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783B1 -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783B1
KR100661783B1 KR1019990049702A KR19990049702A KR100661783B1 KR 100661783 B1 KR100661783 B1 KR 100661783B1 KR 1019990049702 A KR1019990049702 A KR 1019990049702A KR 19990049702 A KR19990049702 A KR 19990049702A KR 100661783 B1 KR100661783 B1 KR 10066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fram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386A (ko
Inventor
시오야다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ublication of KR2000003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프레임 (2) 은, 제 1, 제 2 지지 프레임 (14, 15),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및 보조 프레임 (18) 으로 분할된다.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는, 각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에 1 쌍씩 장착된다. 지지 프레임 (14) 의 저면 (14a) 에는, 판형상의 탄성부재 (21) 가 장착되고, 지지 프레임 (14) 의 배면 (14b) 측에 돌출되는 클릭 (20) 을 구비하며, 클릭 (20) 과 지지 프레임 (14) 의 배면 (14b) 의 사이에 커버 (22) 의 하단부 (22a) 를 끼운다. 장치의 조립은, 각 부품 형성후에 실시된다. 먼저, 제 1 지지 프레임 (14) 에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의 일단측 (제 1 설편부 (舌片部;23)) 을 나사 (도시생략) 로 고정한다. 또, 제 2 지지 프레임 (15) 에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의 타단측 (제 2 설편부(24)) 을 나사로 고정한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와 보조 프레임 (18) 을 나사로 고정한다.

Description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AND LIQUID CRYSTAL DISPLAY}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의 면광원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의 면광원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예의 면광원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면광원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예의 면광원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도광판 (導光板) 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응용예를 나타낸 프레임의 부분적 분해사시도이다.
도 9a 와 도 9b 는 1차광원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9a 는 제 1 변형예, 도 9b 는 제 2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종래기술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 도이다.
도 11 은 종래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1 :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 장치 2 : 프레임 (frame)
3 : 반사시트 4, 33 : 도광판
5 : 확산시트 6 : 제 1 프리즘시트
7 : 제 2 프리즘시트 10 : 봉상 광원
11 : 리플렉터 12 : 액정표시패널
13 : 액정표시장치 14 : 제 1 지지 프레임
15, 36 : 제 2 지지 프레임 16a, 16b : 사이드 프레임
17a, 17b :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8 : 보조 프레임
28 : 패널지지부 38 :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
40 : 프레임 장착용 돌기 52, 54 : 점광원
37a, 37b : 사이드 프레임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
본 발명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이들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에 관련하여 개량을 도모한 상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로 조명하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도광판과 그것에 1차광을 공급하는 1차광원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1차광원으로서 봉상 형광램프 (냉음극관) 가 알려져 있다. 1차광원은, 도광판의 입사단면을 따라 배치된다.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이들 도광판, 1차광원 외에, 프리즘시트, 확산시트, 보호시트 등의 시트부재를 포함한다. 이들 모든 부재는, 소정의 프레임에 수용되는 형태로 동일한 프레임에 수용되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가 구성된다.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유닛을 추가하면 액정표시장치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장치의 두께를 크게 하지 않는다는 일반적인 이점을 갖고 있어, 특히, 휴대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휴대용의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박형화 및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액정표시장치, 특히 액정표시패널의 조명에 사용되고 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관하여, 경량화·박형화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종래부터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전형적인 구조를 단면도로 도 10 에 나타냈다. 또, 거기서 사용되고 있는 프레임을 평면도로 도 11 에 나타냈다.
도 10 을 참조하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60) 는, 사각형상의 반사시 트 (62), 도광판 (63), 확산시트 (64), 2 장의 프리즘시트 (65, 66) 및 보호시트 (67)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프레임 (틀체 ; 61) 내에,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수용되어 있다.
도광판 (63) 의 측방에는, 또한, 1차광원으로서 냉음극관 등의 봉상 광원 (68) 이 수용되어 있다.
2 장의 프리즘시트 (65, 66) 는, 도광판 (63) 으로부터 경사지게 우선적으로 출사되는 조명광의 지향성을 수정하여, 정면방향 (도10 에서 상방) 으로 대부분의 조명광이 향하게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각 프리즘시트 (65, 66) 의 프리즘의 형성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 보호시트 (67) 위에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 (70) 을 중첩하여 배치하면, 액정표시장치가 구성된다.
