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82B1 -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82B1
KR100658882B1 KR1020050123659A KR20050123659A KR100658882B1 KR 100658882 B1 KR100658882 B1 KR 100658882B1 KR 1020050123659 A KR1020050123659 A KR 1020050123659A KR 20050123659 A KR20050123659 A KR 20050123659A KR 100658882 B1 KR100658882 B1 KR 10065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upport
upper structure
superstructur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태
심송섭
이승무
이철희
김명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E02B17/024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shock absorbing means for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02B2017/0043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on a pre-installed foundation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02B2017/0047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using a b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초대형 구조물을 해상에서 설치할 경우 해상에서 작용하는 파랑에 의한 운송선의 운동으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자유운동에 민첩하게 대처할 수 있고, 장거리 운송시 구조물의 무게중심점을 낮출 수 있어 운송선의 복원안정성에 기여하며 구조물을 부두안벽에서 운송선으로 설치시 무게이동에 의한 단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구조물을 대형화 일체화 하여 설치함으로 해상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절감하고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시공성과 안정성이 뛰어난 해상 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해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상부구조물이 선적되어 있는 운송선을 위치시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높이조절부 및 운송선의 흘수변화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한편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연결부위에 구조물충격흡수부를 제공하여 상,하구조물의 결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부 측면으로 선박충격흡수를 설치하여 운송선의 진입시 운송선에 의한 하부구조물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흘수, 운송선, 상부구조물, 하부구조물, 높이조절부, 구조물충격흡수부, 선박충격흡수부, 유압장치

Description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Hydraulic load tranfer system to install an offshor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운송선을 이용한 상부구조물의 이송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구조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구조물의 선적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충격흡수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a 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충격흡부의 결합하여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충격흡수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a 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충격흡수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송선 (11) : 바닥지지대
(20) : 상부구조물 (30) : 하부구조물
(40) : 높이조절부 (41) : 하부받침블록
(41a) : 삽입부 (42) : 유압장치
(43) : 상부이동받침부 (44) : 가이드부
(45) : 상부판 (46) : 지지부
(47) ; 수평하중지지부 (48) : 수직하중지지부
(50) : 구조물충격흡수부 (51) : 설치홈
(52) : 링압소버 (53) : 패드압소버
(54) : 받침부 (55) : 삽입홈
(56) : 끼움부 (60) : 선박충격흡수부
(61) : 지지대 (62) : 범퍼패드
(63) : 충격흡수판 (70) : 육상운반로
(71) : 스트랜드잭 (72) : 선적브릿지
(73) : 부두안벽 (80) : 예인선
(81) : 예인삭 (82) : 선수정박삭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선박에 적재된 상부구 조물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하부구조물에 상부구조물을 설치하는 한편 선박에 해수를 주입하거나 배수하여 선박의 흘수변화시켜 해상에 미리 설치된 하부구조물에 상부구조물을 충격없이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선박과 하부구조물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이 닿는 부분에 충격흡수를 설치하여 보다 안전하게 해상에서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해상 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해상구조물 설치공법으로는 해상기중기(Floating Crane)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해상에서 권양하여 설치하는 해상권양공법(Offshore Heavy Lifting Method)을 사용하여 왔다. 특히 해상에서의 권양설치는 구조물의 제작중량이 해상기중기선의 권양능력(Lifting Capacity)에 제한됨에 따라 구조물을 분리제작하거나 상부설비중 일부중량을 떼어내어 별도탑재하는데, 이때 분리제작된 구조물 또는 상부설비를 별도 제작, 운송, 탑재하여야하므로 해상설치기간과 구조물 및 상부설비의 연결(Hook-Up), 시운전(Commissioning)등의 해상작업기간이 소요되어 경제성뿐만 아니라, 해상에서의 연결 및 시운전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 및 능률의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초대형구조물(통상적으로 5,000톤 이상)을 권양할 수 있는 해상기중기선의 숫자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비용측면이나 공사일정을 해상기중기선 동원이 가능한 날짜에 맞추어야 하므로 공사일정의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초대형 구조물을 해상에서 설치할 경우 해상에서 작용하는 파랑에 의한 운송선의 운동으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자유운동에 민첩하게 대처할 수 있고, 장거리 운송시 구조물의 무게중심점을 낮출 수 있어 운송선의 복원안정성에 기여하며 구조물을 부두안벽에서 운송선으로 설치시 무게이동에 의한 단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구조물을 대형화 일체화 하여 설치함으로 해상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절감하고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시공성과 안정성이 뛰어난 해상 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압장치를 