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947B1 - 전송제어방법 및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전송제어방법 및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947B1
KR100655947B1 KR19990049776A KR19990049776A KR100655947B1 KR 100655947 B1 KR100655947 B1 KR 100655947B1 KR 19990049776 A KR19990049776 A KR 19990049776A KR 19990049776 A KR19990049776 A KR 19990049776A KR 100655947 B1 KR100655947 B1 KR 100655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pdate
control
tim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4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394A (ko
Inventor
스가야시게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3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제어국을 설치하고 네트워크 내의 전송제어를 행할 경우에, 그 전송제어정보의 갱신이 간단한 제어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통신국 사이의 전송액세스를 제어국에서 송신하는 제어정보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전송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경우에, 그 갱신하는 타이밍보다 이전에 갱신되는 제어정보와, 그 갱신되는 타이밍의 정보와를 제어국이 송신하고, 통신국에서는 수신한 타이밍의 정보에 의해 설정된 타이밍에 제어정보를 수신한 제어정보로 갱신시킨다.

Description

전송제어방법 및 전송장치{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시스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물리적인 토폴러지맵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전송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정보 동보구간의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국동기 송수구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국동기 송수구간에서의 각 슬롯의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국동기 송수구간의 각 슬롯의 관리데이터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국동기 송수구간에서의 각 국에서의 송신/수신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정보의 갱신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정보 갱신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정보 갱신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정보 수신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정보 갱신동작예(타이밍지정을 절대적인 값으로 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정보 갱신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정보 수신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정보 갱신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무선전송장치(단말국) 10. 무선전송장치(중앙제어국)
22. 무선처리부 23. 데이터변환부
24. 인터페이스부 25. 제어부
26. 내부메모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무선신호에 의해 각종 정보를 전송하여,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로컬영역 네트워크(LAN)를 구성하는 경우에 적용하여 호적한 전송제어방법과, 이 제어방법을 적용한 전송제어장치와, 이 전송제어장치에 의해 전송이 제어되는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내, 사무실내 등의 비교적 좁은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영상기기나 퍼스널 컴퓨터장치와 그 주변장치 등의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그들의 기기가 다루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로컬영역 네트워크를 조합하는 경우, 각 기기 사이를 어떠한 신호선으로 직접 접속시키는 대신에, 각 기기에 무선신호의 송수신장치(무선전송장치)를 접속하여, 무선전송으로 데이터전송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있다.
무선전송으로 로컬영역 네트워크를 구성시키는 것으로, 각 기기 사이를 직접 신호선 등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시스템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그런데, 무선전송장치를 복수대 준비하여 로컬영역 네트워크를 조합한 경우에, 복수의 전송장치에서 동시에 같은 전송대역을 사용하여 신호가 송신되면, 전송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네트워크 내의 각 전송장치간의 통신을 어떠한 방법으로 액세스 제어할 필요가 있다.
종래부터 알려져있는 액세스 제어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규모 무선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스타형 접속에 의한 중심부분의 전송장치(루트노드)를 제어국으로서, 네트워크 내의 각 전송장치(노드) 간의 통신을 제어국이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제어국을 정한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어국에서 송신하는 관리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생겼을 때, 그 관리정보를 각 단말국에 확실히 송신하는 처리가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예를 들면 종래의 어느 시스템에서는, 제어국으로부터의 관리정보의 갱신정보가 각 단말국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정보(ACK신호)의 회답을 각 단말국에서 실행시켜서, 접속의 확인을 행하고 있었다. 즉, 네트워크 관리정보의 갱신시에는, 제어국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전송으로 모든 단말국에 대하여 갱신정보의 동보송신을 행한 후, 각 단말국에서 그 갱신정보를 바르게 수신되었을 때, 확인정보를 반송시켜서 제어국에서 그 반송된 확인정보의 판단을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처리로는, 제어정보의 전송처리를 위한 전송트래픽이 용장(冗長)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전송로품질이 나쁜 무선전송로 상에 있어서는, 확인정보의 반송을 위해 막대한 시간이 걸리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 제어정보의 전송에 시간이 걸리면, 예를 들면 이들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 한 관리정보 전송영역과, 실제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영역과가 존재하는 통신구성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이 정보전송영역을 사용하여 갱신정보의 전송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보전송영역에서 갱신한 제어정보에 의해 정보전송이 개시되기 까지의 시간이 길게 걸리게 된다.
이 때문에, 근래 정보전송에 앞서서, 전송로의 확립을 행하지 않는 소위 커넥션리스 프로토콜(connectionless protocol)을 무선전송로 상에서 이용한 전송제어방법의 유용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커넥션리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송제어방법의 경우, 접속의 보증이 취해지지 않은 상태로, 정보를 무선전송로 상에 흘려서 복수의 국으로부터의 송신이 충돌하게 되어, 전송에러가 발생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제어국이 관리정보 전송영역에 있어서, 정보전송영역에 있어서의 전송로의 이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도록 지시한 경우, 그 관리정보를 수취하지 못하게 된 통신국에서는, 정보전송영역에 있어서의 전송로의 이용방법을 갱신시킬 수 없다.
또, 각 단말국이 복수의 지향성 안테나를 갖추고, 송신이나 수신에 사용하는 안테나를 통신을 행하는 상대마다에 따라서 전환하는 안테나 다이버시티동작을 행하는 기기에 의한 통신네트워크 구성을 고려한 경우, 네트워크 관리정보가 송신되어 오는 타이밍에서, 최적한 안테나가 선택되어 있다는 보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엄밀히 타이밍을 규정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시 이동하는 국에 대해서는 그 때마다 최적한 안테나가 변화하므로, 특정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정보의 갱신이 복잡하게 되고 있었다.
또, 어떠한 전송제어방법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들 전송관리정보의 복호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전송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였다. 특히 디지털변복조를 행한 전송에 있어서는, 전송로의 회선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류정정을 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이들의 정보도 복호하기 까지에 시간이 걸리고 있었으므로, 각 단말국에서 동시에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국을 설치하고 네트워크 내의 전송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그 전송제어정보의 갱신이 간단한 제어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송제어방법은, 제어국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정보를 갱신할 경우에, 그 갱신하는 타이밍보다 이전에 갱신되는 제어정보와, 그 갱신되는 타이밍의 정보와를 제어국이 송신하고, 통신국에서는 수신한 타이밍의 정보에 의해 설정된 타이밍에, 제어정보를 수신한 제어정보로 갱신시키도록 하였다.
이 전송제어방법에 의하면, 각 통신국에서는 미리 전송된 갱신정보가 세트된 후, 지시된 타이밍으로 일제히 그 세트된 갱신정보로 제어정보가 갱신된다.
