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816B1 - 배출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출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816B1
KR100663816B1 KR1020050024769A KR20050024769A KR100663816B1 KR 100663816 B1 KR100663816 B1 KR 100663816B1 KR 1020050024769 A KR1020050024769 A KR 1020050024769A KR 20050024769 A KR20050024769 A KR 20050024769A KR 100663816 B1 KR100663816 B1 KR 10066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ffluent
water
treatment system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723A (ko
Inventor
신이찌 나까네
마사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ab- or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5Breaking emulsions with coales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8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 B01D17/10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with stationary filter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urification of gaseous efflu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매인 수분과 용질인 오일을 함유한 배출수가 유입되는 배출수 입구(1in)와, 배출수가 유출되는 배출수 출구(1out)를 포함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배출수 처리 시스템은 오일-물 분리 필터의 상단부(4T)가 배출수의 정상 수면(L)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분과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물 분리 필터(4)와, 오일을 흡착하기 위한 오일 흡착 필터(5)와, 배출수 입구(1in)로부터 배출수 출구(1out)로 연장되어 형성된 오버플로우 공간(Z)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기 가스, 배출수, 오일, 오일-물 분리 필터, 오일 흡착 필터

Description

배출수 처리 시스템 {DRAIN WATER TREATMENT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횡단면도.
도3의 (a)는 오일 흡착 필터를 갖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3의 (b)는 오일 흡착 필터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폐판을 갖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in : 배출수 입구
1out : 배출수 출구
4 : 오일-물 분리 필터
5 : 오일 흡착 필터
12 : 정류판
13 : 오일 차폐판
Z : 오버플로우 공간
본 발명은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름을 함유한 배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스 엔진 시스템 등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가 응축될 때 배출수를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배출수는 배기 가스 성분의 영향 때문에 산성이며, 미연소 성분으로서 엔진 보디 내에서 발생된 금속 슬러지 또는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엔진 시스템으로부터 그러한 배출수를 토출시키기 위해, 일본 실용 신안 출원 공보 평06-321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배출수 처리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필터 층은 슬러지의 제거용 필터와, 오일 흡착용 필터를 포함한다. 일본 실용 신안 출원 공보 평06-32164호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부분, 필터 층, 및 항알칼리 층이 배출수 유입측으로부터 배출수 토출측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필터 층은 시스템 본체의 하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바닥면까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필터 층이 슬러지 등에 의해 차단되면, 배출수가 토출될 수 없다. 그러한 상황에서, 배출수는 다시 엔진의 배기측으로 유동할 수 있거나, 배출수가 엔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엔진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흡착용 필터는 배출수 내의 오일만을 흡착한다. 흡착의 유효성은 배출수 내의 오일 농도의 정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배출수 내 의 오일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오일은 오일 흡착용 필터에 의해 흡착되지 않을 수 있고, 배출수 내의 오일이 배출수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토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배출수 출구로부터의 배출수의 토출이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배출수로부터의 오일 제거의 유효성이 보장될 수 있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의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용매인 수분과 용질인 오일을 함유한 배출수가 유입되는 배출수 입구와, 배출수가 유출되는 배출수 출구를 포함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은, 오일-물 분리 필터의 상단부가 배출수의 정상 수면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분과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물 분리 필터와, 오일을 흡착하기 위한 오일 흡착 필터와, 배출수 입구로부터 배출수 출구로 연장되어 형성된 오버플로우 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매인 수분과 용질인 오일을 분리하기 위해 오일-물 분리 필터를 배출수 처리 시스템 내에 제공함으로써, 배출수 내에 함유된 오일은 오일 액적을 형성하도록 응집될 수 있다. 오일-물 분리 필터의 상단부가 배출수의 정상 수면 위로 돌출하므로, 오일-물 분리 필터는 시스템 내로 유동하는 배출수에 대해 확실한 정도로 기능한다. 그러므로, 배출수 내의 오일이 저농도이더라도, 오일은 오일-물 분리 필터에 의해 응집되어 오일 흡착 필터 상으로 쉽게 흡착될 수 있다. 더욱이, 오버플로우 공간이 배출수 입구와 배출수 출구 사이에 형성 되므로, 배출수의 유동은 배출수용으로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동 통로가 막히더라도 중단되지 않는다. 배출수가 오버플로우 공간을 적절하게 통과한 후에 배출수 출구로부터 토출되기 때문에, 배출수는 역류하지 않고 엔진에 손상이 야기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추가의 특징 및 특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려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상부면이 제거 가능한 커버(1T)에 의해 덮인 섀시 타입 시스템 본체(1)는 배출수 유입측 상의 벽면(1F)과, 벽면(1F)에 대향하여 제공된 배출수 토출측 상의 벽면(1R)을 포함한다. 배출수 입구(1in)가 벽면(1F) 상에 제공되고, 배출수 출구(1out)가 벽면(1R) 상에 제공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배기 소음기에 연결된 배출수 유입 파이프(2)가 배출수 입구(1in) 상에 제공되고, 배출수 토출 파이프(3)가 배출수 처리 시스템을 통과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배출수 출구(1out) 상에 제공된다.
