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458B1 -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 Google Patents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458B1
KR100656458B1 KR1020050003233A KR20050003233A KR100656458B1 KR 100656458 B1 KR100656458 B1 KR 100656458B1 KR 1020050003233 A KR1020050003233 A KR 1020050003233A KR 20050003233 A KR20050003233 A KR 20050003233A KR 100656458 B1 KR100656458 B1 KR 100656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water
hydrogel formulation
glycol
band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716A (ko
Inventor
김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Priority to KR102005000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45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semi-solid, e.g. an ointment, a gel, a hydrogel or a solidifying g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1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함유하는,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이 침적된 외상용 반창고 또는 붕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Hydrogel formulations for treating wounds}
본 발명은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hydrogel)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 창상, 외상, 욕창 및 피부 질환에 대하여 상처 치유, 살균, 흉터 방지 및 억제, 상처 회복 등의 효능을 갖는, 하이드로겔 제제,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이 침적된 외상용 반창고 또는 붕대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 성질을 띄는 제제로는, 캐나다 특허 제180 622호가 젤라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아민을 함유하는 제제를,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8 49 570호가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존재 하의 친수성 폴리(메트-)를 함유하는 제제를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30 31 304호는 이작용성 화합물들과 가교-결합된 친수성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기제로 하는 제제를 개시하였으며, 유럽특허 제0 099 758호는 합성 콜라겐 또는 알기네이트 및 기타 생중합체를, 유럽특허 제0 262 405호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폴리아크릴산/아크릴로일아미드 및 기타 아크릴아미드 유도체를, 유럽특허 제0 27 074호는 불포화, 카복시기 함유 다량체와 디-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의 공중합체를, 미합중국 특허 제3,249,109호 는 젤라틴, 물, 다가 알콜 및 펙틴을, 미합중국 특허 제4,243,656호는 흡수제, 젤라틴 및 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개시하였다. 나아가, 미합중국 특허 제4,930,500호는 물, 아크릴아미드 화합물과 비스 가교제의 반응 생성물 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합성 중합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은 상처 분비물을 흡수하는 과정이 불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미국특허 제4,930,500호에 개시된 하이드로겔은 상처 부위에 대한 붕대의 접착을 막거나 최소화하기 때문에 상처 삼출물 및 다른 신체 분비물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만족할만한 상처 치료효과를 거둘 수 없다. 또한, 상처로부터 붕대의 제거 시 하이드로겔 물질은 상처 치유 진행을 억제하지 못하고 갈갈이 부서진 잔류물들과 일부분의 겔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하이드로겔 제제에 비해 화상, 창상, 외상, 욕창 및 피부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상처 치유, 살균, 흉터 방지 및 억제, 상처 회복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하이드로겔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물,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배합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제제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효과들을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ⅰ) 물;
ⅱ)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ⅲ) 보습제로서 폴리올:
을 함유하는,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를 단독 또는 다른 천연, 반합성 또는 합성 고분자와의 배합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단독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또한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에 있어서, 물:수용성 고분자:폴리올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80:1∼50:3∼6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0:3∼30:5∼5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65:5∼20:10∼45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추가로 흡수촉진제, 부형제, 자극완화제, 약효보조제 및 pH 조정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화상, 창상, 외상, 욕창 또는 피부 질환에 대한 상처 치유, 살균, 흉터 방지 및 억제, 또는 상처 회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이 침적된 반창고 또는 붕대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물,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제, 및 임의로, 흡수촉진제, 부형제, 자극완화제, 약효보조제 및 pH 조정제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화상, 창상, 외상, 욕창 및 피부 질환에 대하여 상처 치유, 살균, 흉터 방지 및 억제, 상처 회복 등의 효능을 나타내는 하이드로겔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제 성분인 수용성 고분자로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사용한다. 