봉상 광원 (68) 이 점등되면, 도광판 (63) 의 측면으로부터 그 내부에 광이 들어간다. 이 광은, 이후, 도광판 (63) 내를 전파하면서, 서서히 도광판 (63) 의 표면 (출사면) 으로부터 출사된다. 이 출사광은, 다시, 확산시트 (64), 프리즘시트 (65, 66) 및 보호시트 (67) 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 (70) 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60) 의 경량화,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다. 프레임 (61) 은, 사출성형으로 얻어지는 일체의 성형물로, 얇고 가늘며, 복잡한 형상으로 펀칭되어 있다. 따라서, 성형시에 필요하게 되는 금형의 제작에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여, 금형의 제작비용이 상승되며, 나아가서는 장치 (60) 자체의 가격의 상승도 초래하게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요구되는 성형체가 얻어지는 금형의 제작자체에 곤란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의 해결책으로서, 외부고정용 장착부가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브래킷을 준비하여, 이것을 도광판의 측면에 양면테이프 등의 점착재료로 고정하는 기술이 이미 제안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96921호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브래킷을 고정하는 점착재료의 부분으로부터 광이 누설되는 새로운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하에서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금형제조에 수반되는 비용상승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량된 프레임을 사용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이를 액정표시패널의 조명에 적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먼저 본 발명은, 프레임내에, 적어도 사각형상의 반사시트, 도광판, 및 프리즘시트를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1차광원을 수용하고,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중첩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 (청구항 1) 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의 프레임은,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과 ;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을 연결고정하는 사이드 프레임과 ;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로 분할될 수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얇은 프레임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할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 프레임의 성형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프레임 성형용의 금형이 소형화되어, 금형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프레임을 도광판에 점착재료로 고정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점착재료의 사용에 의한 광의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프레임과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를 분할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의 크기가 변하여도,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를 공통부품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프레임내에, 적어도 사각형상의 반사시트, 도광판, 및 프리즘시트를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상기 입사단면을 향하여 광을 공급하는 1차광원을 수용하고, 상기 프리즘시트 위에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중첩하여 배치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을 상기 프레임에 장착하여,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 (청구항 2) 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과 ;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을 연결고정하는 사이드 프레임과 ;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로 분할될 수 있는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다.
본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형태와 거의 동일한 장점을 갖고 있다. 즉, 얇은 프레임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할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 프레임의 성형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프레임 성형용의 금형이 소형화되어 금형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프레임을 도광판에 점착재료로 고정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점착재료의 사용에 의한 광의 누설이 방지되어, 밝은 표시가 얻어진다.
또한, 프레임과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를 분할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를 공통부품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적용된 발명의 다른 하나의 형태 (청구항 3) 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과 ;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을 연결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을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으로 분할될 수 있는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 상기 형태 (청구항 1) 가 갖는 이점을 유지하면서, 상기 형태 (청구항 1) 에 비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동일한 형태를 액정표시장치에서 채용할 수도 있다 (청구항 4). 그 경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과 ;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각각 배치하여,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을 연결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을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으로 분할될 수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해, 상술의 형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청구항 2) 가 갖는 이점을 유지하면서, 상기 형태 (청구항 2) 에 비하여 부품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보다 세부적인 사항을 규정한 형태 (청구항 5 ∼ 청구항 8) 도 제공한다.
먼저, 청구항 5 에서는, 사각형상의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1차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프리즘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도광판의 배면을 따라 반사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내로 넣은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대하여, 하기의 규정이 제공된다.
즉, 동일한 면광원장치에 대하여,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을 결착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일단측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입사단면의 반대측의 말단면의 양단부 부근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상기 반사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결착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결착이란, 부재끼리를 나사고정하거나, 한쪽 부재의 탄성부재로 다른 한쪽 부재를 탄성적으로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 청구항 1 의 형태와 동일하게, 프레임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해하여, 프레임을 성형하기 쉽게 하고 있기 때문에, 금형의 제작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저렴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강성이 높은 도광판에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어, 프레임 자체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 에서는, 사각형상의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1차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프리즘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배면을 따라 반사시트를 배치하여,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내로 넣어진 상기 1 차광원의 광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되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하기의 규정이 제공된다.
