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943B1 - 롤러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롤러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943B1
KR100654943B1 KR1020050004542A KR20050004542A KR100654943B1 KR 100654943 B1 KR100654943 B1 KR 100654943B1 KR 1020050004542 A KR1020050004542 A KR 1020050004542A KR 20050004542 A KR20050004542 A KR 20050004542A KR 100654943 B1 KR100654943 B1 KR 100654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shoe
ankle
extens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652A (ko
Inventor
강인국
Original Assignee
(주)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운 filed Critical (주)다운
Priority to KR102005000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4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2017/005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oot plate quick release or shoe b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 이용자의 발을 수용하되 입구부가 발목에서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신발과; 상기 신발의 일부가 수용 및 결합되고, 신발의 하부에서 입구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섀시와; 하부에 복수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부가 상기 섀시의 하면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신발의 입구부 둘레와 상기 섀시의 연장부 둘레를 따라 감겨지는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고정띠의 죔량을 조절하여 발목의 회동량을 증대 혹은 축소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에게 적합하며, 신발 내부에 섀시의 연장부를 보강하는 지지판이 추가로 구비되어 발목의 측면방향 구부러짐을 좀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연장부와 섀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한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한다.
롤러스케이트, 인라인스케이트

Description

롤러스케이트{Roller skat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롤러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스케이트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고정띠가 풀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스케이트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스케이트의 부분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롤러스케이트 : 100 신발 : 110
입구부 : 111 신발끈 : 113
신발끈 덮개 : 115 섀시 : 120
연장부 : 121 가이드 고리 : 123
고정수단 : 125 삽입 슬롯 : 127
프레임 : 130 바퀴 : 131
고정띠 : 140 결합구 : 141
벨크로테이프 : 143 지지판 : 150
본 발명은 롤러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롤러스케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목의 회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롤러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롤러스케이트의 사시도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롤러스케이트, 특히 인라인 롤러스케이트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공통의 회전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한 복수의 바퀴(12)를 포함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접하여 상향으로 설치되며 스케이트 이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20)과, 스케이트 이용자가 스케이트를 수직상태로 유지하도록 신발(20)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발목지지부(30)와, 상기 프레임(10)과 신발(20) 사이에 구비되는 베이스(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라인 롤러스케이트는 발목지지부(3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목을 측방향과 후방향에서 지지함으로써 균형을 잡기 어려운 초보자들에게 적합하다. 또한, 발목지지부(10)가 발목에서 소정 높이까지 감싸도록 위치되므로 주행하는데 안정감과 편안함을 준다. 게다가, 상기 발목지지부(30)는 힌지(32)를 통하여 베이스(40)에 장착됨으로써, 발목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스케이트를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지치도록 한다. 즉, 초보자일수록 발목지지부(30)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이 롤러스케이트에 단단히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 면, 일정 수준 이상의 숙련자들에게는 발목이 자유롭게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의 발목이 롤러스케이트에 단단히 지지된다는 것은 발목지지부(30)와 베이스(40) 사이의 회동이 어렵게 되어 이들 사이의 회동저항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발목이 다소 자유롭게 회동된다는 것은 발목지지부(30)와 베이스(40) 사이의 회동저항력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발목지지부(30)는 종래 인라인 롤러스케이트의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설계 기준이 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발목지지부(30)가 구비된 롤러스케이트는 발목지지부(30)가 없는 롤러스케이트에 비하여 발목의 전후방향 회동량이 적고, 회동저항력이 커지게 되어 스케이트를 지치는 동작이 부자연스럽게 되며, 이에 따라 추진력을 얻기가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러스케이트는 발목의 전후방향 회동량과 회동저항력이 일정량 이하로 제한된다. 따라서, 초보자가 어느 정도 이상 숙련되면 도 1에 도시된 롤러스케이트는 사용하기에 불편하게 되고, 적합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발목에 필요 이상의 힘이 가해져 피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발목지지부(30)와 베이스(40)를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해야하므로 제작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목의 회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하 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롤러스케이트는, 스케이트 이용자의 발을 수용하되 입구부가 발목에서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신발과; 상기 신발의 일부가 수용 및 결합되고, 신발의 하부에서 입구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섀시와; 하부에 복수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부가 상기 섀시의 하면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신발의 입구부 둘레와 상기 섀시의 연장부 둘레를 따라 감겨지는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스케이트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고정띠가 풀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의 제 1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롤러스케이트(100)는 스케이트 사용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입구부(111)가 발목에서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신발(110)이 구비된다. 