이러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는 단독 또는 기타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또는 합성 고분자와의 배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천연 고분자로는 젤라틴,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콜라겐, 잔탄 고무, 아카시아 고무, 구아 고무, 카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한천,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간트, 카라야 고무, 펙틴, 녹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합성 고분자로는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가용성 녹말, 카복시메틸녹말 및 디알데히드녹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합성 고분자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용성 고분자에는 공지의 가교제 또는 중합제로 처리된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를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의 배합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하이드로겔 제제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이며, 상기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처방 및 비율에서는 특히 수분 함량의 유지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경피(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개선된다. 또한, 기제에 있어서의 끈적거림이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로부터 하이드로겔이 침적된 외상용 반창고(붕대)의 박리 시 통증을 완화시키고 기제가 피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처방에 따라 상기 재료를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 때, 보습제의 배합량은 하이드로겔 제제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 하게는 3 내지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중량%이다. 이러한 범위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제제는 적당한 습윤상태를 유지하고 냉각의 지속적인 유지 및 수분의 휘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이드로겔 제제에 필수불가결한 물(정제수)의 배합량은 제제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중량%이며, 이 배합비율 내에서 하이드로겔 제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흡수촉진제를 적당히 배합함으로써 경피에의 흡수촉진 또는 약효의 지속작용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기타의 정유, 또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릴에테르,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EO)소르비탄(상품명: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POE로 약칭함) 경화 피마자유, POE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POE노닐페닐에테르, POE라우릴에테르, POE(40)스테아레이트, POE(20)모노스테아레이트,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로마크로골 또는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글리세릴 모노라우릴에테르,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올리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크로타미톤 등 또는 기타 공지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상기의 계면활성제는 통상의 것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하이드로겔 제제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고, 이 비율에서 약효의 지속작용 등이 향상된 하이드로겔 제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필요에 따라 부형제, 용해보조제, 자극완화제, 약효보조제 및 pH 조정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먼저, 부형제로서, 고령토, 황토, 숯, 산화아연, 티탄, 활석, 벤토나이트 및 함수규산 알루미늄 등의 충진제; 티몰(thimol), 메틸파라벤, 염화벤즈알코늄 및 에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아스코르빈산, 스테아르산에스테르, 피로아황산나트륨, 에테르산이나트륨,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리솔 및 몰식자산에스테르 등의 항산화제;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의 유화제;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글리콜, 파라아미노벤조산메틸,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놀,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놀-5-술폰산 등의 자외선 흡수제;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마그네슘 등의 알카리토류금속, 칼리명반, 암모니아명반, 다가 금속염, 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아세트산알루미늄, 규산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 화합물, 수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아세트산마그네슘 등과 같은 마그네슘 화합물,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염화칼슘, 글루콘산칼슘, 칼슘 락테이트, 판토텐산칼슘 등의 칼슘 화합물,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화합물, 황산알루미늄 칼륨 또는 기타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과 같은 중금속을 함유하는 제산제, 포르말린, 글리옥사졸, 글루타르알데히드, 디알데히드녹말의 알데히드류,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 또는 중합제; 또는 폴리부텐, 천연 라텍스, 아세트산비닐 에멀젼 및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 등의 점착부여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종 부형제는 적당히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하이드로겔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로겔 제제의 피부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염산디펜히드라민, 탄닌산디펜히드라민, d1-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d-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등의 항히스타민제; 안렉사녹스, 이브시라스트, 아젤라스틴, 옥사토미드, 크로모글리크산나트륨, 타자노라스트, 테르페나딘, 토라니라스트, 푸마르산케토티펜, 레피리나스토 등의 항알레르기제, 또는 스테로이드제; 기타 글리틸리틴산, 글리틸레틴산, α, β, γ의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시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유도되는 화합물 등의 자극완화제를 적당히 배합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pH 조정제로서 구연산, 주석산, 말산, 숙신산의 유기산,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의 수용성 유기 아민류 등을 사용하여 제제의 pH를 4 내지 8,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5의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피부자극성의 완화, 기제의 안정성의 향상 또는 점착성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pH 조정제의 배합량은 pH의 농도에 따라 적당히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제제는 하이드로겔을 반창고 또는 붕대와 같은 기재 상에 침적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은 소정의 통기성 및 가요성(유연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다공성 재료를 사용한다. 