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112B1 - 차량용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112B1
KR100653112B1 KR1020000033183A KR20000033183A KR100653112B1 KR 100653112 B1 KR100653112 B1 KR 100653112B1 KR 1020000033183 A KR1020000033183 A KR 1020000033183A KR 20000033183 A KR20000033183 A KR 20000033183A KR 100653112 B1 KR100653112 B1 KR 10065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winding shaft
spring
take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409A (ko
Inventor
쉘레히트베르너페.
크라우세비테
시일홀거
에렌베르거마리나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1000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분리 장치(13)에서 권취 샤프트(19)는 하우징(14)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분리 네트(15)는 권취 샤프트(19)상에 권취될 수 있으며 분리 장치(13)의 하우징(14)과 승용차의 루프 라이닝 사이의 공간에서 펼쳐질 수 있다.
권취 샤프트(19)는 사용자가 분리 네트(15)의 증가하는 취출을 방해해야 하는 큰 토크를 발생시키고, 제공된 드라이브 장치(18)는 예정된 취출 길이로부터 권취 샤프트(19)용 드라이브 토크 전방으로 낮은 수준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위칭은 약한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이 활동적으로 될 때, 또는 제 2 드라이브 스프링(93)이 권취 샤프트(19)용 드라이브 스프링(38)에 평행하게 스위칭될 때 초래된다. 그러나, 두 개의 보조스프링(39,93)은 권취 샤프트(19)의 제한된 회전 범위이상으로만 작동한다. 이러한 회전 범위가 초과된 후에, 주 스프링(38)의 최대 권취력이 다시 권취 공정에서 활동적이 된다.
권취 샤프트, 분리 네트, 하우징, 후방부, 루프

Description

차량용 분리 장치{Separating device with variable pull-back force}
도 1은 루프 라이닝 아래에서 현수되는 분리 네트를 취출한 채로 후방 좌석 백레스트의 후방에 고정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분리 장치의 하우징의 개략 종단면도.
도 3은 두 개의 드라이브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드-블록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블록 장치의 슬라이드 피스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두 개의 단부 캡중 하나의 우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권취 샤프트가 결합된 해제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보정 드라이브 스프링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후방부 2 : 루프
3 : C-컬럼 4 : 측벽
8 : 후방 좌석 벤치 12 : 개구
13 : 분리 장치 14 : 하우징
15 : 분리 네트
스테이션 왜건(station wagon) 또는 유사한 차량에서 분리 장치는 승객 공간에 대해 적재 또는 수하물 공간의 기계적 경계를 제공한다. 그러한 장치는 충돌 또는 추돌시 물체가 수하물 공간을 벗어나 승객 공간으로 달려들어 승객을 부상입히거나 사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 들면 후방 좌석 상부의 에지와 내측 루프 라이닝 하부 사이의 개구는 그러한 위험이 잠재적으로 존재하면 분리 장치로 폐쇄된다.
그러나, 수하물 공간의 적재 높이가 후방 좌석 높이를 초과하지 않으며 심지어 추돌 사고의 경우에 함께 미끄러지는 물체가 후방 좌석 위로 올라갈 수 있는 범위로 쌓여있지 않기 때문에 승객의 위험이 확실히 배제될 수 있다면, 분리 장치는 사용될 필요가 없다. 그러면, 오히려 귀찮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분리 장치는 스프링 (작동식) 롤의 방식으로 종종 구성되는데, 이 경우에 분리 장치는 하우징내에서 권취 샤프트상에 권취된 분리 네트를 갖는다. 권취 샤프트는 스프링 모터의 도움으로 권취 방향으로 미리 인장되며, 심지어 완전히 권취된 분리 네트의 경우에도 충분한 풀-백 포스가 잔존하게 된다.
분리 네트가 완전히 권취되면, 베일(bail) 직경이 크게 되고 권취 스프링이 크게 느슨해진다. 분리 네트가 하우징에서 더 많이 취출됨에 따라 권취 샤프트상의 베일 직경은 감소되고 동시에 권취 스프링은 더 큰 장력을 발생시킨다.
풀-아웃 과정의 종료시에, 즉 연결봉이 차체측 수용 포켓내로 현수될 수 있는 정도로 분리 네트가 하우징 외부로 취출될 때, 풀-백 포스는 연결봉을 현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정도로 증가된다. 바람직하지 않은 바디 지지도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 네트를 차제에서 현수하는데 필요한 길이에 상응하는 분리 네트의 취출 길이에서 풀-백 포스가 감소되는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분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분리 장치는 권취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을 갖는다. 분리 네트의 한 에지는 권취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 샤프트와 평행한 다른 에지에는 연결봉이 제공된다. 연결봉의 단부는 분리 네트를 넘어서 돌출하고 차체측 수용 포켓에 삽입된 대응 헤드를 사용하여 현수될 수 있다.
두 개의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는 드라이브 장치는 권취 샤프트에 대응 배치된다. 한 상태는 시작 범위, 즉 분리 네트가 완전히 감겨진 상태에서 예정된 풀-아웃 길이까지의 취출 과정에 작용한다. 제 2 상태는 이 상태를 뒤따른다. 개시 범위에서는, 예정된 풀-아웃 길이가 얻어진 후의 범위에서보다 더 큰 풀-아웃 포스가 작용한다. 자동 스위칭은 상기 풀-아웃 길이에 의존해서 이 두 개의 상태 사이에 제공된다.
풀-백 포스의 감소는 예정된 풀-아웃 길이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차체측 수용 포켓내로 연결봉을 현수하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 사용자는 현수 조작을 할 때 수동으로 현저히 더 낮은 다른 복원력을 보상하여, 분리 네트가 하우징내로 되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드라이브 장치가 약한 풀-백 포스로 스위칭되는 예정된 풀-아웃 길이는 연결봉을 차체내로 현수하는데 필요한 길이 보다 약간 더 길다. 그래서, 분리 장치는 또한 차체의 공차를 보상한다.
