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183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183B1
KR100660183B1 KR1019990027695A KR19990027695A KR100660183B1 KR 100660183 B1 KR100660183 B1 KR 100660183B1 KR 1019990027695 A KR1019990027695 A KR 1019990027695A KR 19990027695 A KR19990027695 A KR 19990027695A KR 100660183 B1 KR100660183 B1 KR 10066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ll
driver
caller
tole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355A (ko
Inventor
박성균
김수일
김수현
김세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183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근접된 차량중 공차를 호출하여 이용자와 연결시키기 위한 최근접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차량 호출을 요구한 서비스 이용자의 발신자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확인된 발신자 위치 내에 등록된 공차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등록된 공차들이 있으면, 상기 등록된 공차들이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으면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현재 통화중인 아닌 차량 중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한 대의 공차를 선택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지 않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다수개의 차량을 선택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다수개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현재 위치가 확인된 차량 중 상기 발신자 위치 내에 존재하고 통화 중이 아닌 차량이 있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의 차량을 선택하는 제6 단계; 상기 제4 단계 또는 상기 제6 단계에서 선택된 차량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제7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 연결시키는 제8 단계를 포함한다.
공차, 차량 호출, 택시(TAXI), 발신자 위치(Calling zone), 이동통신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METHOD OF VEHICLE CALL SERVIC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호출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중앙센터 12 : 단문서비스(SMS) 서버
13 : 위치/차량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과 같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근접된 차량중 공차를 호출하여 이용자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호출시스템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택시 등과 같은 차량에 연결시키고, 차량의 호출관리를 목적으로하는 시스템으로서,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 Intelligent Traffic System)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종래의 국내외 차량 호출시스템은 단말기의 위치, 관제센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기 위하여 위성을 통한 위치추적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전용무선망(즉, 셀룰러(Cellular), 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 무선데이터 등) 등을 결합하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시스템 개발비용 및 무선망 이용료가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근접된 차량중 공차를 호출하여 이용자와 연결시키기 위한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차량 호출을 요구한 서비스 이용자의 발신자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확인된 발신자 위치 내에 등록된 공차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등록된 공차들이 있으면, 상기 등록된 공차들이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으면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현재 통화중인 아닌 차량 중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한 대의 공차를 선택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지 않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다수개의 차량을 선택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다수개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현재 위치가 확인된 차량 중 상기 발신자 위치 내에 존재하고 통화 중이 아닌 차량이 있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의 차량을 선택하는 제6 단계; 상기 제4 단계 또는 상기 제6 단계에서 선택된 차량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제7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 연결시키는 제8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과 연동되는 컴퓨터에서, 차량 호출을 요구한 서비스 이용자의 발신자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확인된 발신자 위치 내에 등록된 공차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등록된 공차들이 있으면, 상기 등록된 공차들이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으면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현재 통화중인 아닌 차량 중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한 대의 공차를 선택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지 않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다수개의 차량을 선택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다수개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현재 위치가 확인된 차량 중 상기 발신자 위치 내에 존재하고 통화 중이 아닌 차량이 있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의 차량을 선택하는 제6 단계; 상기 제4 단계 또는 상기 제6 단계에서 선택된 차량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제7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 연결시키는 제8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호출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차량 호출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가 택시 등과 같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근접된 택시 등과 같은 차량중 공차를 호출하여 서비스 이용자와 연결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서비스 이용자가 중앙센터(11)로 호를 발신(예를 들면, "SK 텔레콤에서는 8200+SND")하면, 중앙센터(11)에서는 자동응답시스템(ARS : Automatically Response System)을 동작시켜 차량 호출 서비스 관련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중앙센터(11)에서는 음성이나 단문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 통해 사용자에게 하기와 같은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1. 공차호출 2. 불편신고 3. 공차등록 4. 사업자연결 0. 이용안내
만약, 서비스 가입자가 공차등록("3번")을 선택할 경우에, 중앙센터(11)는 위치/차량 서버(13)내의 차량/공차 데이터베이스에 공차를 등록한다.