시스템 본체(1) 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오일-물 분리 필터(4)가 배출수 유입측 상에서 하류 방향으로 벽면(1F)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서 한 쌍의 측벽(1S)들 사이에 형성된다. 오일 흡착 필터(5)가 오일-물 분리 필터(4)의 하류측 상에서 소정의 거리에 형성된다. 또한, 산성 배출수를 중성 상태에 가깝게 만드는 중화제 (6)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충전된 중화제 부분(7)이 오일 흡착 필터(5)의 하류 단부측으로부터 벽면(1R) 주위에 제공된 메시판(8)으로 연장되는 부분 내에 형성된다. 더욱이, 위치 설정 플랜지(9, 10)는 오일-물 분리 필터(4) 및 오일 흡착 필터(5)가 그들 각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각각 한 쌍의 측벽(1S)들 상에서 내측에 형성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메시판(8)은 한 쌍의 측벽(1S)의 내부면 상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플랜지(11)에 고정된다.
유리솜 또는 부직포 탄소 섬유가 내부 재료로서 사용되는 오일-물 분리 필터(4)는 배출수 내에 분산된 저농도의 오일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특징을 갖는다. 추출된 오일은 오일-물 분리 필터(4) 내에서 응집되어 오일 액적을 형성하고, 그 다음 배출수 스트림을 통해 하류측 상의 배출수 내로 토출된다. 오일-물 분리 필터(4)의 상단부(4T)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 내의 배출수의 (배출수 출구(1out)의 하단부의 높이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인) 정상 수면(L) 위로 돌출한다. 공간(Z1)이 커버(1T)와 상단부(4T) 사이에 형성된다.
연속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부직포 재료가 내부 재료로서 사용되는 오일 흡착 필터(5)는 그가 접촉하는 오일을 흡착하는 능력 이외에, 물 방출 특성을 갖는다. 도3의 (a)는 오일 흡착 필터(5)를 갖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도3의 (b)는 오일 흡착 필터(5)의 단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본체(1)의 바닥면(1B)과 오일 흡착 필터(5)의 바닥면(5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배출수가 유입되는 수로(W)를 형성한다. 또한, 공간(Z2)이 오일 흡착 필터(5)의 상부면(5T)과 커버(1T) 사이에 한정된다.
공간(Z1, Z2)들이 서로에 대해 연결되므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수 입구(1in)로부터 배출수 출구(1out)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 공간(Z)이 배출수 처리 시스템 내에 형성된다. 오일-물 분리 필터(4) 또는 수로(W)가 슬러지 또는 이물질로 막혀서 정상적으로 이용되는 유동 통로가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 하는 경우에, 배출수 처리 시스템 내의 배출수의 수면이 정상 수면(L) 위로 상승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배출수는 오일-물 분리 필터(4) 위에 형성된 공간(Z1) 및 오일 흡착 필터(5)의 상부면(5T)과 커버(1T) 사이에 형성된 공간(Z2) 내로 유동한다. 그러므로, 일단 배출수 처리 시스템 내로 유동한 배출수가 배출수 입구(1in)를 통해 배출수 유입 파이프(2) 내로 역류할 위험이 없다.
