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371B1 -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371B1
KR100653371B1 KR1020050129314A KR20050129314A KR100653371B1 KR 100653371 B1 KR100653371 B1 KR 100653371B1 KR 1020050129314 A KR1020050129314 A KR 1020050129314A KR 20050129314 A KR20050129314 A KR 20050129314A KR 100653371 B1 KR100653371 B1 KR 10065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ay
speed
cart
transport ca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관
Original Assignee
신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관 filed Critical 신정관
Priority to KR102005012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1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tunnel walls for underground tra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이 통행하는 역사와 역사간 터널내벽으로 구비되는 광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역사의 플렛포옴 전후에 각각 구비되어 지하철의 진입 및 출발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부와; 터널내벽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레일상으로 지하철 차량의 창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구비하며 전후진 이송되는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대차 상방측으로 고정되며 동영상을 LCD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와; 지하철이 각 역사간 터널을 운행할 때의 순간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거리 등간격 이격되며 터널내벽에 구비되는 순간속도측정센서부와; 상기 위치센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지하철의 진입 및 출발신호를 감지한 후 상기 이송대차측으로 그 신호를 송신하여 이송대차의 출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순간속도측정센서부로부터 인가되는 지하철의 순간속도를 판독하여 상기 이송대차의 진행속도의 제어와, 상기 지하철의 진행속도와 동일 속도로 상기 이송대차가 운행되는 시점 및 지하철의 진행속도가 저하되는 시점에 각각 상기 영상출력부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하철에 탑승한 승객 등이 터널내를 통과할 때 외부로부터 각종 동영상 광고, 정보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무료한 승차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광고효과를 배가하기 위한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이송대차, 공기구동, 전기구동, 영상출력부, 순간속도측정센서부, 제어부

Description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The subway tunnel an inside wall movies advertis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a,b,c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공기 구동식 이송대차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a,b는 이송대차에 공급되는 에어를 별도의 외부에 구비되는 에어탱크 등으로부터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에어호스를 거치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과, 이에 채택되는 이송대차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또다른 실시예로 채택되는 전기 구동식 이송대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b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선을 거치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채택되는 이송대차가 터널내벽의 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며,
도 7은 지하철의 이송과 함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송대차가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영상출력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지하철 2; 플렛포옴 3; 터널내벽
31; 레일 100; 위치센서부 200; 이송대차
201; 가이드봉 202; 고리 203; 고정플레이트
204; 고정대 205; 아크릴투명판재 206; 이동가이드
207; 이격관 210; 컴푸레샤 220; 에어탱크
230; 에어모터 231; 정방향출력구 232; 역방향출력구
240; 속도조절부 250; 솔레노이드밸브 260; 에어호스
270; 권취보빈 280; 구륜체 290; 모터
291; 자동변속기 292; 전원부 293; 컨트롤러
294; 전선 300; 영상출력부 400; 순간속도측정센서부
500; 제어부 Pf ; 전원오프센서
본 발명은 지하철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제공되는 광고를 동영상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하 플렛포옴에 정차된 상태에 있는 지하철이 운행 되어진 후 일정속도 이상으로 진행되면, 터널 벽면체 측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지하철의 출발을 감지하여 동시 출발되도록 하되 상기한 바와 같이 지하철의 운전속도가 일정 이상으로 유지되어지면,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 이송되는 이송대차에 장착되며 LCD 모니터 등을 구비하는 영상출력부에서 지하철 승객들에게 동영상 광고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지하철이 다음 구간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한 이송장치는 역구동되어 최초 출발지점으로 원상 복귀되도록 하여, 다음 출발대기 상태에 있는 지하철의 출발신호를 대기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철에 탑승한 승객 등이 터널내를 통과할 때 외부로부터 각종 동영상 광고, 정보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무료한 승차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광고효과를 배가하기 위한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에서 상당수의 시민이 사용하는 대중교통 중에서 지하철이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대될 수 밖에 없으며, 지하철 승객들을 대상으로 광고하기 위한 각종 장치나 시스템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특히, 다수의 시민이 활용하는 지하철 역사 플렛포옴의 시각적 환경을 중시하여 여러가지 시각적 시설물, 예컨데 벽면 그림광고나 분수 등이 형형색색 연출되는 등 화려한 시각 조형물 등을 이용하여 광고효과를 기대하거나 또는 플렛포옴의 벽면체 등에 다양한 광고물 등이 교체되며 시각적 표현물에 의해 광고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과 장치 등을 이용하여 광고하는 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철이 플렛포옴을 출발하여 다음 역사까지 운행되는 구간에서의 터널을 지날때는 외부와의 빛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대략 2~3분간 지하철 창문을 통하여 승객이 어둠을 응시하며 통과되는바, 이러한 시간이 승객의 목적지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지루함과 무료함이 배가되는 현실에 있다.