본 발명의 전송제어장치는,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정보의 갱신정보를 작성하는 갱신정보 작성수단과, 이 갱신정보 작성수단으로 작성한 갱신정보로 갱신되는 타이밍을 지정하는 타이밍정보를 얻는 타이밍 지정수단과, 갱신정보 작성수단으로 작성한 갱신정보와 타이밍 지정수단으로 얻은 타이밍정보를 송신하는 송싱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 전송제어장치에 의하면,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송장치에 대하여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를 행할 때에, 그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타이밍의 지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송제어장치는, 다른 전송장치와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동시에,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이 통신수단이 수신한 제어정보를 판단하여 통신에서의 송신 또는 수신을 실행시키는 동시에, 수신한 제어정보에 갱신정보 및 타이밍정보가 포함될 때, 그 타이밍정보에서 지정된 타이밍에 제어정보를 갱신정보로 갱신시키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 전송장치에 의하면, 제어장치에서 지정된 타이밍에서 수신한 갱신정보에 의해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정 내나 비교적 소규모한 사무실내 등에서 영상데이터, 음성데이터나 컴퓨터용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성된 네트워크시스템에 적용한 것으로,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예의 시스템구성을 설명한다. 본 예의 네트워크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최대의 수가 미리 결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최대로 16대의 무선전송장치로 네트워크가 조성되도록 하고 있고, 도 1은 8대의 무선전송장치(1∼7, 10)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각 무선전송장치(1∼7, 10)는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안테나(1a∼7a)가 접속하고 있다. 각 무선전송장치(1∼7, 10)에는 영상신호 재 생장치, 모니터장치, 컴퓨터장치, 프린터장치 등의 각종 처리장치(도시생략)가 개별로 접솟하고 있고, 이들의 처리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접속된 무선전송장치를 경유하여 데이터전송이 행해진다.
8대의 무선전송장치(1∼7, 10)는 통신국인 노드로서 기능하고, 각 장치의 식별번호인 식별ID가 미리 개별로 부여하고 있다. 즉, 전송장치(10)에는 식별ID로서 #0이 부여되고 있고, 전송장치(1)에서 전송장치(7)까지에는, #1에서 #7까지의 식별ID가 순서대로 부여되고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시스템 내의 임의의 1대의 무선전송장치를 중앙제어국으로서 기능하는 루트노드로서 설정하고, 이 제어국으로부터의 폴링제어로 각 노드간의 무선통신이 실행되는 시스템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제어국은, 기본적으로는 시스템 내의 다른 모든 통신국과 직접적으로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무선전송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이다. 여기서는 네트워크시스템 내의 거의 중앙에 배치된 식별ID(#0)의 무선전송장치(10)를 중앙제어국으로 하고 있고, 이 중앙의 루트노드에서 주변의 다른 단말국이 제어되는 소위 스타형 접속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예에 있어서는, 식별ID(#7)의 무선전송장치(7)에 대해서는, 이 중앙제어국인 무선전송장치(10)와 직접적으로는 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무선전송장치(7)는 식별ID(#3)의 무선전송장치(3) 및 식별ID(#6)의 무선전송장치(6)와의 사이에서는, 직접적으로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제어국에서 식별ID(#7)의 무선전송장치(7)에의 제어정 보의 전송은, 식별ID(#3)의 무선전송장치(3) 또는 식별ID(#6)의 무선전송장치(6)를 중계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2는, 본 예에 있어서의 각 통신국 및 제어국의 배치상태에서의 각국간의 통신상태를 나타내는 물리적인 토폴러지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화살표로 접속하여 나타내는 통신국사이에서 직접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각 통신국(1∼7, 10)은, 인접한 위치에 있는 통신국과의 사이에서만 직접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별ID(#1)의 통신국(1)은, 그 통신국(1)의 주위에 배치된 식별ID(#2, #3, #0)의 통신국(2, 3, 10)만 직접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다른 통신국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있는 통신국(제어국)에 대해서는, 식별ID(#7)의 통신국(7) 이외의 다른 모든 통신국(1∼6)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직접적으로 통신을 할 수 없는 통신국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통신국에서 전송데이터를 중계하여 전송처리를 행한다.
각 통신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1∼7, 10)의 구성예를 도 3에 나타내면, 여기서는 각 무선전송장치(1∼7, 10)는 기본적으로 공통의 구성(중앙제어국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제어구성만이 다른 통신국과 다름)으로 되고,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안테나(21)와 이 안테나(21)에 접속되어서, 무선송신처리 및 무선수신처리를 행하는 무선처리부(22)를 갖추고, 다른 전송장치와의 사이의 무선전송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본 예의 무선처리부(22)에서 송신 및 수신이 행해지는 전송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직교주파수 분할다중)방식이라고 칭하여지는 멀티캐리어신호에 의한 전송방식을 적용하고, 송신 및 수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로서는, 예를 들면 상당히 높은 주파수대(예를 들면 5GHz대)가 사용된다. 또 본 예의 경우에는, 송신출력에 대해서는 비교적 약한 출력이 설정되고, 예를 들면 옥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수m에서 수십m정도까지의 비교적 짧은 거리의 무선전송을 할 수 있는 정도의 출력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무선처리부(22)에서 수신한 신호의 데이터변환 및 무선처리부(22)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데이터변환을 행하는 데이터변환부(23)를 갖춘다. 이 데이터변환부(23)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24)를 거쳐서 접속된 처리장치에 공급하는 동시에, 접속된 처리장치에서 공급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24)를 거쳐서 데이터변환부(23)에 공급하여 변환처리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부(24)와 그 인터페이스부(24)에 접속된 처리장치와의 사이의 데이터전송은, 예를 들면 IEEE1394 규격으로서 규정된 방식으로 실행된다.
무선전송장치 내의 각부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25)의 제어에 의거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무선처리부(22)에서 수신한 신호가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그 수신한 제어신호를 데이터변환부(23)를 거쳐서 제어부(25)에 공급하고, 제어부(25)가 그 수신한 제어신호로 표시되는 상태로 각부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어부(25)에서 다른 전송장치에 대하여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대해서도, 제어부(25)에서 데이터변환부(23)를 거쳐서 무선처리부(22)에 공급하여 무선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수신한 신호가 동기신호인 경우에는, 그 동기신호의 수신타이밍을 제어부(25)가 판단하여 그 동기신호에 의거한 프레임주기를 설정하고, 그 프레임주기에서 통신제어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어부(25)에는 내부메모리(26)가 접속하고 있고, 그 내부메모리(26)에 통신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다.
중앙제어국으로서 작동하는 무선전송장치의 경우에는, 그 전송장치의 제어부(25)가 제어정보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고, 단말국으로서 작동하는 무선전송장치의 경우에는, 중앙제어국에서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메모리(26)에 기억시켜서, 그 기억된 제어정보에 의거한 통신제어를 제어부(25)가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예의 제어부(25)는, 후술하는 갱신타이밍 등을 설정하는 카운터로서 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카운터의 카운트값은 프레임주기가 1주기 변화할 때마다 카운트값을 1씩 카운트다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중앙제어국이나 단말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는, 설치되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형의 무선전송장치로 구성시키는 경우와, 가반성이 있는 이동체용의 무선전송장치로서 구성시키는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가반성이 있는 전송장치의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토폴러지맵(topology map)은 그 때의 위치관계에 의해 순차 변화한다.
