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126B1 - 복수기 - Google Patents

복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126B1
KR100658126B1 KR1020040059703A KR20040059703A KR100658126B1 KR 100658126 B1 KR100658126 B1 KR 100658126B1 KR 1020040059703 A KR1020040059703 A KR 1020040059703A KR 20040059703 A KR20040059703 A KR 20040059703A KR 100658126 B1 KR100658126 B1 KR 10065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roup
group
condensable gas
extraction duct
gas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712A (ko
Inventor
시미즈야스시
가와노순지
후키유지
이와타요시히로
후카사와유이치
모치다요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1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1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xtracting, cooling, and removing non-condensabl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2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water or other liquid as the cool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고, 냉각수가 먼저 흐르는 상류측의 상부 관 그룹(51)의 U자의 중앙 이음 부분 위에 위치하도록,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관 그룹 사이의 전열관이 배열되지 않은 부분에는,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좌우 양측의 위치가 되도록, 증기 유통 방지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전열관, 냉각수, 가스 추출, 덕트, 증기 유통.

Description

복수기{CONDENS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復水器)의 관 그룹부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증기 유통 방지판의 위치와 열관류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관 그룹부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관 그룹부의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관 그룹부의 단면 개략도.
도 6은 종래의 복수기의 정면측의 단면 개략도.
도 7은 종래의 복수기의 측면측의 단면 개략도.
도 8은 종래의 2 패스 복수기의 관 그룹부의 단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2 : 증기 터빈
3 : 관 그룹
4 : 지지판
5 : 관판(官板)
6 : 수실(水室)
7 : 냉각수 입구
8 : 냉각수 출구
9 : 저수통
10 : 가스 냉각부
11 : 가스 추출 덕트
31, 51, 61, 71, 81 : 상부 관 그룹
32, 52, 62, 72, 82 : 하부 관 그룹
53 : 증기 유통 방지판
54 : 증기 통로 방지판
본 발명은 발전 플랜트 등에 설치되어 증기 터빈 배기(排氣)를 응축시키는 복수기(復水器)에 관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복수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각각 복수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복수기는 거의 각형(角形)의 매우 큰 하우징(condenser shell)(1)을 갖고, 이 하우징(1)의 상부에는 증기 터빈(2)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열관(condenser tube)이 수납되어 큰 관 그룹(tube bundle)(3)을 구성하고 있다.
이 관 그룹(3)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된 지지판(tube support plate)(4)에 의해서 지지되고, 전열관 양단부에는 관판(condenser tube plate)(5)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관판(5)에는 수실(condenser water box)(6)이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실(6)에는 냉각 매체(통상은 해수나 냉각탑수 등의 냉각수가 사용된다)의 전열관 안으로의 출입구(7, 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복수기에는, 증기 터빈(2)으로부터 하우징(1)을 향하여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처럼 흐르는 증기는, 수실(6)을 거쳐 전열관 그룹(3) 내를 통과하는 냉각수(circulating water)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고, 증기는 그 잠열(潛熱)을 빼앗겨 응축하여 하우징(1)의 바닥부에 있는 저수통(hot well)(9)에 모아진다. 또한, 열을 흡수한 냉각수는 전열관의 타단의 수실(6)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증기는 관 그룹(3)을 통과하는 사이에 냉각수에 잠열을 빼앗겨 점차 응축하지만, 그때 증기 중에 포함되는 불응축 가스의 농도가 점차 상승하므로, 불응축 가스 농도가 높은 증기를 가스 냉각부(air cooling zone)(1O)에 인도하여, 여기서 다시 증기를 응축시키고, 불응축 가스의 농도를 가능한 한 높인 뒤에,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통하여, 가스 추출 장치(air ejector)(도시 생략)에 의해서 복수기 밖으로 추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복수기에서의 기술상의 과제와 종래의 복수기의 과제에 대한 해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기에서는 증기와 냉각수의 온도 차에 의해서 증기의 응축이 진행된다. 응축할 때의 증기의 온도는, 응축면에서의 증기의 분압(分壓)에 대한 포화 온도가 된다. 그러나, 증기의 분압은 대략적으로 두 가지 요인으로 저하되고, 그에 따른 온도 차의 감소에 의해서 응축 성능(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 하나는 증기의 유동에 수반하는 압력 손실이며, 다른 하나는 증기 중에 혼입되어 있는 불응축 가스의 농축에 의한 불응축 가스 분압의 증대이다.