다양한 풀-백 포스 사이의 자동 스위칭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장 간단한 경우에 두 개의 드라이브 스프링이 사용된다. 이들 드라이브 스프링은 상이한 풀-백 포스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두 개의 드라이브 스프링은 두 개의 상이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 범위의 끝에서, 즉 예정된 풀-아웃 길이에서 강한 스프링은 빨리 제위치로 유지되므로 단지 다른 드라이브 스프링이 제한된 간격에서만 작용하고 작은 풀-백 포스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분리 네트의 취출시에, 드라이브 스프링이 보다 작은 풀-백 포스로 신장되고 그 스트로크가 추가적인 제한 장치에 의해 제한된다.
기본적으로 상이한 해법은 반대 힘을 제공하는데, 즉 예정된 풀-아웃 길이에 도달한 후에 제 2 드라이브 스프링은 평행하게 스위칭되고 제 1 드라이브 스프링의 풀-아웃 포스의 일부를 상쇄한다. 요컨대, 원하는 감소된 풀-백 포스가 유지된다. 양쪽의 경우에 감소된 풀-백 포스는 대략 30 mm의 짧은 간격 내지 150 mm의 대략 최대 간격에서 작용한다. 권취 방향에서 이 범위를 초과하면, 제 1 드라이브 스프링만이 작용하고 분리 네트를 큰 힘으로 하우징내로 후방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드라이브 스프링은 필요 공간을 상당히 증가하지 않으면서 권취 샤프트내에 쉽게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시계 스프링과 유사한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드라이브 스프링중 하나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는 분리 네트의 상이한 풀-아웃 길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짧은 풀-아웃 길이는 분리 장치의 하우징이 세워진 후방 좌석 등받이의 상부 에지의 영역에 배치될 때 사용된다. 반대로, 분리 장치의 하우징이 플로워 영역에 고정될 때, 예를 들어 후방 좌석 등받이가 접혀지거나 후방 좌석 벤치가 세워질 때 다른 긴 풀-아웃 길이가 사용된다. 이 경우에 드라이브 장치에 계수 장치가 제공되면 편리하며, 상기 계수 장치에 의해 짧은 풀-아웃 길이에 대응하는 정확한 위치에서 작은 풀-아웃 포스로의 스위칭이 발생한다.
하나 또는 다른 작동 상태로의 스위칭의 경우에, 블록 장치 또는 결합 장치가 사용되며 이들은 각각 해제가능하며 예정된 제 1 풀-아웃 길이에 도달될 때, 두 개의 드라이브 스프링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두 개의 드라이브 스프링중 하나를 작용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블록 및 결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계수 장치와 조합될 수 있다.
해제 장치는 블록 및 결합 장치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해제 장치는 예정된 제 2 풀-아웃 길이에서 작용한다.
해제 장치는 권취 샤프트와 비틀림없이 결합되는 해제 요소를 구비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개선안은 종속항에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은 스테이션 왜건의 후방부(1)를 파단 개방 상태로 도시한다. 상기 후방부(1)는 좌측 후방 윈도우가 떨어져 나간 사시도로 도시되며 두 개의 C-컬럼(3)에 의해 측방향으로 지탱되는 루프(2)를 포함한다. 후방 측면 윈도우(5)는 루프(2)아래에서 C-컬럼(3)의 전방으로 측벽(4)위에 배치되고 다른 후방 측면 윈도우(6)는 C-컬럼(3) 후방에 배치된다. 측면 윈도우(5와 6)의 배열은 후방부의 좌측상에서 거울 이미지로 비추어진다. 후방부(1)는 아래에서 실질적으로 로딩 평면(7)에 의해 차단된다.
후방 좌석 벤치(8)는 C-컬럼(3)의 높이로 두 개의 후방 측면 윈도우(5) 사이에 배치되며, 그 후방 좌석 백레스트(backrest)(9)는 후방 측부(11)와 함께 대략 두 개의 C-컬럼(3) 사이에 있게 된다.
개구(12)는 루프(2)의 하부 에지와 후방 좌석 백레스트(9)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개구를 통해 후방 좌석 백레스트의 전방에 배치된 승객 공간이 그 후방에 배치된 후방부(1)의 적하 공간과 연통하게 된다.
충돌시에 물체가 후방부(1)에서 승객 공간으로 돌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구(12)는 분리 장치(13)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분리 장치(13)는 하우징(14), 분리 네트(15) 및 상기 분리 네트(15)상에 장착된 연결봉 또는 스트러트(1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4)은 그 상부측상에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배출 슬롯(17)이 설치된 박스 형상의 신장 하우징(14)이다. 드라이브 장치(18)는 분리 네트(15)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권취 샤프트(19)를 미리 인장(pre-tension)하기 위해 하우징(1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4)은 후방 좌석 백레스트(9)의 후방 측부(11)에 부착 고정된다.
분리 네트(15)는 권취 샤프트(19)와 일 에지에서 연결되어 연장되며, 하우징(14)의 배출 슬롯(17)을 통해 권취 샤프트(19)로부터 진행한다. 권취 샤프트(19)에 평행한 분리 네트의 에지에는 고리(21)가 설치되며, 상기 고리는 사다리꼴의 분리 네트(15)의 전체 폭에 걸쳐 뻗어있다.
또한, 완벽을 기하기 위해서 분리 네트(15)는 두 개의 측방향 에지가 경계 밴드(22)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버섯 모양의 헤드(24)를 갖는 고정 부재(23)는 연결봉 또는 스트러트(16)의 양 단부에서 돌출한다. 분리 네트(15)가 펼쳐질 때, 버섯 모양의 헤드(24)는 수용 포켓(26)의 단부측의 폐쇄된 T형 홈(25)으로 진입된다. 수용 포켓(26)은 루프 하부 에지(2) 아래에 밀접하게 배치된다.