도 4는, 본 예의 네트워크시스템 내에서 각국(무선전송장치(1∼7, 10))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예에 있어서는 프레임주기를 규정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기간으로 1프레임주기를 규정하고, 그 1프레임주기의 선두부분의 소정 구간을 관리정보 전송영역으로 하고, 그 관리정보 전송영역 내에 관리정보 동보구간과 국동기 송수구간과가 설정하고 있다. 또, 각 프레임의 관리정보 전송영역에 계속한 구간을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으로 하고 있고, 이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에서 실제로 각국사이에서 전송하고 싶은 데이터(페이로드 데이터)인 각종 데이터가 전송된다.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에서의 데이터전송은, 각 통신국의 분산제어에 의한 랜덤액세스방식, 혹은 중앙제어국의 액세스제어에 의거하여 실행된다. 이 중앙제어국에 의한 액세스제어로서는, 예를 들면 중앙제어국으로부터의 폴링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이 폴링제어처리는, 중앙제어국에서 각 단말국을 폴링응답 요구신호로 순차 호출하여, 1대의 단말국마다 순차 전송이 실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폴링응답 요구신호에서 지정된 식별ID의 통신국에서는, 송신하는 데이터가 있을 때, 그 폴링응답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바로 데이터의 송신처리를 행한다.
또한,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에서의 데이터전송으로서, 이와 같은 폴링에 의한 전송이 아니고, 1프레임의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을 미리 복수의 슬롯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각 슬롯을 중앙제어국의 제어로 송신요구가 있는 단말국에 할당하여, 무선송신을 실행시켜도 좋다.
이 때의 송신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어싱크로너스(비동기) 전송모드에 의한 데이터전송과, 아이소크로너스(동기) 전송모드에 의한 데이터전송과를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 잘 분간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어싱크로너스 전송모드와 아이소크로너스 전송모드는, 예를 들면 제어데이터 등의 비교적 짧은 데이터의 전송에 어싱크로너스 전송모드가 사용되고, 영상데이터, 음성데이터 등의 리얼타임전송을 필요로 하는 대용량데이터의 전송에 아이소크로너스 전송모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송모드가 준비된 전송제어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IEEE1394 규격으로서 규정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어싱크로너스 전송모드로서, 예를 들면 폴링제어에 의한 전송방법을 이용하여 어싱크로너스(asynchronous) 전송모드로서, 예를 들면 슬롯분할에 의한 할당전송을 행하면 가장 적절하다.
각 프레임의 관리정보 동보구간(broadcasting period)에서는, 중앙제어국(10)에서 시스템에 공통의 관리정보의 송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관리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프레임동기를 취하는데 필요한 동기데이터나, 네트워크 시스템에 고유의 식별번호 데이터나, 네트워크 내의 토폴러지맵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에 있어서의 전송로 이용정보의 데이터 등이 있고, 이들의 관리정보를 네트워크 내의 각국에 동보송신한다.
도 5는, 본 예의 관리정보 동보구간의 데이터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관리정보 동보구간은, 예를 들면 8OFDM 심벌로 구성되고 패킷ID, 시스템ID, 수신요구데이터, 국식별비트, 토폴러지맵 데이터, 카운터 데이터,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에 있어서의 전송로 이용정보, 에러정정부호 CRC 등이 각각의 데이터마다 미리 결정된 비트수로 배치된다. 또한, 이 관리정보 동보구간에 있어서는, 배치되는 데이터가 미정의의 구간도 존재한다. 또 카운터데이터는 네트워크 내의 단말국에 대하여 타이밍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도 6은, 본 예의 국동기 송수구간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1프레임 내의 국동기 송수구간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소정수(여기서는 16)의 슬롯이 배정하고 있고, 이 1프레임 내의 16슬롯이 이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16의 통신국에 각각 할당하고 있다. 1슬롯은, 예를 들면 3OFDM 심벌로 구성된다. 이 슬롯할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선두의 슬롯에서 순서대로 식별ID(#0)의 통신국용 슬롯, 식별ID(#1)의 통신국용 슬롯, 식별ID(#2)의 통신국용 슬롯, …식별ID(#15)의 통신국용 슬롯으로서 있다. 각 통신국에 할당된 슬롯에서는, 그 슬롯에 대응한 통신국에서 국동기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서 있다. 여기서는 8대의 통신국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8개의 슬롯(여기서는 선두에서 8슬롯)이 사용되고, 나머지의 슬롯은 사용되지 않는다(즉,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음).
각각의 슬롯기간에 전송되는 국동기신호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된다. 즉, 0.5OFDM 심벌기간으로 구성되는 스타트갭(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기간)과, 0.5OFDM 심벌기간의 동기데이터와, 2OFDM 심벌기간의 관리데이터로 구성된다.
도 8은, 이 국동기신호의 2OFDM 심벌기간의 관리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선두에서 순서로 패킷ID, 국ID, 폴링프라이어러티 데이터, 국동기정보 등이 각각 소정의 비트수로 배치된다. 폴링프라이어러티 데이터는, 폴링제어에 의해 송신을 행할 때의 우선순위에 관한 데이터이다. 국동기정보로서는, 그 국에서 수신할 수 있는 통신국에 관한 데이터(1프레임 전의 국동기신호의 수신상태에 의거한 생성시킨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이 국동기 송수구간의 각 슬롯으로 송신되는 국동기신호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 통신국에서 수신처리된다. 다음에, 이 국동기 송수구간에서의 국동기신호의 송신처리와 수신처리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프레임 내의 국동기 송수구간에는 16슬롯이 준비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제 0슬롯에서 제 7슬롯까지의 8개의 슬롯에서의 상태만을 나타내고 있고, 제 8슬롯 이후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생략하고 있다. 제 0슬롯에서 제 7슬롯까지의 8개의 슬롯은, 1슬롯씩 개별로 통신국(10, 1∼7)에 할당되어 있다.
도 9(a∼h)는, 8대의 통신국에서의 국동기 송수구간에서의 통신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중앙제어국인 통신국(10)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의 b에서 h까지는, 통신국(1)에서 통신국(7)까지의 상태를 순서로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사선을 붙여서 나타내는 범위에서는, 그 통신국의 송신수단인 무선처리부(22)에서 송신처리(Tx)가 행해져서, 안테나(21)에서 무선송신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기타의 펄스형태로 상승한 구간에서는, 다른 통신국에서 송신된 신호가 그 통신국의 수신수단인 무선처리부(22)에서 적정하게 수신처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펄스형태로 상승하지 않은 구간에서는, 바르게 수신할 수 없는 상태(즉, 수신을 시도하여 바르게 디코드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중앙제어국인 식별ID(#0)의 통신국(10)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0슬롯의 구간에서, 국동기신호의 송신처리(Tx)가 행해지고, 기타의 슬롯(제 1슬롯 이후의 구간)에서는, 수신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서 제 6슬롯까지의 구 간에서의 수신에서는, 그들의 슬롯에 할당된 통신국(1∼6)이 통신국(10)과 직접적으로 무선통신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므로, 그 수신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바르게 디코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 7슬롯의 구간에서는, 통신국(7)이 통신국(10)과 직접적으로 무선통신 할 수 있는 위치에 없으므로, 이 슬롯위치에서는 데이터의 수신은 할 수 없다. 즉, 통신국(10)에서 제 0슬롯에 송신되는 국동기신호의 전송상태를 도 9a에 나타내면, 통신국(10)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하는 범위 내에는, 식별ID(#1∼#6)의 통신국(1∼6)이 위치하고, 통신국(10)으로부터의 국동기신호는 통신국(1∼6)에서 바르게 수신되는바, 떨어진 위치에 있는 식별ID(#7)의 통신국(7)에서는, 통신국(10)으로부터의 국동기신호는 수신되지 않는다.
