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255B1 -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255B1
KR100654255B1 KR1020050039547A KR20050039547A KR100654255B1 KR 100654255 B1 KR100654255 B1 KR 100654255B1 KR 1020050039547 A KR1020050039547 A KR 1020050039547A KR 20050039547 A KR20050039547 A KR 20050039547A KR 100654255 B1 KR100654255 B1 KR 10065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manufacturing
cutting
pipe connector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932A (ko
Inventor
박범용
Original Assignee
박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용 filed Critical 박범용
Priority to KR102005003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25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께가 얇은 가공소재를 단조하여 배관연결구를 제조함으로써 절삭공정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가공소재를 사용하여 원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공정과 단조공정 사이에 가열공정을 구비함으로써 가공소재의 가열시켜 용이하게 단조작업을 할 수 있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가스용 머플러 연결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파이프를 절단기로 정해진 길이의 가공소재를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상기 가공소재의 강도가 보강되는 열처리공정과; 상기 가공소재를 금형에 안착시켜 프레스로 가압하여 머플러소재를 가공하는 단조공정과; 상기 단조공정에서 가공된 머플러소재를 기계가공으로 배관 연결구를 가공하는 절삭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of muffler pipe coupling}
도 1a는 종래의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공정도,
도 1b는 종래의 머플러 배관연결구 가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배관열결구의 제조공정도,
도 3은 절단기로 가공소재를 절단하는 상태의 개요도,
도 4는 가공소재를 가열하는 상태의 개요도,
도 5a는 프레스로 머플러소재를 단조하는 상태의 개요도,
도 5b는 머플러소재의 단면도,
도 6a는 기계가공으로 머플러 배관연결구를 절삭하는 상태의 개요도,
도 6b는 배관연결구의 단면도,
도 7은 배관 연결구가 자동차용 머플러에 연결된 상태의 개요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2 : 절단기
3 : 금형 4 : 가열로
5 : 머플러배관 10 : 가공소재
20 : 머플러소재 21 : 하부금형
21a: 베이스 21b: 삽지부
21c: 가이드부 22 : 상부금형
30 : 배관연결구 31 : NC 선반
본 발명은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은 가공소재를 단조하여 배관연결구를 제조함으로써 절삭공정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가공소재를 사용하여 원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공정과 단조공정 사이에 가열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공소재를 가열시켜 용이하게 단조작업을 할 수 있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플러는 자동차의 내연기관이나 환기장치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장치로서, 배관의 직경을 점차 확대할 경우 소음이 작아지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머플러는 가는 관과 굵은 관이 연결되는 구조이며,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배관연결구가 활용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의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머플러 배관연결구 가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의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은 원통형의 파이프를 절단기로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P1)과, 상기 절단소재(101)를 가공하기 위하여 NC 선반 등에 고정시키는 셋팅공정(P2)과, 상기 셋팅된 절단소재(101)를 NC 선반 등을 이용하여 배관연결구(102)를 가공하는 절삭공정(P3)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은 가는 관과 굵은 관을 함께 체결하여야 하는 머플러 배관연결구(102)의 구조상 굵고 두꺼운 소재를 절삭하여야 하므로 절삭공정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절삭으로 폐기처리되는 원재료가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얇은 소재를 단조하여 배관연결구를 제조함으로써 가공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원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은 자동차의 배기가스용 머플러 연결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파이프를 절단기로 정해진 길이의 가공소재를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상기 가공소재를 금형에 안착시켜 프레스로 가압하여 머플러소재를 가공하는 단조공정과; 상기 단조공정에서 가공된 머플러소재를 선삭가공으로 배관 연결구를 가공하는 절삭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조공정의 금형은 상기 머플러소재가 성형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과 대향되어 머플러소재를 가압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은 프레스의 상단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머플러소재가 삽입되는 삽지부와, 상기 삽지부의 외주부에 연결되어 머플러소재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공정의 배관연결구는 NC 선반으로 정삭 및 황삭 가공되며, 상기 절단공정과 단조공정 사이에는 상기 가공소재를 가열시키는 가열공정이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배관열결구의 제조공정도이며, 도 3은 절단기로 가공소재를 절단하는 상태의 개요도이고, 도 4는 가공소재를 가열하는 상태의 개요도이며, 도 5a는 프레스로 머플러소재를 단조하는 상태의 개요도이고, 도 5b는 머플러소재의 단면도이며, 도 6a는 기계가공으로 머플러 배관연결구를 절삭하는 상 태의 개요도이고, 도 6b는 배관연결구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배관 연결구가 자동차용 머플러에 연결된 상태의 개요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은 정해진 길이의 가공소재(10)를 절단하는 절단공정(S1)과, 프레스로 가압하여 머플러소재(20)를 가공하는 단조공정(S2)과, 상기 머플러소재(20)를 선삭가공으로 배관연결구(30)를 가공하는 절삭공정(S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공정(S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파이프(1)를 절단기(2)로 정해진 길이의 가공소재(10)를 절단하는 공정이다.