구비한 이동받침대 위에서 미리 지상제작이 완료된 상부구조물을 운송선으로 선적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구조물이 선적된 운송선을 이송시켜 해상이 미리 설치된 하부구조물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유압장치를 하강하여 상부구조물이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되, 이때 상부구조물 중량의 일부분만이 하부구조물에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운송선과 상부구조물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송선에 해수를 주입하여 운송선을 하강시키는 한편 상기 유압장치를 상승시켜 하부구조물에 전달되는 상부구조물의 중량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유압장치를 하강시켜 상부구조물의 나머지 하중이 하부구조물로 완전히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하 부구조물에 상부구조물의 설치 후 운송선을 하부구조물로부터 빠져나와 안전해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구조물을 운송선에 선적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부구조물을 스트랜드잭을 이용하여 육상운반로를 통해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부구조물을 운송선에 선적하되, 상부구조물의 선적에 의한 운송선과 부두안벽의 단차에 대응되도록 유압장치를 운송선의 흘수변화보다 높게 상승시켜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송선을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위치시킬 경우 운송선에서 선수정박삭을 바다에 미리 투묘하여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안전하게 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운송선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운송선을 이동시켜 해상에 미리 설치된 하부구조물 상에 상부구조물을 안착시켜주되,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설치높이를 조절해주는 높이조절부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구조물충격흡수부와, 상기 하부구조물의 내부에서 운송선이 고정되도록 하는 선박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상구조물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중심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부받침블록과, 상기 삽입부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유압장치와,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삽입부에 끼워지고 양단이 상기 유압장치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상부이동받침부와,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압장치의 하강시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조물충격흡수부는, 상부구조물의 하부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설치 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링압소버와, 상기 링압소버의 중심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콘 형상의 삽입홈이 구비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설치홈 사이에 설치되어 받침부가 설치홈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패드압소버 및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끼움부로 구성되며; 상기 선박충격흡수부는 하부구조물의 상부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패드와, 상기 범퍼패드에 부착되어 선박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충격흡수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이동받침부는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삽입부에 끼워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유압장치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양측면으로 설치되어 상부이동받침대의 하강시 상부구조물의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수평하중지지부와,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부이동받침대의 하강시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지지해주는 수직하중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운송선을 이용한 상부구조물의 이송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육상에서 제조한 상부구조물(20)을 운송선(10)의 상부에 적재하고 상기 운송선(10)의 전방과 후방에 예인삭(81)으로 연결되 는 예인선(80)을 이용하여 운송선(10)을 미리 해상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구조물(30)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상부구조물(20)을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운송선(10)에서는 선수정박삭(82)을 미리 바다에 투묘하여 운송선(10)이 하부구조물(30)의 상부로 안전하게 진입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구조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운송선(10)의 상부에 바닥지지대(11)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지지대(11)의 상부에 상부구조물(20)이 안착되되, 상기 상부구조물(20)을 지상에서 생산시 유압장치(42)가 구비된 높이조절부(40) 상에 받쳐지도록 제작되어 바닥지지대(11)에 안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구조물(20)이 선적된 운송선(10)은 해상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구조물(30)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구조물(20)과 하부구조물(30)의 결합하고자 하는 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20)을 지지하고 있는 높이조절부(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운송선(10)이 하부구조물(30)의 상부에 진입할 경우 운송선(10)의 자유운동으로 인해 상부구조물(20)과 하부구조물(30)이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구조물(30)의 상부 내측면으로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하부구조물(30) 내로 진입하는 운송선(10)의 좌우 이동량을 최소화하고 운송선의 흔들림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해주는 선박충격흡수부(6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구조물(30)의 상부 내측으로 운송선(10)이 진입하여 상구구조물(20)과 하부구조물(30)의 연결되는 축이 수직선상에 위치하면, 상기 높이조절부(40)를 1차 하강하여 상부구조물(20)이 하부구조물(3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20)의 자중은 하부구조물(30)에 절반가량 가해지도록 높이조절부(40)의 하강 높이를 조절해준다.