식별ID(#1∼#7)의 통신국(1∼7)에서는, 도 9의 b∼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통신국에 할당된 슬롯위치에서 국동기신호를 송신하고, 기타의 슬롯위치에서는 수신처리를 행한다. 즉, 식별ID(#1)의 통신국(1)에서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슬롯에서 노드동기신호의 송신처리(Tx)를 행하고, 다른 슬롯에서 수신처리를 행한다. 이때, 식별ID(#1)의 통신국(1)에 인접하는 위치의 통신국은, 식별ID(#0, #2, #4)의 통신국(10, 2, 4)이며, 통신국(1)에서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노드에서 제 0슬롯, 제 2슬롯, 제 4슬롯에 송신되는 노드동기신호만을 바르게 수신처리 할 수 있다.
식별ID(#2)의 통신국(2)에서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슬롯에서 국동기신호의 송신처리(Tx)를 행하고, 다른 슬롯에서 수신처리를 행한다. 이때, 통신국(2)에 인접하는 위치의 통신국은, 식별ID(#0, #1, #3)의 통신국(10, 1, 3)이 며, 통신국(2)에서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통신국에서 제 0슬롯, 제 1슬롯, 제 3슬롯에 송신되는 국동기신호만을 바르게 수신처리 할 수 있다.
식별ID(#3)의 통신국(3)에서는,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슬롯에서 국동기신호의 송신처리(Tx)를 행하고, 다른 슬롯에서 수신처리를 행한다. 이때, 통신국(3)에 인접하는 위치의 통신국은, 식별ID(#0, #2, #6, #7)의 통신국(10, 2, 6, 7)이며, 통신국(3)에서는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통신국에서 제 0슬롯, 제 2슬롯, 제 6슬롯, 제 7슬롯에 송신되는 국동기신호만을 바르게 수신처리 할 수 있다.
식별ID(#4)의 통신국(3)에서는, 도 9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슬롯에서 국동기신호의 송신처리(Tx)를 행하고, 다른 슬롯에서 수신처리를 행한다. 이때, 통신국(4)에 인접하는 위치의 통신국은, 식별ID(#0, #1, #5)의 통신국(10, 1, 5)이며, 통신국(4)에서는 도 9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통신국에서 제 0슬롯, 제 1슬롯, 제 5슬롯에 송신되는 국동기신호만을 바르게 수신처리 할 수 있다.
식별ID(#5)의 통신국(5)에서는, 도 9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슬롯에서 국동기신호의 송신처리(Tx)를 행하고, 다른 슬롯에서 수신처리를 행한다. 이때, 통신국(5)에 인접하는 위치의 통신국은, 식별ID(#0, #4, #6)의 통신국(10, 4, 6)이며, 통신국(5)에서는 도 9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통신국에서 제 0슬롯, 제 4슬롯, 제 6슬롯에 송신되는 국동기신호만을 바르게 수신처리 할 수 있다.
식별ID(#6)의 통신국(6)에서는, 도 9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6슬롯에서 국동기신호의 송신처리(Tx)를 행하고, 다른 슬롯에서 수신처리를 행한다. 이때, 통신국(6)에 인접하는 위치의 통신국은, 식별ID(#0, #3, #5, #7)의 통신국(10, 3, 5, 7)이며, 통신국(6)에서는 도 9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통신국에서 제 0슬롯, 제 3슬롯, 제 5슬롯, 제 7슬롯에 송신되는 국동기신호만을 바르게 수신처리 할 수 있다.
식별ID(#7)의 통신국(7)에서는, 도 9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7슬롯에서 국동기신호의 송신처리(Tx)를 행하고, 다른 슬롯에서 수신처리를 행한다. 이때, 통신국(7)에 인접하는 위치의 통신국은, 식별ID(#3, #6)의 통신국(3, 6)이며, 통신국(7)에서는 도 9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통신국에서 제 3슬롯, 제 6슬롯에 송신되는 국동기신호만을 바르게 수신처리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제어국인 통신국(10)에서는, 식별ID(#7)의 통신국(7)으로부터의 국동기신호는 수신할 수 없고, 직접적으로는 통신국(7)의 존재를 인식할 수는 없으나, 식별ID(#3)의 통신국(3)으로부터의 국동기신호와, 식별ID(#6)의 통신국(6)으로부터의 국동기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로, 각각의 국에서 수신할 수 있는 국의 정보에서 중앙제어국인 통신국(10)이 통신국(7)의 존재를 인식한다.
또 중앙제어국인 통신국(10)으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는 통신국(1∼6)에서는, 이 통신국(10)으로부터의 국동기신호의 수신타임을 기준으로 하여, 자국에 할당된 송신슬롯의 위치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신국(10)으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없는 통신국(7)에서는, 이 통신국(7)에서 수신할 수 있는 국동기신호의 수신타임을 기준으로 하여, 자국에 할당된 송신슬롯의 위치를 판단한다. 즉, 제 3슬롯의 위치와 제 6슬롯의 위치에서 자국에 할당된 제 7슬롯의 위치를 판단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본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중앙제어국의 제어에 의해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국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갱신(변경)할 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이 제어정보의 갱신처리는, 예를 들면,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의 이용방법을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 등, 중앙제어국에서의 제어상태를 어떠한 요인에 의해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 행해진다.
도 1의 타이밍도는, 제어정보를 갱신할 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각 단말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제어부(25)에 접속된 내부메모리(26)에는,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에서 각 프레임의 관리정보 동보구간에 전송된 관리정보가 이미 기억시키고 있고, 그 관리정보에 의해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이 제어되어 있는 상태라고 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최초의 프레임기간의 관리정보 전송영역(t11) 내의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는, 각 단말국에 이미 기억된 관리정보와 같은 관리정보(D1)(도 10에서 종래의 관리정보로서 나타내는 정보)가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국에 대하여 동보송신된다. 그리고, 그 프레임기간의 미디어정보 전송영역(t12)에서의 데이터전송은, 그 이미 메모리(26)에 기억된 관리정보(이 관리정보를 여기서는 종래정보라고 함)에 의해 설정된 상태에서 실행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미디어정보 전송영역의 이용방법을 변경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 등, 어떠한 요인에 의해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에서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요구(D2)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이때,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 송장치의 제어부(25)에서는, 그 갱신된 내용에 관한 제어정보(갱신정보)를 생성시켜서, 다음의 프레임기간의 관리정보 전송영역(t21) 내의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 송신되는 정보의 소정위치의 데이터를 갱신된 내용의 정보로서 송신데이터(D3)에는,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타이밍 지시데이터를 부가한다. 본 예의 경우에는, 이 타이밍 지시데이터를 도 5에 나타낸 관리정보 동보구간의 데이터구성 중의 카운터데이터로서 송신한다. 여기서는, 카운터데이터로서 카운트값“2”으로 한다.