상기 신발(110)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는 발목을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 가요성 및 신발(110) 내부의 땀을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신발(110)의 발등 부위에는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신발끈(113)과 상기 신발끈(11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신발끈 덮개(115)가 구비되어지는 바, 이는 종래에 다양한 종류와 형상의 신발끈과 신발끈 덮개가 구비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 신발(110)의 하면에는 경질 또는 반경질 재료로 만들어진 섀시(120)가 결합된다. 상기 섀시(120)는 상기 신발(110)이 일부가 수용되도록 결합되어지되, 사용자의 발목이 측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발(110)의 입구부(11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21)가 섀시(120)와 일체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21)는 종래와 달리 사용자 발목의 회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전후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한 회동량이란, 사용자의 종아리가 발목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각도를 말하며, 본 발명과 같이 연장부(121)의 전후가 개방되면, 신발(110)이 유연성과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발목의 회동량이 증대되고, 회동저항력이 감소되어 스케이트를 자연스럽게 지칠 수 있으므로 주행 시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롤러스케이트(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퀴(131)는 동일한 길이방향을 갖으며,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13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섀시(12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131)는 소정의 축수단(133)에 의해 프레임(13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30)과 상기 바퀴(131)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섀시(120) 및 프레임(130)에 각각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롤러스케이트(100)에는 상기 신발(110)의 입구부(111) 둘레와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121) 둘레를 따라 감겨지는 고정띠(1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띠(140)의 일단에는 사각고리형상의 결합구(14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고정띠 (140)의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벨크로테이프(143)의 후크(143a)가 구비되며, 고정띠(140) 상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후크(143a)와 대응되는 벨크로테이프(143)의 루프(143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띠(140)의 감긴 상태를 살펴보면, 타단이 신발(110)의 입구부(111) 둘레에 감긴 후 결합구(141)를 관통하고, 다시 역방향으로 접혀 상기 후크(143a)와 루프(143b)가 부착되도록 고정된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띠(140)의 일단은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121)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121)에는 상기 고정띠(140)가 관통되는 가이드 고리(123)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고리(123)에는 수용된 고정띠(1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12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125)은 수나사(125a)와 암나사(125b)로 구성되어 상기 수나사가 회전에 따라 고정띠(140)를 고정하거나 해정하는 작용을 하되, 상술한 수나사와 암나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고정수단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띠(140)는 사용자의 발목을 스케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띠(140)의 죔량에 따라 발목에 가해지는 압력과 발목의 회동량이 달라진다. 즉, 상기 고정(140)띠를 죌수록 상기 연장부(121)가 발목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발목의 회동량이 줄어들며, 고정띠(140)를 느슨하게 죄면 회동량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균형을 잡기 어려운 초보자들은 상기 고정띠(140)를 단단히 죄어 사용함으로써 주행하는데 안정감과 편안함을 준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25)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고정띠(140)의 전후방향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숙련자들은 고정띠(140)를 느슨하게 죄어 사용함으로써 스케이트를 지치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됨에 따라 추진력을 얻기가 용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스케이트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띠(140)와 섀시(120)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 2 실시예는 상술한 고정띠(140)와 섀시(12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고정띠(140)는 신발(110)의 입구부(111) 둘레와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121) 둘레를 따라 감겨지되, 섀시(120)의 연장부(121)에 형성된 삽입 슬롯(127)을 관통하도록 감겨진다. 이때, 상기 삽입 슬롯(127)은 상기 고정띠(14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도 상기 고정띠(140)의 일단이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121) 내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벨크로테이프(143)가 고정띠(140)의 일부에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띠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스케이트의 부분단면 사시도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 롤러스케이트(100)는 사용자의 발목이 측면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질재 지지판(150)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150)은 섀시(120)의 연장부(121)와 측면으로 대응되는 위치의 신발(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121)를 보강한다. 상기 지지판(15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롤러스케이트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고정띠의 죔량을 조절하여 발목의 회동량을 증대 혹은 축소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에게 적합하다. 또한, 신발 내부에 섀시의 연장부를 보강하는 지지판이 추가로 구비되어 발목의 측면방향 구부러짐을 좀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연장부와 섀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다.