따라서, 역사와 역사 사이의 지하터널을 통과할 때 지하철에 탑승한 승객의 무료함을 없애기 위해 지하철 내부에 다양한 광고사진이나 포스터 등을 부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광고 내용은 상당히 지엽적이며 제한된 광고만을 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 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지하철 내부에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광고물 등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한 LCD 모니터를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그 장착 위치가 매우 제한적이고 시청각도 또한 제한적이어서 대부분의 승객들에게 제공되는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여 지하 터널을 지나가는 몇분의 시간이 반복 진행됨에 따른 무료함과 지루함을 없애고, 광고주의 경우 비교적 저렴한 비용 으로 광고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철 터널의 내벽체에 프레임 등으로 광고매체 필름 등을 고정하여 광고 효과를 얻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각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름의 탈부착이 어려운바 예컨데 각각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름을 교체하거나 또는 새로운 광고주의 광고를 게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긴 터널 내부에서 교체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건강을 크게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인에 의해 출원되는 지하철 터널내 광고시스템(특허등록출원 제 2004-84098 호)을 제기하게 되었는바, 상기 특허에 있어서도 터널 벽면체에 무수히 고정되는 프레임에 각각 부착될 수 있는 광고 필름 등을 원격 조정에 의해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람이 일일이 광고필름을 교체 작업하는 번잡함을 없앰과 동시에, 지하철 등이 구간을 지날 때 프레임에 장착된 필름의 연속성에 의해 마치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인의 특허 제2004-84098호를 개량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하철이 지하터널의 역사와 역사 사이를 통과할 때 그 터널에 별도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다수의 이송대차에 각각 고정되는 영상출력수단을 통해 각종 광고 등이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되, 상기한 이송대차는 상기 터널벽면체의 구간과 구간 사이로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전후 이송 가능하도록 하여, 지하철이 역사로부터 출발할 때 그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이송대차가 동시 출발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지하철이 일정속도 이상을 유지할 때 상기 동속도로 운행되는 상기 이송대차상으로 고정되는 영상출력수단인 LCD 모니터 등으로부터 영상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지하철 내부에서 차창 밖을 통하여 동영상에 의한 광고나 각종 정보 등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하철(1)이 통행하는 역사와 역사간 터널내벽(3)으로 구비되는 광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역사의 플렛포옴(2) 전후에 각각 구비되어 지하철(1)의 진입 및 출발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부(100)와,
터널내벽(3)을 따라 이격되며 길게 설치되는 레일(31)상으로 지하철(1) 차량의 창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구비하며 전후진 이송되는 이송대차(200)와,
상기 이송대차(200) 상방측으로 고정되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300)와,
지하철(1)이 각 역사간 터널을 운행할 때의 순간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거리 등간격 이격되며 상기 레일(31) 하단으로 지하철(1)이 출발되는 초기출발구간 (λ1)과 지하철(1)이 진입되는 진입구간(λ3)에 구비되는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와,
상기 위치센서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지하철(1)의 진입 및 출발신호를 감지한 후 상기 이송대차(200)측으로 그 신호를 송신하여 이송대차(200)의 출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로부터 인가되는 지하철(1)의 순간속도를 판독하여 상기 이송대차(200)의 진행속도의 제어와, 상기 지하철(1)의 진행속도와 동일 속도로 상기 이송대차(200)가 운행되는 시점 및 지하철(1)의 진행속도가 저하되는 시점에 각각 상기 영상출력부(300)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터널을 따라 운행하는 지하철(1)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탑승시간 동안 무료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업체의 광고 효과를 배가함과 동시에, 동영상에 의해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지하철 터널내에서의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터널내 광고시스템의 경우, 지하철(1)이 플 렛포옴(2)으로 진입되거나 또는 출발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부(100)와, 각 역사와 역사 사이의 터널내벽(3)로부터 이격되며 구비되는 레일(31)을 따라 전후 이송되는 이송대차(200)와, 상기 이송대차(200)에 고정 구비되는 영상출력부(300)와, 상기 이송대차(200)의 운행속도를 지하철(1)의 운행속도에 근접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하철(1)의 운행 중 순간속도를 실시간 측정하기 위한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와, 상기 이송대차(200)의 출발 및 속도 등을 실시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먼저 역사와 역사 사이에 존재하는 터널내벽(3)으로부터 이격되며 길게 레일(31)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레일(31)의 경우 후술하게 될 이송대차(200)의 진행이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위한 것으로, 역사의 플렛포옴(2)과 타 역사의 플렛포옴(2)간 형성되어 상기한 이송대차(200)가 상기 레일(31)을 따라 전후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딩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위치센서부(100)는 역사의 플렛포옴(2) 전후단에 각각 구비되어지는 것으로, 지하철(1)이 역사의 플렛포옴(2)으로의 진입 및 출발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와같은 