이 관리정보 전송영역(t21)의 정보를 수신한 각 단말국에서는, 이때 수신한 갱신정보를 제어부(25)에 접속된 내부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 단, 내부메모리(26)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관리정보(종래정보)에 대해서도, 이 시점에서는 그 대로 기억시켜 둔다. 또, 제어부(25)에 설정되는 카운터에, 수신한 카운터데이터를 세트한다. 여기서는, 카운트값“2”이 세트된다. 그리고, 이 관리정보 전송영역(t21)에 계속된 같은 프레임기간의 미디어정보 전송영역(t22)에서의 각 단말국에서의 통신은, 종래정보를 사용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다음의 프레임기간의 관리정보 전송영역(t31)에서는,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제어부(25)에서, 직전의 프레임기간에 송신한 관리정보와 같은 관리정보가 포함된 송신데이터(D4)를 생성시켜서, 중앙제어국에서 무선송신한다. 단, 이 프레임기간의 경우에는, 타이밍 지시데이터로서 직전의 프레임기간에서 1단위만 값을 줄인 카운터데이터로 한다. 즉, 여기서는 직전의 프레임기간의 타이밍 지시데이터가 카운트값“2”의 카운터데이터이므로, 카운트값“1”의 카 운터데이터로 한다.
이 관리정보 전송영역(t31)의 정보를 수신한 각 단말국에서는, 이때 수신한 갱신정보가 직전의 프레임기간에 송신된 갱신정보와 같다고 판단하였을 때, 그대로의 제어상태로 대기한다. 또, 수신한 타이밍 지시데이터인 카운터데이터에 대해서도, 여기서는 카운터에 세트하지 않으나 카운트값“2”의 카운터데이터를 세트하고서 1프레임 경과하고 있으므로, 제어부(25)에 설정된 카운터의 카운트값은 “2”로 카운트다운된다. 그리고, 이 관리정보 전송영역(t31)에 계속한 같은 프레임기간의 미디어정보 전송영역(t32)에서의 각 단말국에서의 통신은, 종래정보를 사용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다음의 프레임기간 이후의 관리정보 전송영역(t41, t51…)에서는,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제어부(25)에서, 갱신된 내용의 제어정보를 관리정보로 한 송신데이터(D5, D6…)를 생성시켜서, 중앙제어국에서 1프레임마다 무선송신한다. 이 때에는 카운터데이터는 송신하지 않는다.
여기서, 관리정보 전송영역(t41)에서 제어정보(D5)가 송신되는 타이밍에서는, 직전의 프레임기간에서 1프레임 경과하고 있으므로, 제어부(25)에 설정된 카운터의 카운트값은 “0”으로 카운트다운된다. 이 카운트값이 “0”으로 되었을 때, 각 단말국의 제어부(25)에 접속된 메모리(26)에 기억된 갱신정보가 독출되어서, 그 단말국에서의 통신상태를 갱신정보에 의해 갱신시킨다. 따라서, 이 프레임기간의 미디어정보 전송영역(t32)에서의 각 단말국에서의 통신은, 갱신정보를 사용한 전송상태가 된다. 그리고, 다음의 갱신정보가 전송되어서 세트되기까지의 사이, 이 갱신정보를 사용한 전송이 각 프레임기간에서 실행된다.
또한,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전송장치의 제어부(25)에 설정된 카운터에도, 송신하는 카운터데이터와 같은 값을 세트하고, 그 카운트값이 0으로 되었을 때, 단말국의 경우와 동일하게, 통신제어에 사용하는 관리정보를 종래정보에서 갱신정보로 갱신시킨다.
또, 도 1, 도 2에 나타낸 본 예의 네트워크구성으로 존재하는 중앙제어국과 직접 통신을 할 수 없는 단말국인 식별ID(#7)의 통신국(7)에는, 예를 들면 이 통신국(7)과 통신이 가능한 식별ID(#3)의 통신국(3) 또는 식별ID(#6)의 통신국(6)이, 미디어정보 전송영역(t22 또는 t32)에 갱신정보를 통신국(7)에 중계전송한다. 이 때에는, 그 중계전송한 통신국에 세트되어 있는 카운터데이터를 부가한다.
이와 같이하여 관리정보가 갱신되는 타이밍을 지정하면서, 갱신되는 관리정보가 중앙제어국에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국에 대하여 무선송신하고, 그 지정된 타이밍이 되면 송신된 관리정보에 자동적으로 갱신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관리정보의 갱신처리를 행할 때의 중앙제어국에서의 처리와, 각 단말국에서의 처리를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중앙제어국에서의 관리정보 갱신동작을 도 11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제어부(25)에서는,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요구가 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스텝(101)), 갱신하는 요구가 없는 경우 여기서의 처리를 종료하고, 갱신하는 요구가 있는 경우 그 요구에 의거한 신규관리정보를 작성하는(스텝(102)) 동시에, 갱신되는 타이밍을 지정하기 위한 카운터값의 설정을 행한다(스 텝(103)). 그리고, 작성된 신규관리정보와 카운터데이터와를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국에 대하여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 동보송신한다(스텝(104)).
그리고, 이 갱신정보의 동보송신을 행한 후는, 관리정보 카운트다운처리로 이동한다. 도 12의 플로차트는 이 관리정보 카운트다운처리를 나타낸 것으로,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제어부(25)는, 정보갱신동작 중인지 아닌지 판단하고(스텝(111)), 정보갱신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는 기존의 관리정보를 얻고(스텝(112)), 그 기존의 관리정보(종래관리정보)를 각 프레임의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 동보송신한다(스텝(117)).
그리고, 스텝(111)의 판단으로 정보갱신동작 중이라고 판단하였을 때, 갱신용의 카운터데이터의 감산처리를 행하고(스텝(113)), 이미 스텝(102)에서 작성된 갱신관리정보를 제어부(25)가 얻고 대기한다(스텝(113)). 이때 그 준비된 갱신관리정보에 스텝(113)에서 감산된 카운터데이터를 부가한다.
그리고, 스텝(113)에서 감산된 카운트값을 제어부(25)가 판단하고, 그 카운트값이 0이 되었는지(즉,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스텝(115)). 여기서,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준비된 갱신정보로 이 중앙제어국이 네트워크관리에 사용하는 정보를 갱신시켜서(스텝(116)), 이후의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는, 갱신된 관리정보를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국에 동보송신한다(스텝(117)).
또, 스텝(115)에서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117)으로 이동하고, 직전의 프레임기간의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 송신한 관리 정보와 같은 관리정보(단, 카운터데이터는 스텝(113)에서 감산한 값으로 한다)를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국에 동보송신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중앙제어국에서 송신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국측에서의 처리를 도 13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국에서는 관리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하고(스텝(121)), 관리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관리정보가 갱신된 정보인지 아닌지 판단한다(스텝(122)). 수신한 관리정보가 갱신된 정보라고 판단하였을 때, 그 갱신된 관리정보를 단말국의 제어부(25)에서 획득하는 처리를 행하고(스텝(123)), 획득한 관리정보가 수신에러 등이 없는 바른 관리정보인지 아닌지 판단한다(스텝(124)). 여기서, 갱신된 관리정보가 바르게 얻어졌을 때, 그 갱신된 신규의 관리정보를 제어부(25)에 접속된 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스텝(125)). 또 이때, 제어부(25)에서 판단한 수신데이터에 포함되는 카운터데이터를 제어부(25)에 설정된 카운터에 세트한다. 이 카운터의 카운트값은, 프레임주기에 연동하여 카운트다운을 행하는 것이다.