따라서, 복수기에서는 압력 손실의 저감과, 불응축 가스의 체류를 방지하는 것이 성능 향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증기 터빈의 배기 압력은, 복수기의 압력 손실 및 복수기 내의 불응축 가스 농도와 관계되어 있다. 증기 터빈의 배기 압력은, 증기가 응축되는 복수기 관 그룹에서의 압력에, 복수기에서의 증기의 압력 손실을 더한 압력이 된다. 따라서, 복수기에서의 증기의 압력 손실이 큰 경우, 증기의 터빈 배기 압력이 높아지고, 터빈 출력이 내려가서 발전 효율이 나빠진다. 이와 같이, 복수기 내의 증기의 압력 손실을 낮게 억제하는 것과, 전열관 그룹 안으로 증기를 체류시키지 않고 순조롭게 가스 냉각부로 인도하는 것은, 복수기의 성능 지표로서 중요한 기술상의 과제로 되어 있다.
종래의 복수기에서는, 이러한 과제에 대해서 주로 두 가지의 다른 형식으로 대응해 왔다. 그 하나는, 비교적 집중해서 배열한 전열관 그룹의 주위에 충분히 넓은 증기 통로 공간을 설치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8-226776호 공보 참조).
다른 하나는, 넓은 범위에 걸쳐서 전체로서 드문드문하게 배열된 관 그룹 중에 증기의 통로를 충분히 설치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소공 55-36915호 공보 참조).
이들 형식 중, 전자(前者)의 단점으로서는, 주위의 증기 통로 공간을 넓게 잡으면 복수기 전체가 커지는 것과, 증기가 가스 냉각부에 도달하기까지 전열관을 지나는 열수(列數)가 많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비교적 큰 것이다. 또한, 후자의 단점으로서는, 관 그룹 내의 증기가 가스 냉각부에 도달하는 경로가 복잡하기 때문에, 관 그룹 중에 증기의 체류 영역이 생기기 쉬운 것이다.
상기의 도 6, 7에 나타낸 복수기는, 냉각수가 한쪽 수실(6)로부터 유입되어 다른 쪽 수실(6)로 유출하는 1 패스 형식이지만, 한쪽 수실에 냉각수 입구, 출구를 구비하고, 다른 쪽의 수실에서 냉각수가 반환되는 2 패스 형식의 복수기도 일반적이다.
도 8은, 상하로 관 그룹을 분할한 2 패스 형식의 복수기의 일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복수기에서는, 상부에 설치된 상부 관 그룹(31)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고, 하부에 설치된 하부 관 그룹(32)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출하든지, 그 역으로, 하부 관 그룹(32)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고, 상부 관 그룹(31)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관 그룹은 칸막이 판(33)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153569호 공보 참조).
이러한 2 패스 복수기에서는, 관 그룹을 2 분할함으로써 관 그룹이 1 개인 경우보다도, 관 그룹 가장 외주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관 그룹으로 유입되는 증기 속도가 저감된다. 그 때문에, 관 그룹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 손실이 억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관 그룹을 2 분할함으로써 가스 냉각부(10) 및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가, 각각의 관 그룹에 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 제조 비용도 증대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증기 압력 손실의 증대 및 불응축 가스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열교환 성능이 양호한 복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복수기는, 전열관을 다수 배열하여 형성한 관 그룹을, 외부와 격절(隔絶)하는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상기 전열관 내에 냉각 매체를 유통시켜, 상기 하우징 내에 도입한 증기 터빈 배기를 상기 전열관 외표면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로서, 상기 관 그룹은 상부 관 그룹과 그 상부 관 그룹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관 그룹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 내의 상기 전열관 내와 상기 하부 관 그룹 내의 상기 전열관 내에서 상기 냉각 매체가 각각 역방향으로 유통하도록 구성된 반환 2 패스 구성의 복수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 그룹과 상기 하부 관 그룹 중, 상기 냉각 매체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한쪽 관 그룹에만, 또한 해당 관 그룹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과 상기 하부 관 그룹 사이의 상기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하단이 상기 상부 관 그룹 및 상기 하부 관 그룹까지 도 달하는 증기 유통 방지판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기는, 전열관을 다수 배열하여 형성한 관 그룹을, 외부와 격절(隔絶)하는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상기 전열관 내에 냉각 매체를 유통시켜, 상기 하우징 내에 도입한 증기 터빈 배기를 상기 전열관 외표면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로서, 상기 관 그룹은 상부 관 그룹과 그 상부 관 그룹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관 그룹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 내의 상기 전열관 내와 상기 하부 관 그룹 내의 상기 전열관 내로 상기 냉각 매체가 각각 역방향으로 유통되도록 구성된 반환 2 패스 구성의 복수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 그룹과 상기 하부 관 그룹 중, 냉각 매체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관 그룹에만, 해당 관 그룹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이 되고, 개구부가 해당 관 그룹의 중앙 방향을 향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과 상기 하부 관 그룹 사이의 상기 전열관이 배열되지 않은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의 상기 개구부의 위치에 대해서 좌우 양측의 위치가 되도록, 상하단이 상기 상부 관 그룹 및 상기 하부 관 그룹까지 도달하는 증기 유통 방지판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관 그룹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는 다수의 전열관을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된 관 그룹이, 상부 관 그룹(51)과, 이 상부 관 그룹(51)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관 그룹(52)으로 분할된 냉각수 2 패스 복수기이다. 냉각수는 상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51)의 각 전열관 내를 먼저 흐르고, 관 그룹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반환 수실(도시 생략)을 거쳐, 역방향으로 하부 관 그룹(패스 2 관 그룹)(52)의 각 전열관 내를 흐른다.
