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730B1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730B1
KR100652730B1 KR1020050055234A KR20050055234A KR100652730B1 KR 100652730 B1 KR100652730 B1 KR 100652730B1 KR 1020050055234 A KR1020050055234 A KR 1020050055234A KR 20050055234 A KR20050055234 A KR 20050055234A KR 100652730 B1 KR100652730 B1 KR 100652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ortable terminal
barrel
rota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730B1/ko
Priority to CNB2006100875263A priority patent/CN100498520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을 수용한 회전경통과, 상기 회전경통을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구비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경통지지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회전장치로서, 상기 카메라의 회전경통에서 회전축의 일측 선단면에 중심점에서 이격된 편심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탄지되어 설치되는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가 맞물려 선회하게 상기 경통지지체의 환테형 축지지부에 회전경통의 회전축 중심과 동심되게 설치되어 회전축이 조립되는 링형 내접기어와; 를 포함하여 됨에 따라,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모든 구간에 걸쳐 카메라를 정교하고 균일한 회전 구동시킴이 가능하여 다양한 촬영각 확보가 이루어지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마모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신뢰성이 높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내접기어, 외접기어, 카메라, 회전축, 경통지지체,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CAMERA ROTATION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카메라 회전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부 14:본체힌지
20:폴더부 22:폴더힌지
30:카메라 31:회전경통
32:캡 33:회전축
33P:중심점 33P':편심위치
34:경통지지체 34a:축지지부
50:카메라회전장치 51:내접기어
52:외접기어 331:축핀
332:탄성부재 333:와셔
334:고정너트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모든 구간에 걸쳐 카메라를 정교하고 균일한 회전 구동시킴이 가능하여 다양한 촬영각 확보가 이루어지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마모 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신뢰성이 높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 조립되어 회전되도록 카메라(3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본체부(10)에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인피씨비(미도시)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11)가 형성된다. 본체부(10)의 배 면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12)가 착탈되도록 결합되며,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는 폴더힌지(22)가 상대회동 되도록 본체힌지(14)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본체힌지(14)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카메라(30)가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폴더부(20)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1)가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는 본체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22)가 형성된다.
카메라(30)는, 카메라모듈(미도시)과, 내부에 카메라모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회전경통(31)과, 회전경통(31)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32)이 구비된다. 회전경통(31) 및 캡(32)의 일측에는 본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각각 회전축(33)이 돌출된다. 본체부(10)에는 카메라(30)가 회전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경통지지체(34)가 조립 설치되며, 경통지지체(34)에는 회전경통(31) 및 캡(32)의 각 회전축(33)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축지지부(34a)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경통지지체(34) 및 회전경통(31)의 회전축(33) 사이에는 회전경통(31)이 회전된 위치에서 의도하지 않는 회전을 방지하는 카메라 회전장치(40)가 설치된다.
카메라 회전장치(40)는, 회전축(33)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성 변위가능한 걸림돌기(41)를 구비하여 회전경통(31)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부재(42)와, 내경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된 정부(43a) 및 골부(43b)를 구비하여 경통지지체(34)에 결합되는 세레이션부재(43)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경통(31)의 회전축(33)의 일측에는 걸림돌기부재(4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턱(33a) 및 핀(33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부재(42)에는 핀(32b)이 삽입 결합되도록 핀공(42a)이 관통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40)는, 걸림돌기부재(42) 및 세레이션부재(43)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회전경통(31)에는 돌출턱(33a) 및 핀(33b)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므로, 제작 및 조립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 회전장치(40)는 상호 작용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구성 부품수가 많아 각 부품의 허용공차 및 조립공차의 누적 등에 기인하여 걸림돌기부재(42)의 회전시 세레이션부재(43)의 각 정부(43a) 및 골부(43b)와 걸림돌기부재(42)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하기가 곤란하여 동일한 회전작용성 및 골부와 걸림돌기부재의 접촉성 때문에 단계가 연속성이 없고 끊어지는 회전감도의 발생으로 조작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부재를 장기간동안 사용하면, 걸림돌기부의 탄성이 저하되어 안정된 접촉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카메라 회전의 정교한 구동이 어렵고 장기간 사용시 마모되거나 최초의 회전감도와 상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카메라 회전시 단계별로 절도감이 발생하여 연속적 회전으로 연결되지 않고 끊어지면서 회전되어 카메라를 멈추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구 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모든 구간에 걸쳐 카메라를 정교하고 균일한 회전 구동시킴이 가능하여 다양한 촬영각을 확보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마모 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신뢰성이 높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수용한 회전경통과, 상기 회전경통을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구비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경통지지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회전장치로서, 상기 카메라의 회전경통에서 회전축의 일측 선단면에 중심점에서 이격된 편심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탄지되어 설치되는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가 맞물려 선회하게 상기 경통지지체의 환테형 축지지부에 회전경통의 회전축 중심과 동심되게 설치되어 회전축이 조립되는 링형 내접기어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내접기어와, 외접기어는 상호 무단으로 치합하여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접기어는 내주면 전체에 걸쳐 기어가 형성되는 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접기어는 경통지지체의 일측에 형성된 환테형 축지지부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접기어는 카메라 회전축의 중심점에서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접기어는 카메라 회전축의 중심점에서 편심 위치의 축면에 돌출 형성된 축핀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접기어는 축핀에 탄지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카메라(30)로 구성된다.
