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817B1 -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817B1
KR100660817B1 KR1020060019067A KR20060019067A KR100660817B1 KR 100660817 B1 KR100660817 B1 KR 100660817B1 KR 1020060019067 A KR1020060019067 A KR 1020060019067A KR 20060019067 A KR20060019067 A KR 20060019067A KR 100660817 B1 KR100660817 B1 KR 10066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olded article
cable
cable connection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수범
Original Assignee
허수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수범 filed Critical 허수범
Priority to KR102006001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53Producing 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29C57/02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29C61/025Thermal shrinking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3EVA, i.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rosslinked or vulcan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장비와 통신케이블, 또는 전자장비와 전선케이블의 연결시 연결부분에 방수, 방전, 방전파등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봉성형품의 주재료 혼합조성물을 배합하여 혼합조성물을 만들고, 상기 배합된 혼합조성물을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형상을 갖는 1차 성형몰드에 넣고 사출성형하여 1차 밀봉성형품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에서 형성된 1차 밀봉성형품을 항온조에서 2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0분간 열처리한 후, 상기 1차 밀봉성형품을 확관시키기 위해 가열된 확관용 2차 금형물을 상기 열처리 된 1차 밀봉성형품 내부로 강제력으로 넣어 확관한 후 냉각시켜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봉성형품의 주재료로 염화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70중량%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Acetate) 30중량%를 배합한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로 삼산화안티몬 10중량부, 가교개시제로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0.2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중량부를 80℃ ~ 95℃ 온도로 배합기에서 혼합한 후 165℃의 가압프레스에서 5분간 가교시켜 혼합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이다.
케이블, 가교도, 밀봉성형품

Description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mold-product for seal up link section of cable}
도 1은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선케이블의 연결시 연결부분에 방수, 방전, 방전파등의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한 밀봉을 위해 적용되는 밀봉성형품에 의한 케이블 연결부의 밀봉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확관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실시예 1의 1차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b는 실시예 1의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c는 실시예 1의 도 4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4b의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5a는 실시예 2의 1차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b는 실시예 2의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c는 실시예 2의 도 5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5b의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6a는 실시예 3의 1차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b는 실시예 3의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c는 실시예 3의 도 6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6b의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7a는 실시예 4의 1차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b는 실시예 4의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c는 실시예 4의 도 7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7b의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8a는 실시예 5의 1차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b는 실시예 5의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c는 실시예 5의 도 8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8b의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9a는 실시예 6의 1차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b는 실시예 6의 밀봉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c는 실시예 6의 도 9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9b의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 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장비와 통신케이블, 또는 전자장비와 전선케이블의 연결시 연결부분에 방수, 방전, 방전파등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종래기술의 통신케이블 및 전선케이블의 연결시에는 나동선(裸銅線)에 합성수지 절연 테이프를 감아피복하거나 또는 나동선에 합성수지를 피복한 위에 절연테이프를 감아 피복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통신케이블 또는 전선케이블을 케이블의 터미널 부근에서 통신장비 또는 전자장비를 사용하기 위해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컨넥터 및 어뎁터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 그 지선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주케이블에 연결된 컨넥터 및 어뎁터의 연결 및 탈거, 또는 케이블의 컨넥터 및 어뎁터에 통신장비 또는 전자장비를 결합 또는 탈거하는 경우가 반복되는 단순 절연 테이프로 인한 피복밀봉은 