상기 단조공정(S2)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소재(10)를 금형(3)에 안착시켜 프레스로 가압하여 머플러소재(20)를 가공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단조공정(S2)의 금형(3)은 상기 머플러소재(20)가 성형되는 하부금형(21)과, 상기 하부금형(21)과 대향되어 머플러소재(20)를 가압하는 상부금형(22)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금형(21)은 프레스의 상단에 안착되는 베이스(21a)와, 상기 베이스(21a)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머플러소재(20)가 삽입되는 삽지부(21a)와, 상기 삽지부(21a)의 외주부에 연결되어 머플러소재(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21c)로 형성된다.
상기 절삭공정(S3)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조공정(S2)에서 가공된 머플러소재(20)를 NC 선반(31)으로 황삭 및 정삭 가공하여 배관연결구(30)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한편, 상기 절단공정(S1)과 단조공정(S2)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소재(10)를 가열로(4)에 장입하여 가열시키는 가열공정(S1-1)이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은 절단공정(S1)과, 단조공정(S2)과, 절삭공정(S3)으로 구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연결구(30)는 가는 관과 굵은 관으로 형성된 자동차의 머플러배관(5)의 내측에 체결된다.
상기 절단공정(S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파이프(1)를 절단기(2)로 정해진 길이의 가공소재(10)를 절단하는 공정으로서, 두께가 얇은 소재를 절단함으로써 절단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조공정(S2)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소재(10)를 하부금형(21)에 안착시키고 상부금형(22)을 가압하여 가공소재(10)를 단조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머플러소재(20)가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머플러소재(20)를 절삭하는 절삭공정(S3)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소재(20)를 NC 선반(31)으로 1차 황삭가공한 후 2차 정삭가공하여 배관연결구(30)를 제조하게 된다. 즉 두께가 얇은 가공소재(10)를 단조하여 상광하협의 머플러소재(20)를 절삭하여 배관연결구(30)를 제조함으로써 절삭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가공소재를 사용하여 절 삭함으로써 원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단공정(S1)과 단조공정(S2) 사이에 가열공정(S1-1)이 구비됨으로써 가공소재(10)가 가열되어 용이하게 단조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은 두께가 얇은 가공소재를 상광하협의 머플러소재로 단조한 후 배관연결구를 제조함으로써 NC 가공 등 절삭공정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가공소재를 사용하여 절삭함으로써 원재료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단공정과 단조공정 사이에 가열공정을 구비함으로써 가공소재가 가열되어 용이하게 단조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배기가스용 머플러 연결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파이프(1)를 절단기(2)로 정해진 길이의 가공소재(10)를 절단하는 절단공정(S1)과;
    상기 가공소재(10)를 금형(3)에 안착시켜 프레스로 가압하여 머플러소재(20)를 가공하는 단조공정(S2)과;
    상기 단조공정(S2)에서 가공된 머플러소재(20)를 선삭가공으로 배관연결구(30)를 가공하는 절삭공정(S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조공정(S2)의 금형(3)은 상기 머플러소재(20)가 성형되는 하부금형(21)과, 상기 하부금형(21)과 대향되어 머플러소재(20)를 가압하는 상부금형(22)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금형(21)은 프레스의 상단에 안착되는 베이스(21a)와, 상기 베이스(21a)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머플러소재(20)가 삽입되는 삽지부(21b)와, 상기 삽지부(21b)의 외주부에 연결되어 머플러소재(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21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정(S3)의 배관연결구(30)는 NC 선반(31)으로 황삭 및 정삭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공정(S1)과 단조공정(S2) 사이에는 상기 가공소재(10)를 가열시키는 가열공정(S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KR1020050039547A 2005-05-12 2005-05-12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KR10065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47A KR100654255B1 (ko) 2005-05-12 2005-05-12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47A KR100654255B1 (ko) 2005-05-12 2005-05-12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32A KR20060116932A (ko) 2006-11-16