즉,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을 결착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일단측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입사단면의 반대측의 말단면의 양단부 부근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상기 반사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결착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결착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부재끼리를 나사고정하거나, 한쪽 부재의 탄성부재로 다른 한쪽 부재를 탄성적으로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청구항 2 의 케이스와 동일하게, 프레임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해하여, 프레임을 성형하기 쉽게 하고 있기 때문에, 금형의 제작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저렴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강성이 높은 도광판에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어, 프레임 자체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 에서는, 사각형상의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1차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프리즘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도광판의 배면을 따라 반사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내에 넣은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대하여, 하기의 규정이 제공된다.
즉, 동일한 면광원장치에 대하여,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을 결착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일단측에, 상기 1 차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타단측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이 규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 2 지지 프레임을 도광판에 고정하는 구성 (청구항 5) 에 비교하여, 도광판의 형상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일한 이점이, 청구항 8 이 규정하는 액정표시장치에서도 얻어진다. 즉, 청구항 8 에서는, 사각형상의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1차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프리즘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배치하며, 상기 도광판의 배면을 따라 반사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내에 넣어진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하기의 규정이 제공된다.
즉, 동일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을 결착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일단측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타단측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본 형태의 액정표시장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도광판에 고정하는 청구항 6 에서 규정된 액정표시장치에 비교하여, 도광판의 형상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 도 3 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는,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주요부가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도 2 는 동일한 면광원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 도 3 은 동일한 면광원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 는, 사각형상의 반사시트 (3), 도광판 (4), 확산시트 (5), 제 1 프리즘시트 (6), 제 2 프리즘시트 (7) 및 보호시트 (8)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순서대로 중첩되고 프레임 (틀체 ;2) 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프레임 (2) 의 내부에는, 또한, 봉상 광원 (10) 과 그 일부를 둘러싸는 리플렉터 (11) 가 수용되어 있다. 도광판 (4) 은 쐐기형상의 단면형상을 갖고, 그 두꺼운 측 (도 3 에서 우측) 의 입사단면 (4a) 을 따라 봉상 광원 (10) 이 배치된다.
또한, 도광판 (4) 은 이 입사단면 (4a) 외에, 봉상 광원 (10) 이 배치되지않은 3 개의 단면을 갖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판의 입사단면을 제외하는 3 개 단면 중, 쐐기단면의 얇은 측의 단면을 "말단면",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단면 (본 실시예에서는 4d, 4e) 을 간단히 "측면"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4d, 측면4e) 으로 칭하기로 한다.
제 1 및 제 2 프리즘시트 (6, 7) 의 상면 전체에는, 각각 거의 삼각형상의 돌기 (6a, 7a) 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돌기 (6a) 는 봉상 광원 (10) 과 거의 평행으로 신장되는 한편, 돌기 (7a) 는 봉상 광원 (10) 과 거의 직교하도록 신장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조명광은 도광판 (4) 으로부터 경사지게 우선적으로 출사된다. 프리즘시트 (6, 7) 는 이 지향성을 수정하여, 정면방향 (도 3 중 상방) 으로 대부분의 조명광이 향하도록 한다.
도광판 (4) 의 출사면 (상면 ;4b) 과 반대의 내면 (하면;4c) 의 어느 하나의 일방 또는 양방에는 주름 내지 요철면이 적당히 형성되고, 이로써 출사면 (4b) 으로부터 균일한 출사강도가 얻어지도록 연구되고 있다.
보호시트 (8) 의 상면측에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 (12) 이 배치되어, 액정표시장치 (13) 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참조).
봉상 광원 (10) 이 점등되면, 도광판 (4) 의 입사단면 (4a) 으로부터 광이 들어간다. 이 광은, 이후, 도광판 (4) 내를 전파하면서, 서서히 출사면 (4b) 으로부터 출사된다. 이 출사광은, 또한, 확산시트 (5), 프리즘시트 (6, 7) 및 보호시트 (8) 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 (12) 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2) 은, 하나의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고, 제 1 지지 프레임 (14), 제 2 지지 프레임 (15),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및 보조 프레임 (18) 의 각 부품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1 참조). 그리고, 장치의 조립은, 이들 부품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준비한 후에 실시된다 (도 2, 도 3 참조).
