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676B1 -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 Google Patents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676B1
KR100659676B1 KR1020040092743A KR20040092743A KR100659676B1 KR 100659676 B1 KR100659676 B1 KR 100659676B1 KR 1020040092743 A KR1020040092743 A KR 1020040092743A KR 20040092743 A KR20040092743 A KR 20040092743A KR 100659676 B1 KR100659676 B1 KR 10065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electricity
mosquitoes
power supply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231A (ko
Inventor
김형진
윤종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욱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욱, 김형진 filed Critical 윤종욱
Priority to KR102004009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676B1/ko
Publication of KR2004011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2Fly-swatters
    • A01M3/025Fly-swatters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2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continuous feeding of dc or ac volt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그 모양 및 형상은 타격부와 손잡이부로 대분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전원부와 전압변환부로 구성하고 타격부에 전류가 통하는 부하부를 구성함으로써, 모기가 사람에게 근접하면 본 발명 전압을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의 전원 작동스위치를 누르고 부하부를 모기에게 가져다 대면 곧바로 전압이 순간적으로 증폭되면서 부하부에 전류가 흐르고 이로 인해 모기 또는 해충이 감전되어 죽게 되는 것이다.
모기, 해충, 퇴치, 전기, 전압부하

Description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The portable mosquito and pest control using electricity}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작동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류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00 : 부하부 200 : 전압변환부
300 : 전원부 11 : 전류로
12 : 발광다이오드선(LED) 13 : 테두리
14 : LED스위치 21 : 전압증폭부
22 : 콘덴서 31 : 전원변환스위치
32 : 전원잔류표시기     33 : 작동스위치(on/off)
34 : 배터리 35 : 충전전극
36 : 충전기 겸 거치대
A : 퇴치판 B : 몸통
본 발명은 전기 전압을 순간적으로 증폭시킬 때 발생하는 전기부하를 이용하여 모기 및 해충을 감전시켜 퇴치하는 것으로, 밤에 취침 시에는 거치대에 꽂아두고 형광발광체를 이용하여 유인한 후 퇴치 할 수 있으며, 낮에 활동 시에는 충전된 본 발명을 필요 시 마다 간편하게 휴대하며 사용하여 모기 및 해충을 제거 할 수 있는 퇴치장치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모기, 파리 및 해충 퇴치방법은 모기장을 치고 모기향을 피워 접근을 막거나, 스프레이 형태의 살충제를 뿌리거나, 액체나 고체형태의 살충제를 전기를 이용하여 발산시키는 방법 또는 밝은 빛이나 해충들이 좋아하는 물질 등을 이용하여 유인하여 가두어 잡는 방법, 그 외 파리채 등을 이용하여 타격을 가하여 잡고 모기의 경우 맨손으로 잡는 예가 많았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눈앞을 날아다니는 모기 등을 잡는 데에는 효율성이 매우 떨어져 모기 및 해충 퇴치율이 저조한 큰 단점 있고, 다양한 형태의 살충제는 사용 시 인체에 직 · 간접적인 해(害)를 줄 우려가 있고 위생상의 좋지 못한 문제점까지 있다.
이에 하기와 같이 다양한 고안이 나와 있으나 가장 중요한 실질적인 눈앞을 날아다니는 모기 및 해충을 곧바로 퇴치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고, 사용 시 마다 설치 또는 살충제 교환 등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사용에 효율성을 증진시켰다 하더라고 살충제 사용으로 인해 인체에 해를 줄 우려와 살충재 분사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실용등록 제275536호는 전기모기향 훈증기에 관한 것이고,
실용등록 제264532호는 나선형으로 제작되는 모기향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연소될 수 있는 연소 분량을 여러 개 표시하여 연소 멈춤용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연소시간 조절을 가능하도록 한 모기향에 관한 것이다.
실용등록 제327726호는 살충제 분사기능을 갖는 파리채에 관한 것으로, 해충을 근거리에서 직접 타격하여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충제 용기가 장착되어 해충에게 살충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있는 해충도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용등록 제289422호는 끈끈이판이 부착된 양면파리채로서, 끈끈이액이 형성된 끈끈이판을 파리채판에 부착하여 형성한 양면파리채를 휘저으면서 파리, 모기 등을 힘들이지 않고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약품을 사용하거나 지속적으로 사용이 불가한 부자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휴대용으로 사용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하는 퇴치기들이 별도로 구성되어있어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기술들이 적용된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불편한점이 있었다.
