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981B1 -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981B1
KR100661981B1 KR1020050043281A KR20050043281A KR100661981B1 KR 100661981 B1 KR100661981 B1 KR 100661981B1 KR 1020050043281 A KR1020050043281 A KR 1020050043281A KR 20050043281 A KR20050043281 A KR 20050043281A KR 100661981 B1 KR100661981 B1 KR 10066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lot
case
protrusi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007A (ko
Inventor
서동민
목영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98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4Protecting cover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20)의 일측면에 요입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24)에는 관통슬롯(26)이 형성되어 케이스(20)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관통슬롯(26)을 통해서는 노브(30)의 스위치연결부(34)가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노브(30)의 차폐판(32)은 상기 관통슬롯(26)을 차폐하는 것이다. 상기 노브(30)의 차폐판(32) 상면에는 노브커버(40)의 돌기이동슬롯(42)을 통해 노출되는 돌기부(36)가 형성된다. 상기 노브커버(40)의 돌기이동슬롯(42)은 상기 차폐판(32)의 폭과 길이보다 짧은 그것들을 가지고, 상기 노브커버(40)의 하면에는 상기 차폐판(32)이 안착되는 차폐판안착홈(43)이 상기 돌기이동슬롯(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에 의하면,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면서 노브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외관구성이 미려해지고, 노브와 케이스 사이의 틈새를 통한 이물질의 틈입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전자기기, 노브, 이물질

Description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Knob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aince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노브설치구조가 채용된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커버와 노브를 보인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케이스 21: 제1케이스
22: 제2케이스 24: 요입홈
26: 관통슬롯 28: 잭
30: 노브 32: 차폐판
34: 스위치연결부 36: 돌기부
40: 노브커버 42: 돌기이동슬롯
43: 차폐판안착홈 44: 잭관통공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를 전자기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버튼, 다이얼, 키이 및 노브 등을 사용한다. 여기서 노브는 그 일측이 전자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전자기기의 외면을 따라 노브가 소정 구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전자기기 내부의 기판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노브가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외관을 케이스(1)가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는 전자기기의 대략 일면을 구성하는 제1케이스(1a)와 반대면을 구성하는 제2케이스(1b)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에는 요홈(3)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요홈(3)에는 관통슬롯(5)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5)은 케이스(1)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요홈(3)의 타측으로는 잭(7)이 노출된다. 상기 잭(7)은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상기 요홈(3)에 안착되게 노브커버(9)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커버(9)는 상기 요홈(3) 전체에 안착된다. 상기 노브커버(9)에는 상기 관통슬롯(5)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과 길이를 가지는 노브이동슬롯(10)이 형성된다. 상기 노브커버(9)의 타측에 는 또한 상기 잭(7)이 위치되는 잭관통공(12)이 형성된다. 상기 노브커버(9)는 상기 요홈(3)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노브(14)는 상기 요홈(3)의 관통슬롯(5)과 상기 노브커버(9)의 노브이동슬롯(10)내에 설치된다. 상기 노브(14)에는 스위치연결부(15)가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연결부(15)는 상기 관통슬롯(5)을 관통하여 케이스(1)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된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실장된 스위치와 연결된다.