도 2는 하우징(14)의 구성을 매우 개략적인 종단면으로 도시한다. 상기 하우징(14)은 두 개의 컵형상 단부 캡(27과 28) 뿐만 아니라 상기 단부 캡 사이에서 연장하며 배출 슬롯(17)이 형성된 관형 하우징 중간 피스(29)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 캡(27)은 배출 슬롯(17)을 제외하고 모든 측부상에서 폐쇄된 칼라(32)가 에지상에 둘러싸인 기본적으로 평 베이스(31)로 이루어진다.
권취 샤프트(19)용 저널로서 작용하는 사출성형된 원통형 피봇(33)은 내측으로부터, 즉 하우징의 중간 피스(29)와 대향하게 배치된 베이스(31)의 측부로부터 돌출한다.
다른 단부에 있는 캡(28)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하나의 피스로 사출성형된 베이스(34)로 이루어지며, 주위 칼라(35)는 배출 슬롯(17)을 제외하고 연속 구성을 갖는다.
권취 샤프트(19)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단부 캡(27과 28) 사이에서 연장하는 원통형 금속 튜브이다. 권취 샤프트(19)의 좌측 단부에서 권취 샤프트(19)와 공축인 보어(37)를 갖는 감축 부재(36)가 삽입되고 감축 부재는 저널(33)상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된다.
전술된 드라이브 장치(18)는 권취 샤프트(19)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드라이브 장치는 권취 스프링의 형태인 제 1 드라이브 스프링(38)과, 마찬가지로 권취 스프링의 형태인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과, 블록 장치(42) 뿐만 아니라 스트로크 제한 장치로서 작용하는 결합 장치(4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은 제 1 드라이브 스프링(38)보다 권취 샤프트(19)상에 토크를 적게 발생시킨다.
권취 샤프트(19)용 드라이브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제 1 드라이브 스프링(38)은 저널(33)과 일 단부(43)상에서 접하고 있다. 제 1 드라이브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결합 장치(41)와 44에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결합 장치(41)는 두 개의 원통형 피스(45와 46)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원통형 피스는 서로 대향 배치된 대면 측부(47과 48)를 가지며 서로에 대해 제한된 방법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원통형 피스(45)는 권취 샤프트(19)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원통형 피스(45)는 권취 샤프트(19)에 대해 자유롭게 선회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단부(44)는 이러한 원통형 피스(45)에 고정된다.
대조적으로, 원통형 피스(46)는 홈부(impressions)(49)의 도움으로 권취 샤프트(19)의 선회에 대해 안전하게 유지되므로 두 개의 대면 측부(47과 48)는 미소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피스(45)의 외주면과 동심이며 거의 완전한 원형인 환형 홈(51)은 평면(47)내에 수용된다. 상기 홈(51)은 좁게 반경방향으로 뻗은 바아(52)에 의해 막히게 된다.
반대로, 마찬가지로 원통형 피스(46)의 평면 측부(48)에는 홈(51)내로 삽입되는 동반 러그(entraining lug)(53)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원통형 피스(45와 46)는 통상적으로 드라이브 스프링(38)의 스트로크를 제한한다.
권취 샤프트(19)와 동축인 보어(54)는 원통형 피스(46)내에 수용되어 원통형 결합 샤프트(55)를 안내한다. 상기 결합 샤프트(55)는 원통형 피스(45)의 동축 보어(57)의 선회에 대해 안전하게 삽입되는 테이퍼부(56)가 좌측 단부상에 제공된다. 상기 결합 샤프트(55)와 원통형 피스(45)는 이러한 방법으로 축방향 및 원주 또는 주변 방향으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결합 샤프트(55)는 권취 샤프트(19)와 동축으로 뻗어 있으며 결합 장치(41)로부터 진행하여 단부 캡(28)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전술된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은 결합 샤프트(55)상에서 일 단부(58)가 결합되고 원통형 피스(56)상에서 다른 단부가 결합된다. 그래서, 드라이브 스프링(39)은 결합 샤프트(55)와 권취 샤프트(19) 사이에서 움직이게 작동한다.
권취 샤프트(19)의 우측 단부에서 결합 샤프트(55)를 안내하기 위해서, 권취 샤프트(19)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 샤프트(55)가 연장하는 동축 보어(62)를 갖는 스페이서(61)를 단부 캡(28)에 인접하는 단부내에 수용한다. 상기 스페이서(61)는 홈부(62)의 도움으로 권취 샤프트(19)의 비틀림을 저지하도록 고정된다.
결합 샤프트(55)는 우측 단부가 스페이서(61)를 넘어가게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마찬가지로 결합 샤프트(55)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63)을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부품상에 지탱한다. 밸브 하우징(63)상에는 단부 캡(28)의 베이스(34)와 대향하게 놓이는 평면(64)상에 저널 베어링(65)이 형성되며, 저널 베어링은 대응하는 베어링 보어(66)내에 지탱되고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된다. 상기 블라인드 홀(66)은 베이스(34)의 중간 하우징 피스와 대면하는 측부상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장방형 단면을 갖는 슬라이드 채널(67)은 밸브 하우징(63)을 통해 연장한다. 상기 슬라이드 채널(67)은 결합 샤프트(55)의 축에 대해 반경방향에 서 장방형으로 연장한다. 도면에서 결합 샤프트(55) 상부에 도시된 부분에 있어서, 슬라이드 채널(67)에는 밸브 하우징(63)의 외주면으로부터 결합 샤프트(55)로 연장하는 원통형 확대부가 제공된다. 더욱이, 슬롯에 의해 슬라이드 채널은 이 영역에서 단부 캡(28)으로 개방된다.
