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227A -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 Google Patents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227A
KR20150143227A KR1020140072491A KR20140072491A KR20150143227A KR 20150143227 A KR20150143227 A KR 20150143227A KR 1020140072491 A KR1020140072491 A KR 1020140072491A KR 20140072491 A KR20140072491 A KR 20140072491A KR 20150143227 A KR20150143227 A KR 20150143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oltage
unit
flash unit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경
Original Assignee
신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경 filed Critical 신수경
Priority to KR102014007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3227A/ko
Publication of KR2015014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5/00Catching insects in fields, gardens, or forests by movable appliances
    • A01M5/02Portable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해충을 감전시켜 퇴치하고 분리결합가능한 후레쉬를 구비한 해충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통전시켜 해충을 감전시키는 퇴치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레쉬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Solar cell type-harmful insect exterminator with flashlight}
본 발명은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해충을 감전시켜 퇴치하고 분리결합가능한 후레쉬를 구비한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 또는 파리와 같은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으로 모기향을 피워 접근을 막거나 스프레이 형태의 살충제를 뿌리는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들 방법은 퇴치율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살충제 사용시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해로울 수 있다.
한편, 최근에 전기 모기채와 같은 전기식 해충 퇴치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제품은 일반 건전지를 사용하거나 상용 전기를 충전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건전지를 자주 교체해야 하거나 충전을 위해 항상 상용 전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식 해충 퇴치기는 건전지를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야외 등 상용 전기를 공급받을 수 없는 곳에서는 충전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캠핑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친환경적이면서 다기능을 갖춘 해충 퇴치기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65967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해충을 감전시켜 퇴치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해충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해충 퇴치기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가능한 후레쉬가 해충 퇴치기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휴대성이 증진되고 다기능의 해충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통전시켜 해충을 감전시키는 퇴치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레쉬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부는 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빛을 수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과, 본체부에 내장되고 상기 태양전지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본체 충전지와, 상기 본체 충전지와 연결되고 상기 퇴치부와 후레쉬부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선택 스위치와, 일단은 상기 선택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퇴치부와 연결된 누름 스위치와,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선택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도전부재를 구비한 제1 장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퇴치부는 상기 누름 스위치와 연결되고 전압을 증폭 및 승압하여 정류하는 전압 변환부와, 상기 전압 변환부로부터 공급된 승압 및 정류된 고전압의 전기를 통전시키는 격자 형상의 통전망과, 상기 전압 변환부와 통전망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1개 이상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후레쉬부는 상기 제1 장착수단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레쉬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부재와 접촉하는 제2 도전부재를 구비한 제2 장착수단과, 후레쉬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도전부재와 연결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전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용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접속되는 어댑터잭을 외측면에 더 구비하되 상기 어댑터잭이 상기 본체 충전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후레쉬부는 건전지를 수납하는 건전지 수납부를 내측에 더 구비하되 상기 건전지 수납부가 후레쉬부의 외측 일면에 설치된 변환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 충전지의 충전 전압이 방전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태양전지판과 본체 충전지 사이에 1개 이상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역 전압 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장착 수단의 실시예로서, 나사산과 나사골로 이루어져 서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고, 걸림턱과 걸림홈 형태로 서로 끼워맞춰 삽입하는 방식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통전시켜 해충을 감전시키는 퇴치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레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빛을 수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과, 본체부에 내장되고 상기 태양전지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본체 충전지와, 일단은 상기 본체 충전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퇴치부에 연결되는 누름 스위치와, 상용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접속되도록 외측면에 구비된 어댑터잭과,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판과 어댑터잭에 연결된 제1 도전부재를 구비한 제1 장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퇴치부는 상기 누름 스위치와 연결되고 전압을 증폭 및 승압하여 정류하는 전압 변환부와, 상기 전압 변환부로부터 공급된 승압 및 정류된 고전압의 전기를 통전시키는 격자 형상의 통전망과, 상기 전압 변환부와 통전망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1개 이상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레쉬부는 상기 제1 장착수단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레쉬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부재와 접촉하는 제2 도전부재를 구비한 제2 장착수단과, 후레쉬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2 도전부재와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후레쉬 충전지와, 후레쉬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건전지를 수납하는 건전지 수납부와, 후레쉬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전구부와, 일단은 상기 전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레쉬 충전지와 건전지 수납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변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장착 수단은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서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므로 건전지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건전지 소모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친환경적이면서 반영구적으로 해충 퇴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가 통전되는 퇴치부에 작동 후 남아있는 잔류 전류를 일시에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감전 방지 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퇴치부 접촉에 의한 감전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 결합가능한 후레쉬가 해충 퇴치기에 한 세트로 구비됨으로써 휴대성과 편리성이 매우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본체부와 후레쉬부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b는 