이에 적극적으로 휴대하며 해충 특히 모기나 파리 등을 발견하는 즉시 손쉽게 곧바로 퇴치함이 가능하고, 고정하여 두면서도 해충들을 유인하여 잡을 수 있게 휴대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약품 등으로 사용하지 아니하여 인체에 유해함이 없는 모기 및 파리 등의 해충 퇴치기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를 축전기에 모아두었다가 순간적으로 전압을 증폭시켜 +전류와 -전류를 흐르게 하여 모기 및 해충을 발견 시 전류로(11)에 근접시켜 감전시킴으로 해충들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창안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류로 확대도로서 본 발명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로서 본 발명의 외부의 구성을 보면, 상측의 파리채판의 형상과 유사 한 퇴치판(A)과 하측으로 손잡이 등이 구성되는 몸통부(B)로 결합 구성된 본체와, 충전기 겸 거치대(36)로 구성되고,
상기 퇴치판부(A)는 비전도체 소재(素材)의 테두리부가 있고 그 내부에 전도체 소재의 전류로(11)가 삼층격자형(三層格子形)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B)는 일측에 on/off작동스위치(33)가 도출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3가지 색상으로 표시되는 전원잔류표시기(32)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휴대사용 시 전원의 잔류량을 쉽게 알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스위치(LED switch, 14)를 구성하여 퇴치판(A)에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선(LED, 12)을 이용한 유도 불빛을 제어한다. 상기 몸통부(B)는 퇴치판(A)과 볼트(b)등 통상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거나 전체를 일체화 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충전기 겸 거치대(36)는 상기 본체를 세워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정된 형태로 구성되고, 고정 시 본체 하부에 구성된 전극과, 대응되게 전극을 구성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배터리(34)를 충전시키고, 고정하여 사용할 시에는 고정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3,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본체의 내부 작동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퇴치판(A)에는 부하부(100)가 구성되고 몸통부(B)로는 전압변환부(200)와 전원부(300)가 구성이 된다.
부하부(100)는 모기 및 해충을 근접시켜 고전압에 의해 직접적으로 퇴치시 키는 부분으로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전도체인 테두리(13)와 삼층격자형의 전류로(11)로 구성되는데 전류로(11)는 테두리(13) 내부를 격자형을 이루며 평면으로 구성하고 전도성과 내구성이 높은 재질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각 층이 분리된 3단층으로 구성한다. 또한 중앙층과 외부층을 다른 극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상기와 같이 다른 전류가 층으로 이루며 흐르고 있는 상황에서 해충을 전류로(11)에 접근시키면 전류가 통하면서 제거 할 수 있는 것이다.
해충의 접근 유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류로(11)의 층간 사이 또는 내외측에 발광다이오드선(LED, 12)을 구성하여 LED스위치(14)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선(LED, 12)을 통하여 빛을 방출시켜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모기 및 해충을 쉽게 유인하여 퇴치할 수 있도록 한다.
몸통부(B)에 구성되는 전원부(300) 및 전압변환부(200)는 전류로(11) 및 발광다이오드선(LED, 12)에 전기를 공급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변환부(200)는 전압증폭부(21)에서 순간적으로 전압을 증폭시키면 이때 발생한 고전압이 콘덴서(condenser, 22)를 통해 전류로(11)에 전달된다.
전원부(30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부분으로, 몸통부(B)를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기 겸 거치대(36)에 구성되는 전극에 몸통부(B)의 하단 충전전극(35)을 상호 접촉시켜 몸통부(B)의 배터리(34)에 전기를 충전하여 휴대하여 사용하게 구성하고, 충전기 겸 거치대(36)에 본체를 결합 고정하여 모기 등의 유인 및 퇴치 겸용으로 사용 시에는 전원변환스위치(31)에 의해 전원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휴대하여 사용 시 배터리(34)에 연결된 전원잔류표시기(32)가 외부로 드러나 있어 남은 전류량이 표시되므로 전류가 모두 소진되기 전에 미리 충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전기는 휴대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배터리(34)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유인 겸 퇴치용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때에는 충전기 겸 거치대(36)를 이용하는 방법을 선택하는데, 이 때 후자를 이용하게 되면 전원변환스위치(31)가 자동으로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충전기 겸 거치대(36)에 구성되는 전극과 몸통부(B)의 하단 충전전극(35)이 상호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작동스위치(33)를 ON으로 하면 전원부(300)에서 전압이 전압증폭부(21)를 통과하면서 전압을 순간적으로 증폭시켜 이때 발생한 전압은 콘덴서(condenser, 22)를 통해 전류로(11)에 전압부하가 되도록 한다.