슬라이드 피스(6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채널(67)내에 미그럼가능하게 안착된다. 슬라이드 피스(68)는 슬라이드 채널(67)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평평한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드 피스(68)에는 일측부로부터 평행 측면 슬롯(69)이 제공됨으로써 후방부 또는 브릿지(73) 위에서 일단이 결합되는 두 개의 자루(71과 72)가 형성된다. 슬롯(69)의 폭은 슬라이드 채널(67)의 영역에서 결합 샤프트(55)의 외경에 대응한다. 최종적으로, 슬라이드 피스(68)는 결합 샤프트(55)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단부 캡(28)의 방향으로 향해 있다.
슬롯(69)내에 수용된 압력 스프링(75)의 도움으로 슬라이드 피스(68)는 반경방향에서 외향으로 인장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의 형태인 압력 스프링(75)은 슬라이드 채널(67)의 전술된 원통형 연장부내에 안착되고 일 단부에서 결합 샤프트(55)상의 외주부상에 지지되며 다른 단부에서 슬롯(69)의 베이스상에 지지된다.
도 5에 따르면, 나선형 홈(67)이 하우징 중간 피스(29)와 대면하는 베이스(34)의 내측상에 형성되고, 나선형 홈은 오른쪽 아르키메데스 나선을 따른다. 상기 나선형 홈(67)은 원통형 공간(78)으로 반경방향 내단부(77)에서 개방되며 베어링 보어(66)를 동심으로 둘러싼다. 홈(67)의 깊이와 폭은 안내핀(74)의 외형에 적합하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놓인 단부에서, 홈(76)은 홈(76)과 대면하는 포켓(79)내로 연장한다. 상기 포켓(79)은 벽(81)에 의해 반경방향에서 외부와 경계를 이루며, 홈의 벽으로부터의 간격은 홈(76)의 폭보다 크다. 리프 스프링(82)은 벽(81)의 자유 단부와 정렬되며, 83에서 홈(76)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놓인 벽내에 결합된다. 리프 스프링(82)과 벽(81) 사이에서 안내핀(74)의 직경에 대응하는 갭을 유지하며, 리프 스프링(82)은 계란형 방식으로 홈(76)의 외벽을 둘러싸는 무단 홈(84; endless groove)과 교차한다. 리프 스프링(82)은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것처럼, 션트(shunt)(또는 턴아웃)로 작용한다.
도 6에서, 스페이서(61)는 정면도로 도시된다.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스페이서(61)에는 권취 샤프트(19)의 축과 대면하는 직선 안내면(86)을 지탱하는 접선방향으로 뻗어있는 아암(85)이 제공된다. 안내면(86)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놓인 단부는 권취 샤프트(19)의 축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공간을 가지며, 그것은 달걀형 방식으로 연장하며 자체 폐쇄되는 외부 홈(84)의 가장 먼 지점으로부터 베어링 보어(66)의 축의 반경방향 공간보다 크다. 설명된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된 분리 장치(13)의 상태에 있어서, 분리 네트(15)의 연결봉(16)은 배출 슬롯(17)에 대해 놓이며 하우징(14)내로 분리 네트(15)의 소정의 부가 취출을 차단한다. 분리 장치의 이러한 취출은 드라이브 스프링(38)에 의해 실행된다. 드라이브 스프링(38)은 권취 샤프트(19)의 상부측이 관찰자로부터 이격 이동되는 방식으로 묘사에 대해 권취 샤프트(19)를 선회시킨다. 권취 샤프트(19)의 동반 또는 샤프트를 따르는 구동은 원통형 피스(45)의 바아 또는 웨브(52)가 저널(53)상에,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상에 놓이게 될 때 발생된다.
분리 네트(15)가 완전히 취출되는 위치에 권취 샤프트(19)가 있을 때, 슬라이드 피스(69)의 안내핀(74)은 단부 캡(26)의 원통부(78)내에 있게 된다. 더욱이, 이 위치에서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은 인장되며 안내면(86)은 원주 또는 주변 방향에서 슬라이드 피스(68)로부터 가장 큰 간격으로 있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진행하여 분리 네트(15)가 외부로 취출될 때, 권취 샤프트(19)는 드라이브 스프링(38)의 작동과 반대인 회전으로 설정된다. 분리 네트의 취출에 있어서, 드라이브 저널(53)과 웨브(52) 사이의 상대 위치의 변화는 없다. 권취 샤프트(19)의 회전은 원통형 부재(45)로 직접 전달된다. 원통형 부재(45)는 결합 샤프트(25)와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접하므로, 권취 샤프트(19)처럼 동일 방향에서, 슬라이드 피스(68)도 또한 슬라이드 채널(67)내에서 권취 샤프트(19)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분리 네트(15)의 취출에 있어서, 슬라이드 피스(68)상에 안착된 안내핀(74)은 도 5의 묘사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운동을 실시한다. 따라서, 더 길거나 짧은 부분 회전후에 안내핀(74)은 나선형 홈(76)의 개시부(77)를 향해 원통형 공간(78)을 통과한다. 안내 피봇은 압력 스프링(75)에 의해 반경방향에서 외향으로 가압되므로 권취 샤프트(19)의 축을 중심으로 한 운동에 있어서 홈으로 향하게 된다.
권취 샤프트(19)의 대략 두 개의 회전 후에, 안내핀(74)은 대략 30°의 중앙 각도에 대응하는 포켓(79)으로부터의 간격으로 나선형 홈(76)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놓이는 부분내에 배치된다.
권취 샤프트가 대략 30°이상으로 더 회전될 때, 상기 핀(74)은 포켓(79)을 치게 되어 권취 샤프트(19)의 어떠한 추가 회전 운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충분한 길이의 분리 네트(15)가 권취 샤프트(19)로부터 풀리게 되는데, 이것은 포켓(79)내에 핀(74)을 붙잡는 것으로 명백하게 나타내 진다. 펼쳐진 길이는 배출 슬롯(17)과 수용 포켓(26)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것보다 크게 된다. 이러한 위치로부터 진행하여 사용자가 분리 네트(15)를 다시 하우징(14)내로 되감을 때, 안내핀(74)은 대향 배치된 리프 스프링(82)을 치게 된다. 압력 스프링(75)은 안내핀(74)과 함께 외향으로 슬라이드 피스(68)를 가압하게 되므로, 안내핀(74)은 외부 홈(84)의 외벽에 대해 다소 경사 위치된 리프 스프링(82)을 따라 미끄러진다.