오일 흡착 필터(5)가 물 방출 특성을 가지므로, 오일은 정상 수면(L) 아래의 오일 흡착 필터(5)의 부분 내에 축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위 체적당 흡착되는 오일의 양이 증가된다. 따라서, 소정의 오일 흡착 용량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필터 크기가 감소된다. 따라서, 배출수 처리 시스템은 물 방출 특성을 갖는 오일 흡착 필터(5)를 사용함으로써 소형화될 수 있다.
중화제(6)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중화제 부분(7)은 하류측 상에 메시판(8)을 구비한다. 따라서, 중화제(6)는 배출수 스트림을 통해 배출수 출구(1out)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배출수 내의 수분은 배기 가스의 영향 때문에 산성을 나타낸다. 배출수 내의 수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중화제(6)로서, 돌조각 또는 석회와 같은 다량의 알칼리를 함유하는 입상 부재가 사용된다.
오일을 함유한 배출수가 배출수 입구(1in)로부터 배출수 처리 시스템 내로 유동할 때, 다음의 절차가 수행된다. 오일은 배출수로부터 분리되어 응집되고, 이는 오일 액적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공정이다. 오일 액적은 오일-물 분리 필터(4)로부터 배출수 스트림을 통해 토출된다. 이 때, 액적 내의 오일은 부력에 의해 배출수 내에 부유하면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오일-물 분리 필터(4)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한 오일 액적은 오일 흡착 필터(5) 아래에 형성된 수로(W)를 통해 중화제 부분(7)에 도달한다.
액적 내의 오일은 수로(W) 내로 유동하는 배출수의 상층부 상에 존재한다. 오일 액적은 배출수의 부력에 의해 오일 흡착 필터(5)의 바닥면(5B)에 대해 가압되고, 바닥면(5B)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오일 액적은 수로(W) 내로 유동하면서, 배출수의 부력에 의해 확실한 방식으로 오일 흡착 필터(5)에 대해 가압되고, 이에 의해 오일 흡착 필터(5)의 부분 상에서의 오일 흡착도가 증가된다. 오일이 오일-물 분리 필터(4)의 작동에 의해 응집되어 액적을 형성하므로, 배출수 처리 시스템 내로 유동하는 배출수 내에 함유된 오일이 저농도를 갖더라도, 오일은 확실한 정도로 하류측 상의 오일 흡착 필터(5)에 의해 흡착된다.
수로(W) 내의 배출수 내의 오일이 오일 흡착 필터(5)에 의해 제거된 후에 배출수가 하류측 상의 중화제 부분(7) 내의 중화제(6)와 접촉할 때, 배출수 내에 함유된 수용성 산성 물질과 알칼리성 물질인 중화제(6)가 중화 반응을 일으켜서, 배출수가 중화된다. 전술한 공정이 수행된 배출수는 배출수 출구(1out)로부터 배출수 처리 시스템 외부로 토출된다.
오일 흡착 필터(5)는 흡착된 오일을 소정의 용량 내에서 축적시킬 수 있지만, 흡착된 오일의 양이 그러한 소정의 용량 수준에 접근할 때, 오일 흡착 필터(5)의 흡착 능력은 감소하고 오일 흡착 필터(5)는 교체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오일-물 분리 필터(4)는 그의 기능성의 특징 때문에 교체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배출수 처리 시스템 내로 유동하는 배출수 내에 함유된 금속 슬러지 또는 이물질 등 때문에 고장이 발생하면, 오일-물 분리 필터(4)는 교체될 필요가 있다. 필터(4, 5)들 모두는 시스템 본체(1)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커버(1T)를 제거함으로써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4에 도시된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제1 실시예의 전술한 구조 이외에, 정류판(12) 및 오일 차폐판(13)이 제공된다. 정류판(12) 및 오일 차폐판(13)의 구조 및 효과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정류판(12)은 오일-물 분리 필터(4)의 하류측 상에서 그리고 동시에 오일 흡착 필터(5)의 상류측 상에서, 즉 오일-물 분리 필터(4)와 오일 흡착 필터(5) 사이에서, 시스템 본체(1)의 바닥면(1B)에 대해 직교하는 한 쌍의 측벽(1S)들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정류판(12)은 한 쌍의 측벽(1S)들 사이에 형성되어, 정류판의 각 단부, 즉 각각의 측벽(1S)과 접촉하는 각각의 단부는 이중 플랜지 부분들 사이에 개재되고, 이중 플랜지들 사이의 거리는 정류판(12)의 두께와 같은 거리로 유지된다.
