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508B1 - 토지피복장치 - Google Patents

토지피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508B1
KR100655508B1 KR1020040093217A KR20040093217A KR100655508B1 KR 100655508 B1 KR100655508 B1 KR 100655508B1 KR 1020040093217 A KR1020040093217 A KR 1020040093217A KR 20040093217 A KR20040093217 A KR 20040093217A KR 100655508 B1 KR100655508 B1 KR 100655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gle
horizontal
land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607A (ko
Inventor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엠테크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테크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엠테크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4009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5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01B13/025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with passively driven rotating disc-like elements for forming the rid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01B35/06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with spring tools or with resiliently- or flexibly-attached rigi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 A01B63/24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Abstract

본 발명은 토지에 두둑을 형성하는 배토기 및, 이 배토기가 장착되고, 토지에 비닐을 피복하는 토지피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에 이격상태로 후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아암(52)을 갖는 프레임(50); 상기 프레임(50)을 주행장치에 연결시키는 동시에, 프레임(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터(60); 상기 프레임(50)의 전방 양측에 위치한 토지를 배토하여,프레임(50)의 양측에 두둑을 형성하는 배토기(70); 상기 프레임(50)에 비닐롤(R)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고정된 비닐롤(50)의 비닐을 인출하여 토지에 피복하는 비닐인출기(80); 및 상기 프레임(50)의 후방 양측에 위치한 토지를 복토하여, 상기 비닐인출기(80)에 의하여 토지상에 피복된 비닐의 양측을 토양으로 덮는 복토기(90);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배토기(70)는 수직의 텔레스코픽로드(72); 및 상기 텔레스코픽로드(7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반구형의 배토휠(76);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토기(70)는 주행장치나 토지피복장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배토기(70)의 배토휠(76)이 두둑을 반구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커넥터(60)는 주행장치에 연결된 프레임(50)의 설치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배토, 피복, 커넥터, 각도, 반구

Description

토지피복장치 {COVERING APPARATUS FOR LAD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토지피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주행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지피복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아암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프레임 52 : 아암 52a : 힌지볼트
55 : 아암가압기 55a : 탄성부재 55b : 하우징
55c : 탄성조절나사 60 : 커넥터 61 : 모션브래킷
61h : 수평장공 62 : 앵글 63 : 고정볼트
64 : 탄성체 65 : 보조앵글 66 : 가압볼트
68 : 체결볼트 70 : 배토기
72 : 텔레스코픽로드 76 : 배토휠 80 : 비닐인출기
82 : 필라 84 : 심압돌기 86 : 가압롤러
90 : 복토기 92 : 수직봉 94 : 복토휠
본 발명은 토지에 비닐을 피복하는 피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장치의 후방에 연결되어 주행장치에 의하여 견인되면서, 토지를 피복하는 피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지에 비닐을 피복하는 토지피복장치는, 토지를 주행하는 주행장치(예: 트랙터 또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어 주행하는 로터 등)의 후방에 연결되어, 주행차량의 주행시 토지에 비닐을 피복한다. 이러한, 토지피복장치는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토지피복장치의 사시도로서, 대한민국특허청에 2004년 4월 2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된 출원번호 제2004-9151호(명칭: 트랙터용 경작장치)에 개시된 토지피복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토지피복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행차량(미도시)의 후방에 설치된 연결부(C)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10)이 연결된다. 그리고, 주행차량의 주행시 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고정 된 보습(30)이 토지를 배토하면서 두둑을 만든다.
여기서, 프레임(10)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비닐고정프레임(20)에는 비닐롤(미도시)이 심압돌기(2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비닐롤에서 인출된 비닐은 프레임(10)의 후방으로 돌출된 아암(12)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비닐가압롤러(24)에 가압된다. 따라서, 주행차량의 주행시 비닐은 비닐가압롤러(24)의 가압에 의하여 비닐롤에서 인출된다. 이때, 아암(12)의 하단에 설치된 복토휠(40)은, 주행차량의 주행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비닐롤에서 인출되는 비닐의 양측에 토양을 덮는다. 이에 따라, 인출된 비닐은 덮어진 토양의 하중에 의하여, 토지상에 고정되면서 토지에 피복된다.
한편, 도 2는 주행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주행장치의 연결부(C)는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이며, 이 연결부(C)는 주행장치의 메인프레임(F)에 통상 용접(W)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부(C)에는 토지피복장치의 프레임(10) 중앙 하부에 일체로 마련된 킹핀(미도시)이 끼워진다. 따라서, 토지피복장치는 주행장치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토지피복장치는, 보습(30)이 흙을 퍼올려 쌓으면서 두둑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흙에 하단부가 박힌 보습(30)이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측방으로 흙을 밀어내서 두둑을 형성하므로, 두둑의 단면 형태가 반구형이 아닌 삼각형형태로 보기 싫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보습(30)의 하단부가 흙과 면접촉을 하면서 급격하게 마모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토지피복장치는, 주행차량의 연결부(C)의 장착상태에 따라, 프레임(10)의 설치각도가 비틀리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C)의 용접(W)이 불량(양측의 용접두께가 상이한 경우)할 경우, 연결부(C)가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레임(10)의 킹핀도 연결부(C)에 의하여 비틀리므로, 프레임(10)의 설치각도는 자연히 비틀리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연결부(C)의 용접(W) 상태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평면상 비틀리게 된다. 이때, 프레임(10)이 수평을 유지 못할 경우에는, 프레임(10)의 양단이 상이한 높이를 가지므로, 프레임(10)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보습(30) 및 복토휠(40)은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토나 복토를 실시한다. 따라서, 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두둑 및, 비닐의 양측에 덮어지는 복토는 높이차를 갖게 된다. 물론, 비닐상의 복토가 낮은 높이로 형성될 경우, 비닐은 토지상에 고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레임(10)이 평면상 비틀릴 경우, 보습(30) 및 복토휠(40)의 배토 및 복토시, 프레임(10)의 양단이 계속 비틀리게 되면서 프레임(10)이 변형되거나, 프레임(10)의 킹핀 및 주행장치의 연결부(C)가 변형하기도 한다.
