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652B1 - 집게 - Google Patents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652B1
KR100663652B1 KR1020050034268A KR20050034268A KR100663652B1 KR 100663652 B1 KR100663652 B1 KR 100663652B1 KR 1020050034268 A KR1020050034268 A KR 1020050034268A KR 20050034268 A KR20050034268 A KR 20050034268A KR 100663652 B1 KR100663652 B1 KR 10066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clamping
adherend
hinge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957A (ko
Inventor
김계열
Original Assignee
김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열 filed Critical 김계열
Priority to KR102005003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65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피착물을 벽면 등의 부착면에서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집게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는 피착물을 클램핑하기 위한 협지부와 누름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지부를 힌지부가 형성된 몸체부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한 제1,제2집게부 및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제2집게부의 파지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성적으로 이격됨으로써 협지부에 클램핑력이 발생하는 집게에 있어서, 제1,제2집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지부는 몸체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제2집게부의 파지부를 누르게 되면 상호 접촉된 협지부와 힌지축을 연장하는 가상선에 대해 누름력이 편향되게 작용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피착물을 안정적으로 클램핑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집게{Device for clamping}
도 1은 종래의 집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제1,제2집게부 11,21..몸체부
12,22..협지부 14,24..파지부
30..힌지축 40..탄성부재
본 발명은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지, 전단지, 포스터 등과 같은 피착물을 벽면이나 파티션 등의 부착면에서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단부(1a, 2a)와 누름부(1b, 2b)가 양단에 각각 마련된 제1집게부재(1) 및 제2집게부재(2)와, 이 제1,제2 집게부재(1, 2)가 힌지부(3)를 중심으로 대향함과 동시에 집게단부(1a, 2a)를 내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하도록 하는 스프링(4)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진 종래의 집게는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제2집게부재의 접촉된 집게단부(1a, 2a)와 힌지부(3)를 연결하는 가상선(L)에 대해 양측에서 동시에 힘을 가해야만 집게단부(1a, 1b)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벽면에 어느 하나의 집게부재를 밀착시킨 경우에는 집게단부를 개방하기 위해서 다른 하나의 집게부재에 상당한 힘을 가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벽면이 판넬이나 파티션과 같은 가벽일 경우에는 힘을 가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힘을 가할 경우 가벽이 파손되거나 넘어질 위험이 있었다.
또한, 힌지부(3)로부터 집게단부(1a, 2a)까지의 길이(W1)가 힌지부(3)로부터 누름부(1b, 2b)까지의 길이(W2)보다 짧은 경우에는, 누름력이 발생하게 되면 집게단부가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벽면에 밀착된 집게의 일부분(W1)이 들뜨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나사와 같은 지지부재가 추가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지, 전단지, 포스터 등과 같은 피착물을 벽면과 같은 부착면에서 용이하게 클램핑하도록 한 집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는 피착물을 클램핑하기 위한 협지부와 누름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지부를 힌지부가 형성된 몸체부의 양 단부 에 각각 형성한 제1,제2집게부 및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제2집게부의 파지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성적으로 이격됨으로써 협지부에 클램핑력이 발생하는 집게에 있어서, 제1,제2집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지부는 몸체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집게부 중 다른 하나의 파지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지부에 대해 나란하게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집게부의 협지부는 요홈을 각각 구비하되, 벽면에 밀착되는 어느 하나의 협지부에 마련된 요홈은 다른 하나의 협지부에 마련된 요홈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집게부 중 벽면에 밀착되는 어느 하나의 몸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거나, 연장 형성된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착물을 클램핑하기 위한 협지부와 누름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지부를 힌지부가 중앙에 돌출 형성된 몸체부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한 제1,제2집게부 및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제2집게부의 파지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성적으로 이격됨으로써 협지부에 클램핑력이 발생하는 집게에 있어서, 제1,제2집게부의 각 파지부는 상호 접촉된 협지부와 힌지축을 연장하는 가상선에 대해 누름력이 편향되게 작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그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게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제1,제2집게부(10, 20)와 탄성부재(40)를 구비한다.
제1집게부(10)는 평판상의 몸체부(11)를 중심으로 양단에 협지부(12) 및 파지부(14)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협지부(12)는 폭이 넓을 수록 피착물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으며 파지부(14)는 폭이 좁을 수록 그립이 용이하므로, 도 2와 같이 파지부(14)의 폭을 협지부(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지부(12)는 후술할 제2집게부(20)의 협지부(22)와 면접촉하도록 마련되어 피착물을 클램핑하게 되므로, 이를 위해 협지부(12)는 몸체부(11)로부터 제2집게부(20)의 상면에 단부가 면접촉하도록 벤딩됨과 동시에, 피착물을 확실히 클램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요홈(13)이 단부에 마련된다.
제2집게부(20)는 제1집게부(10)와 마찬가지로 평판상의 몸체부(21)를 중심으로 양단에 협지부(22) 및 파지부(24)를 구비한다. 제2집게부(20)의 협지부(22)는 전술한 제1집게부(10)의 협지부(12)와는 달리 상부의 일측면에 상호 면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제1집게부(10)의 협지부(12)와 피착물을 확실히 클램핑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홈(23)을 일측면에 구비한다. 이때, 제2집게부(20)의 요홈(23)은 제1집게부(10)의 요홈(13)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협지부(12, 22)가 상호 어긋나게 접촉하더라도 클램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제2집게부(10, 20)의 각 파지부(14, 24)에도 그립감이 우수하도록 다수의 요홈(15, 25)이 외면에 각각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제2집게부(10, 20)는 힌지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힌지부는 제1,제2집게부(10, 20)의 내면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결합돌기(16, 26)를 구비하는데, 결합돌기(16, 26)에는 힌지공(17, 27)에 마련되어 있어 힌지축(30)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힌지축(30)에는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제2집게부(10, 20)의 협지부(12, 22)는 면접촉되고 파지부(14, 24)는 이격되도록, 제1,제2집게부(10, 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0)가 결합된다. 탄성부재(40)로는 토션 스프링이 바람직하며, 이 토션 스프링이 견고하게 제1,제2집게부(10, 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제2집게부(10, 20)의 내면에는 슬릿(28)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29는 벽면이나 파티션 등의 부착면에 집게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관통공으로, 고정나사 등을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탄성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파지부(14, 24)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제2집게부(10, 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지부(14, 24)는 몸체부(11, 2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4)가 몸체부(2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호 접촉되어 있는 협지부(12, 22)와 힌지축(30)을 연장하는 가상선(L)에 대해 누름력(P)이 편향되게 작용하기 때문에, 제2집게부(20)의 몸체부(21)를 벽면 등에 밀착시켰을 경우,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 협지부(12, 22)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나아 가, 제2집게부(20)의 파지부(24)가 몸체부(21)에 대해 직각으로 경사지고, 제1집게부(10)의 파지부(14)가 제2집게부(20)의 파지부(24)와 나란하게 이격 형성된 경우에는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두 파지부(14, 24)의 그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협지부(12, 22)의 개방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제2집게부(10, 20')의 어느 하나(20')를 벽면에 고정나사(S)나 접착부재(미도시) 등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협지부(12, 22)가 접촉되도록 토션스프링(40)에 의해 이격 되어 있는 파지부(14, 24)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협지부(12, 22)가 탄성적으로 개방되어 피착물을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집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집게부(20')의 파지부(24)가 벽면에 밀착되는 몸체부(21)에 대해 직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도록 제1집게부(10)의 파지부(14)가 제2집게부(20')의 파지부(24)와 나란하게 몸체부(11)에 대해 직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누름력(P)이 벽면에 대해 거의 수직하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제2집게부(10, 20')를 두 손가락만으로 파지할 수 있어 벽면에 누름력이 가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또한 제1집게부(10)의 파지부(14)만을 누르더라도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 협지부(12, 22)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집게부(20')의 후단에 보조 지지부(21a)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게 되면, 몸체부(22)가 벽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피 착물의 클램핑이 용이해진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게는 제1,제2집게부에 각각 마련되는 파지부가 몸체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 등에 밀착시켜 피착물을 클램핑하고자 할 경우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 실시 가능하다.