상기와 같이 상부구조물(20)의 하중이 절반가량 전달되도록 하부구조물(30)의 상부에 안착되면 나머지 상부구조물(20)의 하중을 하부구조물(30)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운송선(10)에 해수를 주입하면서 높이조절부(40)를 다시 상승시킨다. 이때 운송선(10)에 주입되는 해수량은 상부구조물(20)의 하중전달이 완료된 후 운송선(10)의 흘수변화로 인해 상부구조물(20)과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수를 주입하여야 한다.
해수의 주입 및 높이조절부(40)의 상승이 완료되면, 나머지 상부구조물(20)의 하중을 하부구조물(30)로 전달하기 위하여 높이조절부(40)를 하강시킨다. 이때 하강속도를 빠르게 하여 하중전달 중에 운송선(10)의 자유운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부구조물(20)과의 충돌을 최소화 한다.
상기 상부구조물(20)의 하중이 운송선(10)으로부터 하부구조물(30)로 완전히 전달되고 운송선(10)이 상부구조물(20)과 충분히 이격되면, 예인선(80)을 이용하여 신속히 하부구조물(30)로부터 빠져나와 안전한 해역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상부구조물(20)의 하부와 하부구조물(30)의 상부 결합면에는 구조물충격흡수부(50)가 구비되어 있어, 상부구조물(20)과 하부구조물(30)의 상호 결합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구조물의 선적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육상에서 설치되어 있는 높이조절부(40) 위에서 상부구조물(20)을 제작한다. 또한 상기 상부구조물(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부두안벽(73)까지 육상운반로(70)를 설치해 놓으며, 부두안벽(73)과 운송선(10)은 선적브릿지(72)를 통해 연결해 놓는다.
이렇게 육상에서 상부구조물(20)의 제조가 끝나고 상부구조물(20)의 선적이 용이하도록 육상운반로(70) 및 선적브릿지(72)의 설치가 완료되면 스트랜드잭(71)을 이용하여 상부구조물(20)을 육상분반로(70)를 통해 운송선(10)으로 이동시켜 선적시킨다.
이때 상부구조물(20)의 무게이동에 의한 운송선(10)의 흘수변화로 발생되는 부두안벽(73)과 운송선(10)의 단차를 극복하고 높이조절부(40)에 작용하는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높이조절부(40)의 유압장치(42)를 상승시켜 미리 설정된 하중값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운송선(10)은 상부구조물(2) 하중의 증가 및 하중중심의 이동량에 맞추어 해수를 주입, 배출하여 운송선(10)의 수평을 유지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높이조절부(40)는 중심부에 삽입부(41a)가 형성되는 하부받침블록(41)과, 상기 하부받침블록(41)의 삽입부(41a)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부구조물(20)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유압장치(42)와, 상기 하부받침블록(41)의 삽입부(41a)에 끼워지고 양단이 상기 유압장치(42)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구조물(20)을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상부이동받침부(43)와, 상기 하부받침블록(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압장치(42)의 하강시 상부구조물(20)을 받 쳐주는 지지부(46)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이동받침부(43)는 상기 하부받침블록(41)의 삽입부(41a)에 끼워지는 가이드부(44)와 상기 가이드부(44)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유압장치(42)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45)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이동받침부(43)는 유압장치(42)에 의해 상부판(45)이 상승되고 상기 상부판(45)과 연결되는 가이드부(44)가 삽입부(41a) 내부에서 상하로 가이드 되면서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구조물(20)의 높이를 조절해 주게 된다.