아울러, 종래의 토지피복장치는, 아암(12)이 프레임(10)에 연결된 아암스프링(12a)에 의하여 탄성작용하도록 구성되었으나, 토지의 굴곡에 따라 아암(12)이 전체적으로 유동함에 따라 아암(12)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도 있으며, 프레임(10)에 아암스프링(12a)이 연결됨에 따라, 아암스프링(12a)의 탄성력이 아암(12)의 후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복토휠(40) 및 비닐가압롤러(24)가 토지나 비닐을 미약하게 가압하는 문제도 있다.
게다가, 비닐고정프레임(20)이 심압돌기(22)의 상부에서 프레임(10)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비닐고정프레임(20)의 심압돌기(22)에 두께가 두꺼운 비닐롤을 고정할 경우, 비닐롤의 상단 외주면이 비닐고정프레임(20)에 접촉하므로, 두께가 두꺼운 비닐롤은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도 있다. 즉, 비닐롤의 외주면에 비닐고정프레임(20)이 간섭되므로, 비닐고정프레임(20)에 의하여 비닐롤의 두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토지에 대하여 선접촉을 하는 동시에, 흙을 퍼올려 쌓으면서 두둑을 반구형의 형성하는 배토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전술한 배토기가 설치되고, 프레임이 주행장치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프레임의 설치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프레임을 유동가능하게 지지하여 프레임의 수평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토지피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그리고, 후단부만이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토지의 굴곡에 따라 후단부만이 유동하는 아암이 장착되고, 아암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토지피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비닐롤의 외주면이 다른 물체에 의하여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지피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토기는, 주행장치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텔레스코픽로드 및; 이 텔레스코픽로드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토지를 배토하고, 측면상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반구형의 배토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를 갖는 토지피복장치는, 수평상태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이격상태로 후방을 향하여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쌍의 아암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주행장치에 연결시키고, 연결된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터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위치한 토지를 배토하여, 프레임의 양측에 두둑을 형성하는 배토기와; 상기 프레임에 비닐롤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고정된 비닐롤의 비닐을 인출하여 토지에 피복하는 비닐인출기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위치한 토지를 복토하여, 상기 비닐인출기에 의하여 토지상에 피복된 비닐의 양측을 토양으로 덮는 복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프레임의 평면상 각도나 수평각도, 또는 평면상 및 수평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면을 가지며, 프레임과 동일체로 유동하는 모션브래킷과; 상기 모션브래킷의 수평면에 상부면이 밀착되고, 하부면은 상기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는 앵글 및; 상기 앵글의 상부면에 대하여 상기 모션브래킷의 수평면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모션브래킷을 중심으로 상 기 프레임의 평면상 각도를 조절하는 평면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프레임의 평면상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평면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상기 모션브래킷의 수평면에 원호형의 수평장공을 형성하고, 이 수평장공을 통하여 상기 앵글의 상부면에 체결볼트를 고정함으로써, 모션브래킷의 수평면이 앵글의 상부면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수직으로 밀착되는 기립면 및, 이 기립면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면을 갖는 앵글 및; 상기 앵글의 기립면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앵글을 중심으로 프레임의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수평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프레임의 수평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수평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상기 앵글의 기립면에 원호형의 수직장공을 형성하고, 이 수직장공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고정볼트를 고정함으로써, 프레임이 앵글의 기립면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이소운동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면을 가지며, 프레임과 동일체로 유동하는 모션브래킷과; 상기 모션브래킷의 수평면에 수평상태로 밀착되는 평판면 및, 이 평판면의 하부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는 수직연장면을 갖는 보조앵글과; 상기 보조앵글의 평판면에 대하여 상기 모션브래킷의 수평면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 여, 모션브래킷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의 평면상 각도를 조절하는 평면각도조절수단과; 상기 보조앵글의 수직연장면에 수직상태로 밀착되는 기립면 및, 이 기립면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면을 갖는 앵글 및; 상기 앵글의 기립면에 대하여 상기 보조앵글의 수직연장면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앵글을 중심으로 프레임의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수평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프레임의 평면상 및 수평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면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상기 모션브래킷의 수평면에 원호형의 수평장공을 형성하고, 이 수평장공을 통하여 상기 보조앵글의 평판면에 체결볼트를 고정함으로써, 모션브래킷의 수평면이 보조앵글의 평판면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상기 앵글의 기립면에 원호형의 수직장공을 형성하고, 이 수직장공을 통하여 상기 보조앵글의 수직연장면에 고정볼트를 고정함으로써, 보조앵글의 수직연장면이 앵글의 기립면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이소운동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넥터에는 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프레임의 수평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프레임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평유지부재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토기는 예컨대, 상기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텔레스코픽 로드와; 상기 텔레스코픽로드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텔레스코픽로드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토지를 배토하고, 측면상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반구형의 배토휠;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인출기는 예컨대, 상기 프레임에 돌출된 한쌍의 상기 아암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되는 한쌍의 필라와; 상기 한쌍의 필라 하단에서 서로 대향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비닐롤의 양단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심압돌기 및; 상기 심압돌기의 비닐롤에서 인출되는 비닐의 양측을, 상기 한쌍의 아암 후방측에서 제각각으로 탄성가압하는 한쌍의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토기는 예컨대, 상기 프레임에 돌출된 아암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봉 및; 상기 수직봉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토지를 복토하고,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반구형의 복토휠;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에 돌출된 아암의 후단부 각도를 토지의 굴곡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는 아암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아암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상기 아암의 중간부분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아암의 절단부를 중첩시켜서, 중첩된 부위에 힌지볼트를 관통고정함으로써, 아암의 후단부가 힌지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에 돌출된 아암의 후단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아암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아암가압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아암가압기는 예컨대, 상기 아암의 후단부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아암의 전단부에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지피복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지피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아암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지피복장치는, 한쌍의 아암(52)을 갖는 프레임(50)과; 이 프레임(50)을 미도시된 주행차량에 연결하면서, 프레임(5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터(60)와; 두둑을 형성하는 배토기(70)와; 토지에 비닐을 피복하는 비닐인출기(80) 및; 피복된 비닐에 토양을 제공하는 복토기(9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태의 강관이다. 이때, 아암(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프레임(50)의 후방으로 길게 돌출된다.