위치센서부(100)는 후술하게 되는 제어부(500)측으로 그 신호를 송 출하여 이송대차(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대차(200)는 상기 레일(31)을 따라 이송되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강한 공기압에 의한 공기구동식 타입에 의해 이송되는 구성을 갖거나 또는 전기구동방식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이송대차(200)의 채택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2a,b,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체 이송대차(200)내에서의 작동에 의해 터널내벽(3)에 설치된 레일(31)을 따라 전후 이송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도 3a,b에서 보는바와 같이 지하철구간의 역사와 역사내 터널내벽(3) 구간으로 각각 에어호스(260)를 권선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호스(260)와 연결되는 이송대차(200)에 의해 레일(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구성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예는 공기구동방식에 의해 이송대차(200)를 전후진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공기구동 타입에 의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2a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송대차(200) 자체내에서 공기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단부측으로 컴푸레샤(210)가 구비되고, 상기 컴푸레샤(21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압을 저장하기 위한 에어탱크(220)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탱크(220)와 연관되며 이송대차(200)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에어모터(230)에 의해 상기 이송대차(200)를 전후 이송되도록 구성한다.
도면부호 233은 각 구성의 전원을 단락하기 위한 전원부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모터(23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대차(200)를 전진이송시키기 위해 일측 라인으로 형성되는 정방향출력구(In-line)(231)와, 이와 대응되는 반대 방향측으로 형성되는 역방향출력구(Out-line)(232)를 구성하고, 그 각각의 정방향출력구(231)와 역방향출력구(232)로는 각각 상기 에어탱크(220)와 연결되는 각각의 에어모터(230)와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의 정방향출력구(231)는 이송대차(200)가 레일(31)을 따라 전진되어질 때 에어탱크(2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전진 이송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역방향출력구(232)는 이송대차(200)가 후진되어질 때 역방향출력구부(232)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어 후진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송대차(200)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에어탱크(220)에 의해 연결되는 각각의 에어모터(230)로부터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250)측으로 후술하게 되는 제어부(500)에서의 제어에 따라 개도각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송대차(200)측으로 에어가 유입되기전에 그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이송대차(200)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부(240)가 구비되어져, 이송대차(200)측으로 제어되는 공압에 따른 에어가 공급되어 이송대차(200)를 전진 또는 후진 이송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250)로부터 개도되며 일정압력으로 공급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속도조절부(2400에서 변속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이송 대차(200)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속도조절부(2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널내벽(3)에 다수개로 등간격 이격 구비되는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를 통해 운행되어지는 지하철(1)의 각 지점 즉,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간을 통과하게 되는 지하철(1)의 순간속도와 이를 평균한 평균속도의 연산에 의해 얻게 되는 평균속도값이 후술하게 되는 제어부(500)를 통하여 상기 속도조절부(240)로 송출, 인가되면 그 신호를 받게 되는 속도조절부(240)는 이송대차(200) 내부로 유입되어질 공압을 조절 공급하며 전진 또는 후진 이송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콤푸레샤(210)와 에어탱크(220) 및 정방향출력구(213)과 역방향출력구(232)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50) 등을 이송대차(200)와 분리하여 별도의 위치상에 고정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대차(200)의 정방향출력구(213)과 역방향출력구(232)으로 연결되는 에어호스(260)를 각각 연장 인출하여 구간내 터널내벽(3) 양단에 설치되는 권취보빈(270)에 권취시키도록 하여, 제어부(500)에서 에어탱크(220)의 솔레노이드밸브(250) 개폐를 제어하여 정방향출력구(213) 또는 역방향출력구(232)측으로 적정 공기압의 제공에 의해 이송대차(200)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정방향출력구(231)과 역방향출력구(232)측으로 연결되는 에어호스(260)는 이송대차(200)의 진행에 따라 원할한 이동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도 3a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레일(31) 하단부측으로 가이드봉(20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201)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고리(201)를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각 고리(201)를 통해 에어호스(26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이송대차(200)가 이송되면, 정방향출력구(231) 또는 역방향출력구(232)과 연결되는 에어호스(260)가 동시에 이송되어지되, 상기 각 고리(201)도 가이드봉(201)을 따라 이송되며 에어호스(201)의 원할한 이송을 가이딩 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80은 이송대차(200)가 레일(31)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륜체이다.
