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113')가 형성되며 이를 개폐하는 도어(115')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터브(121')는 스프링(123')에 의해 캐비넷(111')에 진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댐퍼(125')는 그러한 진동을 흡수한다. 드럼(131')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41')에 의해 회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드럼세탁기에 따르면, 드럼세탁기의 제어유닛(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141')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드럼(131')은 그러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드럼(131')은 일반 세탁 모드와 저속 탈수 모드 그리고 고속 탈수 모드로 진행됨에 따라 보다 크게 진동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터브(121')로 전달되고 그 중 일부는 댐퍼(125')에 의해 흡수된다. 흡수되지 못한 진동량은 터브(121')에 장착된 진동센서장치(1, 1' 및 1a)에서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실시간으로 파악된다.
위와 같이 실시간으로 파악된 터브(121')의 진동량은 제어유닛에 입력되고 제어유닛은 이러한 진동량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드럼(131')의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터브(121')의 진동이 미리 설정된 한계 진동값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된다면 드럼(131')의 회전수를 낮추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드럼(131')의 회전수에 따라 터브(121')의 진동량을 예측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터브(121')의 진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하게 됨으로써 터브(121'), 나아가 그러한 진동이 외부로 표현되는 캐비넷(111')의 진동을 보다 정확하고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투-웨이 방식의 진동센서장치(1a)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2 기어(25a)의 무치부(25a")와 래크(41a)의 평탄부(43ab')를 적절히 설계함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터브(121') 진동만을 제어 대상으로 삼을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는 대상체의 진동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으로부터 대상체의 진동을 실제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변저항이 저가여서 제조비용이 저렴한 진동센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는 대상체의 진동을 감지하지 않는 부분을 가짐으로써 투-웨이 센서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일정 수준 이하의 진동은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방임하게 할 수 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위와 같은 진동센서장치를 구비한 드럼세탁기는 진동하는 대상체인 터브나 캐비넷 등에 위와 같은 진동센서장치를 장착함으로 인하여 그러한 부분들의 실제적인 진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게 드럼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진동하는 대상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감지케이블과;
    케이싱에 수용되며, 상기 감지케이블의 타단이 감기는 커넥터가 구비된 기어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변위를 발생시키는 저항변위발생부와;
    상기 저항변위발생부에서 발생된 변위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으로부터 변경된 저항값을 판독하여 상기 대상체의 진동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동센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변위발생부는,
    상기 기어에 연동되어 선형 이동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결합되어 상기 래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의 상이한 위치에 접속되는 접속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저항은 슬라이딩형 가변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은 입력축을 가지는 회전형 가변저항이고,
    상기 저항변위발생부는 상기 가변저항의 입력축에 끼워져서 상기 기어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변위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장치.
  5. 진동하는 대상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감지케이블과;
    케이싱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감지케이블의 타단이 감기는 커넥터가 장착된 제1 기어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단속적으로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단속적으로 연동시키는 단속변위발생부와;
    상기 단속변위발생부에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연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2 기어의 변위에 연동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으로부터 변경된 저항값을 판독하여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연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동센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에는 이가 없는 무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속변위발생부는, 상기 제1 및 2 기어 사이에 연동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기어에 대응한 제1 기어이부가 형성된 제1 기어이부와 상기 제2 기어의 무치부에 대응하여 이가 없는 평탄부를 가지는 제2 기어이부가 각각 형성된 단속 래크이며,
    상기 가변저항은 회전형 가변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장치.
  7.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중공체인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감싸며 상기 캐비넷에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 제공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와;
    상기 캐비넷 또는 터브에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센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동센서장치를 구비한 드럼세탁기.
KR1020050089539A 2005-09-26 2005-09-26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KR10066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39A KR100664072B1 (ko) 2005-09-26 2005-09-26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US11/526,691 US7624641B2 (en) 2005-09-26 2006-09-26 Vibration sens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39A KR100664072B1 (ko) 2005-09-26 2005-09-26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072B1 true KR100664072B1 (ko) 2007-01-03

Family

ID=3786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539A KR100664072B1 (ko) 2005-09-26 2005-09-26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24641B2 (ko)
KR (1) KR1006640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35A1 (ko) * 2014-03-11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50106237A (ko) * 2014-03-11 2015-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DE102020200926A1 (de) 2019-02-01 2020-08-06 Lg Electronics Inc. Sensormodul und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mit dies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04355B2 (en) * 2012-12-21 2016-10-27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Improved laundry appliance
KR102521884B1 (ko) * 2020-07-03 2023-04-1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인 센서 기반 공작물 가공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3789639B (zh) * 2021-09-23 2022-06-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吊杆组件及包含其的洗衣机
CN115161961B (zh) * 2022-05-26 2023-02-14 浙江京惠机电有限公司 一种洗衣机电机的减震稳定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703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샌드위치형 인슐레이터 동특성 시험용 지그장치
KR19980050777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부시형 인슐레이터 동특성 시험용 지그장치
EP0965675A1 (en) 1998-06-16 1999-12-22 R.&amp; D.S. S.r.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scillations of tub-drum unit for washing-machines, in particular clothes washing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671B1 (en) * 2000-03-29 2002-04-30 Lord Corporation Magnetically actuated motion control device
KR100505227B1 (ko) * 2002-11-28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 과진동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703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샌드위치형 인슐레이터 동특성 시험용 지그장치
KR19980050777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부시형 인슐레이터 동특성 시험용 지그장치
EP0965675A1 (en) 1998-06-16 1999-12-22 R.&amp; D.S. S.r.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scillations of tub-drum unit for washing-machines, in particular clothes washing machin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35A1 (ko) * 2014-03-11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50106237A (ko) * 2014-03-11 2015-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0161072B2 (en) 2014-03-11 2018-12-2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407814B2 (en) 2014-03-1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203432B1 (ko) 2014-03-11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DE102020200926A1 (de) 2019-02-01 2020-08-06 Lg Electronics Inc. Sensormodul und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mit dies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24641B2 (en) 2009-12-01
US20070068258A1 (en)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072B1 (ko) 진동센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KR100748530B1 (ko) 가변형 동흡진기, 이를 구비한 드럼세탁기 그리고 이를이용한 진동체 제어 방법
CN2905861Y (zh) 滚筒式洗衣机
KR101374735B1 (ko) 변위 센서로 섬유 제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가정용 기구
RU2008121730A (ru) Машина для белья
EP2202344B1 (en) Damper,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42808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1895043B1 (en) Control device for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CA2513216A1 (en) Washing machine
KR20060132500A (ko) 가전 제품의 회전 부재 불균형 감지 장치
JP2010057822A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090266113A1 (en) Appliance Having A Vibration Detection Device
KR102218909B1 (ko) 의류처리장치
US8627688B2 (en) Unbalance control system for vertical-rotation-axis washing machines
JP4178418B2 (ja) ドア開閉装置
CN114846192A (zh) 具有一个或多个发条的动态平衡组件和洗衣设备
JP2002210287A (ja) 洗濯機
EP1882769B1 (en) Laundry machine with a motion sensor
JP5508948B2 (ja) 洗濯機
KR101846961B1 (ko) 가변형 동흡진기를 구비한 세탁기
EP2060667B1 (en) Household appliance
JP2006523271A (ja) スイングドア装置におけるドアの位置検出装置
JPH1015277A (ja) 全自動洗濯機
KR20070032169A (ko) 진동 제어형 드럼세탁기 및 그를 이용한 선택 탈수 방법
JP2022094528A (ja) 対象物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