다음, 커넥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의 중앙에 일측이 볼팅고 정되고, 타측은 도 2에 도시된 주행차량의 연결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프레임(50)은 주행차량의 후방에 연결된다.
그 다음, 배토기(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의 아암(52) 전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토기(7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의 아암(5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텔레스코픽로드(72)와; 이 텔레스코픽로드(72)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74) 및; 이 텔레스코픽로드(7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토지를 배토하고,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반구형의 배토휠(7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토기(70)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텔레스코픽로드(72)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52)에 부착되는 실린더(72a) 및; 이 실린더(72b)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신축하는 신축로드(72b);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축로드(72b)의 하단에 스프링(74) 및 배토휠(76)이 장착된다. 스프링(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로드(72b)의 하단 외주면에 끼워져서 장착되고, 배토휠(76)은 신축로드(72b)의 하단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배토휠(76)은 측면상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우산모양을 취한다.
이때, 실린더(72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로드(72b)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는 레버(L)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축로드(72b)의 하단부에는 확대도시된 바와 같은 칼라(72c)를 마련하여, 스프링(74)이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축로드(72b)의 하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회전하는 배토휠(76)이 신축로드(72b)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토휠 (76)은 절곡된 신축로드(72c)의 하단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배토휠(76)은 프레임(50)의 이동시 회전한다.
이러한, 배토기(70)는 도시된 바와 달리, 프레임(50)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토지피복장치가 아닌 주행장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주행장치는 트랙터나,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는 로터 또는, 카트 일 수 있다. 이러한, 주행장치는 전술한 바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서, 비닐인출기(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에 돌출된 한쌍의 아암(52)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되는 한쌍의 필라(82)와; 이 한쌍의 필라(82) 하단에서 서로 대향상태로 설치되고, 비닐롤(R)의 양단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심압돌기(84) 및; 이 심압돌기(84)의 비닐롤(R)에서 인출되는 비닐의 양측을, 한쌍의 아암(52) 후방측에서 제각각으로 탄성가압하는 한쌍의 가압롤러(86);를 포함한다.
필라(82)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은, 배토기(70)의 텔레스코픽로드(72)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압돌기(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뽀족한 꼭지 부분이 비닐롤(R)의 중앙을 가압한다, 따라서, 비닐롤(R)은 심압돌기(84)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비닐을 인출한다. 이러한, 비닐롤(R)은 두께가 두꺼워도 심압돌기(84)에 고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비닐인출기(80)는 비닐롤(R)의 외주면에 간섭되는 물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압롤러(86)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바퀴이며, 아암(52)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압롤러(86)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롤러(8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52)의 후단에 고정된 수직축(86c)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가압롤러(8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된 링크(86a)에 의하여 수직축(86c)과 연결된다. 하지만, 가압롤러(86)는 후술되는 복토기(90)의 수직봉(92)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링크(86a)를 수직봉(92)에 연결하고, 이 링크(86a)의 단부에 가압롤러(86)를 힌지고정시키면 된다. 결론적으로, 가압롤러(86)의 설치방법은 다양하다. 다만, 가압롤러(86)는 비닐롤(R)에서 인출되는 비닐의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 된다.
가압롤러(86)는 토지의 굴곡에 따라 높이가 변위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치하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86a)의 외주면에 가압롤러(86)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86b)을 설치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복토기(90)는 프레임(50)에 돌출된 아암(52)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봉(92) 및; 이 수직봉(9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토지를 복토하고,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반구형의 복토휠(94);을 포함한다.
복토휠(94)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배토휠(76)의 반대방향으로 수직봉(92)에 설치된다. 이때, 복토휠(94)은 수직봉(92)에 세워져서 설치되므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 펼쳐진 우산모양을 취한다. 물론, 복토휠(94)은 수직봉(92)의 하단에 힌지고정되므로, 프레임(50)의 이동시 회전한다. 여기서, 수직봉(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타입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넥터(60)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커넥터(60)는 주행장치에 설치된 프레임(5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50)의 설치각도는, 프레임(50)의 평면상 각도 및 수평각도로 분류된다. 커넥터(60)는 평면상 각도나 수평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커넥터(60)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60)이며, 프레임(50)의 평면상 각도 및 수평각도를 모두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브래킷(61); 보조앵글(65); 평면각도조절수단; 앵글(65); 및 수평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6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션브래킷(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의 중앙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면(61c)을 가지며, 프레임(50)과 동일체로 유동한다. 이러한, 모션브래킷(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곡에 의하여 일측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수평면(61a)을 볼트(B)로 프레임(5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모션브래킷(61)은 절곡하지 않고, 도시된 바와 달리 평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 보조앵글(6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절곡되어,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수평상태로 밀착되는 평판면(65c) 및, 이 평판면(65c)의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면(65c)을 갖는다. 이때, 수직연장면(65c)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과 이격된다. 물론, 모션브래킷(61)의 일측과도 이격된다.