아울러, 이와는 달리 즉 공기구동식 방식에 의해 이송대차(200)를 이송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도 3 내지 도 5 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기공급방식에 의해 이송대차(200)를 이송시킬 수 있는데 예컨데 상기 구륜체(280)의 축과 연결되는 모터(290)와 상기 모터(290)의 알피엠(RPM)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변속기(291)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9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같은 전기 구동식 이송대차(200)의 경우에도, 지하철(1)이 플렛포옴(2)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출발할 때와, 구간내에서 운행되는 지하철(1)의 순간속도 등을 감지하여, 그 속도에 대응되도록 하거나 또는 전후진 이송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상술한 각 이송대차(200)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주로, 지하철에 탑승한 승객 을 대상으로 하여 상부에 고정되는 영상출력부(300)를 통해 광고 영상물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구조 및 구성 등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는 달리 상기 이송대차(200)의 상부에 조명수단을 구비하여, 기존의 지하철 광고 수단으로 활용되는 필름을 이용한 프레임측으로 지하철(1)이 통과될 때의 시점을 인지하며 동시에 조명수단이 점등 및 점멸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이송대차(2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상기 이송대차(200)의 상방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열수단을 탑재하여 본 발명에서의 이송대차(200) 작동 수단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며 영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활용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출력부(300)는 상기 이송대차(200) 상단부측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LCD모니터를 이용하여 각종 광고 영상 등의 데이터를 동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b에서 보듯이 영상출력부(300)는 이송대차(200) 상방측으로 입설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03) 전면측과 고정대(204)에 의해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영상출력부(300)의 전면부측을 아크릴투명판재(20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한편,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영상출력부(300)를 영사기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예컨데 터널내벽(3)측으로 스크린(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을 통해 영사기로부터 동영상이 투영되도록 하여 지하철(1)에 탑승한 승객 등이 자신이 탑승한 지하철(1)의 운행속도와 동일하게 진행되는 이송대차(200) 상방 측으로 고정되는 상기 영사기로 되는 영상출력부(300)를 통하여 터널내벽(3)에 투영되는 동영상을 감상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는 지하철(1)이 플렛포옴(2)과 다음 역사의 플렛포옴(2)의 터널을 통과할 때 그 통과되는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한 이송대차(20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는 레일(31) 하단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며 다수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는 레일(31)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질 필요는 없으며, 도 7에서 보듯이 플렛포옴(2)을 통해 지하철(1)이 초기 출발되며 서서히 운행되는 초기출발구간(λ1)과, 다음 역사로 진입하기 위해 운행속도를 서서히 줄이게 되는 진입구간(λ3)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플렛포옴(2)을 지하철(1)이 출발할 때의 초기속도(V0)를 갖는 지하철이 초기출발구간(λ1)을 통과할 때에는 서서히 출발되는데, 통과되는 지하철(1)의 각 위치 즉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가 설치되는 위치를 지날때의 신호를 인가받아 각각의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가 측정한 지하철(1)의 순간속도(Vf)를 측정하게 되는데 동 구간내에서 다수의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를 통과할 때 마다 얻게 되는 지하철(1) 순간속도의 데이터 값이 제어부(500)측으로 송신되면서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가 설치된 이격구간내를 통과하는 지하철(1)의 평균속도(Vs)를 산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같은 평균속도(Vs)가 일정 속도 이상 으로 다다르기전의 경우 즉 도면에서 보듯이 초기출발구간(λ1)을 통과하기전까지는 지하철(1)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다수로 등간격 이격되는 상태에서 운행되는 이송대차(200)의 전체길이가 동일한 상태에 이르도록 조절하는 구간이다.