리프 스프링(82)은 반시계 방향에서 안내핀(74)의 운동을 저지하므로, 핀(74)은 홈(84)내에서 리프 스프링(82)에 대해 가압 유지된다. 따라서, 우선 첫째로 슬라이드 피스(68)와 비회전식으로 접하는 결합 샤프트(55)의 회전이 차단된다. 결합 샤프트(55)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으므로 리프 스프링(82)으로부터 드라이브 스프링(38)에 의해 가해진 힘은 단부 캡(78)내로 그래서 하우징(14)내로 인도된다. 이제 사용자는 약해진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에 의해 권취 샤프트(19)상에 가해진 힘을 연결봉(16)상에서만 느낄 수 있다.
개념적으로, 공정은 마치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만이 작동되는 것처럼 분석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결합 샤프트(35), 슬라이드 피스(68), 및 안내핀(74) 위에서 단부 캡(28)상에 지지된다.
이제 사용자는 연결봉(16)을 수용 포켓(26)내로 직접 지탱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더 강한 드라이브 스프링(38)에 의해 여러 회전에 걸쳐 취출되는 분리 네트(15)상에 가해지는 힘을 수동으로 보충하도록 더 이상 강요받지 않는다.
약한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이 작동하는 가능 범위는 권취 샤프트(19)의 약 270°회전, 즉 펼쳐진 분리 네트(15)에 대해 70 mm 내지 110 mm의 길이에 대응한다. 이러한 범위는 후방 좌석 백레스트(8)상의 수용 포켓(26)과 하우징(14)의 고정부 사이의 공간 공차와 분리 네트(15)의 권취 부품의 화물 직경의 변동을 보충하는데 충분하다.
사용자가 분리 네트를 다시 완벽하게 구동시키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수용 포켓(26) 외부에서 연결봉(16)을 잡고 분리 네트(15)를 권취 샤프트(19)상으로 더 감도록 한다.
드라이브 운동의 제 1 부품중 권취력은 약한 드라이브 스프링(39)으로부터만 나온다. 드라이브 운동이 계속되면, 권취 샤프트(19)와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결합된 안내면(86)은 슬라이드 피스(68)상으로 나아간다. 대응 운동후에, 접선방향으로 뻗어있는 안내면(86)은 슬라이드 피스(68)와 결합하게 된다.
안내면(86)은 도 5의 묘사 위로 돌출되면, 반시계 방향에서 분리 네트(15)의 권취에서 이동하며, 도 5의 묘사위로 돌출되면 좌상방에서 우하방으로 나아간다. 따라서, 압력 스프링(75)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작용하는 힘보다 큰 슬라이드 피스(68)상의 반경방향 내향의 힘을 생성한다.
안내면(86)은 압력 스프링(75)의 운동과 반대로 슬라이드 피스(68)를 반경방 향 내향으로 가압할 것이며, 그 공정에 있어서 안내핀(74)은 경사 상태로 있는 리프 스프링(82)상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미끄러지며 나선식으로 뻗어있는 홈(76)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놓여있는 개시부내에 배치된다. 그래서, 결합 샤프트(55)의 차단이 중지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52)가 드라이브 저널(53)상에 결합하게 될 때까지 더 강한 제 1 드라이브 스프링(3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구동된다. 이러한 변화중에, 더 강한 드라이브 스프링(38)은 이전의 드라이브 운동중에 점점 느슨해지게 되는 약한 드라이브 스프링(39)에 대해 상향으로 다시 이동한다.
지금부터는 추가 권취가 오직 더 강한 제 1 드라이브 스프링(38)에 의해 발생한다.
작용의 설명으로부터 야기된 바와 같이, 포켓(79)과 함께 나선형 홈(76)은 충분한 양의 분리 네트(15)가 권취 샤프트(19)로부터 취출되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권취 샤프트(19)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계수 메카니즘으로서 작용하므로 연결봉(16)이 수용 포켓(26)내에 안락하게 현수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계수 기능을 원하지 않는다면, 충분한 양의 분리 네트(15)가 취출된 것을 알려주기 때문에, 나선형 홈(76)이 단부 캡(28)의 내측상에 한정되는 전체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 간단한 하나의 정지부만이 존재하더라도 리프 스프링(82)에 대응하는데 충분하다.
분리 장치의 작용에 대한 상술된 설명에 있어서, 분리 네트(15)는 상슬된 후방 좌석 백레스트(9) 상부의 개구만을 폐쇄하도록 사용된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길 이 또는 양의 분리 네트(15)에 대해 포켓(79)까지 나선형으로 뻗어있는 홈(76)의 길이가 조절된다.