그 다음, 평면각도조절수단은 보조앵글(62)의 평판면(65c)에 대하여 모션브 래킷(61)의 수평면(61c)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프레임(10)은 모션브래킷(6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평면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평면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원호형의 수평장공(61h)을 형성하고, 이 수평장공(61h)을 통하여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에 체결볼트(68)를 고정함으로써,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이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모션브래킷(61)은 체결볼트(68)가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에 고정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장공(61h)에 의하여 체결볼트(68)를 축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모션브래킷(61)은 수평장공(61h)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된다. 왜냐하면, 모션브래킷(61)의 회전시 수평장공(61h)의 단부에 체결볼트(68)가 걸리기 때문이다. 즉, 모션브래킷(61)의 회전각도는 수평장공(61h)에 의하여 결정된다. 물론, 체결볼트(68)는 모션브래킷(61)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앵글(65)에 체결된다. 따라서, 모션브래킷(61)의 회전에 의하여 프레임(50)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므로, 프레임(50)은 평면상 회전각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수평장공(61h) 및 체결볼트(68)는 필요에 따라 한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한 개로 구성할 경우, 수평장공(61h)의 원호각도 및 길이는 모션브래킷(61)이 회전가능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수평장공(61h)을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반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장공(61h)의 설계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앵글(6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절곡되어, 전술한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b)에 수직상태로 밀착되는 기립면(62b) 및, 이 기립면(62b)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면(62c)을 갖는다. 이때, 앵글(65)의 하부면(62c) 중앙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킹핀(K)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킹핀(K)은 도 2에 도시된 주행장치의 연결부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앵글(65)은 주행장치에 연결된다. 이렇게, 주행장치의 연결부에 끼워지는 킹핀(K)은, 연결부(C)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앵글(65)의 하부면(62c)은 항상 수평을 유지한다. 즉, 앵글(65)은 연결부(C)에 끼워진 킹핀(K)에 의하여 유동이 불가능하다.
수평각도조절수단은 앵글(62)의 기립면(62b)에 대하여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b)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프레임(50)은 앵글(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평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수평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62)의 기립면(62b)에 원호형의 수직장공(62h)을 형성하고, 이 수직장공(62h)을 통하여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c)에 고정볼트(63)를 고정함으로써,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c)이 앵글(62)의 기립면(62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이소운동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b)은 앵글(62)의 하부면(62c)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정볼트(63)가 앵글(62)의 기립면(62b)에 형성된 수직장공(62h)을 관통하므로, 고정볼트(63)를 축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c)은, 수직장공(62h)에 의하여 회 전이 제어된다. 왜냐하면,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b)과 함께 회전하는 고정볼트(63)가 수직장공(62h)의 단부에 걸리기 때문이다. 즉, 보조앵글(65)의 회전각도는 수직장공(62h)에 의하여 결정된다. 물론, 고정볼트(63)는 보조앵글(65)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b)에 체결된다.
이러한, 보조앵글(65)은 전술한 체결볼트(68)에 의하여 모션브래킷(61)에 연결되므로, 모션브래킷(61)을 고정볼트(63)를 중심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키면서 시이소운동을 시킨다. 따라서, 모션브래킷(61)의 시이소운동에 의하여 프레임(50)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소운동을 하므로, 프레임(50)의 수평은 조절된다.
여기서, 수직장공(62h) 및 고정볼트(63)는 필요에 따라 한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한 개로 구성할 경우, 수직장공(62h)의 원호각도 및 길이는 보조앵글(65)이 회전가능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직장공(62h)의 설계는 전술한 모션브래킷(61)의 수평장공(61h)에 대한 설계와 대동소이 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앵글(62)의 하부면(62c)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끼움홈(62c')을 형성하고, 이 끼움홈(62c')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64)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탄성체(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구성하여, 상단이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 하부양측을 제각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탄성체(64)는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 및, 유동이 불가능한 앵글(62)의 하부면(62c)을 탄력지지한다. 따라서, 탄성체(64)는 토지의 굴곡에 따른 배토기(70) 및 복토기(90)의 진동이 프레임(50)에 전달될 경우, 이 진동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진동에 의하여 시이소운동하는 프레임(50)을 탄력지지하면서, 프레임(50)의 수평을 원래상태로 보정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50)은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탄성체(64)는 프레임(50)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재이다.
이렇게, 탄성체(64)가 프레임(50)의 수평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이유는, 진동이 프레임(50)에 전달되어 프레임(50)의 양단에 기복이 교차될 경우, 프레임(50)이 전술한 고정볼트(6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이소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이때,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은 프레임(50)의 유동에 의하여 탄성체(64)를 가압하며, 탄성체(64)는 자체탄성력으로 평판면(65c)을 밀어올린다. 따라서, 평판면(65c)은 탄성체(64)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하며, 동시에 보조앵글(65)에 연결된 프레임(50)도 수평을 유지한다.