즉, 상술한 바와같이 이송대차(200)는 다수개 등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레일(31)을 따라 구비되는데, 그 각각의 이송대차(200)의 정위치는 지하철(1)의 각 창문이 위치되는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처음에 위치되는 이송대차(200)와 마지막에 위치되는 이송대차(200)의 길이는 지하철(1)의 전체길이 중 첫번째 차량의 첫위치에 있는 창문과 마지막 차량의 마지막 창문의 위치간 거리와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각 이송대차(200)로 공급되는 에어 압력은 모두 동일한 압력에 의해 공급되므로 출발시각이나 동일한 공급 에어 압력에 의해 항상 이송대차(200)간 거리는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지하철(1) 창문과 창문간 이격거리와 동일 거리상으로 이격되는 이송대차(200)는 지하철(1)이 상기한 초기출발구간(λ1)내를 지나갈 때의 속도변화에 따라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이송대차(200) 또한 지하철(1)의 운행속도에 근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같이 초기출발구간(λ1)내에서 지하철(1)의 속도에 근접되는 속도로 상기 이송대차(200)가 운행되어짐과 동시에 지하철(1)은 운행구간(λ2)내에서 일정속도 이상으로 운행되어지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이송대차(200) 또한 지하철(1)의 운행속도와 근접되는 속도에 의해 레일(31)을 따라 이송 되어져 지하철(1)의 각 차량의 창문 위치와 동일 유사한 위치상으로 각 이송대차(200)의 영상출력부(300)가 위치되어 영상출력부(300)를 통해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하철(1)이 다음의 역사내 플렛포옴(2)으로 진입하기 위해 속력을 줄이게 되는 구간을 본 발명에서는 진입구간(λ3)이라 명명하며, 상기 진입구간(λ3)내로 지하철이 진입하면서 속력을 줄이게 되면 점진적 속도저하에 의해 발생되는 순간속도(Vf)에 의해 제어부(500)에서 산출되는 평균속도(Vs)와 동일한 속도에 합당한 에어압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대차(200)의 솔레노이드밸브(250) 개도각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속도조절부(240)에서 상기 이송대차(200)를 상기 진입구간(λ3)내에서 점진적인 속력 저하에 따라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구간(λ3)내로 지하철(1)이 진입되는 순간을 판단하여 상기 이송대차(200)의 전원을 오프(off)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진입구간(λ3) 초입에 전원오프센서(Pf)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한 전원오프센서로부터 신호를 인가받게 되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송대차(200)의 전원이 단락되어 점진적 이송속도의 저하에 따라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하철(1)이 정지하는 플렛포옴(2)의 양끝단에 위치되는 위치센서부(200)로부터 상기 지하철(1)이 플렛포옴(2)에의 진입 및 출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센서부(200)로부터 지하철(1)이 출발된 신호를 인가 받게 되면 역사구간 내에 설치되는 레일(31)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차(200) 측으로 출발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고, 아울러 터널내벽(3)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비되는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에서 송출하는 각 구간(초기출발구간-λ1, 운행구간-λ2, 진입구간-λ3)을 지나는 지하철(1)의 각 지점에서의 순간속도(Vf) 및 평균속도(Vs)를 판독하여, 상기 이송대차(200)의 이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이송대차(200)가 상기한 지하철(1)의 운행구간(λ2)을 통과하면서 일정속력 이상으로 이송되어질 때에는, 각 이송대차(200)의 영상출력부(300)가 지하철(1)의 각 창문의 위치와 동일 위치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상출력부(300)를 통해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여 지하철(1) 탑승객이 시청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을 이용하여, 지하철내 승객등에게 광고 등을 동영상으로 실시간 전달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지하철(1)이 역사내로 진입되어지면 플렛포옴(2)의 양단부 중 지하철(1)이 진행되는 방향에서 최초로 접하게 되는 위치센서부(100)에서 상기 지하철(1)이 플렛포옴(2)으로 진입되고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플렛포옴(2)으로 지하철(1)이 진입되었음을 감지한 위치센서부(1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게 되는 제어부(500)에서는, 레일(31)을 따라 전후 이송가능한 이송대차(200)의 전원을 온(on) 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송대차(200)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밸브(250)를 정방향으로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제어 부(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게 되는 속도조절부(240)는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의해 이송대차(200)의 정방향출력구(231)측으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조절에 의해 변속되며 이송대차(200)가 전진 이송되어진다.