퇴치부의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작동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본체부와 후레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퇴치부의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 도면과 후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태양전지로 전원을 공급받고 분리결합가능한 후레쉬를 겸비한 해충 퇴치기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상은 전기 모기채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를 발생시키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통전시켜 모기와 같은 해충을 감전시켜서 퇴치하는 퇴치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레쉬 기능을 하는 후레쉬부(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본체부, 후레쉬부, 및 퇴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태양전지판(110)과, 본체 충전지(120)와, 선택 스위치(130)와, 누름 스위치(140)와, 제1 장착수단(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퇴치부(200)와 후레쉬부(3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퇴치부(200)와 후레쉬부(30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0)는 그것의 외면에 빛을 수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공지 기술의 태양전지판(11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의 바람직한 구동 전압은 직류 3V ~ 6V로서, 상기 태양전지판(110)이 발생시키는 전기의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공지의 태양전지판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본체 충전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 충전지(120)는 본체부(100)에 내장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10)에서 공급된 전기를 충전하는 것으로서, 공지 기술의 충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 충전지(120)의 충전 전압이 상기 태양전지판(110)으로 방전되어 역류하여 상기 태양전지판(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태양전지판(110)과 본체 충전지(120) 사이에 1개 이상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역 전압 방지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 충전지(120)는 공지의 과충전 방지 회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 일면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위칭 소자로서, 그 내측은 상기 본체 충전지(120), 누름 스위치(140), 및 제1 도전부재(151)와 연결되되, 상기 누름 스위치(140)와 제1 도전부재(15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 충전지(120)가 상기 퇴치부(200)와 후레쉬부(300)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 스위치(140)도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로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로서, 그 내측의 일단은 상기 선택 스위치(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퇴치부(200)의 전압 변환부(210)와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충 퇴치기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 스위치(130)를 눌러 회로를 연결시킬 경우에만 퇴치부(200)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장착수단(150)은 본체부(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후레쉬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장착수단(310)과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도 2a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장착 수단(15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장착 수단(150)은 본체부(100)의 타측에서 개구된 형상으로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및/또는 나사골)이 후술하는 제2 장착 수단(310)의 나사산(및/또는 나사골)과 서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본체부(100)과 후레쉬부(300)는 분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장착 수단(150, 310)의 결합 방식은 상기 나사 결합 방식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본체부(100)와 후레쉬부(300)가 서로 분리 결합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모두 채택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장착 수단(150, 310)의 결합 방식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장착 수단(150)은 걸림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장착 수단(310)은 걸림홈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턱과 걸림홈을 서로 끼워맞춰 삽입 또는 분리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제1 도전 부재(151)는 상기 제1 장착 수단(150)의 내측 일면에 형성되는 도체로서 상기 선택 스위치(13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장착 수단(150)과 제2 장착 수단(310)이 결합할 때 도체인 제2 도전부재(311)와 맞대여서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용전압(교류 110V 또는 220V)을 본 해충 퇴치기의 구동전압(직류 3V ~ 6V)으로 변환시키는 공지의 어댑터가 접속되는 어댑터잭(160)을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잭(160)은 상기 본체 충전지(120)와 연결되어 태양전지판(110)에서 전기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면, 야간이나 흐린 날씨의 경우)에 외부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퇴치부(200)는, 전압 변환부(210)와, 통전망(220)과,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변환부(210)는 상기 누름 스위치(14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의 전압을 증폭하고 승압한 후 정류하여 상기 통전망(220)으로 인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공지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압 변환부(210)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증폭회로와, 증폭된 전압을 용량값에 따라 승압하는 다수의 커패시터와, 증폭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다수의 정류용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전망(220)은 상기 전압 변환부(210)로부터 공급된 승압 및 정류된 고전압의 전기를 통전시켜 날아오는 모기와 같은 해충을 감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형상으로서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 격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전망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은 100mA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퇴치부(200)의 작동을 중지하기 위해 상기 누름 스위치(140)를 정상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누르지 않는 경우)에 상기 통전망(220)에 인가된 전압을 일시에 제거하여 상기 통전망(220)에 잔류 전류가 남아있지 않도록, 상기 전압 변환부(210)와 통전망(220)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1개 이상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230)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스위치(140)에 의해 퇴치부(200)의 회로가 본체부(100)와 단선되면 통전망(220)에 잔류하는 전류는 일시에 1개 이상의 상기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230)로 흐르게 되어 통전망(220)의 잔류 전류가 일시에 제거됨으로써 사용자 등이 통전망(220)에 접촉되어 감전되는 일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후레쉬부(300)는 본 발명의 해충 퇴치기의 손잡이 부분이 되면서 후레쉬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제2 장착 수단(310)과 전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도 2a는 본체부(100)와 후레쉬부(30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후레쉬부(300)의 제2 장착 수단(3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제1 장착 수단(150)과 결합하는 요소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장착 수단(310)은 후레쉬부(3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및/또는 나사골)을 포함함으로써, 그것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장착 수단(150)에 형성된 나사산(및/또는 나사골)과 나사 결합하게 된다.[도 3에서의 접점 A,B는 제1 및 제2 장착 수단을 통해 본체부 회로와 후레쉬부 회로가 접속됨을 나타냄]
또한, 상기 제2 장착 수단(310)은 그 일단부에 도체로 이루어진 제2 도전부재(311)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2 도전부재(311)는 상기 후레쉬부(3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도전부재(151)과 접촉하여 전기가 통전되도록 한다.