쉽게 박리 및 밀봉이 해제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매우 정밀한 통신장비 및 전자장비에 치명적인 오류발생 및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곤란함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10-2004-0100019호의 공개공보에는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 연결부의 밀봉방법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에 따르면, 1차성형의 과정이 일반적은 사출방법으로 사출되고, 사출된 성형품을 열처리 확관작업후 냉각하여 열수축시키고 이어서 밀봉작업 사용시에 열풍건을 조사하여 재수축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공지 방법은 1차 성형의 과정이 단순히 케이블연결부 트의 형상으로 사출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되므로 가열 확관 작업후 밀봉 부트로 사용시 열수축 형상기억 상태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 발생하며, 가열 확관 작업시에 형상이 변형되거나 부트가 찢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다수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통신 및 전선 케이블에 있어서,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컨넥터 및 어뎁터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 메인케이블 도선 전체, 또는 일부 도선을 분리하여 연결하는 경우, 연결부위를 방수 밀봉할 수 있는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의 제조시 밀봉성형품의 가열 확관 작업시에 형상이 변형되거나 부트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 성형하여 사출하게 되는 수지의 배합시 폴리머를 가교시켜 분자간의 밀도를 높여 열변형을 가하더라도 성형품의 파손이나 밀착 성형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다수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통신 및 전선 케이블에 있어서, 방수 및 밀봉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컨넥터 및 어뎁터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으로 메인케이블 도선 전체, 또는 일부 도선을 분리하여 방수 밀봉연결하는 밀봉 성형품의 제조시 사용재료인 폴리머를 가교시켜 분자간의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교도를 높여서 밀봉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다수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통신 및 전선 케이블에 있어서, 방수 및 밀봉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컨넥터 및 어뎁터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으로 메인케이블 도선 전체, 또는 일부 도선을 분리하여 방수 밀봉연결하는 밀봉 성형품의 제조시 사용재료인 폴리머를 가교시켜 분자간의 밀도를 높여서, 밀봉성형품을 사용시 열풍 건으로 재수축하여 수축시 수축률이 높아 밀봉 밀착도가 높은 밀봉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다수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통신 및 전선 케이블에 있어서, 방수 및 밀봉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컨넥터 및 어답터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과 능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밀봉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밀봉성형품의 주재료 혼합조성물을 배합하여 혼합조성물을 만들고, 상기 배합된 혼합조성물을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형상을 갖는 1차 성형몰드에 넣고 사출성형하여 1차 밀봉성형품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에서 형성된 1차 밀봉성형품을 항온조에서 2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0분간 열처리한 후, 상기 1차 밀봉성형품을 확관시키기 위해 가열된 확관용 2차 금형물을 상기 열처리 된 1차 밀봉성형품 내부로 강제력으로 넣어 확관한 후 냉각시켜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케이블 연결부 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봉성형품의 주재료로 염화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70중량%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Acetate) 30중량%를 배합한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로 삼산화안티몬 10중량부, 가교개시제로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0.2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중량부를 80℃ ~ 95℃ 온도로 배합기에서 혼합한 후 165℃의 가압프레스에서 5분간 가교시켜 혼합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참조도면과 구현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선케이블의 연결시 연결부분에 방수, 방전, 방전파등의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한 밀봉을 위해 적용되는 밀봉성형품에 의한 케이블 연결부의 밀봉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밀봉성형품의 주재료는 염화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70중량%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Acetate) 30중량%를 배합한다. 상기 배합된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로 삼산화안티몬 10중량부, 가교개시제로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0.2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에서 난연제로 사용하는 삼산화안티몬(SB2O3, AntimonyTrioxide)은 본 발명에서 난연제로 사용되어 주재료를 배합시 및 확관작업시 및 열풍건으로 밀봉성형품을 수축시키는 경우 주재료의 밀봉성형품의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에서 가교개시제로 사용되는 디큐밀퍼옥사이드(라디칼발생제)는 본 발명의 밀봉성형품의 주재료 혼합조성물을 염화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70중량%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Acetate) 30중량%를 혼합배합한 배합물에 화학 가교제인 퍼옥사이드(peroxide)를 가교개시제로 소량 사용하여 비닐계 및 에틸렌계로 가수분해 가능하게 한다. 가수분해 반응은 염화폴리에틸렌과 에틸렌초산비닐의 두분자가 수분존재하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며 물로부터 제공되는 산소로 인해 가교결합이 생성된다. 