상기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이들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 중, 냉각수가 먼저 흐르는 상류측의 상부 관 그룹(51)에만,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는, 전체가 U자 모양으로 배열된 상부 관 그룹(51)의 U자의 중앙 이음 부분 위에 위치하도록, 즉 상부 관 그룹(5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고, 그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써, 아래쪽으로 개구부가 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관 그룹(51)과 하부 관 그룹(52) 사이의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그 수평 방향의 위치가 상술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좌우 양측이 되도록, 한쪽에 1매씩 합계 2매의 증기 유통 방지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증기 유통 방지판(53)은,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전열관의 양단부가 고정된 관판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의 단부는 상부 관 그룹(51)의 하단부 및 하부 관 그룹(52)의 상단부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대략 수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증기 유통 방지판(53)은, 도 1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좌우 양측의 상부 관 그룹(51)의 폭을 L, 상부 관 그룹(51)의 외측으로부터 증기 유통 방지판(53)까지의 거리를 a로 하여,
0.3 ≤ a/L ≤ 0.7
이 되는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a/L이 대략 0.5가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관 그룹(51)의 내부에는, 전열관을 배치하지 않고 공극(空隙)을 남기도록 해서 형성된 증기 통로(54)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관 그룹(51)의 내부로부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향하는 증기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관 그룹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복수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 내에 수용되고, 전열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된 지지판(4)에 의해서 유지되어 전열관 양단부에는 관판(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실시예의 복수기에서는, 냉각수 입구 쪽의 상부 관 그룹(51)에만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냉각수 2 패스 복수기에 비해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입구 쪽의 냉각수 온도가 낮은 상부 관 그룹(51)으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설치함으로써,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 내의 압력을 관 그룹 단면(斷面) 내에서 최저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증기는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향해 흐르므로, 증기 중에 농축되어 오는 불응축 가스가 관 그룹의 내부에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복수기에서는, 증기 유통 방지판(53)을 설치함으로써, 증기가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로 향하는 흐름의 방향을 한정할 수 있다. 즉, 가령 증기 유통 방지판(53)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부 관 그룹(51)과 하부 관 그룹(52)의 사이로부터도, 하부 관 그룹(52) 내로 증기가 유입되므로, 하부 관 그룹(52) 중에서, 위로부터의 증기류가 밑으로부터의 증기류와 부딪혀,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로의 흐름을 방해해 버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 유통 방지판(5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관 그룹(51)과 하부 관 그룹(52)의 사이로부터 유입하고자 하는 증기는 이 증기 유통 방지판(53)에 의해서 차단되므로, 하부 관 그룹(52) 중에서 위로부터의 증기류가 생기는 것이 억제되고, 하부 관 그룹(52)을 통과한 증기는 상향으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향하여 흐르기 쉽게 되고, 불응축 가스가 하부 관 그룹(52)의 내부에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기 유통 방지판(53)의 상하단(上下端)이, 상부 관 그룹(51)의 하단 및 하부 관 그룹(52)의 상단까지 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로 향하는 증기는 반드시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을 통과하고, 증기가 직접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향해 흐르는 소위 쇼트 패스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종축을 열관류율(熱貫流率)로 하고, 횡축을 전술한 L에 대한 a의 비, 즉 a/L의 값으로 하여, a/L과 열관류율의 관계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a/L의 값이 대략 0.5, 즉 증기 유통 방지판(53)의 위치를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좌우의 관 그룹의 폭의 대략 중앙으로 한 경우에 열관류율이 최대가 되고, a/L의 값을 0.3 ≤ a/L ≤ 0.7의 범위로 함으로써, 열관류율의 저하를 억제하여 열교환 성능이 높은 복수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증기 유통 방지판(53)의 수평 방향의 위치에 의해서 열관류율이 변화하는 것은, 증기 유통 방지판(53)을 관 그룹의 외측 근처에 모이게 배치한 경우도, 증기 유통 방지판(53)을 관 그룹의 내측 근처에 모이게 배치한 경우도, 상부 관 그룹(51) 또는 하부 관 그룹(52)을 근소하게 통과했을 뿐인 증기류가 상하관 그룹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로 향해 흐르는 쇼트 패스가 발생하기 쉽게 되고,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하부쪽의 상하 관 그룹사이의 압력이 하부 관 그룹(52)의 내부의 압력에 비해서 높아지고, 하부 관 그룹(52)을 통과하는 증기의 흐름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가, 상부 관 그룹(51)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좌우로부터 관 그룹으로 유입되는 증기는 균등한 유량으로 중앙에서 합류하여,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 내로 유출한다. 