본체부(10)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회로부가 안착된 메인피씨비(미도시)와, 일측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안테나(11)와,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12)와, 폴더힌지(22)에 대하여 상대회동 되도록 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된 본체힌지(14)를 구비한다.
한편, 폴더부(20)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21)와, 본체힌지(14)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폴더부(20)의 일측 단부에 본체부(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힌지(22)를 구비한다.
카메라(30)는, 본체힌지(14)의 일측에 축선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카메라모듈(미도시)과, 카메라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회전경통(31)과, 회전경통(31)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32)과,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경통(31) 및 캡(32)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각각 회전축(33)과, 회전경통(3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본체부(10)에 고정되는 경통지지체(34)와, 경통지지체(34)에는 회전경통(31) 및 캡(32)의 각 회전축(33)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축지지부(34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30)는 경통지지체(34)에 개재되어 조립되며, 카메라(30)가 모든 구간에서 원하는 위치에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경통지지체(34)와 카메라(30)의 회전경통(31)이 조립되는 부분에 치합되어 회전됨이 제어되도록 카메라 회전장치(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카메라(30)는 전구간에 걸쳐 카메라(30)를 무단(클릭감 없는 상태를 가르킴)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위치에나 둘 수 있게 된다.
카메라 회전장치(50)는 크게 외접기어(52)와 내접기어(51)로 구성되며, 외접기어(52)는 상기 카메라(30)의 회전경통(31)에서 회전축(33)의 일측 선단면에 중심점(33P)에서 이격된 편심 위치(33P')에 회전 가능하도록 탄지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내접기어(51)는 상기 외접기어(52)가 맞물려 선회하게 상기 경통지지체(34)의 환테형 축지지부(34a)에 회전경통(31)의 회전축(33) 중심(33P)과 동심되게 설치되어 회전축(33)이 조립되는 링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접기어(52)는 축핀(331)에 탄성부재(332) 및 와셔(333)순으로 조립하고, 이어서 고정너트(334)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332)는 외접기어(52)를 탄지하게 되어 외접기어(52)의 자유스러운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32)는 외접기어(52)에 대한 탄지력의 발휘가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정확하고 균일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카메라(30)가 원하는 위치에 정지되는 것은 사용자가 회전되는 회전경통(31)을 멈추면 회전축(33)의 회전으로 회전하던 외접기어(52)는 내접기어(51)를 따라 선회하다가 그 자리에 바로 멈추게 되는 그 위치에 그대로 멈추게 된다.