한편, 서비스 이용자가 공차호출("1번")을 선택할 경우에, 중앙센터(11)는 차량/공차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위치/차량 서버(13)를 검색하여 공차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차를 단문서비스(SMS) 서버(12)를 통해 호출(예를 들면, "080 서비스")하여 서비스 이용자(즉, 공차 호출자)에게 차량번호를 안내하고 서비스 가입자(즉, 공차의 운전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호를 연결한다. 이때, 중앙센터(11)는 경우에 따라서 공차 호출자와 공차의 운전자에게 SMS를 통해 각자의 이동 전화번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근접 공차에 통화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중앙센터(11)는 공차 호출 자의 셀/섹터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차량 서버(13)내의 차량/공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셀/섹터내의 공차를 검색하여 임의 순서로 순차착신을 시도하고, 통화가 연결되면 차량/공차 데이터베이스에서 공차 등록을 삭제한다. 이때, 만약 해당 셀/섹터내에 공차가 없는 경우에는 사전에 정한 차량 사업자에게 연락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 호출시스템에서의 차량 검색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전화 가입자가 차량 호출 서비스 대표번호("8200+SND")로 전화를 걸어 공차호출을 요구하면, 중앙센터(11)내의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은 발신자 위치를 분석메시지(ANLYZD) 또는 호출요구메시지(PAGEREQ)를 통해 발신자 위치(Calling zone)를 구한다.
만약, 발신자 위치(Calling zone)에서 공차 등록을 한 차량이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T1)내에 있는 경우에,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1대의 차량을 선택한다.
이후, 발신자에게 차량번호를 음성안내하고 차량 운전자와 통화를 연결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 발신자와 차량 운전자에게 SMS를 통해 각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전달한다.
한편, 발신자 위치(Calling zone)에서 공차 등록을 한 차량이라 하더라도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T1)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N개의 차량을 선택한다. 그리고, N개의 차량에 호출요구메시지(PAGEREQ)를 전송하여 현재 위치를 구한다. 이때, N개의 차량중 발신자 위치(Calling Zone)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있는 경우에,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발신자 위치(Calling Zone)내에 있는 차량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후에, 발신자에게 차량번호를 음성안내하고 차량 운전자와 통화를 연결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 발신자와 차량 운전자에게 SMS를 통해 각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인접 영역에서 공차 등록을 한 차량이 있는 경우에, 우선 차량 우선순위에 따라 N개의 차량을 선택한 후에, N개의 차량에 호출요구메시지(PAGEREQ)를 전송하여 현재 위치를 구한다. 이후에, N개의 차량중 발신자 위치(Calling Zone)에 위치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발신자 위치(Calling Zone)에 있는 차량중 하나를 선택한 후에, 발신자에게 차량번호를 음성 안내하고 차량 운전자와 통화를 연결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 발신자와 차량 운전자에게 SMS를 통해 각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인접 영역에 공차 등록을 한 차량이 있더라도 차량의 운전자가 통화중이어서 연락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발신자 위치(Calling Zone)에 등록된 차량 사업자를 연결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차량 호출시스템에서 차량 검색시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공차를 수배할 수 있는데, 공차 수배시의 차량 결정 우선순위는, 해당 월 기간내 공차 호출 서비스를 가장 적게 받은 운전자, 해당 주 기간내 공차 호출 서비스를 가장 적게 받은 운전자, 해당 일 현재 공차 호출 서비스를 가장 적게 받은 운전자, 공차 호출 서비스 횟수가 가장 적은 운전자, 공차 등록 후 가장 긴 시간이 지난 운전자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차를 결정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은, 먼저 이동전화 가입자가 차량 호출 서비스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어 차량 호출을 요구하면(201), 중앙센터(11)내의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이 분석정보(Analyzed Information) 오퍼레이션에 포함된 위치 영역 식별자(Location Area ID)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구한다(202). 이때,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은 위치/차량 서버(13)내의 차량/공차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발신자 위치에 등록된 공차가 있는지를 확인한다(203).
확인결과, 등록된 공차가 있으면, 등록된 공차가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차량인지를 검사한다(204).
검사결과,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T1)내에 등록된 공차가 있는 경우에,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한 대의 차량을 선택한다(205). 이때, 홈위치등록기(HLR)로 호출요구(Page Request) 오퍼레이션을 보내 운전자가 통화중인지를 검사하여(206), 운전자가 통화중이면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T1)내에 등록한 차량중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다른 한 대의 차량을 선택하고(205), 통화중이 아니면 발신자에게 음성으로 차량번호를 안내하고 서로 통화를 연결한다(207). 이때, 필요한 경우 단문서비스로 서로의 이동전화번호를 통보한다(208).