즉 다발형 구조(Bunch-like structure)를 가지며, 가황고무와 같이 망상구조를 이루어 우수한 기계적 물성치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로는 송원산업사(Ciba-geigy)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Iganox 1010(상품명)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조성비의 조성물을 80 ~ 95℃의 온도로 배합기에서 혼합한 후 165℃의 가압프레스에서 5분간 가교시켜 밀봉성형하기 위한 혼합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배합된 혼합조성물을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형상을 갖는 1차 성형몰드에 넣고 180℃에서 공기압력을 주면서 약 3분내지 7분간 사출성형하여 1차 밀봉성형품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사출성형시 공기 압력은 130㎏/㎠으로 유지시킨다. 상기에서 1차 밀봉성형품의 형상은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자장비 연결 컨넥터 및 어뎁터의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1차 밀봉성형품의 구조는 주름형 1구(口) 1지(指), 일반형 1구 1지, 1구 2지, 1구 3지, 1구 4지, L자형 1구 1지, T자형 1구 1지, T자형 1구 2지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합한 결합형태이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에서 형성된 1차 밀봉성형품을 항온조에서 200℃의 온도를 유지하는 오븐에 넣어 약 10분간 열처리한 후 상기 1차 밀봉성형품을 확관시키기 위해 가열된 확관용 2차 금형물을 상기 열처리 된 1차 밀봉성형품 내부로 강제력으로 넣어 확관한후 냉각시켜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형성한다. 도 3은 상기 확관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밀봉성형품을 제조하는 경우, 종래의 40% 가교도를 갖는 1차 성형품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밀봉성형품의 1차 성형시 가교도를 65% ~ 75%로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1차 성형품의 가교도가 75%이상이면 200℃의 온도로 확관가공작업후 실온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다시 원형의 1차성형품에 가까운 형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한, 1차성형품의 가교도가 65%미만이면 확관가공작업된 밀봉성형품을 전선케이블의 연결부위에 결합후 열풍 건조하여 밀봉결합하기 위해 수축시키는 경우 수축률 및 수축력이 원활 하지 못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된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을 다음 실시예와 같이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상기 밀봉성형품의 주재료로 염화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70중량%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Acetate) 30중량%를 배합한 배합물 100g에 대해 난연제로 삼산화안티몬 10g, 가교개시제로 디큐밀펄옥사이이드(Dicumylperoxide) 0.2g 및 산화방지제로 송원산업사(Ciba-geigy)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Iganox 1010(상품명)를 0.2g를 80 ~ 95℃의 온도로 배합기에서 혼합한 후 165℃의 가압프레스에서 5분간 가교시켜 혼합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 배합된 혼합물을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형상을 갖는 성형몰드에 180℃에서 일정압력(130㎏/㎠)으로 삽입하여 5분간 사출성형하여 도 4a에 나타난 ㄱ자형 1구 1지의 1차 밀봉성형품을 형성하였다. 상기의 도 4a의 1차 밀봉성형품을 항온조에서 200℃의 온도를 유지하여 약 10분간 열처리한 후 상기 1차 밀봉성형품을 확관시키기 위해 가열된 확관용 2차 금형물을 상기 열처리 된 1차 밀봉성형품 내부로 강제력으로 넣어 확관하여 냉각시켜 도 4b에 나타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도 3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3b의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을 도 4c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도 5a에 나타난 일반형 1구 1지 형상의 1차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과, 도 5b에 나타난 형상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도 5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5b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을 도 5c에 나타냈다..
실시예 3
도 6a에 나타난 일반형 1구 1지 형상의 1차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과, 도 6b에 나타난 형상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도 6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6b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을 도 6c에 나타냈다..
실시예 4
도 7a에 나타난 일반형 1구 1지 형상의 1차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과, 도 7b에 나타난 형상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도 7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7b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을 도 7c에 나타냈다..
실시예 5
도 8a에 나타난 일반형 1구 1지 형상의 1차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과, 도 8b에 나타난 형상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도 8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8b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을 도 8c에 나타냈다.
실시예 6
도 9a에 나타난 일반형 1구 1지 형상의 1차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과, 도 9b에 나타난 형상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도 9a의 1차 밀봉성형품과 도 9b의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비교하는 사진을 도 9c에 나타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컨넥터 및 어뎁터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 메인케이블 도선 전체, 또는 일부 도선을 분리하여 연결하는 경우, 연결부위를 방수 밀봉할 수 있는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에 있어서, 연결부위를 방수 밀봉할 수 있는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의 제조시 밀봉성형품의 가열 확관 작업시에 형상이 변형되거나 부트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 성형하여 사출하게 되는 수지의 배합시 폴리머를 가교시켜 분자간의 밀도를 높여 열변형을 가하더라도 성형품의 파손이나 밀착 성형상태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통신 및 전선 케이블에 있어서, 방수 및 