이와같은 이송대차(200)의 이송에 의해 진행되는 지하철(1)의 각 차량에 위치되는 창문의 위치와 동일 위치상으로 상기 각각의 이송대차(200)가 위치 조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정방향출력구(231)로 입력되는 에어는 초기출발구간(λ1)내에 구비되는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의 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속도조절부(240)의 제어에 따라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이송대차(200)가 지하철(1)의 각 창문의 위치에 도달될 수 있도록 조정되어지며, 지하철(1)이 일정구간 이상 운행되었을 때 즉 운행구간(λ2)내로 지하철(1)이 운행되며 적정 속력 이상을 유지하게 되어질 때 상기 이송대차(200) 상방으로 고정되는 영사기 또는 LCD모니터 등으로 구성되는 영상출력부(300)를 통해 기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출력되어 준비된 광고 등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예컨데 영상출력부(300)가 영사기를 통해 출력되어질 때에는 터널내벽(3)으로 별도 구비될 수 있는 스크린(미도시)으로 투영되므로써, 지하철(1)내 탑승객들에게 광고주 등이 원하는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영상출력부(300)를 상술한 바와 같은 LCD모니터 등을 이용할 경우 상기 LCD 모니터 등을 통하여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영상출력부(300)가 고정된 이송대차(200)가 지하철(1)의 운행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레일(31)을 따라 이송되므 로 지하철(1) 각 차량에 탑승한 승객은 외부의 어두운 터널내벽(3)을 응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광고나 각종 정보 등을 영상출력부(300)를 통하여 얻을 수 있게 되며, 광고주의 경우에 있어서는 짧은 터널구간내에서 뛰어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같이 실질적으로 동영상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구간은 지하철(1)이 일정속력 이상 진행되어질 때의 구간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지하철(1)이 다음 역사의 플렛포옴(2)으로 진입하기 위해 속력을 낮추는 경우, 터널내벽(3)에 등간격 이격되는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로부터 인가되는 지하철(1)의 순간속도(Vf) 및 이로부터 얻게 되는 평균속도(Vs)에 의해 일정속도 이하로 저하되는 것이 제어부(500)를 통해 확인되거나 또는 진입구간(λ3) 초입에 설치되는 전원오프센서(Pf)의 신호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이송대차(200)의 속도조절부(240)의 신호를 받고 에어탱크(220)로부터 정방향출력구(231)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의해 차단시켜 이송대차(200)가 전진 이송되는 상태를 정지시키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이송대차(200)는 출발한 전(前) 역사의 플렛포옴(2)으로 원위치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500)에서 송출하는 신호에 따라 역방향출력구(232)측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역방향출력구(232)과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250)를 적정 압력으로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도하게 된다.
이와같이 역방향출력구(232)측으로 적정압력으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이송대차(200)는 이송되는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최초 출발지점으로 원위치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하철(1)은 다음 역사의 플렛포옴(2)으로 진입되어질 때 상술한 수순에 의하여 다른 제어부(500; 즉 타 플레포옴의 이송대차를 제어하는 제어부)에서 타 역사와 그 다음의 역사 사이의 터널내벽(3)에 구비되는 별도의 다른 다수개 등간격 이격 형성되는 이송대차(200)를 지하철(1)의 이송 상태에 따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예 및 작동관계 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주로 공기구동식 방식에 의한 구성을 기본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면에서 보듯이 공기구동식 방식에 의한 이송대차(200)와 유사한 기술적 개념을 갖을 수 있는 전기구동식 이송대차(20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예컨데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송대차(200) 자체에 내재되는 전원부(292)와, 자동변속기(291) 및 컨트롤러(293) 등을 구비하고 상술한 제어부(500)로부터 인가된 위치센서부(100) 및,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 등의 신호 등을 판독하여 상기한 속도조절부(240) 등으로 송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자동변속기(291)를 제어하여 이송대차(200)의 속력을 지하철(1)의 속도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일정구간 이상 즉 초기출발구간(λ1)을 통과하여 일정속도 이상으로 운행 될 수 있는 운행구간(λ2)으로 진입되며 일정속도 이상으로 운행되어질 때 이송대차(200) 상방으로 고정되는 영상출력부(300)를 통해 저장된 광고영상물 등의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진입구간(λ3)측으로 지하철(1)이 진입되며 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제어부(500)에서 감지하게 되면, 상기 이송대차(200)의 속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며 정지되도록 한 후, 자동변속기(291)를 역구동하여 상기 이송대차(200)가 후진 이송되며 원위치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어, 다음에 도착하게 될 지하철(1)를 기다리는 대기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구동식 방식에 의하거나 또는 전기구동식 방식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차(200)에 공급되는 에어 또는 전기 등은 자체내에 필요한 장치등을 내설할 수 있으나, 