Claims (6)

  1. 롤러스케이트에 있어서,
    스케이트 이용자의 발을 수용하되 입구부(111)가 발목에서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신발(110)과;
    상기 신발(110)의 일부가 수용 및 결합되고, 신발(110)의 하부에서 입구부(111)까지 연장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연장부(121)를 포함하는 섀시(120)와;
    하부에 복수의 바퀴(131)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부가 상기 섀시(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프레임(130)과;
    상기 신발(110)의 입구부(111) 둘레와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121) 둘레를 따라 감겨지는 고정띠(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140)가 관통되는 가이드 고리(123)가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12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고리(123)에는 수용된 고정띠(1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125)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에는 상기 고정띠(140)가 관통되는 삽입 슬롯(1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슬롯(127)의 일단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10)에는 상기 섀시(120)의 연장부(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경질재 지지판(150)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KR1020050004542A 2005-01-18 2005-01-18 롤러스케이트 KR100654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542A KR100654943B1 (ko) 2005-01-18 2005-01-18 롤러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542A KR100654943B1 (ko) 2005-01-18 2005-01-18 롤러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652A KR20060083652A (ko) 2006-07-21
KR100654943B1 true KR100654943B1 (ko) 2006-12-06

Family

ID=3717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542A KR100654943B1 (ko) 2005-01-18 2005-01-18 롤러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583B2 (en) * 2002-10-28 2007-0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Image system for processing image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583B2 (en) * 2002-10-28 2007-0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Image system for processing imag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652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1752A (en) Skate with detachable shoe
US6684533B1 (en) Pivotal back for a sandal style shoe
US6112434A (en) Skate boot construction
US7818900B2 (en) Inner boot, particularly for a sports shoe
JP2908706B2 (ja) スポーツ靴
JPH0332601A (ja) サイズ調節可能なスキー靴
JPH0838676A (ja) 装着感が改良されたローラースケート靴
KR20030071794A (ko) 내부지지부 및 외부발목커프가 있는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US20130008057A1 (en) Cycling shoe with cover having closure access
ITTV950112A1 (it) Struttura di calzatura sportiva
US7048601B2 (en) Swimming flipper with blade and footwear structure
US11140942B2 (en) Skate boot having a lace member with at least one opening
US6460274B1 (en) Footwear part of a boot or equipment involving a footwear component
CA2254327C (en) In-line roller skate
EP0887028A1 (en) Skate
KR100654943B1 (ko) 롤러스케이트
US6971190B2 (en) Foot retention device
JPH11422A (ja) スケート用靴
JPH09122289A (ja) スポーツ用具に靴を締付け固定するためのビンディング装置
US6368173B1 (en) Foot retention device
JP2005520584A (ja) 特にスキー、スケート又はスノーボードのためのスポーツブーツ
AU2001285138A1 (en) Foot retention device
AU2003204203A1 (en) Improved sports shoe
US20180317596A1 (en) Ski boot assembly
EP1381294A1 (en) A sports shoe for practising a gliding s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