사용자가 승용차의 전체 화물 공간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이유로 후방 좌석 백레스트(9)를 위로 회전시키고 또한 후방 좌석 벤치(8)를 직립으로 가능하게 (회전)시키면, 하우징(14)은 화물 공간의 저부 근처에서 고정되어야만 하며, 그 결과로 많은 양의 분리 네트(15)가 승객 공간의 개구를 폐쇄하는데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분리 네트(15)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안내핀(74)이 포켓(79)내에 고정될 때까지 먼저 하우징(14)에서 취출된다. 그다음 사용자는 분리 네트(15)의 장력을 다소 느슨하게 하여 안내핀(74)이 외부 안내홈(84)의 외벽에 대해 리프 스프링(82)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이제 사용자는 분리 네트(15)를 하우징(14) 밖으로 더욱 취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안내핀(74)은 외부홈(84)을 통해 뻗어있게 된다. 리프 스프링(82)은 안내핀이 도 5에 대해 좌측으로부터 그래서 리프 스프링(82)의 후방측으로부터 리프 스프링(82)에 도달할 때 안내핀(74)의 운동 경로를 자유롭게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리프 스프링(82)은 전철기의 형태로 뒤집어 지며 안내핀(74)이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독단적인 양의 분리 네트(15)가 권취 샤프트(18)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분리 네트(15)가 내부로 들어갈 때, 안내핀(74)은 홈(84)을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며 안내면(86)의 도움으로 리프 스프링(82)상에서 권취 샤프트(19)의 많아야 한 회전후에 나선식으로 뻗어있는 내부 홈(67)으로 통과함으로써 편향된다. 최대로 부가의 2회전 반 후에 안내핀(74)이 원통형 범위(78)내에 있게 되므로, 권 취 샤프트(19)는 방해받지 않으면서 많은 회전을 독단적으로 완료할 수 있으므로 분리 네트(15)의 전체 취출량을 권취할 수 있다.
분리 장치(13)의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스프링(38과 39)은 운동학적으로 연속해서 스위칭된다. 제 2 스프링(39)은 약하고 분리 네트(15)의 취출이 너무 펼쳐지는 것은 결합 장치(41)에 의해 제한되며, 이것은 전체 360°가 되지 않는 결합 샤프트(55)와 권취 샤프트(19)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예정된 풀-아웃 거리의 끝에서, 제 1 드라이브 스프링(38)에 의해 가해진 풀-백 포스가 차단되므로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에 대응하는 약한 풀-백 포스가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분리 네트(15)에 대한 낮은 작동력은 두 개의 드라이브 스프링의 연속 스위칭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드라이브 스프링의 제어식 평행 스위칭에 의해서 특히 분리 네트(15)의 취출 범위에서 얻어질 수 있으며, 제 2 스프링이 평행하게 스위치되어, 보조 드라이브 스프링의 풀-백 포스의 일부를 발생시킨다. 도 7에서 이러한 실행의 예가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미 설명되고 운동학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권취 샤프트(19)는 예를 들어 드라이브 스프링(38)에 대응하는 하나의 드라이브 스프링에 의해서만 공지된 방식의 회전으로 설정된다. 드라이브 스프링(38)의 일 단부는 하우징(14)에 직접 고정되며, 다른 단부는 권취 샤프트(19)에 직접 연결된다.
이전 실시예에서 스러스트 하우징(63)이 존재하였지만, 이제는 권취 샤프트(19)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스러스트 하우징(63)에는 나선형으로 뻗어있는 홈(76)에서 움직이는 슬라이드 피스(68)와 안내핀(74)이 안내된다.
이전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나선형 홈(76)과 외부 원형 홈(84)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홈(76과 84)이 개별 홈 하우징(91)내에 안착되어 권취 샤프트(19)의 샤프트 핀(92)상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지탱된다.
상기 홈 하우징(9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76과 84)의 위치에 대응하는 단부 위치로 단부 캡(28) 내측의 나선형 스프링(93)에 의해 미리 인장된다. 나선형 스프링(93)은 홈 하우징(91)과 단부 캡(28) 사이에서 운동학적으로 작동한다(도시않음).
스프링(83)의 실시와 반대로, 도 5에 따른 묘사상으로 다시 돌출되는 홈 하우징(91)은 특히 360°보다 다소 작은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93)에 의해 발생된 토크는 연결봉(16)이 수용 포켓(26)내로 안락하게 현수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분리 네트(15)가 취출될 때, 드라이브 스프링(38)에 의해 발생된 토크보다 작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으며, 다시 분리 장치의 완벽한 드라이브 상태가 추정된다.
드라이브 상태에 있어서, 안내핀(74)은 원통형 내부 공간(38)내에 배치되며, 나선형 스프링(93)은 단부 위치로 홈 하우징(91)을 미리 인장시키므로, 도 5에 따른 묘사에 대응하는 형상이 초래된다. 분리 네트(15)의 취출에 있어서, 안내핀(74)은 포켓(79)내에 고정될 때까지 나선형 홈(76)을 따라 외향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다시 분리 네트(15)의 장력을 다소 감소시키므로, 권취 스프링(38)은 권취 방향으로 권취 샤프트(19)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안내핀(74)은 홈 하우징(91)의 외벽도 되는 홈(84)의 외벽에 대해 리프 스프링(82)을 가압한다. 권취 방향으로 권취 샤프트(38)를 회전시키는 권취 스프링(38)의 토크는 이제 나선 스프링(93)이 홈 하우징(91)상에 가해지는 토크와 반대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권취 드라이브 스프링(38)에 의해 가해진 토크와 나선형 스프링(93)에 의해 가해진 토크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힘을 연결봉(16)상에서 검출한다. 상기 작동은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 유지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안락하다.
사용자가 분리 네트(15)를 다시 작동시키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수용 포켓(26)으로부터 연결봉(16)을 취하여 배출 슬롯(17)의 방향으로 상기 연결봉(16)을 안내한다. 그 다음, 권취 샤프트(19)는 권취 방향의 회전으로 설정되는데, 그 이유는 드라이브 스프링(38)이 방해하는 나선형 스프링(91)보다 큰 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안내핀(74)은 도 5와 관련하여 홈을 따라 하우징(91)을 지탱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홈 하우징(91)을 회전시킨다. 회전의 코스에 있어서, 안내핀(74)은 단부 캡(28)의 고정 위치에 장착되고 도면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램프(94)를 치게 된다. 안내 램프(94)는 안내핀(74)을 반경방향 외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핀은 리프 스프링(82)을 따라 나선형 홈(76)내로 다시 경로를 찾게 된다. 그로 인해, 보충 스프링(93)이 현수되어 작용하며 도 7에 대응하는 시작 위치로 홈 하우징(91)을 거꾸로 회전시킨다. 이제 권취 샤프트(18)는 드라이브 스프링(38)의 운동에 의해서만 회전하게 설정된다.