도 3a에서 보는바와 같이 그 중량 등을 고려하여 외부에 별도의 컴푸레샤(210)나 에어탱크(220)등을 구비하고 이와 연결되는 에어호스(260)를 터널내벽(3) 양끝에 구비되는 권취보빈(270)으로 권선되도록 하고, 상기 레일(31) 하단부를 따라 고정 구비되는 가이드봉(201)에 각각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고리(202)를 형성하되, 상기 고리(202)에 상기의 에어호스(260)가 거치되도록 하여, 이송대차(200)의 이송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고리(202)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일하게, 전기구동식 방식에 있어서도 이송대차(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294)을 상기한 바와 같이 터널내벽(3)의 양끝에 구비되는 권취보빈(270)측으로 권선되며, 외부에 구비되는 전원부(292)를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송대차(200)의 이송 상태에 따라 상기 전선(294)이 거치되는 각 고리 (202)가 가이드봉(201)을 따라 이송되며 이송대차(200)에 원할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에어호스(260)나 전선(294)등이 원할히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이송대차(200)의 하부 중앙으로 이동가이드(206)을 구비하여 가이드봉(201)을 따라 고리(202)의 이송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송대차(200)간 이격거리를 좀더 정확하게 확보하기 위해, 즉 이송대차(200)의 영상출력부(300)가 지하철(1)의 각 차량 창문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이송대차(200)간 이격관(207)을 설치하여 항상 균일한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호스(260) 또는 전선(294) 등이 상기한 이격관(207)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이 설치는 장소 및 설치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변경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이 운행되는 어두운 터널내벽을 이용하여 지하철에 탑승한 승객 등이 터널내를 통과할 때, 터널내벽을 따라 지하철의 운행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운행되는 이송대차에 결합된 영상출력부로부터 각종 동영상 광 고, 정보 등이 각각의 지하철 차량의 창문으로부터 영상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무료하게 지하철을 이용하는 탑승객 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무료한 승차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광고효과가 배가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지하철 터널을 이용한 광고 방법 등에서 문제시 되었던 설치후의 유지보수 작업등이 상당히 간소하고 주로 플렛포옴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의 설치된 광고물의 필름 등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공기오염도가 상당한 터널내에서의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건강 등이 크게 손상 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내용의 영상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매우 다양한 영상물을 지하철을 이용하는 탑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지하철(1)이 통행하는 역사와 역사간 터널내벽(3)으로 구비되는 광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역사의 플렛포옴(2) 전후에 각각 구비되어 지하철(1)의 진입 및 출발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부(100)와,
    터널내벽(3)을 따라 이격되며 길게 설치되는 레일(31)상으로 지하철(1) 차량의 창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구비하며 전후진 이송되는 이송대차(200)와,
    상기 이송대차(200) 상방측으로 고정되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300)와,
    지하철(1)이 각 역사간 터널을 운행할 때의 순간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거리 등간격 이격되며 상기 레일(31) 하단으로 지하철(1)이 출발되는 초기출발구간(λ1)과 지하철(1)이 진입되는 진입구간(λ3)에 구비되는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와,
    상기 위치센서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지하철(1)의 진입 및 출발신호를 감지한 후 상기 이송대차(200)측으로 그 신호를 송신하여 이송대차(200)의 출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순간속도측정센서부(400)로부터 인가되는 지하철(1)의 순간속도를 판독하여 상기 이송대차(200)의 진행속도의 제어와, 상기 지하철(1)의 진행속도와 동일 속도로 상기 이송대차(200)가 운행되는 시점 및 지하철(1)의 진행속도가 저하되는 시점에 각각 상기 영상출력부(300)를 온 (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300)는 LCD모니터인것을 포함하는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300)는 영사기인것을 포함하는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200)에 에어호스(260)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컴푸레샤(210), 에어탱크(220) 및 에어모터(230), 전원부(233) 등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모터(230)를 통해 이송대차(200)측으로 에어가 적정압력 공급되어 전진 이송하기 위한 정방향출력구(231) 또는 후진 이송하기 위한 역방향출력구(232)측과 연관되는 각 솔레노이드밸브(250)는 상기 제어부(500)의 신호에 따라 개도되고, 상기 솔레노 이드밸브(25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속도조절부(240)에서 제어하여 상기 이송대차(200)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호스(260)를 권선하기 위해 터널내벽(3) 양끝으로 각각 권취보빈(270)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호스(260)와 