즉, 종래에는 클릭감 발생때문에 멈추고자하더라도 정부(43a)에 멈출 수 없고, 정부(43a)의 전후에 있는 골부(43b)중 어느 골부에 멈추게 되어 있는데, 내접기어(51)와 외접기어(52)의 채택으로 이러한 현상이 해소되어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회전경통(31)을 조정한 그 위치 그대로 멈추게 됨은 물론 내접기어(51)와 외접기어(52)의 치합 상태가 지속 상태임에 따라 의도되지 않은 회전경통(31)의 회전 발생은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 사용자가 카메라(30)의 렌즈부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카메라(30)를 회전시키면 경통지지체(34)에 조립된 회전축(33)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30)가 회전축(33)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회전축(33)의 편심 위치(33P')인 축핀(331)에 탄성부재(332)로 탄지된 외접기어(52)는 경통지지체(34)의 축지지부(34a)에 설치된 내접기어(51)와 치합된 상태에서 클릭감없이 회전하게 된다. 즉, 내접기어(51)에 외접기어(52)가 맞물려 있음에 따라 클릭감없는 연속적인 균일한 회전력으로 회전축(33)의 회전이 이루어져 카메라(30)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외접기어(52)가 축핀(331)에 탄성부재(332) 및 와셔(333), 고정너트(334)로 장착되고 있어 내접기어(51)와의 치합상태에서 멈추는 것은 탄성부재(332)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경통(31)은 의도되지 않는 회전발생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접기어(52)가 내접기어(51)에 계속 치합된 상태로 머물러 있음에 따라 헛돌거나 치합이 풀리는 등의 의도되지 않는 카메라(30)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아 카메라(30)의 렌즈가 피사체를 향해 정위치됨은 안정적이 되어 기술의 신뢰성을 유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30)를 회전시키면 회전축(33)에 편심되어 설치된 외접기어(52)가 내접기어(51)를 따라 클릭감 등의 단계를 발생치 않고 회전을 하게 되어 어느 위치에서나 멈춤이 가능함에 따라 정밀한 조정폭의 확대와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등 조작의 편리성이 향상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통지지체와 카메라사이에 내접기어와 외접기어로 구성된 카메라회전장치를 설치하여 카메라 회전시 회전형 카메라가 모든 구간에서 클릭감 없이 회전되도록 함에 따라 조정폭의 확대와 균일한 회전조작감 등 조작 편의성 증대로 정밀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6)

  1. 카메라 모듈을 수용한 회전경통과, 상기 회전경통을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구비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경통지지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회전장치로서,
    상기 카메라의 회전경통에서 회전축의 일측 선단면에 중심점에서 이격된 편심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탄지되어 설치되는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가 맞물려 선회하게 상기 경통지지체의 환테형 축지지부에 회전경통의 회전축 중심과 동심되게 설치되어 회전축이 조립되는 링형 내접기어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내,외접기어간의 맞물림에 의한 회전 범위내 회전으로 어느 위치에서건 멈추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접기어는 내주면에 전체에 걸쳐 기어가 형성되는 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접기어는 카메라 회전축의 중심점에서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접기어는 회전축의 축선상인 일측 선단면에 형성된 중심점에서 이격된 편심 위치에 축핀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내,외접기어 채택으로 회전시 무(無)클릭감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1020050055234A 2005-06-24 2005-06-2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10065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234A KR100652730B1 (ko) 2005-06-24 2005-06-2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CNB2006100875263A CN100498520C (zh) 2005-06-24 2006-06-14 便携式终端的照相机旋转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234A KR100652730B1 (ko) 2005-06-24 2005-06-2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730B1 true KR100652730B1 (ko) 2006-12-01

Family

ID=3758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234A KR100652730B1 (ko) 2005-06-24 2005-06-2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2730B1 (ko)
CN (1) CN10049852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5263A (zh) * 2018-08-30 2018-1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120755A (zh) * 2018-08-30 2019-0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5263A (zh) * 2018-08-30 2018-1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120755A (zh) * 2018-08-30 2019-0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005263B (zh) * 2018-08-30 2021-03-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8520C (zh) 2009-06-10
CN1885157A (zh)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0437B1 (en) Hinge device with a spherical joint
US8032987B2 (en) Portable device and hinge assembly
US2010030961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djustable leg
JPH09257464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回転角度検出装置
CN211180559U (zh) 一种实现多角度转动的智能手表
KR1006527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JP2005090730A (ja) 雲台装置
US4363018A (en) Electronic components of rotary type
JP2004204953A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JP2007083839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4590432B2 (ja) 操作装置及び操作システム
JP5627341B2 (ja) レボルビング機能を有するレンズ鏡筒
US20050152053A1 (en) Vehicle mirror apparatus
US20040087403A1 (en) Manual input device
JP3789416B2 (ja) 可動式アンテナ
JP4491395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08215537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KR1006527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JPH06261986A (ja) 電気かみそり
JP2004110449A (ja) クリック機構、及び回転式接合体
CN216715737U (zh) 旋转底座及激光雷达
KR100320848B1 (ko) 모터의 커넥터 위치조절장치
KR1007005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3881912B2 (ja) アンテナ回転機構
JP3466458B2 (ja) 回転型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