Claims (6)

  1. 피착물을 클램핑하기 위한 협지부와 누름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지부를 힌지부가 형성된 몸체부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한 제1,제2집게부 및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제2집게부의 파지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성적으로 이격됨으로써 협지부에 클램핑력이 발생하는 집게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집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지부는 몸체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집게부 중 벽면에 밀착되는 어느 하나의 몸체부에는 연장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집게부 중 다른 하나의 파지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지부에 대해 나란하게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집게부의 협지부는 요홈을 각각 구비하되, 벽면에 밀착되는 어느 하나의 협지부에 마련된 요홈은 다른 하나의 협지부에 마련된 요홈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집게부 중 벽면에 밀착되는 어느 하나의 몸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5. 삭제
  6. 삭제
KR1020050034268A 2005-04-26 2005-04-26 집게 KR10066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68A KR100663652B1 (ko) 2005-04-26 2005-04-26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68A KR100663652B1 (ko) 2005-04-26 2005-04-26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57A KR20060111957A (ko) 2006-10-31
KR100663652B1 true KR100663652B1 (ko) 2007-01-02

Family

ID=3762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268A KR100663652B1 (ko) 2005-04-26 2005-04-26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6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97A (ko) * 2000-08-04 2003-07-10 바이오마이크로 시스템즈, 인크. 마이크로유체의 유동제어를 위한 원격조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97A (ko) * 2000-08-04 2003-07-10 바이오마이크로 시스템즈, 인크. 마이크로유체의 유동제어를 위한 원격조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59797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57A (ko)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9947A (en) Clamp mechanism
MXPA06014156A (es) Dispositivo de empalme y sujecion de fibras opticas.
JP2004501383A (ja) 光ファイバプラグインコネクタ用複式コネクタ
TW200932451A (en) Hinged case for a set of tools, especially flat-handled spanners
JP4220245B2 (ja) ケーブル・ターミネーション・デバイス
KR100663652B1 (ko) 집게
JP4641016B2 (ja) 光端末回線装置
US10035371B2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objects
CN112393096B (zh) 悬吊夹持机构
KR100919726B1 (ko) 독서용 클립
CA261441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 card
JP3547475B2 (ja) 光コネクタの嵌合ピン着脱工具
KR102574251B1 (ko)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JP3130804U (ja) 共用型光コネクタ着脱工具
KR100452395B1 (ko) 연결구조
JP4655067B2 (ja) ケーブル把持構造
JP2005103143A (ja) 洗濯ばさみ
KR200286525Y1 (ko) 집게
KR200246810Y1 (ko) 양쪽 집게
KR20170124698A (ko) 다용도 집게
US20210001455A1 (en) Fiber handling tool with spring loaded doors
KR880001919Y1 (ko) 선풍기의 안전망의 협지장치
JPH0712047Y2 (ja) クリップ
KR101425987B1 (ko) 집게
JPH0218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