이 신규의 관리정보가 기억된 후는, 제어부(25)에 설정된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판단하고, 그 카운트값이 0으로 되었는지(즉,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스텝(126)). 또, 스텝(121)에서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와, 스텝(122)에서 갱신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와, 스텝(121)에서 갱신정보가 바르게 수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스텝(126)의 판단으로 이동한다.
스텝(126)의 판단으로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존의 관리정보(즉, 메모리(26)에 이전부터 기억되어 있는 관리정보)를 이용한 통신제어처리를 제어부(25)가 실행시킨다(스텝(127)). 그리고, 스텝(126)의 판단으로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125)에서 메모리(26)에 기억시킨 갱신정보를 독출하고(스텝(128)), 그 독출한 갱신정보로 각 단말국이 통신제어에 사용하는 관리정보를 갱신시키는 처리를 제어부(25)의 제어로 실행시키고(스텝(129)), 이후는 그 갱신된 관리정보를 사용한 통신제어처리를 행한다(스텝(130)).
이와 같이 중앙제어국에서의 처리와 단말국에서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도 10에서 설명한 갱신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제어정보(관리정보)의 갱신이 행해지는 것으로, 실제로 갱신이 행해지는 수 프레임전(상술한 예에서는 2 프레임 전)부터 갱신되는 정보와, 그 갱신되는 타이밍정보가 전송되어서 갱신동작이 실행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내의 어느 단말국이 특정의 갱신정보를 놓치드라도, 다음의 프레임에서 보내져 오는 갱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면, 지정한 프레임의 타이밍으로 정보가 갱신된다.
또 예를 들면, 복수의 단말국이 존재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무선전송로 상의 회선품질이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양호하지 않은 상태가 존재하고 있다고 하여도,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모든 국사이에서, 정보를 갱신하는 타이밍을 일제의 특정타이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응답신호의 반송 등을 구하는 처리가 필요없고, 간단한 제어로 일제히 제어정보를 갱신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네트워크구성에서는, 중앙제어국과 직접적으로는 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단말국(7)이 존재하는 네트워크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갱신정보가 전송되고서 갱신되는 타이밍이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다른 단말국을 경우한 중계전공으로 갱신정보와 타이밍정보를 단말국(7)에 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제어국과 직접적으로는 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단말국이 존재하는 네트워크구성이라도, 일제히 제어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중앙제어국이나 각 단말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가 복수의 안테나를 갖추고, 송신 또는 수신을 행하는 안테나를 적의 전환하는 소위 안테나 다이버시티동작을 행하는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어느 타이밍으로 최적한 안테나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별도의 타이밍에서 최적한 안테나가 선택되어 있는 동작이라도, 복수회의 갱신정보의 전송으로 각 단말국이 적절히 갱신정보나 타이밍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양호히 제어정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제어정보 갱신처리는, 단말국이 다수 존재하는 네트워크나, 이동하는 단말국이 존재하는 네트워크나, 중앙제어국과 직접 통신을 할 수 없는 단말국이 존재하는 네트워크나, 안테나 다이버시티동작을 행하는 단말국이 존재하는 네트워크 등의 각종 구성의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무선에 의한 자유로운 네트워크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갱신하는 타이밍의 프레임주기로 카운트다운하는 카운터의 카운트값의 데이터로 하였으나, 다른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카운트다운하는 카운터의 카운트값의 데이터로서도 좋다. 또, 값이 일정값씩 가산되 는 카운트업동작을 행하는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으로 되었을 때, 갱신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카운터의 카운트처리로 갱신타이밍이 설정되는 것이 아니고, 중앙제어국에서 절대적인 갱신타이밍을 지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14∼도 16의 플로차트는, 이 절대적인 갱신타이밍을 중앙제어국에서 지정하는 경우의 갱신처리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중앙제어국에서의 관리정보 갱신동작을 도 14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제어부(25)에서는,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요구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고(스텝(201)), 갱신하는 요구가 없는 경우 여기서의 처리를 종료하고, 갱신하는 요구가 있는 경우 그 요구에 의거한 신규 관리정보를 작성하는(스텝(202)) 동시에, 갱신되는 절대적인 갱신타이밍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생성시킨다(스텝(203)). 그리고, 작성된 신규 관리정보와 타이밍 지정데이터와를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국에 대하여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 동보송신한다(스텝(204)).
그리고, 이 갱신정보의 동보송신을 행한 후는, 타이밍지정 관리정보갱신처리로 이동한다. 도 15의 플로차트는, 이 타이밍지정 관리정보갱신처리를 나타낸 것으로,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제어부(25)는, 정보갱신 동작중인지 아닌지 판단하고(스텝(211)), 정보갱신 동작중인 경우 스텝(203)에서 지정한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스텝(212)). 그리고,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였을 때에는, 준비된 갱신정보로 이 중앙제어국이 네트워크관리에 사용할 정보를 갱신시켜서(스텝(213)), 이후의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는 갱신된 관리정보를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국에 동보송신한다(스텝(214)).
그리고, 중앙제어국에서 송신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국측에서의 처리는, 도 1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즉, 단말국에서는 관리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하고(스텝(221)), 관리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관리정보가 갱신된 정보라고 판단하였을 때, 그 갱신된 관리정보를 단말국의 제어부(25)에서 획득하는 처리를 행하고(스텝(223)), 그 획득된 신규의 관리정보를제어부(25)에 접속된 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스텝(224)).
이 신규의 관리정보가 기억된 후는, 제어부(25)가 수신한 갱신정보에 포함되는 타이밍지정 데이터에서 지시된 타이밍으로 되었는지(즉,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스텝(225)). 또 스텝(221)에서 갱신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스텝(225)의 판단으로 이동한다.
스텝(225)의 판단으로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존의 관리정보(즉, 메모리(26)에 이전부터 기억되어 있는 관리정보)를 이용한 통신제어처리를 제어부(25)가 실행시킨다(스텝(226)). 그리고, 스텝(225)의 판단으로 갱신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224)에서 메모리(26)에 기억시킨 갱신정보를 독출하고(스텝(227)), 그 독출한 갱신정보로 각 단말국이 통신제어에 사용하는 관리정보를 갱신시키는 처리를 제어부(25)의 제어로 실행시키고(스텝(228)), 이후는 그 갱신된 관리정보를 사용한 통신제어처리를 행한다(스텝(229)).
이와 같이 절대적인 갱신타이밍을 중앙제어국에서 지시함으로써도,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갱신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절대적인 갱신타이밍의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시분초 등의 시간정보나, 프레임번호 등의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는 정보 등이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리정보의 갱신요구가 있고부터 관리정보가 갱신되기까지의 시간은, 일정한 시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때의 상태에 의해 갱신되기까지의 시간을 가변설정하여도 좋다. 도 17은 이 전송로의 회선품질에 의해 갱신되기까지의 타이밍을 가변설정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중앙제어국을 구성하는 무선전송장치의 제어부(25)의 판단으로 실행된다. 이 경우 제어부(25)는, 네트워크 내의 단말국과의 무선전송상태(회선품질)를 감시하는 감시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회선의 감시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말국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에러레이트나, 수신레벨의 변동 등에서 판단하는 기능이다.