이러한, 탄성체(64)는 완전히 팽창된 것 보다 약간 압축될 때, 탄성력이 극대화 된다. 이렇게, 탄성체(64)를 압축시키기 위해서는 탄성체(64)를 압축시키는 탄성제어부재를 커넥터(60)에 마련하여야 한다. 탄성제어부재는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에 나사결합되어, 평판면(65c)을 관통하면서 탄성체(64)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볼트(66);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가압볼트(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에 용접고정된 너트(N)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압볼트(66)의 하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가압판(66a)을 일체로 마련하여, 이 가압판(66a)이 탄성체(64)를 가압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압판(66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탄성체(64)에 제각각으로 마련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후술되는 가압플레이트(P)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재로 구성하여 두 개의 탄성체(64)를 한꺼번에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압판(66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중앙에 홈을 형성하고, 하부면 중앙에 돌기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판(66a)의 홈에는 가압볼트(66)의 하단부가 끼워진다. 그리고, 가압판(66a)의 돌기에는 탄성체(64)의 상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압볼트(66)는 가압판(66a)의 홈을 중심으로 피벗회전하면서 가압판(66a)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탄성체(64)는 가압볼트(66)에 의하여 압축되거나 팽창되면서 탄성력이 제어된다. 이때, 가압볼트(66)에 의하여 변형하는 탄성체(64)는, 가압판(66a)의 돌기에 의하여 가압판(66a)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다른 한편, 프레임(50)에 돌출된 아암(52)은, 후단에 설치된 복토기(90)에 의하여 심하게 진동한다. 왜냐하면, 복토기(90)의 복토휠(94)이 토지의 굴곡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아암(52)의 진동을 방지하려면, 아암(52)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자재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아암(52)의 후단을 유동자재시키는 아암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아암각도조절수단은 아암(52)의 후단부 각도를 토지의 굴곡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아암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52)의 중간부분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아암(52)의 절단부를 중첩시켜서, 중첩된 부위에 힌지볼트(52a)를 관통고정함으로써, 아암(52)의 후단부가 힌지볼트(52a)를 중심 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암(52)은 후단부가 복토기(90)에 의하여 진동할 경우, 힌지볼트(52a)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아암(52)의 후단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아암(52)의 전단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물론, 아암(52)의 진동은 프레임(50)에도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은 아암(52)의 후단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아암(52)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아암가압기(55);를 더 포함한다. 아암(52)은 아암가압기(55)가 후단부를 가압하여 지지함에 따라, 복토기(90)를 압박한다. 따라서, 복토기(90)는 지면을 파고들면서 복토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아암가압기(55)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52)의 후단부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이 탄성부재를 아암(52)의 전단부에 고정시키는 하우징(55b);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스프링(55a)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코일스프링을 아암(52)의 후단부상에 병렬로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아암(52)의 후단부상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고정돌기(52b)를 형성하여, 이 스프링고정돌기(52b)에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55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로 형성하여, 아암(52)의 전단부 후단측에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우징(55b)의 후방부는 아암(52)의 후단부가 힌지볼트(52a)를 중심으로 회전자재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아암가압기(55)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5b)에 수직으로 체결되고, 하우징(55b)을 관통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나사(55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탄성조절나사(55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구성하여, 하우징(55b)의 상부면 중앙을 관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조절나사(55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5b)에 고정된 너트(N)를 통하여 하우징(55b)을 관통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때, 탄성조절나사(55c)가 두 개의 탄성부재를 한꺼번에 가압하도록, 탄성조절나사(55c) 및 탄성부재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의 가압플레이트(P)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플레이트(P)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중앙에 홈을 형성하고, 하부면 양단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홈에는 탄성조절나사(55c)의 단부가 끼워져서 피벗회전하고, 돌기에는 탄성부재가 끼워져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탄성조절나사(55c)는 피벗회전하면서, 가압플레이트(P)를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는 압축되거나 팽창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지피복장치는, 주행장치의 연결부(C)에 커넥터(60)의 앵글(62)에 마련된 킹핀(K)을 끼운다. 이때, 연결부(C)가 비틀려서 프레임(10)이 평면상 비틀릴 경우, 모션브래킷(61)을 관통한 체결볼트(68)를 약간 느슨하게 한 다음, 프레임(10)의 양측을 잡고 돌려서 프레임(10)의 평 면각도를 주행장치의 프레임(F)과 평행하게 보정한다. 그리고, 체결볼트(68)를 다시 조인다. (도 5 참고)
이어서, 비닐롤(R)에서 비닐을 풀은 후, 가압롤러(86)의 하부에 비닐을 배치한다. 이때, 비닐은 가압롤러(86)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지면에 대하여 고정된다. 계속해서, 주행장치를 주행시켜서 토지피복장치가 주행장치에 견인되도록 한다. 이렇게, 토지피복장치가 견인되게 되면, 배토기(70)의 배토휠(76) 및 복토기(90)의 복토휠(94)은 지면과 마찰되면서 회전하고, 비닐인출기(80)의 가압롤러(86)는 비닐에 마찰되면서 회전한다. 이러한, 배토휠(76)과 가압롤러(86)는 텔레스코픽로드(72) 및 링크(86a)에 설치된 스프링(74, 86b)에 의하여, 지면에 대하여 탄성작동한다.
이때, 배토휠(76)은 펼쳐진 우산과 같은 형태로 인하여, 하단부가 토지에 선접촉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시, 토양을 위로 퍼올리는 동시에 외측으로 배출하면서 프레임(50)의 양측에 두둑을 형성한다. 이러한, 두둑은 반구형의 단면을 갖는다. 왜냐하면, 배토휠(76)이 흙을 퍼올리는 동시에 배출함에 따라, 흙이 반구형으로 쌓이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가압롤러(86)는 계속해서 비닐을 가압하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비닐롤(R)은 심압돌기(8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비닐을 계속 인출한다. 이렇게, 인출되는 비닐은 토지피복장치의 주행 행적을 따라 토지를 피복한다. 또한, 복토휠(94)은 배토휠(76) 처럼, 회전하면서 토양을 위로 퍼올리는 동시에 내측으로 배출하여, 피복된 비닐의 양측에 토양을 제공한다. 따라서, 피복된 비닐은 복토휠 (94)이 제공한 토양의 무게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배토휠(76)과 가압롤러(86) 및 복토휠(94)은 지면과 마찰하므로 토지의 굴곡에 따라 유동한다. 이에 따라, 유동하는 배토휠(76)과 가압롤러(86) 및 복토휠(94)에 의하여 프레임(50)의 양단에 진동이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프레임(50)의 양단은 기복이 심하게 요동한다. 이때, 프레임(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0)에 의하여 중앙부를 중심으로 시이소운동을 실시한다. 따라서, 프레임(50)에 전달되는 진동은 프레임(50)에 대하여 수직전단력으로 작용하지 못한다.
만약, 프레임(50)이 시이소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 프레임(50)의 양단에 전달되는 진동은 프레임(50)에 대하여 수직으로 전달됨에 따라, 수직전단력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진동이 프레임(50)에 수직전단력으로 계속 작용하게 되면, 프레임(50)은 피로에 의하여 양단이 상부로 휘면서 변형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프레임(50)은 진동 발생시, 전술한 바와 같이 시이소운동을 하므로 변형이 방지된다.
이때, 커넥터(60)에 설치된 탄성체(64)는, 보조앵글(65) 및 앵글(62)을 탄력지지하므로, 프레임(50)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시이소운동을 하는 프레임(50)의 수평을 원래의 수평상태로 보정한다. 따라서, 프레임(50)은 양단에 진동이 발생될 경우, 잠깐 시이소운동을 한 후, 탄성체(64)에 의하여 다시 수평으로 보정된다.