정류판(12)의 상단부는 배출수의 정상 수면(L)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정류판(12)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배출수의 부분이 정류판(12)의 상단부 위에 형성된 수로를 통해 하류측으로 유동한다. 오일-물 분리 필터(4)의 작동 중에 생성된 오일 액적은 배출수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배출수와 함께 하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배출수가 정류판(12)의 상단부 위에 형성된 수로를 통해 하류측으로 유동하므로, 배출수 내의 오일 액적은 물의 표면을 향해 상방으로 부유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오일-물 분리 필터(4)의 하부 위치, 즉 배출수의 심부 내에서 생성된 오일 액적의 경우에도, 오일 액적이 정류판(12)의 하류측으로 이동할 때, 오일 액적은 배출수의 표면 가까이로 부유한다. 정류판(12)이 이렇게 오일 액적이 하류측으로의 이동 전에 배출수 내에서 상승하여 배출수의 표면 가까이에 위치하게 하기 때문에, 정류판(12)의 하류측 상에 제공된 오일 흡착 필터(5)의 바닥면(5B)은 오일 액적과 쉽게 접촉하게 될 수 있고, 따라서 오일 흡착 필터(5)가 오일을 흡착하기 쉽다. 따라서, 오일을 제거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유효성이 향상된다.
오일 차폐판(13)은 시스템 본체(1)의 한 쌍의 측벽(1S) 사이에 설치되고 지지되어, 하류측 상에서 오일 흡착 필터(5)의 자유 단부와 밀접하게 접촉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차폐판(13)은 예를 들어 하류측 상에서 오일 흡착 필터(5)의 전체 단부면을 실질적으로 덮는 크기의 사각형 수지판 부재로 만들어지고, 수평 방향으로의 오일 차폐판(13)의 치수는 오일 흡착 필터(5)의 크기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러한 종류의 오일 차폐판(13)을 제공함으로써, 오일 흡착 필터(5) 상으로 일단 흡착된 오일은 하류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오일 차폐판(13)의 상단부는 오일 흡착 필터(5)의 상부면(5T)의 상단부와 대 체로 동일한 높이이다. 오일 흡착 필터(5)의 상부면(5T)과 커버(1T) 사이에 형성된 공간(Z1)은 하류측 상에서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배출수 입구(1in)로부터 배출수 출구(1out)로 연장되는 전술한 오버플로우 공간(Z) 또한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오일 차폐판(13)의 하단부(13E)는 오일 흡착 필터(5)의 바닥면(5B)으로부터 하방으로 약간 돌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갭이 하단부(13E)와 시스템 본체(1)의 바닥면(1B) 사이에 형성되고, 따라서 하류측을 향한 수로(W)의 유동이 보장된다.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수로(W)를 따라 유동하는 배출수의 상층 내의 오일 액적은 오일 흡착 필터(5)의 바닥면(5B)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오일 액적이 부력에 의해 바닥면(5B)에 대해 가압되므로, 배출수의 표면 상에 위치된 오일이 오일 흡착 필터(5)에 의해 흡착되기 쉽다.