이에 따라, 관 그룹 내의 증기의 압력 손실이 작게 억제되는 동시 에, 불응축 가스가 관 그룹 내에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관 그룹(51)의 U자 중앙 이음 부분에, 상기의 폭 방향의 종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의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그 개구부가 하향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밑에 위치하는 상부 관 그룹(51)은 가스 냉각부로서 기능한다. 동시에,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을 U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으로의 증기 유입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증기 유입 속도를 작게 할 수 있고, 상부 관 그룹(51) 및 하부 관 그룹(52)의 관 그룹 내의 증기 흐름의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개구부가 하향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응축액이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 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상부 관 그룹(51) 내에서는, 증기는 좌우의 관 그룹 내를 하방으로 흘러,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와 증기 유통 방지판(53)의 사이를 거쳐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 밑의 관 그룹에서 더 냉각되어,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로 배출된다. 이 때, 증기 유통 방지판(53)의 위치가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로부터 적당하게 떨어져 있으므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와 증기 유통 방지판(53)의 사이에서 쓸데없는 압력 손실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하부 관 그룹(52)을 거쳐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로 흐르는 증기류는, 좌우의 증기 유통 방 지판(53)의 사이를 통과하지만, 증기 유통 방지판(53)끼리 적당하게 떨어져 있으므로, 여기를 통과하는 흐름이 쓸데없는 압력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관 그룹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관 그룹(61)과, 이 상부 관 그룹(61)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관 그룹(62)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수 2 패스 복수기이다. 냉각수는 하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62)의 각 전열관 내를 먼저 흘러, 관 그룹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반환 수실(도시 생략)을 거쳐 역방향으로 상부 관 그룹(패스 2 관 그룹)(61)의 각 전열관 내를 흐른다. 또한, 이들 상부 관 그룹(61) 및 하부 관 그룹(62) 중, 냉각수가 먼저 흐르는 상류측의 하부 관 그룹(62)에만,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는, 전체가 U자 모양으로 배열된 하부 관 그룹(62)의 U자의 중앙 이음 부분 상방에 위치하도록, 즉 하부 관 그룹(6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고, 그 폭 방향의 종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 아래쪽으로 개구부가 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관 그룹(61)과 하부 관 그룹(62) 사이의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합계 2매의 증기 유통 방지판(5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증기 유통 방지판(53)은, 도 3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관 그룹(61) 및 하부 관 그룹(6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좌우 양측의 하부 관 그룹(62)의 폭을 L, 하부 관 그룹(62) 외측으로부터 증기 유통 방지판(53)까지의 거리를 a로 하여,
0.3 ≤ a/L ≤ 0.7
이 되는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a/L이 대략 0.5가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 관 그룹(61)의 내부에는, 전열관을 배치하지 않고 공극을 남기도록 하여 형성된 증기 통로(54)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관 그룹(61)의 내부로부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향하는 증기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이런 실시예에서는, 하부 관 그룹(62)이 냉각수 입구 쪽(패스 1 관 그룹)이 되어 있는 점이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형태와 다르지만, 이 냉각수 입구 쪽의 하부 관 그룹(62) 내에만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관 그룹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냉각수가 상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71)의 각 전열관 내를 먼저 흘러, 관 그룹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되어 반환 수실(도시 생략)을 거쳐, 역방향으로 하부 관 그룹(패스 2 관 그룹)(72)의 각 전열관 내를 흐른다. 또한, 상하관 그룹의 사이에는, 전술한 제 1,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우 양측으로 각 1매, 합계 2매의 증기 유통 방 지판(53)이 설치되어 있다.