다른 한편, 토지의 굴곡에 의하여 복토휠(94)이 수직방향으로 유동할 경우, 프레임(50)에 마련된 아암(52)의 후단부는 힌지볼트(52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복토휠(94)의 유동에 대응한다. 이때, 아암가압기(55)의 탄성부재는 아암(52)의 후단부를 압박하여, 상승한 복토휠(94)을 하강시키는 동시에 복토휠(94)을 지면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복토휠(94)의 유동에 의한 진동은 아암(52)의 전단부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복토휠(94)은 원활하게 복토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커넥터(60)가 프레임(50)의 평면상 각도만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실시에에 의한 커넥터(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의 중앙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면(61c)을 가지며, 프레임(50)과 동일체로 유동하는 모션브래킷(61)과; 이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상부면(62a)이 밀착되고, 하부면(62c)은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프레임(50)과 이격되는 앵글(62) 및; 이 앵글(62)의 상부면(62a)에 대하여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모션브래킷(61)을 중심으로 프레임(50)의 평면상 각도를 조절하는 평면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모션브래킷(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의 형태를 취한다. 하지만, 모션브래킷(61)을 절곡하여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모션브래킷(61)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앵글(62)은 도시된 바와 같은 'ㄷ'자형의 찬넬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달리 사각형의 형강이나 강관, 또는 절곡되지 않은 평판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앵글(62)은 평평한 상·하부면(62a, 62c)을 갖는 강재이면 족하다. 이러한, 앵글(62)의 하부면(62c)에는 주행장치의 연결부(C)에 끼 워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킹핀(K)을 일체로 형성한다. 따라서, 앵글(62)은 주행장치의 연결부(C)에 연결되어,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평면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원호형의 수평장공(61h)을 형성하고, 이 수평장공(61h)을 통하여 앵글(62)의 상부면(62a)에 체결볼트(68)를 고정함으로써,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이 앵글(62)의 상부면(62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평면각도조절수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커넥터(60)에 적용된 평면각도조절수단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60)는, 체결볼트(68)가 유동이 불가능한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에 고정됨에 따라, 모션브래킷(61)이 수평장공(61h)에 의하여 체결볼트(68)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물론, 회전하는 모션브래킷(61)은 체결볼트(68)가 수평장공(61h)의 단부에 걸림에 따라 회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프레임(50)은 회전하는 모션브래킷(61)에 의하여, 평면상 각도가 조절된다.
또 한편,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커넥터(60)가 프레임(50)의 수평각도만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3 실시에에 의한 커넥터(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의 중앙에 수직으로 밀착되는 기립면(62b) 및, 이 기립면(62b)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면(62c)을 갖는 앵글(62) 및; 이 앵글(62)의 기립면(62b)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5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앵글(62)을 중심으로 프레임(50)의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수평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각도조절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62)의 기립면(62b)에 원호형의 수직장공(62h)을 형성하고, 이 수직장공(62h)을 통하여 프레임(50)에 고정볼트(63)를 고정함으로써, 프레임(50)이 앵글(62)의 기립면(62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이소운동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의 커넥터(60)는,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커넥터(60)에서 모션브래킷(61) 및 보조앵글(65)을 생략한 것이다.
제3 실시예의 커넥터(60)는, 고정볼트(63)가 유동이 불가능한 앵글(62)의 기립면(62b)에 고정됨에 따라, 프레임(50)이 수직장공(62h)에 의하여 체결볼트(68)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이소운을 실시한다. 물론, 회전하는 프레임(50)은 고정볼트(63)가 수직장공(62h)의 단부에 걸림에 따라 회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프레임(50)은 시이소운동을 하면서 수평각도가 조절된다.
또 다른 한편, 도 10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러한, 제4 실시예의 커넥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커넥터(60)에 모션브래킷(61) 및 탄성체(64)를 추가한 것이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60)는 프레임(50)의 수평을 자동으로 보정한다. 이러한, 모션브래킷(61) 및 탄성체(64)는 프레임(50)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재이다.
여기서, 수평유지부재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수평유지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의 중앙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술한 제3 실시예에 의한 앵글(62)의 하부면(62c) 상부에 이격상태로 배치되는 수평면(61c)을 가지며, 프레임(50)과 동일체로 유동하는 모션브래킷(61) 및; 이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 및 앵글(62)의 하부면(62c)을 탄력지지하여, 프레임(50)의 수평을 원래상태로 보정하는 동시에, 프레임(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64);를 포함한다.