후레쉬부(300)의 전구부(320)는 후레쉬부(3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전기가 공급되면 빛을 발광하는 부분으로서, 외부로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D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D1)는 상기 제2 도전부재(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로서, 상기 후레쉬부(300)는 공지의 건전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건전지 수납부(330)를 내측에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건전지 수납부(330)를 구비함으로써 후레쉬부(300) 자체적으로 전원을 전구부(320)에 공급할 수 있고, 공지의 건전지를 수시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레쉬부(300)는 사용자가 ON/OFF 조작할 수 있도록 후레쉬부의 외측 일면에 변환 스위치(3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전지 수납부(330)는 후레쉬부의 외측 일면에 설치된 변환 스위치(340)를 통해 상기 전구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후레쉬부(300)가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본체부(1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지 못할 경우 상기 변환 스위치(340)를 ON으로 조작하여 상기 건전지 수납부(330)에 수용된 건전지로부터 상기 전구부(320)로 전기를 통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작동 회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태양전지판(110)에서 발생된 전기가 본체 충전지(120)에 충전된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30)를 a단자(퇴치부로의 통전)로 스위칭하면 본체 충전지(120)의 전기는 누름 스위치(140) 방향으로 방전되고, 사용자가 누름 스위치(140)를 누르면 전기가 다시 통전되어 퇴치부(200) 전기가 통전된다.
퇴치부(200)로 통전된 전기는 우선 전압 변환부(210)에서 증폭, 승압, 정류 처리를 거친 뒤 통전망(220)으로 통전되어 해충을 감전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누름 스위치(140)를 떼면(누르지 않으면) 퇴치부(200)으로의 전기 공급은 중단되고 상기 통전망(220)에 남아있던 잔류 전류는 일시에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230)에서 소모된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30)를 b단자(후레쉬부)로 스위칭하면, 퇴치부(200)로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고, 본체 충전지(120)의 전기는 제1 도전 부재(151)를 통해 후레쉬부(300)로 공급됨으로써 전구부(320)의 발광 다이오드(D1)가 발광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후레쉬부(300)가 본체부(100)에서 분리되면 더 이상 본체부(1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므로, 후레쉬부(300)의 변환 스위치(340)의 ON/OFF 조작에 의해 상기 건전지 수납부(330)의 건전지와 상기 전구부(320)의 발광 다이오드(D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레쉬부(300)가 분리된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후레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와는 달리, 후레쉬부(600)에 후레쉬 충전지(620)가 구비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 기능과 동일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도 전기를 발생시키는 본체부(400)와, 상기 본체부(4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4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통전시켜 해충을 감전시키는 퇴치부(500)와, 상기 본체부(40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레쉬부(600)로 이루어진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본체부와 후레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퇴치부의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400)는 태양전지판(410), 본체 충전지(420), 누름 스위치(430), 어댑터잭(440), 제1 장착수단(450)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판(410)은 본체부(400)의 외면에 설치되어 빛을 수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고 본체 충전지(420)와 제1 도전부재(451)에 연결된다.