분리 장치(13)에 있어서 권취 샤프트(19)는 하우징(14)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분리 네트(15)는 권취 샤프트(19)상에 권취될 수 있어 분리 장치(13)의 하우징(14)과 승용차 루프 라이닝 사이의 공간에서 펼쳐질 수 있다.
권취 샤프트(19)는 사용자가 분리 네트(15)의 점진적인 권취를 방해하는 큰 토크를 발생시키며, 설치된 드라이브 장치(18)는 권취 샤프트(19)용 드라이브 토크 전방에서 예정된 개시 길이로부터 감소된 수준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것은 약한 제 2 드라이브 스프링(39)이 작동되거나 약한 제 2 드라이브 스프링(93)이 드라이브 스프링(38)에 평행하게 스위칭될 때 야기된다. 두 개의 보조 스프링(39,93)은 권취 샤프트(19)의 제한된 회전 범위 이상으로만 작동한다. 권취 방향에서 이러한 범위를 초과한 후에, 주 스프링(38)의 완전한 권취력이 다시 작용하게 된다.

Claims (23)

  1. 추돌 사고시 물체가 수하물 또는 적재 공간을 벗어나 승객 공간으로 달려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특히 스테이션 왜건용 분리 장치(13)로서,
    하우징(14)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배출 슬롯(outlet slot)(17)을 갖는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14)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탱되는 권취 샤프트(19)와,
    상기 배출 슬롯(17)을 통해 움직이며, 하나는 상기 권취 샤프트(19)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차체내에 현수되는 연결봉(draw bar)(16)과 연결되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종방향 에지를 갖는 분리 네트(15)와,
    상기 분리 네트(15)의 권취 방향으로 상기 권취 샤프트(19)를 미리 인장시킴으로써 상기 분리 네트(15)용 풀-백 포스(pull-back force)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권취 샤프트(19)에 대응 배치되는 드라이브 장치(drive arrangement)(18)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 장치(18)는 두 개 이상의 작동 상태를 갖는데, 그 중 하나는 강한 풀-백 포스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는 약한 풀-백 포스에 대응하며, 한 작동 상태는 분리 네트(15)가 완전하게 감겨진 상태에서 예정된 제 1 취출 길이까지의 개시 범위에서 작용하고, 다른 작동 상태는 상기 예정된 제 1 취출 길이에서부터 작용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작동 상태는 예정된 제 1 취출 길이에서 시작하며, 상기 예정된 제 1 취출 길이보다 짧은 예정된 제 2 취출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종결되는 취출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취출 길이에서, 분리 네트(15)는 차체내에 연결봉(16)을 현수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조금 더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장치(18)는 두 개 이상의 드라이브 스프링(38,39,9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스프링(38,39,93)은 상이한 풀-백 포스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예정된 취출 길이보다 큰 상기 분리 네트(15)의 취출 길이로 인해서, 하나의 스프링(39)만이 풀-백 포스를 발생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예정된 취출 길이를 초과한 후에, 보다 큰 풀-백 포스를 갖는 드라이브 스프링(38)은 작용하지 않고, 보다 작은 풀-백 포스를 갖는 드라이브 스프링(39)만이 권취 샤프트(19)상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취출 길이보다 큰 상기 분리 네트(15)의 취출 길이에서, 양 드라이브 스프링(38,93)은 감소된 풀-백 포스를 발생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취출 길이를 초과한 후에, 상기 제 2 드라이브 스프링(93)은 상기 제 1 드라이브 스프링(38)의 풀-백 포스를 부분적으로 현수하도록 추가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스프링(38,39)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권취 샤프트(19)내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드라이브 스프링(38,39)은 상기 권취 샤프트(19)내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스프링(93) 중 하나 이상은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93)은 상기 권취 샤프트(19) 다음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장치(18)는 상기 권취 샤프트(19)의 수 또는 회전 또는 부분 회전을 위한 계수 장치(7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예정된 취출 길이에 도달한 후에, 해제가능한 블록 장치(42)가 상기 드라이브 스프링(38) 중 하나의 풀-백 포스를 취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치(42)는 상기 계수 장치(74)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취출 길이에 도달한 후에, 해제가능한 결합 장치(91)는 다른 드라이브 스프링(93)의 풀-백 포스와 일 드라이브 스프링(38)의 풀-백 포스를 조합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8. 제 14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장치(91)는 상기 계수 장치(76)와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19. 제 14 항, 제 15 항 또는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치(42) 또는 결합 장치(91) 또는 계수 장치(76)는 홈(76)과 상기 홈(76)내에 뻗어있는 스캐닝 요소(74)를 가지며, 상기 홈(76) 또는 스캐닝 요소(74)는 상기 권취 샤프트(19)와 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스프링(93) 중 하나는 나선형 홈(76)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76)은 상기 하우징(14)내에서 고정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19)에 블록 장치(42)용 해제 요소(86)가 비틀림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스프링(38)의 일 단부는 상기 드라이브 스프링(38,39)의 연결 단부 사이의 제한된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블록 장치(41)위에서 다른 드라이브 스프링(39)의 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 장치.