도 17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이하 설명하면, 먼저 관리정보의 갱신요구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고(스텝(301)), 갱신요구가 있을 때 그 갱신요구에 의거한 신규의 관리정보를 작성한다(스텝(302)). 그리고, 다음에 현재의 전송로의 품질의 정보를 제어부(25)가 획득한다(스텝(303)). 여기서 현재의 상태가 모든 단말국과의 사이의 무선전송로의 회선품질이 양호한지 아닌지 판단하고(스텝(304)), 모든 회선이 양호한 경우에는 관리정보가 갱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짧게 설정한다(스텝(305)). 또, 스텝(304)의 판단으로 양호하지 않은 회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관리정보가 갱신되기까지의 시간을 길게 설정한다(스텝(306)).
그리고, 그 설정한 시간에 의거하여 갱신용의 카운터의 값의 설정을 행한다( 스텝(307)). 이때 설정되는 카운터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텝(305)에서 짧은 시간을 설정하였을 때에는, 비교적 작은 값을 초기값으로 설정하고, 스텝(306)에서 긴 시간을 설정하였을 때에는, 비교적 큰 값을 초기값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그 설정한 카운터데이터와 갱신정보를 관리정보 동보구간에서 네트워크 상에 동보송신한다(스텝(308)).
이와 같이 중앙제어국에서 갱신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그 때의 회선품질에 따른 적절한 타이밍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플로차트에서는, 회선품질에 의해 타이밍을 가변설정하도록 하였으나, 스텝(303, 304)에서의 회선품질 판단대신에, 다른 요인의 판단을 행하여 그 판단에 의거하여 갱신되기까지의 타이밍을 가변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도 1, 도 2에 나타낸 네트워크구성과 같이 중앙제어국과 직접 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단말국이 존재하는 것을 중앙제어국이 인식하였을 때, 갱신되기까지의 시간을 긴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프레임구성에 대해서는, 호적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그 프레임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송방식 등에 적합한 각종 프레임구성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관리정보 동보구간과 국동기 송수구간으로 구성되는 관리정보 전송영역을 각 프레임의 선두부분에 배치하였으나, 1프레임 내의 기타의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리정보 전송영역은 모든 프레임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소정수의 프레임마다 1회만 관리정보 전송영역을 설치하고, 관리정보나 국동기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리정보 전송영역 내에서 중앙제어국에서 송신되는 관리정보에 의거하여 프레임주기를 규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다른 신호에 의해 프레임주기를 규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청구항 1에 기재한 전송제어방법에 의하면, 각 통신국에서는 미리 전송된 갱신정보가 세트된 후, 지시된 타이밍으로 일제히 그 세트된 갱신정보로 제어정보가 갱신되고, 네트워크 내의 모든 통신국에서 동시에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국에서 각 통신국에 갱신정보와 타이밍정보를 동보송신하는 것만의 간단한 처리로, 제어정보의 양호한 갱신처리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전송제어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제어국은 제어정보가 갱신되는 타이밍까지의 사이에, 갱신되는 제어정보를 복수회 반복 송신하는 것으로, 각 통신국에서는 갱신정보의 일시적인 수신에러 등이 있어도, 복수회 송신되는 갱신정보 중의 적어도 1회가 정확히 수신되면 좋고, 갱신정보를 각 통신국에 대하여 확실히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전송제어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제어국이 송신하는 타이밍의 정보는 카운트값의 정보로서, 이 카운트값의 정보를 수신한 통신국에서는, 그 정보로 지정된 카운트값으로부터의 카운트다운 또는 카운트업을 행하여, 그 카운트다운 또는 카운트업한 값이 소정의 값으로 되었을 때, 제어정보를 갱신시키는 것으로 카운트값을 사용한 간단한 처리로 갱신타이밍의 설정을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전송제어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제어정보는 제어국에 의해 설정되는 프레임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카운트값의 카운트다운 또는 카운트업은, 프레임주기를 단위로 하여 행하는 것으로,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통신국에서는 프레임주기의 관리와 동시에, 갱신타이밍의 설정을 행하고, 간단히 갱신타이밍을 각 통신국에서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전송제어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제어국은 전송로 상의 회선품질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회선품질에 따라서 제어정보를 갱신하기까지의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네트워크 내의 모든 통신국에 대하여 확실히 갱신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때ㄲ지의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그 때의 회선품질이 어떠한 상태라도 가능하게 된다. 또 회선품질이 좋은 경우에는, 단시간으로 갱신정보에 의해 제어정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전송제어장치에 의하면, 네트워크 내의 전송장치에 대하여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를 행할 때에, 그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타이밍의 지정이 가능하게 되고, 네트워크 내의 모든 국에서 동시에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전송제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타이밍 지정수단으로 얻는 타이밍정보는 갱신되기까지의 카운트값을 나타내는 카운트다운정보로 한 것으로, 카운트값의 전송만으로 정확한 갱신타이밍의 지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전송제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타이밍 지정수단은 네트워크 내의 회선품질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회선품질에 따라서 제어정보를 갱신하기까지의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갱신정보를 네트워크 내의 모든 국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그 때의 회선품질에 따라서 적정히 확보되고, 어떠한 회선품질상태라도 제어정보를 각 국에 정확히 설정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전송제어장치에 의하면, 제어장치에서 지정된 타이밍에서 미리 수신한 갱신정보에 의해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에 의거한 제어정보의 갱신처리가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전송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소정의 주기마다 카운트값이 변화하는 카운터를 갖추고, 타이밍정보로서 얻어진 카운트값을 카운터에 설정하고, 그 설정한 카운트값이 소정값으로 되었을 때, 제어정보를 갱신정보로 갱신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카운터에 카운트값을 설정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정확한 갱신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0)

  1.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통신국사이에서의 전송액세스를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어국에서 송신하는 제어정보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전송제어방법에 있어서,
    갱신하는 타이밍보다 이전에, 갱신 제어정보와 그 갱신 타이밍정보를 상기 제어국이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통신국이, 수신한 타이밍정보에 의해 설정된 타이밍에서, 수신된 갱신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어국이 송신하는 타이밍정보는, 카운트값의 정보가 되는 단계와,
    이 카운트값의 정보를 수신한 통신국은, 상기 정보에 의해 지정된 카운트값으로부터 카운트다운 또는 카운트업을 행하고, 그 카운트다운 또는 카운트업한 값이 소정값이 되었을 때,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갱신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갱신시키는 전송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제어정보가 갱신되는 타이밍까지, 갱신 제어정보를 복수회 반복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송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에 의해 설정되는 프레임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갱신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카운트값의 카운트다운 또는 카운트업은, 상기 프레임주기를 단위로 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송제어방법.