다공성 재료는 비섬유성 또는 섬유성 다공성 재료로 나뉘는데, 비섬유성 다공성 재료로는 막질 필터(membrane filter), 발포체(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에틸렌, 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등), 각종 다공성 필름 및 메쉬(mesh)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섬유성 다공성 재료로는 직편물, 부직포, 종이류 및 단섬유의 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직편물이란 직포와 같은 직물이나 편물 또는 이것에 상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직물 조직은 실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모든 종류의 것, 예를 들면 평직, 사문직(斜文織) 및 주자직(朱子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편물 조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된 것은 없으며, 횡편(weft knit, 평면), 종편[warp knit, 트리콧(tricot)], 환편(round braid), 평직(flat braid) 및 메리야스 뜨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섬유의 충전밀도(부피밀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류도 통상의 종이재(서양종이, 일본종이) 또는 그 적충체 또는 각종 잡성종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섬유성 및 섬유성 다공성 재료를 구성하는 섬유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섬유, 면, 린터(linter), 카복(kapok), 아마, 대마, 모시(ramie), 큐프라(cupra), 아세테이트, 비닐론,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의 화학섬유 또는 이들 천연 및 화학섬유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혼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섬유의 굵기는 그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0.1 내지 5.0 데니어(denier) 정도인 것이 바람직 하다. 기재층의 두께는 그 재질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되지만, 통상은 0.05 내지 1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5 ㎜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제제는 예를 들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ⅰ) 계면활성제를 물(정제수)에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ⅱ) 수용성 고분자를 물(정제수)과 보습제로 용해 및 혼합분산한 후 필요에 따라 부형제 및 기타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균일한 연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ⅲ) 단계 ⅰ)의 혼합물에 단계 ⅱ)의 연합물을 첨가하여 균일한 연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ⅳ) 상기 연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기재층 위에 얇게 바른 후 그 위에 박리피복물을 붙이는 단계.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약제, 약효성분 또는 기타 성분을 배합하는 순서는 그 일례를 설명한데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의 제조방법이 상기 배합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2:
물,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부형제 및 기타 첨가제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정제수 70 68 57 55 46 46
폴리아크릴산나트륨 3 5 7 9 5 5
농-글리세린 25 25 35 34 38 38
주석산 0.6 0.6 0.2 0.2 0.2 0.2
카올린 10
젤라틴 10
건조수산화알루미늄겔 0.4 0.4 0.3 0.3 0.3 0.3
에데트산나트륨 0.4 0.4 0.3 0.3 0.3 0.3
폴리비닐알콜
산화티탄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소르베이트80 0.4 0.4 0.2 0.2 0.2 0.2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피로아황산나트륨 0.1
함량 단위: g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정제수 55 50 46 46 46 46
폴리아크릴산나트륨 6 5 5 5 5 5
농-글리세린 35 35 38 38 3.8 3.8
주석산 0.2 0.6 0.2 0.2 0.2 0.2
카올린 5
젤라틴 2.7 3 5 5 5
건조수산화알루미늄겔 0.4 0.3 0.3 0.3 0.3
에데트산나트륨 0.4 0.4 0.3 0.3 0.3 0.3
폴리비닐알콜 3 10 5
산화티탄
폴리비닐피롤리돈 2 5
폴리소르베이트80 0.4 0.6 0.2 0.2 0.2 0.2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3
피로아황산나트륨
함량 단위: g
계면활성제를 정제수에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제조하였다. 수용성 고분자를 정제수와 보습제로 용해 및 혼합분산시킨 후, 부형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 하여 균일한 연합물로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상기 연합물을 가하여 균일한 연합물을 제조하고, 얻어진 연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기재층(반창고 또는 붕대) 위에 얇게 바른 후 그 위에 박리피복물을 부착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얻은 제제의 색상, 투명도, 탄성, 점도 및 24 시간 동안의 수분흡수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번호 색상 투명도 탄성(dynes/㎠) 점도(cps) 수분흡수율(24 h) (중량%)
1 무색 투명 7.65×10⁴ 320 589
2 무색 투명 6.89×10⁴ 350 580
3 무색 투명 6.92×10⁴ 780 480
4 무색 투명 6.59×10⁴ 1,050 480
5 백색 불투명 6.96×10⁴ 1,230 390
6 담황색 불투명 5.43×10⁴ 1.130 425
7 담황색 불투명 5.97×10⁴ 1,500 450
8 담황색 불투명 6.04×10⁴ 1,750 220
9 담황색 불투명 6.40×10⁴ 1,430 220
10 담황색 불투명 5.77×10⁴ 1,380 200
11 담황색 불투명 5.93×10⁴ 2,450 195
12 담황색 불투명 5.46×10⁴ 1,950 207
상기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이 침적된 외상용 반창고(붕대)는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급속하게 상처 분비물을 흡수하며, 흡수 성능면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합성 중합체계의 시판 하이드로겔 보다 월등히 우수하다(시판 하이드로겔의 수분흡수율: 105중량%).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이 침적된 외상용 반창고(붕대)은 흡수성과 높은 수증기 투과성이 조화를 이루어 상처 부위를 지속적으로 습한 환경으로 유지시킴으 로써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투명하기 때문에 상처 치유 과정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분비물 양이 적은 상처인 경우에는 보다 긴 시간 주기로 하이드로겔이 침적된 외상용 반창고(붕대)를 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제제는 하이드로겔이 전혀 남지 않고, 상처 치유가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특히 상처 삼출액(분비액)을 적절히 흡수하고, 하이드로겔 강도도 우수하고 항균기능도 가지므로, 화상, 창상, 외상, 욕창 및 피부 치환에 대하여 상처 치유, 살균, 흉터 방지 및 억제, 상처 회복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2)