상기 노브(14)에는 또한 상기 관통슬롯(5)을 차폐하는 차폐판(17)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판(17)은 상기 노브이동슬롯(10)에 안착되어 상기 노브(14)가 이동되더라도 관통슬롯(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노브(14)에는 상기 차폐판(17)의 중심에 돌기부(19)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9)는 사용자가 노브(14)의 조작을 위한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노브커버(9)를 케이스(1)의 요홈(3)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노브(14)를 상기 노브이동슬롯(10)내에 위치시켜, 스위치연결부(15)가 케이스(1) 내부의 스위치와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노브(14)의 차폐판(17)은 상기 노브이동슬롯(10) 내에 위치되어 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차폐판(17)은 노브(14)의 양단으로 길게 연장된 얇은 판이어서 사용중 변형에 의해 상기 요홈(3)의 표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상기 관 통슬롯(5)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전자기기의 외관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상기 차폐판(17)과 요홈(3)의 표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 상기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관통슬롯(5)을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17)과 요홈(3)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상기 요홈(3)과 차폐판(17)의 사이 등에도 이물질이 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한 노브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브와 케이스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한 노브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고 외면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슬롯이 형성된 요입홈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요입홈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슬롯을 통해 스위치연결부가 내부의 스위치와 연결되고 차폐판이 상기 요입홈을 차폐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돌기부가 구비되는 노브와, 상기 요입홈에 고정되어 위치되고 상기 차폐판의 일부와 상기 돌기부가 노출되는 돌기이동슬롯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이동슬롯과 대응되는 하면에 상기 차폐판이 안착되는 차폐판안착홈이 형성된 노브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슬롯은 상기 노브의 이동행정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삭제
상기 노브의 차폐판은 상기 노브커버의 돌기이동슬롯보다 그 폭과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노브가 그 이동행정의 양단에 있을 때, 그 단부가 상기 돌기이동슬롯의 양단에 해당되는 노브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에 의하면,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면서 노브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외관구성이 미려해지고, 노브와 케이스 사이의 틈새를 통한 이물질의 틈입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커버와 노브가 저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외관을 케이스(2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20)는 대략 전면과 배면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장방형인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20)의 대략 전면을 제1케이스(21)가 형성하고, 배면을 제2케이스(22)가 형성한다. 상기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는 각각 케이스(20)의 양측면과 상하면도 형성한다. 물론, 상기 케이스(20)의 양측면이 나 상면을 별도의 플레이트 등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외면 일측에는 요입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24)은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양측면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20)의 상면에 요입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24)은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24)이 형성되는 부분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가 나누어서 구성하고 있는데, 이와는 달리 제1케이스(21)나 제2케이스(22)에만 상기 요입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홈(24)에는 관통슬롯(26)이 일측에 길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26)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슬롯(26)에 대응되는 케이스(20)의 내부에는 기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실장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관통슬롯(26)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도면부호 28은 잭이다. 상기 잭(28)은 오디오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요입홈(24)의 관통슬롯(26)에는 노브(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브(30)에는 상기 요입홈(24)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슬롯(26)을 차폐하는 차폐판(32)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판(32)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판상의 것이다. 상기 차폐판(32)의 일면에는 스위치연결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연결부(34)는 상기 관통슬롯(26)을 통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위치연결부(34)에는 상기 기판의 스위치가 연결된다.
상기 차폐판(32)에는 돌기부(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36)는 상기 스위치연결부(34)가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돌기부(36)는 사용자가 손으로 노브(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력을 전달받는 부분이다.
상기 요입홈(24)에는 상기 노브(30)가 설치된 상태에서 노브커버(40)가 안착된다. 상기 노브커버(40)는 상기 요입홈(24)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노브커버(40)에는 상기 노브(30)의 돌기부(36)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돌기이동슬롯(42)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이동슬롯(42)은 상기 노브(30)의 돌기부(36)가 이동하는 행정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이동슬롯(42)의 폭은 상기 노브(30)의 돌기부(36)의 일측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이동슬롯(42)은 그 폭과 길이가 상기 차폐판(32)의 그것들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32)이 노브(3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되더라도 차폐판(32)의 단부가 상기 돌기이동슬롯(42)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노브커버(40)의 하면에는 상기 차폐판(32)이 안착되는 차폐판안착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안착홈(43)은 상기 차폐판(32)이 안착될 수 있는 폭과 차폐판(32)이 노브(3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진다.
상기 노브커버(40)에는 상기 돌기이동슬롯(42)이 형성된 반대쪽에 잭관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잭관통공(44)은 상기 요입홈(24)의 잭(28)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노브(30)는 상기 케이스(2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케이스(21,22)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설치된다. 상기 노브(30)는 그 스위치연결부(34)가 상기 관통슬롯(26)을 통해 케이스(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로 삽입된 스위치연결부(34)는 기판의 스위치와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연결부(34)가 스위치와 연결됨에 의해 노브(30)가 이동하면 상기 스위치가 동작된다.