어두운 곳에서 보다 효율적인 퇴치를 위해 모기 및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빛을 발산시키는 발광다이오드선(LED, 12)과 이를 제어하는 LED스위치(14)를 구성한다.
도 5는 퇴치판(A)의 전류로(11)가 삼층(三層)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대도 식한 것으로, 평면에서 본 전류로(11)는 전도선을 이용하여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격자형으로 구성된 전류로(11)는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중하 3층으로 구성하고, 양쪽 상하층과 중간층은 서로 다른 극의 전류가 흐르게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하층은 -전류가 흐르게 구성하면 중간층은 +전류가 흐르게 하여 그 사이에 고전압이 발생하여 흐를 때 근접한 모기 및 해충이 감전되어 퇴치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전기 모기퇴치기를 통하여,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본 발명을 가져다 대기만 하면 모기 및 해충이 퇴치되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휴대하면서 사용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하여 퇴치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즉, 휴대가 가능하고 실내 및 야외 어디에서는 사용할 수 있으며, 모기 유인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등 기능성을 높임과 동시에, 움직이는 해충의 퇴치 시 기존의 파리채의 사용과는 달리 퇴치를 실패할 경우가 거의 없고, 약품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등 그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3)

  1. 비전도체 테두리와, 그 내부로 전원부(300)와 전압변환부(200)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로(11)가 구성되는 부하부(100)로 구성되는 퇴치판(A)과;
    배터리(34)와 충전기 겸 거치대(36)으로부터 전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전극(35), 배터리(34) 또는 충전기 겸 거치대(36)로 전원공급원을 변경하는 전원변환스위치(31), 배터리(34)에 연결된 전원잔류표시기(32), 전원공급을 조정하는 작동스위치(33)로 구성된 전원부(300)와, 전압증폭부(21)에서 전압을 증폭시키는 전압증폭부(21), 콘덴서(condenser, 22)로 구성되는 전압변환부(200)로 이루어지며 퇴치판(A)과 결합되는 몸통부(B)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세워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정된 형태로 구성되고, 고정 시 본체 하부에 구성된 충전전극(35)과, 대응되게 전극을 구성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배터리(34)를 충전시키고, 고정하여 사용할 시에는 고정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충전기 겸 거치대(36)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급되는 전기로 빛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선(LED, 12)이 퇴치판(A)의 전류로(11)와 접하며 일측부에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전류로(11)는 전도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선들이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중하 3층으로 구성하고, 양쪽 상하층과 중간층은 서로 다른 극의 전류가 흐르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KR1020040092743A 2004-11-13 2004-11-13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KR10065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743A KR100659676B1 (ko) 2004-11-13 2004-11-13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743A KR100659676B1 (ko) 2004-11-13 2004-11-13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167U Division KR200375240Y1 (ko) 2004-11-15 2004-11-15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231A KR20040111231A (ko) 2004-12-31
KR100659676B1 true KR100659676B1 (ko) 2006-12-21

Family

ID=3738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743A KR100659676B1 (ko) 2004-11-13 2004-11-13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67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45B1 (ko) 2009-05-28 2009-12-01 이신열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해충퇴치기
KR101007989B1 (ko) * 2008-09-25 2011-01-14 모철종 전기를 이용한 접이식 해충 퇴치기