또한,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는, 각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에 1쌍씩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지지 프레임 (14) 은, 도 1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L" 자가 거꾸로 된 형상의 단면을 갖고, 반사시트 (3), 도광판 (4), 확산시트 (5), 제 1, 제 2 프리즘시트 (6, 7) 및 보호시트 (8) 의 일단측을 지지한다. 또한, 봉상광원 (10) 및 리플렉터 (11) 도 이 지지 프레임 (14) 으로 지지된다.
지지 프레임 (14) 의 저면 (14a) 에는, 판형상의 탄성부재 (21) 가 장착되어 있다. 탄성부재 (21) 는, 지지 프레임 (14) 의 배면 (14b) 측에 돌출하는 클릭 (20) 을 구비하여, 클릭 (20) 과 지지 프레임 (14) 의 배면 (14b) 사이에 커버 (22) 의 하단부 (22a) 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 (22) 는, 클릭 (20) 의 탄성력으로 지지 프레임 (14) 에 고정되 도록 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 (14) 으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연구되어 있다.
또, 커버 (22) 는, 지지 프레임 (14) 에 장착됨으로써, 지지 프레임 (14) 과 함께 거의 "コ" 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고, 보호시트 (8) 의 일단측의 상면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지지 프레임 (15) 은, 제 1 지지 프레임 (14) 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반사시트 (3), 도광판 (4), 확산시트 (5), 제 1, 제 2 프리즘시트 (6, 7) 및 보호시트 (8) 의 타단측을 지지한다. 이 제 2 지지 프레임 (15) 의 양단부의 상부에는 설편부 (舌片部; 15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은, 대향하는 측면 (4d, 4e) 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판형상부재이다. 그리고, 그 일단측에 제 1 지지 프레임 (14) 의 고정부 (14c) 에 나사고정되는 제 1 설편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타단측의 상부에는, 제 2 지지 프레임 (15) 의 설편부 (15a) 에 나사고정되는 제 2 설편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의 배면에는,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를 고정하기 위한 설편형상 돌기 (25) 가 각각 4 개 형성되어 있다.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는,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의 설편형상 돌기 (25) 에 나사고정되는 베이스부 (26) 와, 이 베이스부 (26) 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 (27) 와, 이 측벽부 (27) 의 상부에 형성되어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 (12) 을 위치결정·지지하는 패널지지부 (28)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패널지지부 (28) 에는, 액정표시패널 (12) 의 코너에 걸어맞추는 돌기 (30) 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프레임 (18) 은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와 함께 설편형상 돌기 (25) 에 나사 (도시생략) 로 고정되어, 프레임 (2) 의 기계적인 강도를 보강한다.
이상과 같이 분할된 프레임 (2) 의 각 부품의 장착은,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1) 제 1 지지 프레임 (14) 에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의 일단측 (제 1 설편부 (23)) 을 나사 (도시생략) 로 고정한다.
(2) 또, 제 2 지지 프레임 (15) 에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의 타단측 ( 제 2 설편부 (24)) 을 나사 (도시생략) 로 고정한다.
(3)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와 보조 프레임 (18) 을 나사 (도시생략) 로 고정한다.