상기 본체 충전지(420)는 본체부(400)에 내장되고 상기 태양전지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공지 기술일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역 전압 방지부와 과충전 방지 회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누름 스위치(430)는 본체부(400)의 외측에서 사용자가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내측 일단은 상기 본체 충전지(4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퇴치부(50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본체 충전지(420)의 전기가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어댑터잭(440)은 상용전압(교류 110V 또는 220V)을 본 해충 퇴치기의 구동전압(3V ~6V)으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본체부(400) 외측면에 구비되고 본체 충전지(420)와 제1 도전부재(451)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 장착수단(450)은 본체부(400)의 타측에 형성되어 후레쉬부(6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장착수단(450)과 제2 장착 수단(610)의 결합 방식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장착수단(450)은 상기 태양전지판(410)과 어댑터잭(440)에 연결된 도체로 이루어진 제1 도전부재(451)를 구비함으로써, 후레쉬부(600)로 전기를 통전시킨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치부(500)는 상기 누름 스위치(430)와 연결되고 전압을 증폭 및 승압하여 정류하는 전압 변환부(510)와, 상기 전압 변환부(510)로부터 공급된 승압 및 정류된 고전압의 전기를 통전시키는 격자 형상의 통전망(520)과, 상기 전압 변환부(510)와 통전망(520)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1개 이상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53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전압 변환부(510), 통전망(520), 및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530)의 구조와 기능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의 후레쉬부(600)는 제2 장착수단(610), 후레쉬 충전지(620), 건전지 수납부(630), 전구부(640), 변환 스위치(65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수단(6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후레쉬부(6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및/또는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것이 상기 제1 장착수단(450)과 분리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착수단(610)은 상기 제1 도전부재(451)와 접촉하는 도체로 이루어진 제2 도전부재(611)를 그 일단부에 구비하여 본체부(400)로부터의 공급된 전기를 후레쉬 충전지(620)로 통전한다.
후레쉬 충전지(620)는 후레쉬부(600)에 내장되고 상기 제2 도전부재(611)와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요소로서, 후레쉬부(600)가 본체부(40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후레쉬부(600)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고, 변환 스위치(650)과 연결되어 있다.
건전지 수납부(630)는 후레쉬부(600)의 내측에 형성되어 건전지를 수납하는 부분으로서, 변환 스위치(650)와 연결되어 전구부(6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구부(640)는 후레쉬부(600)의 타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D2)를 구비하여 빛을 발광하는 후레쉬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시형태의 기능 및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레쉬부(600)의 외측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변환 스위치(650)를 구비함으로써, 후레쉬부(600)가 본체부(400)와 분리된 경우 사용자가 후레쉬부(600)의 전원을 후레쉬 충전지(620)로 할지 아니면 건전지로 할지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변환 스위치(650)의 내측 일단은 상기 전구부(6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상기 후레쉬 충전지(620)와 건전지 수납부(6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태양전지판(410)에서 전기가 공급된다.[태양전지판(410)이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댑터잭(440)에 의해 전기가 공급됨]
공급된 전기는 본체 충전지(420)에서 충전되거나 제1 및 제2 도전부재(451, 611)을 통해 후레쉬 충전지(620)에서 충전된다.
사용자가 누름 스위치(430)를 누르면 퇴치부(500)로 전기가 통전되고 전압 변환부(510)를 거쳐 통전망(520)으로 전기가 통전되어 해충을 감전시킨다.
사용자가 누름 스위치(430)를 누르지 않고 떼면 회로는 차단되고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530)를 통해 통전망(520)의 잔류 전류를 일시에 소모시킨다.
변환 스위치(650)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후레쉬부(600)가 분리 또는 결합된 경우에도 후레쉬 충전지(620) 또는 건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후레쉬[전구부(6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400 : 본체부 200, 500 : 퇴치부
300, 600 : 후레쉬부
110, 410 : 태양전지판 120, 420 : 본체 충전지
130 : 선택 스위치 140, 430 : 누름 스위치
150, 450 : 제1 장착 수단 151, 451 : 제1 도전부재
160, 440 : 어댑터잭
310, 610 : 제2 장착 수단 320, 640 : 전구부
330, 630 : 건전지 수납부 340, 650 : 변환 스위치
311, 611 : 제2 도전부재 620 : 후레쉬 충전지

Claims (3)

  1. 전기를 발생시키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통전시켜 해충을 감전시키는 퇴치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레쉬부(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외면에 설치되어 빛을 수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10)과,
    본체부(100)에 내장되고 상기 태양전지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본체 충전지(120)와,
    상기 본체 충전지(120)와 연결되고 상기 퇴치부(200)와 후레쉬부(300)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선택 스위치(130)와,
    일단은 상기 선택 스위치(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퇴치부(200)와 연결된 누름 스위치(140)와,
    본체부(100)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선택 스위치(130)와 연결된 제1 도전부재(151)를 구비한 제1 장착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퇴치부(200)는,
    상기 누름 스위치(140)와 연결되고 전압을 증폭 및 승압하여 정류하는 전압 변환부(210)와,
    상기 전압 변환부(210)로부터 공급된 승압 및 정류된 고전압의 전기를 통전시키는 격자 형상의 통전망(220)과,