이때, 모션브래킷(61)은 평판을 적용하였다. 하지만, 모션브래킷(6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션브래킷(61)과 같이 절곡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의 커넥터(6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64)를 압축하여, 탄성체(64)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탄성제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탄성제어부재는,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나사결합되어, 수평면(61c)을 관통하면서 탄성체(64)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볼트(66);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4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60)는, 탄성체(64)가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 및, 유동이 불가능한 앵글(62)의 하부면(62c)을 탄력지지하므로, 프레임(50)의 유동시 모션브래킷(61)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프레임(50)은 자동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가압볼트(66)를 조작하여 탄성체(64)의 탄성력을 조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는, 배토기의 배토휠이 펼쳐진 우산과 같이 형성되어, 토지에 대하여 하단이 선접촉상태로 구름운동을 하는 동시에 흙을 퍼올려서 쌓으므로, 두둑을 보기 좋은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배토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토지피복장치는, 배토기에 의하여 두둑을 반구형으로 형성할 뿐만 아니라, 주행장치의 연결부에 연결된 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커넥터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에 연결된 배토기나 복토기가 프레임의 양측에 동일한 높이의 배토 및 복토 두둑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이 잘못된 설치각도에 의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커넥터의 탄성체가 프레임의 수평을 자동으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진동에 의한 프레임의 피로를 감소시키므로, 진동에 의하여 프레임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아암의 후단부가 아암각도조절수단 및 아암가압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동시에 기계적으로 압박되므로, 유동에 의한 아암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토기를 보다 확실하게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비닐인출장치에 종래와 같은 비닐고정프레임을 생략하여, 비닐인출장치에 고정되는 비닐롤의 외주면이 다른 물체에 의하여 간섭 받지 않으므로, 두께가 두꺼운 비닐롤을 비닐인출장치의 심압돌기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수평상태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이격상태로 후방을 향하여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쌍의 아암(52)을 갖는 프레임(50), 상기 프레임(50)을 주행장치에 연결시켜 프레임(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터(60), 상기 프레임(50)의 전방 양측에 위치한 토지를 배토하여 프레임(50)의 양측에 두둑을 형성하는 배토기(70), 상기 프레임(50)에 비닐롤(R)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고정된 비닐롤(50)의 비닐을 인출하여 토지에 피복하는 비닐인출기(80), 상기 프레임(50)의 후방 양측에 위치한 토지를 복토하여 비닐인출기(80)에 의하여 토지상에 피복된 비닐의 양측을 토양으로 덮는 복토기(90)로 구성된 토지피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0)에 돌출된 아암(52)의 후단부 각도를 토지의 굴곡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는 아암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아암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아암(52)의 중간부분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아암(52)의 절단부를 중첩시켜서, 중첩된 부위에 힌지볼트(52a)를 관통고정함으로써, 아암(52)의 후단부가 힌지볼트(52a)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50)에 돌출된 아암(52)의 후단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면서 아암(52)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아암가압기(55)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아암가압기(55)는, 상기 아암(52)의 후단부를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55a)과, 상기 코일스프링(55a)을 상기 아암(52)의 전단부에 고정시키는 하우징(5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는,
    상기 프레임(50)의 중앙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면(61c)을 가지며, 프레임(50)과 동일체로 유동하는 모션브래킷(61)과;
    상기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상부면(62a)이 밀착되고, 하부면(62c)은 상기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50)과 이격되는 앵글(62) 및;
    상기 앵글(62)의 상부면(62a)에 대하여 상기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모션브래킷(61)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50)의 평면상 각도를 조절하는 평면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원호형의 수평장공(61h)을 형성하고, 이 수평장공(61h)을 통하여 상기 앵글(62)의 상부면(62a)에 체결볼트(68)를 고정함으로써,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이 앵글(62)의 상부면(62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7. 삭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는,
    상기 프레임(50)의 중앙에 수직으로 밀착되는 기립면(62b) 및, 이 기립면(62b)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면(62c)을 갖는 앵글(62) 및;
    상기 앵글(62)의 기립면(62b)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5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앵글(62)을 중심으로 프레임(50)의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수평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앵글(62)의 기립면(62b)에 원호형의 수직장공(62h)을 형성하고, 이 수직장공(62h)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50)에 고정볼트(63)를 고정함으로써, 프레임(50)이 앵글(62)의 기립면(62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이소운동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0)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유지부재는, 상기 프레임(50)의 중앙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앵글(62)의 하부면(62c) 상부에 이격상태로 배치되는 수평면(61c)을 가지며, 프레임(50)과 동일체로 유동하는 모션브래킷(61) 및;
    상기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 및 상기 앵글(62)의 하부면(62c)을 탄력지지하여, 상기 프레임(50)의 유동시 프레임(50)의 수평을 원래상태로 보정하는 동시에, 프레임(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64)를 압축하여, 탄성체(64)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탄성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제어부재는, 상기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나사결합되어, 수평면(61c)을 관통하면서 탄성체(64)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볼트(6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2. 삭제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는,
    상기 프레임(50)의 중앙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면(61c)을 가지며, 프레임(50)과 동일체로 유동하는 모션브래킷(61)과;
    상기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수평상태로 밀착되는 평판면(65c) 및, 이 평판면(65c)의 하부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50)과 이격되는 수직연장면(65b)을 갖는 보조앵글(65)과;
    상기 보조앵글(62)의 평판면(65c)에 대하여 상기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모션브래킷(61)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50)의 평면상 각도를 조절하는 평면각도조절수단과;
    상기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b)에 수직상태로 밀착되는 기립면(62b) 및, 이 기립면(62b)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행장치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면(62c)을 갖는 앵글(62) 및;
    상기 앵글(62)의 기립면(62b)에 대하여 상기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b)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앵글(62)을 중심으로 프레임(50)의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수평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에 원호형의 수평장공(61h)을 형성하고, 이 수평장공(61h)을 통하여 상기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에 체결볼트(68)를 고정함으로써, 모션브래킷(61)의 수평면(61c)이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앵글(62)의 기립면(62b)에 원호형의 수직장공(62h)을 형성하고, 이 수직장공(62h)을 통하여 상기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c)에 고정볼트(63)를 고정함으로써, 보조앵글(65)의 수직연장면(65c)이 앵글(62)의 기립면(62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이소운동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0)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유지부재는, 상기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 및 상기 앵글(62)의 하부면(62c)을 탄력지지하여, 상기 프레임(50)의 유동시 프레임(50)의 수평을 원래 상태로 보정하는 동시에, 프레임(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6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64)를 압축하여, 탄성체(64)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탄성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제어부재는, 상기 보조앵글(65)의 평판면(65c)에 나사결합되어, 평판면(65c)을 관통하면서 탄성체(64)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볼트(6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70)는,
    상기 프레임(5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텔레스코픽로드(72)와;
    상기 텔레스코픽로드(72)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74) 및;
    상기 텔레스코픽로드(7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토지를 배토하고, 측면상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반구형의 배토휠(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인출기(80)는,
    상기 프레임(50)에 돌출된 한쌍의 상기 아암(52)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되는 한쌍의 필라(82)와;
    상기 한쌍의 필라(82) 하단에서 서로 대향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비닐롤(R)의 양단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심압돌기(84) 및;
    상기 심압돌기(84)의 비닐롤(R)에서 인출되는 비닐의 양측을, 상기 한쌍의 아암(52) 후방측에서 제각각으로 탄성가압하는 한쌍의 가압롤러(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기(90)는,
    상기 프레임(50)에 돌출된 아암(52)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봉(92) 및;
    상기 수직봉(9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토지를 복토하고,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반구형의 복토휠(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가압기(55)는,
    상기 하우징(55b)에 수직으로 체결되고, 하우징(55b)을 관통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55a)을 가압하여, 코일스프링(55a)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나사(55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피복장치.