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는, 상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71) 및 하부 관 그룹(패스 2 관 그룹)(7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수직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는, 냉각수 입구 쪽인 상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71) 내의 하부의 관 그룹 폭 방향(상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7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그 개구부가 관 그룹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개구부에는 가스 냉각부(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상면과 상부 관 그룹(71) 사이는 큰 간극을 둘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2매의 증기 유통 방지판(53)은,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개구부의 위치에 대해서 좌우 양측의 위치가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이 실시예에서는, 냉각수 입구 쪽인 상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에만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냉각수 2 패스 복수기에 비해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입구 쪽의 냉각수 온도가 낮은 상부 관 그룹(71)에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설치함으로써,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 내의 압력을 관 그룹 단면 내에서 최저값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는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향해 흐르므로, 증기 중에 농축되어 오는 불응축 가스가, 관 그룹의 내부에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수기에서는, 증기 유통 방지판(53)을 설치함으로써, 증기가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향하는 흐름의 방향을 한정할 수 있고, 전술한 것처럼 증기가 직접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를 향해 흐르는 쇼트 패스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가 상부 관 그룹(71)의 상기한 관 그룹 폭 방향의 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이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로부터 불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배관을, 상하 방향으로 관 그룹 내를 통과시키지 않고, 가로 방향으로 꺼낼 수 있도록 배열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관 그룹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는, 전술한 제 3 실시예와는 반대로, 냉각수가 하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82)의 각 전열관 내를 먼저 흘러, 관 그룹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반환 수실(도시 생략)을 거쳐, 역방향으로 상부 관 그룹(패스 2 관 그룹)(81)의 각 전열관 내를 흐른다.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는, 상부 관 그룹(패스 2관 그룹)(81) 및 하부 관 그룹(패스 1관 그룹)(8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수직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는, 냉각수 입구 쪽인 하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82) 내의 상부의 관 그룹 폭 방향(하부 관 그룹(패스 1 관 그룹)(8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개구부가 관 그룹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11)의 하면과 하부 관 그룹(82) 사이는 큰 간극을 두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증기 압력 손실의 증대 및 불응축 가스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열교환 성능이 양호한 복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전열관을 다수 배열하여 형성한 관 그룹을, 외부와 격절(隔絶)하는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상기 전열관 내에 냉각 매체를 유통시켜, 상기 하우징 내에 도입한 증기 터빈 배기를 상기 전열관 외표면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로서, 상기 관 그룹은, 상부 관 그룹과 그 상부 관 그룹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관 그룹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 내의 상기 전열관 내와 상기 하부 관 그룹 내의 상기 전열관 내로 상기 냉각 매체가 각각 역방향으로 유통되도록 구성된 반환 2 패스 구성의 복수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 그룹과 상기 하부 관 그룹 중, 상기 냉각 매체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관 그룹에만, 또한 해당 관 그룹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불(不)응축 가스 추출 덕트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과 상기 하부 관 그룹 사이의 상기 전열관이 배열되지 않은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하단(上下端)이 상기 상부 관 그룹 및 상기 하부 관 그룹까지 도달하는 증기 유통 방지판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復水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 그룹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의 좌우 양측의 관 그룹의 폭을 L, 해당 관 그룹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증기 유통 방지판까지의 거리를 a로 하여,
    0.3 ≤ a/L ≤ 0.7