상기 지지부(46)는 상기 하부받침블록(41)의 양측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압장치(42)의 하강에 의해 상부이동받침부(43)가 하강할 경우 상부구조물(20)의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수평하중지지부(47)와, 상기 하부받침블록(41)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유압장치(42)의 하강시 상부구조물(20)의 수직하중을 지지해주는 수직하중지지부(4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높이조절부(40)에 의해 상부구조물(20)을 운송선(10)을 이용하여 해상운반 할 경우 상부구조물(20)의 하중을 유압장치(42)를 이용하여 계속 상승시켜 놓는 것이 아니라 유압장치(42)를 하강하여 높이조절부(40)의 하부받침블록(41)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부(46)를 통해 하부받침블록(41)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부구조물(2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로 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충격흡수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구조 물충격흡수는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구조물충격흡수부(50)는 상기 하부구조물(30)과 결합되고자 하는 상부구조물(20) 축의 하부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설치홈(51)과, 상기 설치홈(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20)과 하부구조물(30)의 결합시 완충작용을 하는 링압소버(52)와, 상기 링압소버(52)의 중심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콘 형상의 삽입홈(55)이 구비되는 받침부(54)와, 상기 받침부(54)와 설치홈(51) 사이에 설치되어 받침부(54)가 설치홈(51)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패드압소버(53)와, 상기 하부구조물(30)의 연결하고자 하는 축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54)의 삽입홈(55)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콘 형상의 끼움부(5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링압소버(52)는 상부구조물(20) 하중의 절반가량이 하부구조물(30)로 전달되면 완전히 압축되어 상기 설치홈(51)이 하부구조물(30)의 상단부와 접촉하게 되며 상부구조물의 하중은 설치홈(51)을 통해 하부구조물(30)에 의해서 전달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충격흡수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선박충격흡수부(60)는 하부구조물(30)의 상부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에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해주는 범퍼패드(62)와, 상기 범퍼패드(62)에 부착되어 운송선(10)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충격흡수판(6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박충격흡수부(60)는 하부구조물(30)의 상부내측으로 진입하는 운송선(10)의 자유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흡수해주는 것이다. 또한 운송선(10)의 상하운동 및 흘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대(61)와 범퍼패드(62)는 하부구조물(30)의 높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범퍼패드(62)를 충격흡수판(63)으로 연결해줌으로써 선박의 흘수가 변화할 경우에도 선박의 양측면부를 가이드하면서 지지해주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61)는 운송선(10)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하부구조물(30)에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상부구조물을 육상에서 운송선으로 선적시 무게이동에 의한 안벽과 운송선간에 발생하는 단차를 유압장치의 승강으로 보정하여 상부구조물에 부가적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방지하며, 해상 운송시 운송선의 자유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관성력을 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운송선으로 전달하여 운송선에 작용하는 응력분포를 균일하게 하며, 해상 설치시 작용하는 파랑에 의한 운송선의 운동으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자유운동에 민첩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유압장치의 용량만 증가시키면 구조물의 중량 에 관계없이 일체화된 초대형 구조물의 해상설치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대단히 크고, 보유 대수가 제한되어 있는 고가의 초대형 해상기중기선(Floating Crane Vessel)을 사용하여 권양설치하는 것 보다 공기면에서 훨씬 유리하고, 분리탑재 및 연결(Hook-Up), 시운전(Commissioning)등의 해상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과 작업의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향후 초대형 구조물 설치시 국내외의 관련 해양건설업계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유압장치를 구비한 이동받침대 위에서 미리 지상제작이 완료된 상부구조물을 운송선으로 선적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구조물이 선적된 운송선을 이송시켜 해상이 미리 설치된 하부구조물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유압장치를 하강하여 상부구조물이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되, 이때 상부구조물 중량의 일부분만이 하부구조물에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운송선과 상부구조물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송선에 해수를 주입하여 운송선을 하강시키는 한편 상기 유압장치를 상승시켜 하부구조물에 전달되는 상부구조물의 중량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유압장치를 하강시켜 상부구조물의 나머지 하중이 하부구조물로 완전히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하부구조물에 상부구조물의 설치 후 운송선을 하부구조물로부터 빠져나와 안전해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을 운송선에 선적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부구조물을 스트랜 드잭을 이용하여 육상운반로를 통해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부구조물을 운송선에 선적하되, 상부구조물의 선적에 의한 운송선과 부두안벽의 단차에 대응되도록 유압장치를 운송선의 흘수변화보다 높게 상승시켜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선을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위치시킬 경우 운송선에서 선수정박삭을 바다에 미리 투묘하여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안전하게 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4. 운송선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운송선을 이동시켜 해상에 미리 설치된 하부구조물 상에 상부구조물을 안착시켜주되,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설치높이를 조절해주는 높이조절부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구조물충격흡수부와, 상기 하부구조물의 내부에서 운송선이 고정되도록 하는 선박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상구조물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중심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부받침블록과, 상기 삽입부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유압장치와,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삽입부에 끼워지고 양단이 상기 유압장치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구 조물을 받쳐주는 상부이동받침부와,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압장치의 하강시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조물충격흡수부는, 상부구조물의 하부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링압소버와, 상기 링압소버의 중심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콘 형상의 삽입홈이 구비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설치홈 사이에 설치되어 받침부가 설치홈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패드압소버 및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끼움부로 구성되며;
    상기 선박충격흡수부는 하부구조물의 상부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패드와, 상기 범퍼패드에 부착되어 선박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충격흡수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 설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받침부는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삽입부에 끼워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유압장치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양측면으로 설치되어 상부이동받침대의 하강시 상부구조물의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수평하중지지부와, 상기 하부받침블록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부이동받침대의 하강시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지지해주는 수직하중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 설치장치.