또한, 프레임 (2) 의 각 부품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단, 특히 높은 기계적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프레임 (2) 의 부품을 적당히 금속재료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 (2) 이 제 1 지지 프레임 (14), 제 2 지지 프레임 (15),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16a, 16b) 및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의 각 부품으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각 부품을 각각 별도로 성형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부품의 성형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각 부품을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금형의 제작이 용이해진 것은 금형의 제작비용을 저감시켜, 프레임 (2) 의 제작비용도 저감된다. 이로써, 이 프레임 (2) 을 사용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 및 동일한 면광원장치 (1) 를 형성한 액정표시장치 (13) 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가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으로부터 분할된 구성이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 에도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예에는,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를 공통부품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프레임 (2) 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해하여, 각 부품을 제작하기 쉽게 하고 있어, 얇은 부품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레임 (2) 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소형화·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와 사이드 프레임 (16a, 16b) 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 (17a, 17b) 와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 그 경우, 프레임 (2) 의 부품 수를 적게 할 수 있지만, 부품을 공통부품화할 수 없게 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또, 본 실시예는, 보조 프레임 (18) 을 사용하는 태양을 나타냈는데, 프레임 (2) 의 다른 부품으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보조 프레임 (18) 을 생략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도 4 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주요부가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또, 도 5 에는, 동일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프레임이 평면도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 6 은 동일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은 동일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도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고 있는 모든 부재 중,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달아 그 중복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31) 는, 사각형상의 반사시트 (3), 도광판 (33) 및 시트묶음 (34) 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시트묶음 (34) 은, 확산시트 (5), 제 1 프리즘시트 (6), 제 2 프리즘시트 (7) 및 보호시트 (8) 를 순차적으로 중첩한 것이다 (도 6 참조). 이들은 순서대로 중첩하여 프레임 (틀체;32) 에 수용되어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 (32) 의 내부에는, 또한, 봉상 광원 (1차광원;10) 과 그 일부를 둘러싸는 리플렉터 (11) 가 수용되어 있다. 도광판 (33) 은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쐐기형상의 단면형상을 갖고, 그 두꺼운 측 (도 6 에서 우측) 의 입사단면 (33a) 을 따라 봉상 광원 (10) 이 배치된다.
또한, 도광판 (33), 시트묶음 (34) 의 구성부재 (프리즘시트 (6,7), 보호시 트 (8)) 의 기능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와 다르지않으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또, 시트묶음 (34) 의 외측에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 (12) 이 배치되어, 액정표시장치 (13) 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6 참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31) 에 의해 액정표시패널 (12) 이 조명되는 태양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32) 도 하나의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고, 제 1 지지 프레임 (14), 제 2 지지 프레임 (36),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37a, 37b) 의 각 부품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4 참조).
이들 각 부품이 각각 따로따로 형성된 후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도 6 참조). 장치의 조립은, 이들 부품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준비한 후에 실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이드 프레임 (37a, 37b) 및 제 2 지지 프레임 (36) 이 도광판 (33) 에 직접 고정된다. 그리고, 이 도광판 (33) 에 고정된 사이드 프레임 (37a, 37b) 에 대하여 제 1 지지 프레임 (14) 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 (33) 은, 통상, 아크릴수지와 같은 비교적 강성이 큰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31) 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는 가장 강성이 큰 부품이라고 해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 구성 부품 (36, 37a, 37b) 을 도광판 (33) 에 대하여 직접 고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도광판 (33) 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단면 (33a) 에 대향하는 말단면 (33b) 의 양단부 부근에, 제 2 지지 프레임 (36) 을 고정하기 위한 설편형상 의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 (38)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도광판 (33) 의 2 개의 측면 (33c) 에는, 사이드 프레임 (37a, 37b) 을 장착하기 위한 판형상의 프레임 장착용 돌기 (4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 장착용 돌기 (40) 는, 도광판 (33) 의 출사면 (33a) 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지지 프레임 (36) 은, 반사시트 (3) 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부 (41) 와, 도광판 (33) 의 각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 (38)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프레임 장착부 (42) 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프레임 (37a, 37b) 은, 도광판 (33) 의 프레임 장착용 돌기 (40) 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43) 와, 도광판 (33) 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측벽부 (44)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측벽부 (44) 의 상면에 액정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 (12) 을 지지하는 패널지지부 (45)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패널지지부 (45) 에는, 액정표시패널 (12) 의 네 구석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 돌기 (46)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 (14, 36) 및 사이드 프레임 (37a, 37b) 등의 각 부품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단, 특히 높은 기계적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적당히 금속재료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분할된 프레임 (32) 의 각 부품은, 다음과 같이 장착될 수 있다.
(1) 도광판 (33) 의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 (38) 에 제 2 지지 프레임 (36) 의 프레임 장착부 (42) 를 나사 (47) 로 고정한다.