KR1020040093217A 2004-11-15 2004-11-15 토지피복장치 KR100655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217A KR100655508B1 (ko) 2004-11-15 2004-11-15 토지피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217A KR100655508B1 (ko) 2004-11-15 2004-11-15 토지피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607A KR20060054607A (ko) 2006-05-23
KR100655508B1 true KR100655508B1 (ko) 2006-12-11

Family

ID=3715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217A KR100655508B1 (ko) 2004-11-15 2004-11-15 토지피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5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64B1 (ko) 2007-11-01 2009-04-24 김윤수 벼 직파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CN109964711A (zh) * 2019-04-08 2019-07-05 银川特锐宝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农作物播种覆膜机
KR20220080612A (ko) * 2020-12-07 2022-06-14 유천봉 잡초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27B1 (ko) * 2016-04-14 2016-10-05 주식회사 불스 직파용 멀칭지를 이용하는 건답용 직파장치
CN108293537B (zh) * 2018-04-27 2021-11-16 新沂市沙墩湖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用地膜覆盖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23U (ko) * 1986-07-11 1988-04-06 최제순 휴반 피복기
KR20010001399U (ko) * 1999-06-29 2001-01-15 김웅길 비닐피복기
JP2003116370A (ja) 2001-10-05 2003-04-22 Minoru Industrial Co Ltd マルチフィルム張り機
KR20030046851A (ko) * 2001-12-06 2003-06-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에천트와 이를 이용한 금속배선 제조방법 및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30057364A (ko) * 2001-12-27 2003-07-04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60408A (ko) * 2002-01-09 2003-07-16 뉴영엠테크 주식회사 Rtp 챔버의 웨이퍼 온도검출장치
KR200357364Y1 (ko) 2004-05-12 2004-07-27 박기혁 트랙터용 두둑형성장치
KR200357830Y1 (ko) 2004-05-10 2004-07-30 최용진 농사용 비닐 피복장치
KR200360408Y1 (ko) 2004-06-04 2004-08-30 주식회사 불스 비닐 피복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23U (ko) * 1986-07-11 1988-04-06 최제순 휴반 피복기
KR20010001399U (ko) * 1999-06-29 2001-01-15 김웅길 비닐피복기
JP2003116370A (ja) 2001-10-05 2003-04-22 Minoru Industrial Co Ltd マルチフィルム張り機
KR20030046851A (ko) * 2001-12-06 2003-06-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에천트와 이를 이용한 금속배선 제조방법 및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30057364A (ko) * 2001-12-27 2003-07-04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60408A (ko) * 2002-01-09 2003-07-16 뉴영엠테크 주식회사 Rtp 챔버의 웨이퍼 온도검출장치
KR200357830Y1 (ko) 2004-05-10 2004-07-30 최용진 농사용 비닐 피복장치
KR200357364Y1 (ko) 2004-05-12 2004-07-27 박기혁 트랙터용 두둑형성장치
KR200360408Y1 (ko) 2004-06-04 2004-08-30 주식회사 불스 비닐 피복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468510000
2003573640000
200360408000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64B1 (ko) 2007-11-01 2009-04-24 김윤수 벼 직파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CN109964711A (zh) * 2019-04-08 2019-07-05 银川特锐宝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农作物播种覆膜机
KR20220080612A (ko) * 2020-12-07 2022-06-14 유천봉 잡초제거장치
KR102484714B1 (ko) 2020-12-07 2023-01-04 유천봉 잡초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607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632505T2 (de) Isolierter boden eines förderfahrzeuges
FR2520586A1 (fr) Appareil mobile pour la pulverisation d&#39;un liquide de traitement des plantes
FR2925398A1 (fr) Suspension pour les roues arriere d&#39;un vehicule automobile
KR100655508B1 (ko) 토지피복장치
JP4810144B2 (ja) 牽引式四輪作業機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牽引式四輪作業機
KR20130050218A (ko) 트랙터용 수평조절이 가능한 제설장치
CN107155423B (zh) 起垄覆膜一体机
FR2680140A1 (fr) Element d&#39;articulation a longueur efficace entre appuis variable pour l&#39;entrainement d&#39;un element de construction pivotant a l&#39;aide d&#39;un entrainement a ressort.
FR2573106A1 (fr) Rouleau compresseur vibrant.
KR20170059821A (ko) 제설장치
CN208300493U (zh) 一种可调式地膜覆盖机
KR101639046B1 (ko) 제설장치
CN205100269U (zh) 用于机器的辅助控制杆系统及操作员驾驶室
CN211322731U (zh) 一种高地隙自走式喷杆喷雾机及其气流辅助喷雾装置
CN107372005A (zh) 园林植物绿化支架
KR102612327B1 (ko) 다목적 농용 작업기
JP4370424B2 (ja) 旋回作業車のキャノピー
CN106120626B (zh) 一种用于复杂道路的自动行走车
FR2562923A1 (fr) Chassis pour compacteur vibrant, permettant une meilleure visibilite de la cabine
JP2873662B2 (ja) 接地履帯の転圧効果を良好にした装軌車
JP3644032B2 (ja) 農作業機
CN206136628U (zh) 可拆卸机械开沟设备
EP2562057A2 (de) Stützvorrichtung für einen Sattelanhänger, mit einem Stützfuß und wenigstens einer Abdeckeinrichtung für diesen Stützfuß
FR3069789A3 (fr) Dispositif de pulverisation oscillante
CN206295167U (zh) 蚊帐支架的纵向支撑杆角度调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