검사결과,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T1)내에 등록된 공차가 없는 경우에,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N대의 차량을 선택하고(210), 홈위치등록기(HLR)에 N대의 차량에 대한 호출요구(Page Request) 오퍼레이션을 보내 공차의 현재 위치를 구한다(211). 이중 현재 통화중이 아니고 발신자와 같은 영역에 있는 차량이 있으면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한 대의 차량을 선택하고(212,205), 없으면 발신자 위치 영역에 등록된 차량 사업자로 호출 연결한다(212,213).
상기 확인결과, 등록된 공차가 없으면, 발신자 위치 인접 영역에 공차 등록한 차량이 있는지를 분석한다(209).
분석결과, 인접 영역에 공차 등록한 차량이 있으면,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N대의 차량을 선택하고(210), 홈위치등록기(HLR)에 N대의 차량에 대한 호출요구(Page Request) 오퍼레이션을 보내 공차의 현재 위치를 구한다(211). 이중 현재 통화중이 아니고 발신자와 인접 영역에 있는 차량이 있으면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한 대의 차량을 선택하고(212,205), 없으면 발신자 위치 영역에 등록된 차량 사업자로 호출 연결한다(213).
분석결과, 인접 영역에 공차 등록한 차량이 없으면, 발신자 위치 영역에 등록된 차량 사업자로 호를 연결한다(213).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과 같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근접된 차량중 공차를 호출하여 서비스 이용자와 연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차량 호출 서비스에 비해 보다 사용자 중심적이고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고, 각종 통신회사에게는 회원 모집에 촉진제 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서비스 이용에 따른 부가 통신요금 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며, 서비스 가입자에게는 공차율 감소를 통한 수익 창출 및 서비스 설치(GPS 수신기 등)에 따른 비용 부담을 제거하며, 서비스 이용자에게는 인지와 기억이 용이한 접속번호 및 근접 차량에 직접 연결로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 부담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과 같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근접된 차량중 공차를 호출하여 서비스 이용자와 연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차량 호출 서비스에 비해 보다 사용자 중심적이고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시스템 구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차량 호출을 요구한 서비스 이용자의 발신자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확인된 발신자 위치 내에 등록된 공차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등록된 공차들이 있으면, 상기 등록된 공차들이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으면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현재 통화중인 아닌 차량 중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한 대의 공차를 선택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지 않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다수개의 차량을 선택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다수개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현재 위치가 확인된 차량 중 상기 발신자 위치 내에 존재하고 통화 중이 아닌 차량이 있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의 차량을 선택하는 제6 단계;
    상기 제4 단계 또는 상기 제6 단계에서 선택된 차량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제7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 연결시키는 제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등록된 공차들이 없으면, 발신자 위치에 인접한 영역에 등록된 공차들 중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다수의 공차들을 선택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공차들의 현재 위치와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통화 중이 아니고 상기 발신자의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하나의 차량을 선택하여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결정 우선순위는,
    공차 수배시, 해당 월 기간내 공차 호출 서비스를 가장 적게 받은 운전자, 해당 주 기간내 공차 호출 서비스를 가장 적게 받은 운전자, 해당 일 현재 공차 호출 서비스를 가장 적게 받은 운전자, 공차 호출 서비스 횟수가 가장 적은 운전자, 공차 등록 후 가장 긴 시간이 지난 운전자를 고려하여 최적의 공차를 결정하는 공차 결정 우선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7. 삭제
  8. 무선통신망과 연동되는 컴퓨터에서,
    차량 호출을 요구한 서비스 이용자의 발신자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확인된 발신자 위치 내에 등록된 공차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등록된 공차들이 있으면, 상기 등록된 공차들이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으면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현재 통화중인 아닌 차량 중 차량 결정 우선순위에 따라 한 대의 공차를 선택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즉시 호출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있지 않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다수개의 차량을 선택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다수개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현재 위치가 확인된 차량 중 상기 발신자 위치 내에 존재하고 통화 중이 아닌 차량이 있으면, 차량 결정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의 차량을 선택하는 제6 단계;
    상기 제4 단계 또는 상기 제6 단계에서 선택된 차량의 운전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제7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 연결시키는 제8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삭제
KR1019990027695A 1999-07-09 1999-07-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KR10066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695A KR100660183B1 (ko) 1999-07-09 1999-07-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695A KR100660183B1 (ko) 1999-07-09 1999-07-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355A KR20010009355A (ko) 2001-02-05