배출수 내의 오일이 고농도일 때, 오일 흡착 필터(5)가 오일을 흡착하는 속도는 부적절하다. 배출수의 상층 내에 함유된 오일이 수로(W)의 상류 단부로부터 하류 단부로 이동하는 한, 오일은 때때로 오일 흡착 필터(5)의 바닥면(5B) 상으로 적절하게 흡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경우에도, 오일 차폐판(13)의 하단부(13E)가 오일 흡착 필터(5)의 바닥면(5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므로, 배출수의 상층 내의 오일 액적은 일시적으로 저지되고, 그 후에 오일은 장기간에 걸쳐 오일 흡착 필터(5)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흡착 필터(5)에 의한 오일의 흡착 속도가 부적절하더라도, 오일 액적이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오일 흡착 필터(5)의 바닥면(5B)으로부터 돌출하는 오일 차폐판(13)의 부분의 길이는 하류측 상의 수로(W) 내의 유동이 저지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정류판(12)의 종방향으로의 높이 및 위치도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화제 부분(7)은 시스템 본체 내로 반드시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오일은 시스템 본체(1) 내에서 제거될 수 있고, 그 후에 배출수는 시스템 본체에 연결된 분리된 시스템 내에서 중화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로(W)가 오일 흡착 필터(5) 아래에 형성되기 때문에, 배출수가 유입되는 통로가 보장될 수 있고, 배출수 유동의 중단이 방지될 수 있고, 역류하는 배출수에 의해 야기되는 장애가 회피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류판(12)이 배출수의 정상 표면(L) 아래에 제공되기 때문에, 오일-물 분리 필터(4)를 통과한 후에 하류로 유동하는 배출수는 정류판(12)에 의해 저지되고, 배출수는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하류측으로 유동하는 배출수와 함께 정류판(12)에 도달한 후에, 오일-물 분리 필터(4)의 하부 위치에서 생성된 오일 액적은 단기간 동안 배출수의 상향 유동에 의해 상승되고, 배출수 내에 함유된 오일 액적은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정류판(12)이 오일-물 분리 필터(4)의 하류측 및 오일 흡착 필터(5)의 상류측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오일-물 분리 필터(4)를 통과한 후에, 정류판(12)은 배출수가 오일 흡착 필터(5)에 도달할 때까지 기능한다. 따라서, 배출수의 유동이 제한되어, 오일 액적이 응집된다. 따라서, 오일을 흡착하는 오일 흡착 필터(5)의 유효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 흡착 필터(5)가 배출수 내의 오일을 흡착할 때, 오일은 오일 흡착 필터(5) 상에 축적된다. 오일 차폐판(13)이 오일 흡착 필터(5)의 하류측 상에 제공되므로, 오일 흡착 필터(5) 상에 축적된 오일은 배출수의 유동 통로 내로 토출되기 쉽지 않다. 결과적으로, 오일 제거 유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 흡착 필터(5) 아래에 제공된 수로(W)의 상부면 내에서 유동하는 액적 내의 오일은 오일 차폐판(13)의 돌출부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정지된 오일은 하류측으로 유동하기 어렵다. 오일이 오일 차폐판(13)과 접촉하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어서, 더 많은 오일이 오일 흡착 필터(5) 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일 제거 유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 가스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배출수 처리 시스템이 소형화될 수 있고, 배출수가 역류하지 않아서 엔진에 손상을 야기지 않으며, 배출수가 유입되는 통로가 보장될 수 있고, 배출수 유동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고, 역류하는 배출수에 의해 야기되는 장애를 피할 수 있다.

Claims (8)

  1. 용매인 수분과 용질인 오일을 함유한 배출수가 유입되는 배출수 입구(1in)와, 배출수가 유출되는 배출수 출구(1out)를 포함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출수 처리 시스템은 오일-물 분리 필터의 상단부(4T)가 배출수의 정상 수면(L)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분과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물 분리 필터(4)와, 오일을 흡착하는 오일 흡착 필터(5)를 구비하여 상기 오일-물 분리 필터의 상방에 오버플로우 공간(Z)을 마련하고, 상기 오일 흡착 필터의 하방에 상기 오일 흡착 필터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흐르는 수로(W)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오일-물 분리 필터(4)의 하류측 및 오일 흡착 필터(5)의 상류측 상에 제공된 정류판(12)을 더 포함하고,
    정류판은 배출수의 정상 수면(L) 아래에 형성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오일 흡착 필터(5)의 하류측 상의 차폐판(13)을 더 포함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오일 흡착 필터(5)의 하류측 상의 차폐판(13)을 더 포함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차폐판(13)의 하단부(13E)는 수로(W) 내로 돌출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차폐판(13)의 하단부(13E)는 수로(W) 내로 돌출하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오일 흡착 필터(5)는 물 방출 특성을 갖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
KR1020050024769A 2004-03-26 2005-03-25 배출수 처리 시스템 KR100663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2198A JP4452993B2 (ja) 2004-03-26 2004-03-26 ドレン水処理装置
JPJP-P-2004-00092198 2004-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723A KR20060044723A (ko) 2006-05-16
KR100663816B1 true KR100663816B1 (ko) 2007-01-03