  1. ⅰ) 물;
    ⅱ)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ⅲ)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함유하고;
    물:수용성 고분자:보습제의 중량비가 46∼80:1∼50:3∼60인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단독 또는 다른 천연, 반합성 또는 합성 고분자와의 배합물로서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제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의 배합물로서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보습제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하이드로겔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보습제가 글리세린인 하이드로겔 제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흡수촉진제, 부형제, 자극완화제, 약효보조제, pH 조정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제제.
  11. 제1항에 있어서, 화상, 창상, 외상, 욕창 또는 피부 질환에 대한 상처 치유, 살균, 흉터 방지 및 억제, 또는 상처 회복을 위한 하이드로겔 제제.
  12.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이 반창고 또는 붕대에 침적되어 있는 제제.
KR1020050003233A 2005-01-13 2005-01-13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KR100656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33A KR100656458B1 (ko) 2005-01-13 2005-01-13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33A KR100656458B1 (ko) 2005-01-13 2005-01-13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716A KR20050072716A (ko) 2005-07-12
KR100656458B1 true KR100656458B1 (ko) 2006-12-13

Family

ID=3726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233A KR100656458B1 (ko) 2005-01-13 2005-01-13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823A (ko) * 2007-01-31 2007-08-13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활성약물 함유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KR101582660B1 (ko) * 2014-07-14 2016-01-0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KR102031178B1 (ko) * 2017-07-14 2019-10-1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입형 온도감응성 목재 기반 산화 나노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유착 방지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3769A (en) 1988-08-22 1991-05-07 Medipro Sciences Limited Method of making a hydrogel-forming wound dressing or skin coating material
US5902600A (en) 1992-12-21 1999-05-11 Healthpoint, Ltd. Hydrogel polymer wound dressing
KR20010096776A (ko) * 2000-04-14 2001-11-08 이영길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이트형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28491B1 (ko) * 2001-06-15 2004-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주름제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조성물
KR20040087006A (ko) * 2003-04-04 2004-10-13 나재식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제조방법
KR20050094559A (ko) * 2004-03-23 2005-09-28 임지원 폴리아크릴산으로 가교된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3769A (en) 1988-08-22 1991-05-07 Medipro Sciences Limited Method of making a hydrogel-forming wound dressing or skin coating material
US5902600A (en) 1992-12-21 1999-05-11 Healthpoint, Ltd. Hydrogel polymer wound dressing
KR20010096776A (ko) * 2000-04-14 2001-11-08 이영길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이트형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28491B1 (ko) * 2001-06-15 2004-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주름제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조성물
KR20040087006A (ko) * 2003-04-04 2004-10-13 나재식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제조방법
KR20050094559A (ko) * 2004-03-23 2005-09-28 임지원 폴리아크릴산으로 가교된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716A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6073B1 (en) Wound-covering hydrogel material
Namviriyachote et al. Development of polyurethane foam dressing containing silver and asiaticoside for healing of dermal wound
US6458380B1 (en) Dressing and preparation delivery system
US6635272B2 (en) Wound dressing and drug delivery system
EP0613692B1 (en) Water soluble wound dressing materials
JP3345059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法
US20070104769A1 (en) Bioabsorbable hemostatic gauze
KR20070080823A (ko) 활성약물 함유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EP2617437B1 (en) Method for using hydrogel sheet for treating wound
US20080152698A1 (en) Hydrogel
EP1023087A2 (en) Foam materials
CN110237054B (zh) 一种疤痕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WO2007056066A2 (en) Bioabsorbable hemostatic gauze
KR100656458B1 (ko) 상처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제
US20070020318A1 (en) Hydrocolloid materials for use in wound healing
EP1601388B1 (en) Hydrocolloid materials for use in wound healing
JP2002511314A (ja) 傷包帯材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ポリウレタン発泡体
KR100648445B1 (ko) 록소프로펜 이나 록소프로펜 나트륨염을 함유한 진통제의 카타플라스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89851B1 (ko) 약용탄 함유 습포제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300025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221

Effective date: 200805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221

Effective date: 2008052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3008013;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80627

Effective date: 20090522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80627

Effective date: 2009052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6

EXTG Extinguishm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