KR100660183B1 true KR100660183B1 (ko) 2006-12-21

Family

ID=1960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695A KR100660183B1 (ko) 1999-07-09 1999-07-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444A (ko) * 2000-04-22 2001-11-08 조진원 이동전화, 유선전화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근접 차량 호출방법
KR100433734B1 (ko) * 2001-06-18 2004-06-04 이재욱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KR20010082436A (ko) * 2001-07-10 2001-08-30 이웅근 이동통신 그룹가입자 호출시 특정가입자 우선 추적방법
KR20010086611A (ko) * 2001-07-14 2001-09-15 장태관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KR20030010981A (ko) * 2001-07-28 2003-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이용한 콜택시 서비스 방법
KR20010100190A (ko) * 2001-10-29 2001-11-14 장태관 유선 전화기를 이용한 콜 서비스 방법
KR20030069725A (ko) * 2002-02-22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차량 호출 시스템
KR20030075238A (ko) * 2002-03-16 2003-09-26 김경완 자동차콜 서비스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콜 서비스방법 및 모바일폰의 자동차콜 방법
KR20040029554A (ko) * 2002-10-01 2004-04-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고객과 택시기사와의 연결방법
KR100931685B1 (ko) * 2003-06-05 2009-12-14 주식회사 케이티 단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호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775865B1 (ko) * 2006-03-02 2007-11-13 주식회사 알.에프.텍 서비스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1671B1 (ko) * 2006-03-31 2006-09-18 이근영 통합 메시징시스템이 구비된 콜 센터의 다기능 콜 서비스방법
KR101511628B1 (ko) * 2012-10-30 2015-04-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위치 기반 동적 그룹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977A (en) * 1985-12-09 1988-04-12 Balduin Norman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communications among taxis
JPH0730479A (ja) * 1993-07-14 1995-01-31 Nec Commun Syst Ltd 自動車電話の呼接続方式
KR19980033511A (ko) * 1998-04-21 1998-07-25 윤인상 글로벌 위치설정 시스템과 페이저망을 이용한 택시 운행 장치및 방법
KR19980068914A (ko) * 1997-02-25 1998-10-26 안민구 택시 지령 시스템 및 그 지령 제어방법
KR20000040207A (ko) * 1998-12-17 2000-07-05 권진환 차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977A (en) * 1985-12-09 1988-04-12 Balduin Norman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communications among taxis
JPH0730479A (ja) * 1993-07-14 1995-01-31 Nec Commun Syst Ltd 自動車電話の呼接続方式
KR19980068914A (ko) * 1997-02-25 1998-10-26 안민구 택시 지령 시스템 및 그 지령 제어방법
KR19980033511A (ko) * 1998-04-21 1998-07-25 윤인상 글로벌 위치설정 시스템과 페이저망을 이용한 택시 운행 장치및 방법
KR20000040207A (ko) * 1998-12-17 2000-07-05 권진환 차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355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0320B1 (en) Dealer-locator service and appar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93708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C car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communication charge notification method
CN1711794B (zh) 在通信系统中提供路由信息的方法和装置
US6026151A (en) Network based determination of cost effective access
KR100660183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US7031697B2 (en) Correlation of call data for calling and called partie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83462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a zone related call
CN1279865A (zh) 基于网络的漫游移动用户的收费费率获取系统
EP1551196A1 (en) A gateway home location register and a method of subscriber s routing information exchange
US6850762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setting up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KR100680662B1 (ko) 해외 로밍 자동 착신전환 시스템 및 해외 로밍 방법
CN100407850C (zh) 一种实现边界漫游计费的方法
US200701909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ireless intelligent services
KR19980085247A (ko) 통신망에서 단일번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방법
KR20040054003A (ko) 지에스엠 시스템의 로밍 데이터 통신 운용 방법
KR100778832B1 (ko) 가입자 위치가 고려된 전화 연결 서비스 방법
KR100872052B1 (ko) 릴레이 방식 통신을 통한 운전자 호출 서비스 방법
KR20010106613A (ko) 이기종 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KR0168944B1 (ko) 지능망에서 신용 통화 통합 서비스의 망 접근 방법
US79037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s service feature for a communication through a network
KR100736493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KR100765718B1 (ko) 메시징 서비스와 연동하는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459048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KR100766707B1 (ko) 전화번호정보와 지도정보를 이용한 근거리 라우팅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0161765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유사 신용 통화 서비스의 통합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