KR1020050123659A 2005-12-15 2005-12-15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 KR10065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659A KR100658882B1 (ko) 2005-12-15 2005-12-15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659A KR100658882B1 (ko) 2005-12-15 2005-12-15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882B1 true KR100658882B1 (ko) 2006-12-15

Family

ID=3773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659A KR100658882B1 (ko) 2005-12-15 2005-12-15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8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69B1 (ko) * 2009-10-21 2010-01-06 은광산업 주식회사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드릴링 데릭의 제조 방법
KR100935368B1 (ko) 2009-10-21 2010-01-06 은광산업 주식회사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드릴링 데릭의 제조 방법
KR20150049377A (ko) * 2013-10-30 2015-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심 플레이트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1759872B1 (ko) 2016-12-21 2017-07-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중량 해상구조물 설치용 유압식 높이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69B1 (ko) * 2009-10-21 2010-01-06 은광산업 주식회사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드릴링 데릭의 제조 방법
KR100935368B1 (ko) 2009-10-21 2010-01-06 은광산업 주식회사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드릴링 데릭의 제조 방법
KR20150049377A (ko) * 2013-10-30 2015-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심 플레이트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1634988B1 (ko) 2013-10-30 2016-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심 플레이트 설치를 위한 지지 장치 및 방법
KR101759872B1 (ko) 2016-12-21 2017-07-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중량 해상구조물 설치용 유압식 높이조절장치
US10584020B2 (en) 2016-12-21 2020-03-10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Hydraulic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installing ultra-heavy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201B1 (ko) 스키드 론칭시스템을 이용한 육상 선박 건조 및 진수방법
CN101356092B (zh) 系泊系统
US8312828B2 (en) Preloading to reduce loads and save steel on topsides and grillage of catamaran systems
KR100623202B1 (ko) 대형 구조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0770737B1 (ko) 육상건조선박의 수평이송 진수방법
KR100934930B1 (ko) 측부에 튜브가 설치된 선박
KR100658882B1 (ko) 해상구조물 설치공법 및 그 장치
JP2010234980A (ja) 固定用着底部材、緊張係留浮体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075160B1 (ko) 분할 건조 방식을 이용한 선박 진수 방법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CN102337736A (zh) 海洋石油平台上部模块的安装工艺
CN104781140A (zh) 系泊船只的方法和实现这种方法的布置
CN104032718A (zh) 一种轻型、具有自浮功能、并可人力架设的高架结构
EP1060982A2 (en) Installation of decks on offshore substructures
US20090148241A1 (en) Removal of platforms at sea
CN102271993B (zh) 起重系统
CN213862601U (zh) 一种用于半潜驳运输大型构件的橡胶支墩系统
KR200445680Y1 (ko) 해상운송용 선박의 선박블록 지지장치
EP3601141A1 (en) A lifting device
EA003842B1 (ru)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TWI702327B (zh) 海港設施以及在該海港設施停泊浮體的方法
KR102309460B1 (ko) 항만 플랜트 및 항만 플랜트에 플로팅 바디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CN104420453A (zh) 一种自升式钻井平台悬臂梁整体合拢方法
EP3693513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decommissioning an offshore platform
CN215554001U (zh) 一种海上工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