(2) 도광판 (33) 의 프레임 장착용 돌기 (40) 에, 사이드 프레임 (37a, 37b) 의 베이스부 (43) 를 나사 (48) 로 고정한다.
(3) 사이드 프레임 (37a, 37b) 의 측벽부 (44) 의 일단측 (44a) 에 제 1 지지 프레임 (14) 의 고정부 (14c) 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나사로 고정한다. 이로써,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레임 (32) 이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프레임 (32) 이 제 1 지지 프레임 (14), 제 2 지지 프레임 (36),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37a, 37b) 의 각 부품으로 분할되어 있어, 이들 각 부품을 각각 따로따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 부품 및 각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이 용이해져, 그 제작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동일한 장치를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저렴해질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31) 의 구성부품 중에서 가장 강성이 큰 도광판 (33) 에 사이드 프레임 (37a, 37b) 및 제 2 지지 프레임 (36) 을 고정하고, 그 고정된 사이드 프레임 (37a, 37b) 에 제 1 지지 프레임 (14) 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32) 의 각 부품끼리를 각각 고정하는 제 1 실시예보다도 프레임 (32) 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프레임 (32) 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해하여, 각 부품을 제작하기 쉽게 하고 있어, 얇은 부품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 (32) 의 소형화·경량화가 용이해져, 나아가서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 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소형화·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지지 프레임 (36) 을 도광판 (33) 에 고정하는 태양을 나타냈는데,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태양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이드 프레임 (37a) 의 단부에 설편형상의 제 1 고정부 (50) 를 형성하고, 제 2 지지 프레임 (36) 의 양단부에 설편형상의 제 2 고정부 (51) 를 형성하며, 이들 제 1 고정부 (50) 와 제 2 고정부 (51) 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나사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 (16a, 16b 의 일방 또는 37a, 37b 의 일방) 과, 제 1 지지 프레임 (14) 을 스프링 등으로 탄성적으로 고정하고, 양자의 상대이동을 가능하게 하면, 도광판 (4 또는 33) 의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사이드 프레임 (16a, 16b 또는 37a, 38b) 과 제 2 지지 프레임 (15 또는 36) 을 도광판 (4 또는 33) 에 밀접시켜도 무리가 생기지 않아, 광의 누설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광누설의 방지가, 봉상 광원 (10) 의 광의 유효작용을 초래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도광판에 1차광을 공급하는 1차광원으로서, 냉음극관 등의 봉상 광원 (10) 이 채용되고 있는데, 다른 타입의 1차광원이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등의 점광원 (52) 을 복수 배열하여, 이들 복수의 점광원 (52) 을 봉상 광원 (10)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상 도광부재 (53) 의 측단 (53a) 측에 발광다이오드 등의 점광원 (54) 을 배치하여, 이 점광원 (54) 으로부터 출사된 광 (55) 이 도광부재 (53) 내를 전파한 후에 도광부재표면 (53b) 으로부터 출사되도록 한 것을 채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점광원 (54) 으로부터의 광을 선광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프레임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할하여, 각 부품을 각각 성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얇은 프레임 전체를 일체성형하는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프레임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 프레임 제작용의 금형도 각 부품에 대응시켜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자체의 제작도 용이해져, 금형제작비용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소형화·경량화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격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부품을 점착재료로 도광판에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점착재료의 사용에 의한 광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프레임내에, 적어도 사각형상의 반사시트, 도광판, 및 프리즘시트를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1차광원을 수용하고,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중첩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을 연결고정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로 분할될 수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프레임내에, 적어도 사각형상의 반사시트, 도광판, 및 프리즘시트를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상기 입사단면을 향하여 광을 공급하는 1차광원을 수용하고,
    상기 프리즘시트 위에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중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을 상기 프레임에 장착하여,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을 연결고정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부재로 분할될 수 있는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프레임내에, 적어도 사각형상의 반사시트, 도광판, 및 프리즘시트를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으로 상기 입사단면을 향하여 광을 공급하는 1차광원을 수용하고,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중첩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을 연결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을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으로 분할될 수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프레임내에, 적어도 사각형상의 반사시트, 도광판, 및 프리즘시트를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으로 상기 입사단면을 향하여 광을 공급하는 1차광원을 수용하고,
    상기 프리즘시트 위에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중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을 상기 프레임에 장착하여,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을 연결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을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으로 분할될 수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사각형상의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으로 1차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프리즘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도광판의 배면을 따라 반사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내로 넣은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서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을 결착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일단측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입사단면의 반대측의 말단면의 양단부 부근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상기 반사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결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사각형상의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으로 1차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프리즘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배면을 