밀봉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컨넥터 및 어뎁터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으로 메인케이블 도선 전체, 또는 일부 도선을 분리하여 방수 밀봉연결하는 밀봉 성형품의 제조시 사용재료인 폴리머를 가교시켜 분자간의 밀도를 높여서, 밀봉성형품을 사용시 열풍건으로 재수축하여 수축시 수축률이 높아 밀봉 밀착도가 높은 밀봉성형품을 제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밀봉성형품의 주재료 혼합조성물을 배합하여 혼합조성물을 만들고, 상기 배합된 혼합조성물을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형상을 갖는 1차 성형몰드에 넣고 사출성형하여 1차 밀봉성형품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에서 형성된 1차 밀봉성형품을 항온조에서 2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0분간 열처리한 후, 상기 1차 밀봉성형품을 확관시키기 위해 가열된 확관용 2차 금형물을 상기 열처리 된 1차 밀봉성형품 내부로 강제력으로 넣어 확관한후 냉각시켜 열수축 형상기억 밀봉성형품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봉성형품의 주재료로 염화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70중량%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Acetate) 30중량%를 배합한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로 삼산화안티몬 10중량부, 가교개시제로 디큐밀펄옥사이이드(Dicumylperoxide) 0.2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중량부를 80 ~ 95℃의 온도로 배합기에서 혼합한 후 165℃의 가압프레스에서 5분간 가교시켜 혼합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밀봉성형품의 주재료 혼합조성물의 가교도가 65% ~ 7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0060019067A 2006-02-28 2006-02-28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066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067A KR100660817B1 (ko) 2006-02-28 2006-02-28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067A KR100660817B1 (ko) 2006-02-28 2006-02-28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0817B1 true KR100660817B1 (ko) 2006-12-26

Family

ID=3781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067A KR100660817B1 (ko) 2006-02-28 2006-02-28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2348A (zh) * 2019-06-18 2020-12-18 无锡市新达电缆配件有限公司 一种电缆封帽全自动扩张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146A (ko) * 1998-01-22 1999-08-16 권문구 용매팽윤을 이용한 수축튜브의 제조방법
JPH11348118A (ja) 1998-06-08 1999-12-21 Fujikura Ltd 熱収縮pvc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2003028351A (ja) 2001-07-13 2003-01-29 Gunze Kobunshi Corp 管又はパイプの接続方法
KR20040100019A (ko) * 2003-05-21 2004-12-02 연합정밀주식회사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제조방법 및 케이블 연결부의 밀봉방법
KR20050116054A (ko) * 2004-06-04 2005-12-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146A (ko) * 1998-01-22 1999-08-16 권문구 용매팽윤을 이용한 수축튜브의 제조방법
JPH11348118A (ja) 1998-06-08 1999-12-21 Fujikura Ltd 熱収縮pvc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2003028351A (ja) 2001-07-13 2003-01-29 Gunze Kobunshi Corp 管又はパイプの接続方法
KR20040100019A (ko) * 2003-05-21 2004-12-02 연합정밀주식회사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제조방법 및 케이블 연결부의 밀봉방법
KR20050116054A (ko) * 2004-06-04 2005-12-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2348A (zh) * 2019-06-18 2020-12-18 无锡市新达电缆配件有限公司 一种电缆封帽全自动扩张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7574A (en) Sealing article
CN104205248B (zh) 耐热阻燃绝缘电线
US3096210A (en) Insulated conductors and method of making same
BR112014017195B1 (pt) Composição termoplástica reticulável semicondutora livre de peróxido, processo para preparar um artigo termoplástico semicondutor reticulado, processo em-linha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reticulável e grânulo
US7208682B2 (en) Electrical cable with foamed semiconductive insulation shield
CN111051398A (zh) 乙烯-乙酸乙烯酯的反应性混炼
CN104231413A (zh) 低回缩型一步法硅烷交联聚乙烯绝缘料
KR100660817B1 (ko)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밀봉성형품의 제조방법
JP2017531899A (ja) 架橋層を含む電気装置
KR101824309B1 (ko) 절연된 전기 고전압 dc 터미네이션 또는 조인트의 제조 방법
CN1261716A (zh) 辐射交联低烟无卤阻燃热收缩电力电缆附件
BR112020020675A2 (pt) Composições de poliolefina espumadas para revestimento de fio e cabo
JPWO2004025679A1 (ja) コード状温度ヒューズと面状温度ヒューズ
CN107955337B (zh) 一种射频线pe护套
JPH09284977A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用エンクロージャ
CN104877228A (zh) 一种家电用抗污自洁无卤阻燃绝缘料及其制备方法
Hoffman Insulation enhancement with heat-shrinkable components
KR100540886B1 (ko) 케이블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케이블 연결 밀봉성형품의제조방법 및 케이블 연결부의 밀봉방법
KR20080084164A (ko) 나동선의 케이블을 피복하거나 케이블의 연결부분의 밀봉을위한 열수축 케이블 밀봉 튜브의 제조방법
JP2000336215A (ja) 架橋性難燃性樹脂組成物
CN104829940A (zh) 一种高强度家电用无卤阻燃绝缘料及其制备方法
EP1570495B1 (en) Electrical cable with foamed semiconductive insulation shield
CN114805998B (zh) 感温变色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插座、插排、开关中的应用
KR100291965B1 (ko) 내열성이우수한열가소성고무의제조방법
JP2935022B1 (ja) 絶縁被覆付閉端接続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