KR100654255B1 true KR100654255B1 (ko) 2006-12-06

Family

ID=3770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547A KR100654255B1 (ko) 2005-05-12 2005-05-12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630A (zh) * 2011-08-23 2012-02-22 山东理工大学 热模模锻的数控成形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412A (ko) * 2006-05-03 2007-11-07 박범용 유압호스 커플링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669A (ja) 1997-11-28 1999-06-15 Stainless Pipe Kogyo Kk 管継手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で得られる管継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669A (ja) 1997-11-28 1999-06-15 Stainless Pipe Kogyo Kk 管継手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で得られる管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630A (zh) * 2011-08-23 2012-02-22 山东理工大学 热模模锻的数控成形方法
CN102357630B (zh) * 2011-08-23 2013-06-12 山东理工大学 热模模锻的数控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32A (ko)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575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talytic converter housing arrangement with at least one sensor carrier for an exhaust system of a vehicle
US7587924B2 (en) Fit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tting
JP5136998B2 (ja) 液圧バルジ方法および液圧バルジ製品
KR101178558B1 (ko) 압축기용 풀리의 제조방법
KR100654255B1 (ko) 머플러 배관연결구의 제조방법
WO2005099929A1 (ja) 鍛造による成形方法及びケースの成形方法
KR100634917B1 (ko) 액압 벌지 가공용 이형 소관 및 이를 이용하는 액압 벌지가공 장치, 액압 벌지 가공 방법 및 액압 벌지 가공품
JP3992346B2 (ja) ギヤ部品の製造方法
CN103501930A (zh) 用于制造连接口的方法
KR100834112B1 (ko) 차량의 인서트형 조립부싱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JP2010249354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のメタルグロープラグのシース製造方法及びメタルグロープラグの製造方法、並びに、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のメタルグロープラグのシース及び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のメタルグロープラグ
JP4005507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ケーシングを製作する方法
JP2001276955A (ja) 軸付き歯形部品及びその成形方法
KR100464874B1 (ko) 자동차 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링 코어 제조방법 및그러한 방법에 의한 열처리 지그장치
KR200458880Y1 (ko) 6속 자동 변속기의 일방향 클러치 이너레이스용 피니셔 단계 하부 스플라인 몸체 단조물
JPH0771566A (ja) 歯車及びその製造方法
JP3121549B2 (ja) ホース用口金具の製造方法
JP4171344B2 (ja) 拡管要素と枝張出要素の両要素を有する部品の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方法
JP4384336B2 (ja) ピストンピンの製造方法
JP3750906B2 (ja) 頭付部品の製造方法
JP3102674B2 (ja) 歯車のサイジング金型
JP3731300B2 (ja) ホース用口金具の製造方法、ホース用口金具及びブレーキホース
JPH05337576A (ja) 管端末の成形方法
JP2010265930A (ja) ピンタイプ保持器、ころ軸受及びころ軸受の製造方法
KR100828206B1 (ko) 자동차의 소음기용 연결관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