  4.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통신국사이에서의 전송액세스를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어국에서 송신하는 제어정보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전송제어방법에 있어서,
    갱신하는 타이밍보다 이전에, 갱신 제어정보와 그 갱신 타이밍정보를 상기 제어국이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통신국이, 수신한 타이밍정보에 의해 설정된 타이밍에서, 수신된 갱신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국은, 전송로상의 회선품질을 판단하고,
    상기 전송로상의 판단된 회선품질에 따라,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갱신 제어정보를 근거로 하여 갱신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변화시키는 전송제어방법.
  5.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전송장치에서의 전송액세스를 제어하는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에 의해 상기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제어정보를 작성하는 갱신정보 작성수단과,
    상기 갱신정보 작성수단으로 작성한 상기 갱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정보의 갱신 타이밍을 지정하는 타이밍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밍 지정수단과,
    상기 갱신정보 작성수단으로 작성한 상기 갱신정보와, 상기 타이밍 지정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타이밍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지정수단은 갱신되기까지의 카운트값을 나타내는 카운트다운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장치.
  6.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전송장치에서의 전송액세스를 제어하는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에 의해 상기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제어정보를 작성하는 갱신정보 작성수단과,
    상기 갱신정보 작성수단으로 작성한 상기 갱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정보의 갱신 타이밍을 지정하는 타이밍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밍 지정수단과,
    상기 갱신정보 작성수단으로 작성한 상기 갱신정보와, 상기 타이밍 지정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타이밍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지정수단은, 네트워크내의 전송로의 회선품질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회선품질에 따라서 상기 제어정보의 갱신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장치.
  7. 다른 전송장치와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동시에, 제어장치로부터 갱신 제어정보와, 갱신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정보가 갱신정보 및 갱신 타이밍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갱신 타이밍정보에 의해 지정된 타이밍에서 상기 갱신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제어정보를 갱신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각각의 소정의 주기마다 카운트값이 변화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타이밍정보로서 얻어진 카운트값을 상기 카운터에 설정하고, 그 설정한 카운트값이 소정값으로 되었을 때,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갱신 제어정보로 갱신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전송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9990049776A 1998-11-13 1999-11-10 전송제어방법 및 전송장치 KR100655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23848 1998-11-13
JP32384898A JP2000151641A (ja) 1998-11-13 1998-11-13 伝送制御方法及び伝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394A KR20000035394A (ko) 2000-06-26
KR100655947B1 true KR100655947B1 (ko) 2006-12-08

Family

ID=1815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49776A KR100655947B1 (ko) 1998-11-13 1999-11-10 전송제어방법 및 전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08824B1 (ko)
EP (1) EP1001573B1 (ko)
JP (1) JP2000151641A (ko)
KR (1) KR100655947B1 (ko)
DE (1) DE6993465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4799A (ja) * 2000-03-23 2001-10-05 Sony Corp 無線伝送方法および無線伝送装置
US20020009055A1 (en) * 2000-05-25 2002-01-24 Shigeru Sugaya Method of controlling transimission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JP2002051059A (ja) * 2000-05-25 2002-02-15 Sony Corp 伝送制御方法および伝送制御装置
EP1176750A1 (en) * 2000-07-25 2002-01-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ink quality determination of a transmission link in an OFDM transmission system
ATE343278T1 (de) * 2000-08-23 2006-1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Kommunikationssystem und -vorrichtung
JP2005051277A (ja) * 2001-06-08 2005-02-24 Sony Corp 無線ネットワークを構築する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並びに通信方法
DE10220334A1 (de) 2002-05-07 2003-11-20 Siemens Ag Verfahren und System zur Übertragung von Daten über schaltbare Datennetze
JP2004136009A (ja) 2002-10-21 2004-05-13 Nintendo Co Ltd 無線通信ゲームシステム
JP4080366B2 (ja) * 2003-04-01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端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端末の制御方法
JP4073885B2 (ja) 2003-06-17 2008-04-09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AU2003903139A0 (en) 2003-06-20 2003-07-03 Resmed Limited Breathable gas apparatus with humidifier
JP2006279342A (ja) * 2005-03-28 2006-10-12 Nec Corp 送信データ更新方法、プログラム、装置及びシステム
JP4776451B2 (ja) 2006-06-19 2011-09-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及び通信方法
JP5108786B2 (ja) 2006-12-26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並びに無線制御局及び無線基地局
JP4932879B2 (ja) * 2009-08-20 2012-05-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
US20150035681A1 (en) * 2013-08-01 2015-02-05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Point-to-Multipoint Polling in a Monitoring System for a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WO2021241220A1 (ja) * 2020-05-26 2021-12-02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734A (en) * 1993-01-29 1994-12-06 Digital Ocean, Inc.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62314A (en) * 1979-12-07 1984-02-14 Hideo Ota Data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JPH01237864A (ja) * 1988-03-18 1989-09-22 Fujitsu Ltd Dma転送制御装置
JP2523882B2 (ja) * 1989-07-13 1996-08-14 株式会社東芝 デ―タ伝送装置
CA2015514C (en) * 1989-08-22 1996-08-06 Mitsuru Tsuboi Packet switching system having bus matrix switch
JP2765411B2 (ja) * 1992-11-30 1998-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仮想計算機方式
US5384777A (en) * 1993-04-19 1995-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medium access control scheme for wireless LAN
SE9304119D0 (sv) * 1993-12-10 1993-12-10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Apparatuses and mobile stations for providing packet data communication in digital TDMA cellular systems
JP3267059B2 (ja) * 1994-08-09 2002-03-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US6067121A (en) * 1995-06-07 2000-05-23 Kabushiki Kaisha Toshiba Scrambled broadcast system
US5805977A (en) * 1996-04-01 1998-09-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in a two-way selective call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734A (en) * 1993-01-29 1994-12-06 Digital Ocean, Inc.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08824B1 (en) 2003-08-19
EP1001573A2 (en) 2000-05-17
EP1001573B1 (en) 2007-01-03
DE69934656D1 (de) 2007-02-15
EP1001573A3 (en) 2003-10-22
DE69934656T2 (de) 2007-10-25
JP2000151641A (ja) 2000-05-30
KR20000035394A (ko) 200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947B1 (ko) 전송제어방법 및 전송장치
US9344161B2 (en) Coverage enhancement using dynamic antennas and virtual access points
JP396203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近距離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6310866B1 (en)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with automatic frequency assignment
EP1430656B1 (en) Network with several subnetworks
US6493545B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WO2002080397A2 (en) Increasing link capacity via concurrent transmissions in centralized wireless lans
US6542494B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CN113455026B (zh) 接入方法及通信装置
EP1039696B1 (en) Radio transmission in a local area network
EP0932277B1 (en) Method, apparatus, and control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01189951A (ja) 無線伝送方法および無線伝送装置
US20040116114A1 (en) Loc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490459B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JP4304813B2 (ja) 伝送制御方法および伝送制御装置
US6992996B2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EP2098015B1 (en) Wireless non-cellular network
WO20100411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over multiple networks
CN101466120B (zh) 网络中的通信方法
US2023034539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phase and time of day synchronization in wireless systems
JP2001274799A (ja) 無線伝送方法および無線伝送装置
JP3399451B2 (ja) 伝送装置及び通信方法
KR20070021096A (ko) 미니 슬롯 통신 프로토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