    상기 전압 변환부(210)와 통전망(220)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1개 이상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후레쉬부(300)는,
    상기 제1 장착수단(15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레쉬부(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부재(151)와 접촉하는 제2 도전부재(311)를 구비한 제2 장착수단(310)과,
    후레쉬부(30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도전부재(311)와 연결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D1)를 구비한 전구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용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접속되는 어댑터잭(160)을 외측면에 더 구비하되, 상기 어댑터잭(160)은 상기 본체 충전지(120)와 연결되고,
    상기 후레쉬부(300)는 건전지를 수납하는 건전지 수납부(330)를 내측에 더 구비하되, 상기 건전지 수납부(330)가 후레쉬부의 외측 일면에 설치된 변환 스위치(340)를 통해 상기 전구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3. 전기를 발생시키는 본체부(400);
    상기 본체부(4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4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통전시켜 해충을 감전시키는 퇴치부(500); 및
    상기 본체부(40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레쉬부(6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400)는,
    본체부(400)의 외면에 설치되어 빛을 수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410)과,
    본체부(400)에 내장되고 상기 태양전지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본체 충전지(420)와,
    일단은 상기 본체 충전지(4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퇴치부(500)에 연결되는 누름 스위치(430)와,
    상용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접속되도록 외측면에 구비된 어댑터잭(440)과,
    본체부(400)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판(410)과 어댑터잭(440)에 연결된 제1 도전부재(451)를 구비한 제1 장착수단(450)을 포함하고;
    상기 퇴치부(500)는,
    상기 누름 스위치(430)와 연결되고 전압을 증폭 및 승압하여 정류하는 전압 변환부(510)와,
    상기 전압 변환부(510)로부터 공급된 승압 및 정류된 고전압의 전기를 통전시키는 격자 형상의 통전망(520)과,
    상기 전압 변환부(510)와 통전망(520)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1개 이상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잔류 전류 방전 회로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후레쉬부(600)는,
    상기 제1 장착수단(45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레쉬부(6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부재(451)와 접촉하는 제2 도전부재(611)를 구비한 제2 장착수단(610)과,
    후레쉬부(600)에 내장되고 상기 제2 도전부재(611)와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후레쉬 충전지(620)와,
    후레쉬부(600)의 내측에 형성되어 건전지를 수납하는 건전지 수납부(630)와,
    후레쉬부(600)의 타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D2)를 구비한 전구부(640)와,
    일단은 상기 전구부(6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레쉬 충전지(620)와 건전지 수납부(6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변환 스위치(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KR1020140072491A 2014-06-13 2014-06-13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KR20150143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491A KR20150143227A (ko) 2014-06-13 2014-06-13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491A KR20150143227A (ko) 2014-06-13 2014-06-13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544U Division KR20160002118U (ko) 2016-05-11 2016-05-11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227A true KR20150143227A (ko) 2015-12-23

Family

ID=5508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491A KR20150143227A (ko) 2014-06-13 2014-06-13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32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676B1 (ko) 2004-11-13 2006-12-21 윤종욱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676B1 (ko) 2004-11-13 2006-12-21 윤종욱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7169B (zh) 可延时照明电路及装置
US7576516B2 (en) Battery adapter system
US8330390B2 (en) AC LED light source with reduced flicker
US9357596B2 (en) Drivers for loads such as light emitting diodes
EP2823691B1 (en) Led light source
US20090078604A1 (en) Light Device
KR101405147B1 (ko) 자가발전 급수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4971966B2 (ja) 誘導灯装置及び誘導灯器具
KR20160002118U (ko)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EP3032696B1 (en) Emergency lighting unit
JP2017069180A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20036419A (ja) 非常用照明装置
KR20150143227A (ko) 후레쉬를 구비한 태양전지식 해충 퇴치기
KR20110101915A (ko) 축전지의 잔여용량 지시기능을 갖는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CA3087054A1 (en) Electronic rodent trap with voltage booster circuit for improved trap performance over the life of the battery
KR101404479B1 (ko) 리모콘 및 그 전력제어 방법
JP5510758B2 (ja) 誘導灯装置
JP6748958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9133777A (ja) 点灯装置、点滅装置及び非常用装置
US8727971B2 (en) Light-source driver for portable endoscope
EP3125686B1 (en) Electronic ice jig with flashing light
JP2013021912A (ja) 電圧増倍回路
EP1765038A2 (en) Light assembly with rechargeable battery
CN106723748A (zh) 一种自发电照明的登山手杖
KR101887948B1 (ko) 직류전원 led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