    이 되는 위치에 상기 증기 유통 방지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 그룹이 상기 냉각 매체 상류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해당 상부 관 그룹의 상기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고, 해당 U자의 중앙 이음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가 위치하고, 해당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는, 상기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 되고, 개구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관 그룹이 상기 냉각 매체 상류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해당 하부 관 그룹의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고, 해당 U자의 중앙 개구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가 위치하고, 해당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는, 상기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 되고, 개구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열 설치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 그룹이 상기 냉각 매체 상류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해당 상부 관 그룹의 상기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고, 해당 U자의 중앙 이음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가 위치하고, 해당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는, 상기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 되고, 개구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관 그룹이 상기 냉각 매체 상류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해당 하부 관 그룹의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고, 해당 U자의 중앙 개구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가 위치하고, 해당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는, 상기 폭 방향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 되고, 개구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7. 전열관을 다수 배열해서 형성한 관 그룹을, 외부와 격절하는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상기 전열관 내에 냉각 매체를 유통시켜서 상기 하우징 내에 도입한 증기 터빈 배기를 상기 전열관 외표면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로서, 상기 관 그룹은, 상부 관 그룹과 그 상부 관 그룹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관 그룹으로부터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 내의 상기 전열관내와 상기 하부 관 그룹 내의 상기 전열관 내에서 상기 냉각 매체가 각각 역방향으로 유통하도록 구성된 반환 2 패스 구성의 복수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 그룹과 상기 하부 관 그룹 중, 냉각 매체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관 그룹에만, 해당 관 그룹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 되고, 개구부가 해당 관 그룹의 중앙 방향을 향한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과 상기 하부 관 그룹 사이의 상기 전열관이 배열되지 않은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의 상기 개구부의 위치에 대해서 좌우 양측의 위치가 되도록, 상하단이 상기 상부 관 그룹 및 상기 하부 관 그룹까지 도달하는 증기 유통 방지판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 그룹이 상기 냉각 매체의 상류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관 그룹의 상기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관 그룹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고, 해당 상부 관 그룹의 좌우 어느 한쪽의 아래쪽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관 그룹이 상기 냉각 매체 상류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 관 그룹의 상기 전열관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관 그룹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구성되고, 해당 하부 관 그룹의 좌우 어느 한쪽의 위쪽 부분에, 상기 불응축 가스 추출 덕트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KR1020040059703A 2003-07-30 2004-07-29 복수기 KR100658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3462 2003-07-30
JP2003203462A JP4230841B2 (ja) 2003-07-30 2003-07-30 復水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712A KR20050014712A (ko) 2005-02-07
KR100658126B1 true KR100658126B1 (ko) 2006-12-14

Family

ID=3353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703A KR100658126B1 (ko) 2003-07-30 2004-07-29 복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70694B2 (ko)
EP (1) EP1503162B1 (ko)
JP (1) JP4230841B2 (ko)
KR (1) KR100658126B1 (ko)
CN (1) CN100580360C (ko)
TW (1) TWI2645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2467B (en) * 2004-05-28 2008-01-11 Toshiba Kk Steam condenser
EP2010852A1 (en) * 2006-03-27 2009-01-07 Bharat Heavy Electricals Lilmited Steam condenser with two-pass tube nest layout
JP2015535712A (ja) 2012-09-28 2015-12-17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光学トロカール可視化システムおよび装置
CN104132558A (zh) * 2013-11-18 2014-11-05 成都科创佳思科技有限公司 不凝气体排放装置