연결되는 에어탱크(220), 컴푸레샤(210)가 상기 이송대차(200)와 분리되어 외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200)에 전선(294)을 통해 전력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92), 자동변속기(291)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대차(200)측으로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변속되는 상기 자동변속기(291)의 변속 작용에 의해 상기 이송대차(200)가 전후진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200)와 이송대차(200)간 이격관(207)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간(λ3) 초입으로 전원오프센서(Pf)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대차(200)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9.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200) 중앙 저면으로 상기 고리(202)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이동가이드(206)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KR1020050129314A 2005-12-26 2005-12-26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KR10065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314A KR100653371B1 (ko) 2005-12-26 2005-12-26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314A KR100653371B1 (ko) 2005-12-26 2005-12-26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371B1 true KR100653371B1 (ko) 2006-12-04

Family

ID=3773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314A KR100653371B1 (ko) 2005-12-26 2005-12-26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65B1 (ko) * 2020-03-26 2020-08-28 주식회사 이노벡스 주행 열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8171A (en) 1990-10-12 1992-04-28 Spaulding William J Apparatus for making a series of stationary images visible to a moving observer
JPH07104693A (ja) * 1993-10-02 1995-04-21 Tomoaki Ushida 鉄道トンネル構内における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02582A (ko) * 1997-06-20 1999-01-15 최연식 지하철 터널의 영상 시스템
KR19990018304A (ko) * 1997-08-27 1999-03-15 김성진 이동중인 차량의 탑승객을 위한 홍보 및 광고방법 및 장치
KR19990073177A (ko) * 1999-06-16 1999-10-05 정성진 일정속도로운행하는차량에서창밖의동영상을보는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8171A (en) 1990-10-12 1992-04-28 Spaulding William J Apparatus for making a series of stationary images visible to a moving observer
JPH07104693A (ja) * 1993-10-02 1995-04-21 Tomoaki Ushida 鉄道トンネル構内における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02582A (ko) * 1997-06-20 1999-01-15 최연식 지하철 터널의 영상 시스템
KR19990018304A (ko) * 1997-08-27 1999-03-15 김성진 이동중인 차량의 탑승객을 위한 홍보 및 광고방법 및 장치
KR19990073177A (ko) * 1999-06-16 1999-10-05 정성진 일정속도로운행하는차량에서창밖의동영상을보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65B1 (ko) * 2020-03-26 2020-08-28 주식회사 이노벡스 주행 열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WO2021194033A1 (ko) * 2020-03-26 2021-09-30 주식회사 이노벡스 주행 열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334B1 (ko) 광고 영상용 프로젝터
CA2273230C (en) Mass transportation passenger guidance system
CN102828640B (zh) 一种多停车道多载车板的塔式立体车库
US9862391B2 (en) Personalised elevated urban transport
CN209259461U (zh) 乘客输送机
JP3561077B2 (ja) ケーブルカー装置
US10358147B2 (en) Personalized elevated urban transport
CN103003122A (zh) 悬挂式独轨车公共交通系统
KR100653371B1 (ko)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
JP6568586B2 (ja) ロープウェイ設備
JP2007091205A (ja) 回転可能な索道輸送装置を持つ索道設備
JPH11255126A (ja) 列車運転制御装置
KR101442750B1 (ko) 주차관리시스템
CN1764581B (zh) 乘客输送机的运送流向指示器
CA31139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number of users on at least one ski resort run
CN109991947A (zh) 一种地铁车站出入口机电设备的自动控制系统
CN210258396U (zh) 整体滑动多段调节的火车站台安全防护屏风
KR20020036382A (ko) 잔상효과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CN208585237U (zh) 一种铁路客运站站台自动安全防护装置
KR20060108362A (ko) 버스정류장 정보시스템
CN208943533U (zh) 刮泥机运行控制系统
JP6392033B2 (ja) チェアリフトの乗客確認装置
KR101502565B1 (ko) 추진장치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IT201900006570A1 (it) Sistema e metodo di rilevamento del numero di utenti su almeno una pista da sci di un comprensorio sciistico
CN205121916U (zh) 一种停车场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