KR20150143227A (ko) 2014-06-13 2015-12-23 신수경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KR20160002118U (ko) 2016-05-11 2016-06-20 박정민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KR20160088142A (ko) 2015-01-15 2016-07-25 삼정크린마스터(주) 스위치 차폐수단을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KR20180055504A (ko) 2016-11-17 2018-05-25 삼정크린마스터(주) 안전 스위치 구조를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KR20210007509A (ko) 2019-07-11 2021-01-20 박수빈 휴대용 접이식 미니 전기모기채
KR102459821B1 (ko) 2021-12-02 2022-10-27 주식회사 피앤지 휴대용 다용도 해충퇴치기
KR20230059460A (ko) 2021-10-26 2023-05-03 박지원 벌레잡이 도구
KR20230111338A (ko) 2022-01-18 2023-07-25 최미희 전기 모기채 착탈형 선풍기
KR20230111337A (ko) 2022-01-18 2023-07-25 최미희 전기 모기채용 그물망 일체형 선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58B1 (ko) * 2012-11-05 2014-07-09 조혜인 전기 해충퇴치장치
KR102068825B1 (ko) 2019-05-24 2020-02-24 이기우 모기 유인 및 포획용 조성물
KR102037895B1 (ko) 2019-06-10 2019-10-29 문봉성 전기 모기채 구동회로
KR102375071B1 (ko) 2020-04-02 2022-03-16 (주)포스트에스 해충 퇴치용 액자
KR102309612B1 (ko) 2020-06-08 2021-10-07 (주)삼중나비스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
KR102208788B1 (ko) 2020-07-16 2021-01-28 도도한 주식회사 갓을 이용한 전등
KR102203795B1 (ko) 2020-08-26 2021-01-18 김원대 건초 사료 자동화 제조 장치
KR102235812B1 (ko) 2020-09-09 2021-04-05 임두병 진공 흡입 전기 모기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989B1 (ko) * 2008-09-25 2011-01-14 모철종 전기를 이용한 접이식 해충 퇴치기
KR100929245B1 (ko) 2009-05-28 2009-12-01 이신열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해충퇴치기
KR20150143227A (ko) 2014-06-13 2015-12-23 신수경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KR20160088142A (ko) 2015-01-15 2016-07-25 삼정크린마스터(주) 스위치 차폐수단을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KR20160002118U (ko) 2016-05-11 2016-06-20 박정민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KR20180055504A (ko) 2016-11-17 2018-05-25 삼정크린마스터(주) 안전 스위치 구조를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KR101864776B1 (ko) * 2016-11-17 2018-06-05 삼정크린마스터(주) 안전 스위치 구조를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KR20210007509A (ko) 2019-07-11 2021-01-20 박수빈 휴대용 접이식 미니 전기모기채
KR20230059460A (ko) 2021-10-26 2023-05-03 박지원 벌레잡이 도구
KR102459821B1 (ko) 2021-12-02 2022-10-27 주식회사 피앤지 휴대용 다용도 해충퇴치기
KR20230111338A (ko) 2022-01-18 2023-07-25 최미희 전기 모기채 착탈형 선풍기
KR20230111337A (ko) 2022-01-18 2023-07-25 최미희 전기 모기채용 그물망 일체형 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231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676B1 (ko)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US20180263234A1 (en) Ins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70101639A1 (en) Electric insect killer
KR101545083B1 (ko) 휴대용 전자 살충기
KR20140086266A (ko) 전기 해충 퇴치기
KR200375240Y1 (ko)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WO2010015884A1 (en) Portable insect swatter
KR101822098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살충 소음이 최소화된 휴대용 해충 기피 및 유인 살충기
JP2002281882A (ja) 感電式虫撃退器
KR101815114B1 (ko) 휴대용 엘이디 유인 전격 해충 살충기
CN201713016U (zh) 一种带灭蚊器的垃圾桶
KR20130005413U (ko) 모기 퇴치기
KR200403148Y1 (ko) 휴대용 전자살충기
CN205385804U (zh) 林业发展诱虫杀虫灯
CN107361037A (zh) 昆虫诱杀装置
CN2251254Y (zh) 电子杀虫器
CN210538358U (zh) 一种农业果树驱虫装置
KR20170024459A (ko) 휴대용 전기 해충 퇴치기
KR101994264B1 (ko) 포충기
KR101786814B1 (ko) 엘이디로 유인하여 살충시키는 휴대용 저소음 전격 살충기
CN214801851U (zh) 一种驱虫装置
KR200425857Y1 (ko) 태양전지 구동식 해충 포획 및 살충용 장치
CN211153450U (zh) 一种便于安放的农林业害虫高效诱捕器
JP2000342153A (ja) 殺虫装置
KR200498008Y1 (ko) 해충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