따라 반사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내로 넣어진 상기 1 차광원의 광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서의 상기 입사단면에 인접하는 각 측면에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을 결착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일단측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입사단면의 반대측의 말단면의 양단부 부근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상기 반사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결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사각형상의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으로 1차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프리즘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도광판의 배면을 따라 반사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내에 넣어진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서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을 결착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일단측에, 상기 1 차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타단측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사각형상의 도광판의 입사단면의 측방에 1차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프리즘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배면을 따라 반사시트를 배치하며,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내에 넣어진 상기 1차광원의 광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시트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시트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유닛의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서의 상기 입사단면과 인접하는 각 측면에, 프레임 장착용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장착용 돌기에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을 결착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일단측에, 상기 1차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 장착용 프레임의 타단측에, 상기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프리즘시트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049702A 1998-11-12 1999-11-10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100661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847898A JP3812788B2 (ja) 1998-11-12 1998-11-12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98-338478 1998-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386A KR20000035386A (ko) 2000-06-26
KR100661783B1 true KR100661783B1 (ko) 2006-12-28

Family

ID=1831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702A KR100661783B1 (ko) 1998-11-12 1999-11-10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12788B2 (ko)
KR (1) KR100661783B1 (ko)
TW (1) TW507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1958B2 (ja) * 2000-09-28 2009-08-26 山本光学株式会社 サイドライト式導光板
JP3897277B2 (ja) * 2001-04-02 2007-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キャピラリアレイ及びキャピラリアレイ光検出装置
US20060055839A1 (en) * 2002-03-28 2006-03-16 Kenji Hira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72838B1 (ko) * 2003-09-30 2010-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0798384B1 (ko) * 2005-11-01 2008-01-28 (주)코이즈 백라이트
KR101039738B1 (ko) 2010-07-16 201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도광판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JP2013122572A (ja) * 2011-11-08 2013-06-20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KR102145820B1 (ko) 2014-04-23 2020-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950737A (zh) * 2017-04-05 2017-07-14 惠科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
DE102018205541A1 (de) * 2018-04-12 2019-10-17 Robert Bosch Gmbh Anzeigevorrichtung
CN108563073B (zh) * 2018-05-28 2024-04-26 江苏聚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限位组件的阶梯状背光模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994A (ko) * 1996-05-02 1997-12-10 사토 켄이치로 발광면을 갖는 조명장치
KR19980070416A (ko) * 1997-01-20 1998-10-26 히로산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994A (ko) * 1996-05-02 1997-12-10 사토 켄이치로 발광면을 갖는 조명장치
KR19980070416A (ko) * 1997-01-20 1998-10-26 히로산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12788B2 (ja) 2006-08-23
KR20000035386A (ko) 2000-06-26
TW507092B (en) 2002-10-21
JP2000147497A (ja) 200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8923B2 (ja) 表示装置
US735901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692134B2 (en) Surface-emitting device precisely positioned in the front of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urface-emitting device
US2003021870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30077977A (ko) 면상 광원장치 및 면상 광원장치의 제조방법
KR100661783B1 (ko)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US8382356B2 (en) Backlight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061885B2 (en) Planar illumination device
WO2010016322A1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20010090546A (ko)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2133935A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0029801A1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7463316B2 (en) Backlight module with light source reflector having wider top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ame
JP4780216B2 (ja) 面光源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2007010194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20060227261A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4623613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面光源装置
JP4049235B2 (ja) 面光源装置及び該面光源装置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CN116125703A (zh) 显示装置、背光模块以及背光模块的组装方法
JP2018045197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4438539B2 (ja) 表示装置および面状光源装置
JP2009282435A (ja) 表示装置
JP2001075490A (ja) 液晶パネル用ホルダ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07239419A (ja) 照明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972423B2 (ja) 照明部材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