상기 노브(30)의 스위치연결부(34)가 상기 요입홈(24)의 관통슬롯(26)을 통해 내부의 스위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커버(40)가 상기 요입홈(24)에 안착된다. 상기 노브커버(40)는 상기 요입홈(24)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노브커버(40)가 상기 요입홈(24)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노브(30)의 차폐판(32)은 상기 노브커버(40)의 차폐판안착홈(43)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판(32)은 상기 돌기이동슬롯(42)을 통해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실제로 상기 돌기이동슬롯(42)은 상기 차폐판(32)보다 그 폭과 길이가 작아 돌기이동슬롯(42)을 통해서는 상기 차폐판(32)이 일부만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노브(30)는 상기 돌기부(36)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어줌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노브(30)의 돌기부(36)가 상기 돌기이동슬롯(42)내의 특정 위치에 있음으로 해서, 소정의 기능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부(36)가 상기 돌기이동슬롯(42)의 일단부에 있게 되면,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다른 버튼 등이 조작되지 않게 된다. 즉, 홀드(Hold)기능이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36)가 돌기이동슬롯(42)의 타단부에 있게 되면, 홀드기능이 해제된다. 또는 상기 돌기부(36)는 2위치에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2위치 이상에 정지할 수 있도록 되어,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노브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로 된다. 즉, 노브의 차폐판의 일부와 돌기부만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차폐판의 양단이 들뜨는 등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노브와 관련된 외관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노브와 케이스의 사이에 틈새가 최소화된다. 특히, 노브의 차폐판이 노브커버의 하면에 형성된 차폐판안착홈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노브커버와 차폐판 사이의 틈새가 최소화되므로 이들을 통한 이물질의 틈입이 방지되어 이물질로 인한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4)

  1. 외관을 구성하고 외면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슬롯이 형성된 요입홈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요입홈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슬롯을 통해 스위치연결부가 내부의 스위치와 연결되고 차폐판이 상기 요입홈을 차폐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돌기부가 구비되는 노브와,
    상기 요입홈에 고정되어 위치되고 상기 차폐판의 일부와 상기 돌기부가 노출되는 돌기이동슬롯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이동슬롯과 대응되는 하면에 상기 차폐판이 안착되는 차폐판안착홈이 형성된 노브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롯은 상기 노브의 이동행정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차폐판은 상기 노브커버의 돌기이동슬롯보다 그 폭과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노브가 그 이동행정의 양단에 있을 때, 그 단부가 상기 돌기이동슬롯의 양단에 해당되는 노브커버에 의해 차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노브설치구조.
KR1020050043281A 2005-05-23 2005-05-23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KR10066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81A KR100661981B1 (ko) 2005-05-23 2005-05-23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81A KR100661981B1 (ko) 2005-05-23 2005-05-23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007A KR20060121007A (ko) 2006-11-28
KR100661981B1 true KR100661981B1 (ko) 2006-12-28

Family

ID=3770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281A KR100661981B1 (ko) 2005-05-23 2005-05-23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242B1 (ko) * 2022-02-16 2022-09-19 (주)엣진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007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6982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ラッチ装置
US71732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anual operation button
KR100661981B1 (ko)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CN115104383A (zh) 电子控制装置
TW201513152A (zh) 鍵盤及電子機器
US7012205B1 (en) Bezel assembly
JP2007005103A (ja) キートップの押圧スイッチ部への取付方法、及び押圧スイッチ部
WO2020183782A1 (ja) 押釦および電子機器
JP7584146B2 (ja) 押圧スイッチ
JP2604409Y2 (ja) スイッチ装置
US7297886B2 (en) Dustproof structure for an electronic equipment
JP5048549B2 (ja) 電子機器
JPH0419692Y2 (ko)
JP2005340061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KR100652674B1 (ko) 키 연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JPH10154428A (ja) スイッチ取付構造
JP2005259401A (ja) 押下型スイッチ構造
JPH06162871A (ja) 電源スイッチ機構
KR100432750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및 그의 택트스위치 장착구조
WO2018225399A1 (ja) プッシュ式シフト装置
JP5291562B2 (ja) 電子機器
WO2018216069A1 (ja) プッシュ式ボタン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H08195140A (ja) スライドレバーの操作機構
JP2006071361A (ja) 係止構造
JPH10135651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