DE112014006254T5 (de) * 2014-01-23 2016-10-13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Verflüssiger
US11357542B2 (en) 2019-06-21 2022-06-14 Covidien Lp Valve assembly and retainer for surgical access assembly
US11812991B2 (en) 2019-10-18 2023-11-14 Covidien Lp Seal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642153B2 (en) 2020-03-19 2023-05-09 Covidien Lp Instrument seal for surgical access assembly
US11541218B2 (en) 2020-03-20 2023-01-03 Covidien Lp Seal assembly for a surgical access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446058B2 (en) 2020-03-27 2022-09-20 Covidien Lp Fixture device for folding a seal member
US11717321B2 (en) 2020-04-24 2023-08-08 Covidien Lp Access assembly with reten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8057A (en) * 1921-06-03 1926-03-23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Surface condenser
US1591769A (en) * 1921-06-03 1926-07-06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Surface condenser
US1578031A (en) * 1921-08-04 1926-03-23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ondenser
US1578032A (en) * 1921-08-04 1926-03-23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ondenser
US1764801A (en) * 1922-07-27 1930-06-17 Elliott Co Condenser
US1776020A (en) * 1925-04-15 1930-09-16 William S Elliott Condenser
US1780781A (en) * 1926-04-28 1930-11-04 Elliott Co Condenser
US2312113A (en) * 1942-02-21 1943-02-23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ondenser apparatus
US2848197A (en) * 1955-09-02 1958-08-19 Lummus Co Condenser
GB947915A (en) * 1959-12-15 1964-01-29 G & J Weir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eam condensers
JPS526804A (en) * 1975-07-05 1977-01-19 Hitachi Ltd H-shell water heater
JPS5327705A (en) * 1976-08-27 1978-03-15 Hitachi Ltd Multitube type heat exchanger
JPS53147103A (en) * 1977-05-27 1978-12-21 Hitachi Ltd Multitubular system heat exchager
JPS5468555A (en) * 1977-11-11 1979-06-01 Hitachi Ltd Multi tube type heat exchanger
CH628410A5 (de) * 1978-05-31 1982-02-26 Bbc Brown Boveri & Cie Speisewasservorwaermer.
JPS5536915A (en) 1978-09-04 1980-03-14 Hitachi Ltd Electronic circuit and its manufacturing
JPS5844198B2 (ja) * 1978-10-05 1983-10-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管式熱交換器
JPS5914682B2 (ja) * 1980-09-29 198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給水加熱器
JPS6014095A (ja) * 1983-05-27 1985-01-24 Mitsubishi Heavy Ind Ltd 復水器
JP3314599B2 (ja) 1994-12-02 2002-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凝縮装置及び発電プラント
EP0967451A1 (de) * 1998-06-24 1999-12-29 Asea Brown Boveri AG Dampfkondensator
JP3907894B2 (ja) 1999-11-30 2007-04-18 株式会社東芝 復水器
US6526755B1 (en) * 2001-05-07 2003-03-04 Joseph W. C. Harpster Condensers and their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712A (ko) 2005-02-07
EP1503162B1 (en) 2014-11-12
EP1503162A2 (en) 2005-02-02
JP4230841B2 (ja) 2009-02-25
CN100580360C (zh) 2010-01-13
JP2005048980A (ja) 2005-02-24
TWI264516B (en) 2006-10-21
US20050039891A1 (en) 2005-02-24
US7370694B2 (en) 2008-05-13
EP1503162A3 (en) 2010-08-11
TW200508559A (en) 2005-03-01
CN1584478A (zh)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126B1 (ko) 복수기
HU212653B (en) Steam condenser
KR100659421B1 (ko) 습분 분리기
KR100194778B1 (ko) 복수기
US4254825A (en) Multitubular heat exchanger
US8157898B2 (en) Condenser
JP2576292B2 (ja) 復水器及びそれを用いた発電プラント
KR100309960B1 (ko) 급수가열기
JP2008241211A (ja) 水平流入型復水器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3907894B2 (ja) 復水器
US4537248A (en) Air-cooled heat exchanger
US7481264B2 (en) Steam condenser
JP3314599B2 (ja) 凝縮装置及び発電プラント
JP4607664B2 (ja) 復水器
JP2021076315A (ja) 多管式復水器
US5794686A (en) Steam condenser
JPS631515B2 (ko)
RU2179289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SU954697A2 (ru) Регенеративный паровод ной подогреватель
MXPA01003357A (es) Condensador.
JPH09196507A (ja) 空調用熱交換器
CA1144150A (en) Air-cooled heat exchanger
JP6190231B2 (ja) 復水器
CN115900397A (zh) 一种带内置独立冷却器的汽水换热器及方法
JP2003254676A (ja) 復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