KR1020000033183A 1999-06-16 2000-06-16 차량용 분리 장치 KR100653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7384A DE19927384C1 (de) 1999-06-16 1999-06-16 Trenneinrichtung mit variabler Rückzugskraft
DE19927384.7 1999-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409A KR20010007409A (ko) 2001-01-26
KR100653112B1 true KR100653112B1 (ko) 2006-12-04

Family

ID=791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183A KR100653112B1 (ko) 1999-06-16 2000-06-16 차량용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79639B1 (ko)
EP (1) EP1060956B1 (ko)
JP (1) JP2001010410A (ko)
KR (1) KR100653112B1 (ko)
DE (2) DE1992738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690B1 (ko) * 1996-12-06 2006-03-07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사용하기 쉬운 안전망 장치
DE10056671C1 (de) 2000-11-09 2002-06-06 Bos Gmbh Tren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132082C1 (de) * 2001-07-05 2002-07-18 Butz Peter Verwaltung Schutz- und/oder Abdeckrollo für Fahrzeuge
DE10132080C1 (de) * 2001-07-05 2002-07-25 Butz Peter Verwaltung Schutz- und/oder Abdeckrollo für Fahrzeuge
DE10242510B4 (de) * 2002-09-12 2005-12-08 Bos Gmbh & Co. Kg Kfz-Sicherheitseinrichtung, insbesondere Trennnetz
US6962382B2 (en) * 2003-05-23 2005-11-08 David Scarlett Barrier system
DE102004036948B3 (de) 2004-07-29 2006-03-23 Bos Gmbh & Co. Kg Gekrümmtes Fensterrollo mit innen liegendem Federwiderlager
US7717156B2 (en) 2004-12-28 2010-05-18 Barnes Group Inc. Device for creating an adjustable angular force
DE102005032470B3 (de) * 2005-07-08 2007-03-08 Bos Gmbh & Co. Kg Laderaum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549457B2 (en) * 2005-08-22 2009-06-23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Silicone shade
DE102006001029B3 (de) * 2006-01-02 2007-05-31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6005673B4 (de) * 2006-02-01 2010-08-05 Bos Gmbh & Co. Kg Fahrzeugladeraum mit einer Laderaumabdeckung
US7287796B2 (en) * 2006-02-22 2007-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cargo net for a vehicle
US7477824B2 (en) * 2006-04-05 2009-01-13 Adc Telecommunications, Inc. Universal bracket for mounting a drop terminal
US7779887B2 (en) * 2007-01-10 2010-08-24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Rotating end cap
US8672016B2 (en) * 2007-01-10 2014-03-18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Folding end cap
GB0700967D0 (en) * 2007-01-18 2007-02-28 Louver Life Ltd Window coverings
DE102007012280A1 (de) 2007-03-09 2008-09-11 Bos Gmbh & Co. Kg Rollosystem
US20090074993A1 (en) * 2007-09-18 2009-03-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activated cover
US9707003B2 (en) * 2007-10-02 2017-07-18 Covidien Lp Articulating surgical instrument
US7591296B2 (en) * 2007-10-17 2009-09-22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Two piece removable end cap
KR100866344B1 (ko) *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US9156334B1 (en) * 2014-06-30 2015-10-13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DE102016115667A1 (de) 2016-08-24 2018-03-0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Fangnetzes in einem Fahrzeug
CN108376513B (zh) * 2018-04-26 2024-02-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收卷装置及安全收卷装置
CN109592236B (zh) * 2018-11-26 2023-11-28 大连派欧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物联网货物运输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9305A (en) * 1923-05-19 1929-04-16 Kinnear Mfg Co Fire-resisting curtain
US4139231A (en) * 1978-05-08 1979-02-13 Irvin Industries Inc. Automobile rear compartment cover
US4222601A (en) * 1978-10-16 1980-09-16 Irvin Industries Inc. Automobile compartment cover
US5275223A (en) * 1992-02-28 1994-01-04 Sebastian Magro Support roller provided with roll-up mechanism for rolling doors, gates and the like
US5224748A (en) * 1992-04-07 1993-07-06 Takata, Inc. Motor vehicle security shade with guide track
US5437324A (en) * 1994-01-19 1995-08-01 Newell Operating Company Shade with variable load braking and lift assist
JP3075687B2 (ja) * 1995-10-18 2000-08-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トノーカバー装置
US5711568A (en) * 1996-02-05 1998-01-27 Diem; D.W. Retractable cargo cover
ES2167533T3 (es) * 1996-07-23 2002-05-16 Pei Protezioni Elaborazioni Rodillo para rebobinar y tensar un elemento flexible tal como una lamina de tela, compuerta o similar, en particular para proteccion de maquin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0956A2 (de) 2000-12-20
EP1060956A3 (de) 2002-10-09
EP1060956B1 (de) 2006-01-18
JP2001010410A (ja) 2001-01-16
DE50012063D1 (de) 2006-04-06
KR20010007409A (ko) 2001-01-26
DE19927384C1 (de) 2000-12-07
US6279639B1 (en) 2001-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112B1 (ko) 차량용 분리 장치
US5404926A (en) Roller shade for non-rectangular openings
EP1186480B1 (de) Schutzvorrichtung zur Sicherung eines Laderaumes in einem Fahrzeuginnenraum
US6352285B1 (en) Roll bar protec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EP0565220B1 (en) Motor vehicle security shade with guide track
JP4503978B2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US6024395A (en) Retractable cup holder for automobiles
DE19639610A1 (de) Beladungsrückhaltevorrichtung für Fahrzeuge
US5251952A (en) Folding hood for motor vehicles
JP2007276775A (ja) 保護装置を有する自動車用荷物室
KR20040000339A (ko) 리프팅 카세트를 구비한 후방 블라인드
KR20010089440A (ko) 접철식 분리 장치
JP2008143518A (ja) 自動車用三角形窓シェード
US6527295B2 (en) Airbag system with a controlled cover configuration
KR10198105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JP4550730B2 (ja) 乗員保護装置
US20040119302A1 (en) Active vehicle front structure for energy management
KR20150090120A (ko) 자동차의 격실 섹션을 위한 보호 장치
US20070164581A1 (en) Protec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US20120111985A1 (en) Belt retractor for a vehicle safety belt
US6758517B1 (en) Collapsible sunroof sunshade
EP1324901A1 (en) A safety-belt arrangement
JPH09277898A (ja) エアバッグ装置
DE19843044B4 (de) Ladegut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H0328048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