Family

ID=3485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69A KR100663816B1 (ko) 2004-03-26 2005-03-25 배출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80167B1 (ko)
JP (1) JP4452993B2 (ko)
KR (1) KR100663816B1 (ko)
CN (1) CN1291773C (ko)
DE (1) DE60200500101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1521D0 (en) * 2007-01-26 2007-03-07 Invert Group Ltd Improved separator
KR100886477B1 (ko) 2007-08-02 2009-03-05 (주) 해동에이앤씨 고분자필터를 이용한 폐수 및 우수의 고형물 및 유수분리 처리시스템
KR101130569B1 (ko) 2011-06-06 2012-03-30 (주)제이케이스톰파크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비점오염물 제거장치
KR101130579B1 (ko) 2011-06-06 2012-03-30 (주)제이케이스톰파크 고분자필터와 부직포 섬유필터가 적용된 비점오염물 제거장치
CN108069553A (zh) * 2016-11-10 2018-05-25 苏州凯世工贸有限公司 一种重油污清洗机环保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RU187839U1 (ru) * 2018-03-28 2019-03-1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ервая Национальная Группа"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14085013B (zh) * 2022-01-21 2022-05-10 北京中源创能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餐厨垃圾高浓度废水的多级预处理装置
CN115324000A (zh) * 2022-08-16 2022-11-11 江西洪屏抽水蓄能有限公司 抽水蓄能电站渗漏积水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405A (ja) * 1993-04-23 1994-11-01 Orion Mach Co Ltd 油水分離装置の構造
KR0119390B1 (ko) * 1994-07-20 1997-10-27 이희근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KR200330431Y1 (ko) * 2003-07-24 2003-10-17 천도철 유수 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02118B1 (no) * 1995-06-26 1998-01-26 Terje Johan Myrhaug Fettutskiller
NL1018653C2 (nl) * 2001-07-27 2003-01-28 Dutch Electric Agency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bsorberen van hydrofobe stoffen uit een fluïdum, waterzuiveringssysteem en wasinrichting.
US6676832B2 (en) * 2002-01-05 2004-01-13 Terre Hill Silo Company Surface water purifying catch bas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405A (ja) * 1993-04-23 1994-11-01 Orion Mach Co Ltd 油水分離装置の構造
KR0119390B1 (ko) * 1994-07-20 1997-10-27 이희근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KR200330431Y1 (ko) * 2003-07-24 2003-10-17 천도철 유수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723A (ko) 2006-05-16
EP1580167A1 (en) 2005-09-28
CN1683053A (zh) 2005-10-19
JP2005270928A (ja) 2005-10-06
DE602005001010D1 (de) 2007-06-14
EP1580167B1 (en) 2007-05-02
JP4452993B2 (ja) 2010-04-21
CN1291773C (zh) 2006-12-27
DE602005001010T2 (de)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816B1 (ko) 배출수 처리 시스템
CA2624643C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light fluid from a heavy one and/or removing sediment from a fluid stream
US7005060B2 (en) Upflow surface water runoff filtration system
US8658044B2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254628B1 (ko) 배수의 흡착 장치
US7329347B2 (en) Separating device
KR10187291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420222B1 (ko)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080000288A (ko)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100005790U (ko) 초기 빗물 처리장치
KR101130569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비점오염물 제거장치
JP2009006291A (ja) 油水分離排水システム
KR101130579B1 (ko) 고분자필터와 부직포 섬유필터가 적용된 비점오염물 제거장치
KR100713846B1 (ko) 오염수정화장치
KR101307289B1 (ko) 교량용 여과장치
KR101261597B1 (ko)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설치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CA2559879C (en) System for feeding a liquid fluid through a filter
JPS6223604B2 (ko)
KR200357071Y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20170024624A (ko) 유지 제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오수 정화 장치
KR101459341B1 (ko) 폐수 및 우수처리 시스템
KR102553940B1 (ko) 활성탄을 내장한 수처리시설
JP2011115727A (ja) 油水分離排水システム
JP2005081211A (ja) ドレン清水化用装置における油水分離式オーバフロ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