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72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726B1
KR100652726B1 KR1020050052754A KR20050052754A KR100652726B1 KR 100652726 B1 KR100652726 B1 KR 100652726B1 KR 1020050052754 A KR1020050052754 A KR 1020050052754A KR 20050052754 A KR20050052754 A KR 20050052754A KR 100652726 B1 KR100652726 B1 KR 10065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amera housing
communication termina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한석
안성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726B1/ko
Priority to CNB2006100757572A priority patent/CN100477543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촬영이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회동됨에 있어 소정의 각도에서 스텝핑 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회전 제어장치의 마모성을 줄임으로써 회전 제어장치의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지속적인 스텝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그 길이방향의 양 측으로 돌출 구비된 회전축과, 그 내부에 화상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포함되어 형성된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하우징이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이 그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장치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장치는, 상기 카메라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그 일측에 회동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접촉부와, 상기 카메라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그 내면과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접촉부의 상대 회동 궤적에 대응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선 외부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반형상을 가지는 고정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하우징,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회전 제어장치, 회전부재, 회전접촉부, 고정유지부, 피니언기어, 세레이션부재, 판스프링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CAMERA ROTATION POSITION FIX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내지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및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형성하는 회전접촉부와 고정유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촉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가 작동되는 형상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폴더부
15 : 가동 힌지부 25 : 고정 힌지부
21 : 본체부 31 : 카메라
33 : 카메라하우징 37 : 회전축
38 : 연결부 39 :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40 : 축 지지부 36 : 돌출턱
37 : 회전축 45 : 세레이션부재
46a: 정부 46b : 골부
100 : 회전 제어장치 110 : 판스프링
120 : 지지부 130 : 결합 핀
140 : 회전부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촬영이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회동됨에 있어 소정의 각도에서 스텝핑 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회전 제어장치의 마모성을 줄임으로써 회전 제어장치의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지속적인 스텝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내지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및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31)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본체부(21)와 상기 본체부(21)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1)가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폴더부(11)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3)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본체부(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동힌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에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인피씨비(미도시)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1)의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일측 단부에는 가동힌지부(15)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힌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힌지부(25)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카메라(3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31)는 카메라(미도시)와 그 내부에 카메라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카메라하우징(33)과 상기 카메라하우징(33)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35)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카메라하우징(33) 및 캡(35)의 일측에는 본체부(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회전축(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21)에는 카메라(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에는 카메라하우징(33) 및 캡(35)의 각 회전축(37)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축지지부(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 및 카메라하우징(33)의 회전축(37) 사이에는 카메라하우징(33)이 회전된 위치에서 불시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는 상기 회전축(37)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성 변위가능한 걸림돌기부(42)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33)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부재(42)와 내경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된 정부(46a) 및 골부(46b)를 구비하여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에 결합되는 세레이션부재(45)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하우징(33)의 회전축(37)의 일측에는 걸림돌기부재(41)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턱(36) 및 핀(3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부재(41)에는 핀 (38)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핀공(4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돌기부재(41)가 상기 세레이션부재(45)와 접촉되어 스텝핑효과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세레이션부재(45)에 구비된 정부(46a) 및 골부(46b)가 마모를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부재(41)와 상기 정부(46a) 및 골부(46b)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정부(46a) 및 골부(46b)가 마모가 마모됨으로 인해 회전 제어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상기 걸림돌기부(42)의 회전 시 상기 세레이션부재(45)의 각 정부(46a) 및 골부(46b)와 걸림돌기부(42)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하기가 곤란하여 안정적인 스텝핑효과 및 신뢰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촬영이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회동됨에 있어 소정의 각도에서 스텝핑 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회전 제어장치의 마모성을 줄임으로써 회전 제어장치의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지속적인 스텝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그 길이방향의 양 측으로 돌출 구비된 회전축과, 그 내부에 화상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포함되어 형성된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하우징이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이 그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장치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장치는, 상기 카메라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그 일측에 회동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접촉부와, 상기 카메라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그 내면과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접촉부의 상대 회동 궤적에 대응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선 외부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반형상을 가지는 고정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화상촬영이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회동됨에 있어 소정의 각도에서 스텝핑 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회전 제어장치의 마모성을 줄임으로써 회전 제어장치의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지속적인 스텝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형성하는 회전접촉부와 고정유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및 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촉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본체부(21)와, 그 길이방향의 양 측으로 돌출 구비된 회전축(37)과, 그 내부에 화상촬영이 가능한 카메라(31)가 포함되어 형성된 카메라하우징(33)과, 상기 본체부(21)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하우징(33)이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37)이 그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33)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장치(100)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장치(100)는, 상기 카메라하우징(33)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그 일측에 회동 가능한 회전부재(140)를 포함하는 회전접촉부와, 상기 카메라하우징(33)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140)가 그 내면과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접촉부의 상대 회동 궤적에 대응되며 상기 회전축(37)의 중심축선 외부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반형상을 가지는 고정유지부(4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접촉부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 (37) 중심축선의 외부반경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의 이격된 지점에 상기 회전축(37)의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된 돌출턱(36)과, 상기 돌출턱(36)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140)가 회동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핀(13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접촉부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부재(140)는 기 설정된 피치 및 기 설정된 전치높이(a)를 가지는 복수개의 톱니가 구비된 피니언기어(14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유지부(45)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피치 및 기 설정된 전치높이(b)를 가지는 복수개의 톱니가 그 내부에 구비된 세레이션부재(45)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접촉부는 상기 돌출턱(36)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턱(36)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회전부재(140)를 상기 돌출턱(36)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110)는 판스프링(11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가 작동되는 형상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가 작동되는 형상을 도시한 측 단면도로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100)는 상기 회전접촉부에 구비되는 회전부재(140)인 기 설정된 피치 및 기 설정된 전치높이(a)를 가지는 복수개의 톱니가 구비된 피니언기어(140)가 기 설정된 피치 및 기 설정된 전치높이(b)를 가지는 복수개의 톱니가 그 내부에 구비된 세레이션부재(45)의 내면에 접촉되어 회동됨으로써 구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100)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21)와 상기 본체부(21)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1)를 구비한 소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1)의 일측에는 폴더부(11)의 가동힌지부(15)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힌지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힌지부(25)의 일측에는 회전가능하게 카메라(31)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카메라(31)는 화상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미도시)과 일측에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투시창(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카메라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하우징(33)과, 카메라하우징(33)의 일측 개방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캡(3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하우징(33) 및 캡(35)의 각 일측에는 결합 시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축(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는 본체부(21)에 결합되어 본체부(21)와 상호 협조적으로 카메라(31)의 양 회전축(3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지지부(40)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31)의 카메라하우징(33) 및 카메라하우징 지지체(39) 사이에는 카메라(31)의 렌즈부(미도시)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회전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불시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100)는 상기 피니언기어(140)에 구비된 톱니의 전치높이(a)가 상기 세레이션부재(45)의 내면에 구비되어 있는 톱니의 전치높이(b)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100)는 상기 회전접촉부에 구비되는 상기 피니언기어(140)에 구비된 톱니가 상기 세레이션부재(45)에 구비된 정부(46a) 및 골부(46b)에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회동되는데, 상기 피니언기어(140)의 톱니가 상기 골부(46b)에 접촉될 때는 상기 지지부(120)를 탄성지지하고 있는 상기 판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피니언기어(140)의 톱니가 상기 골부(46b)에 밀착된다.
그런데 상기 피니언기어(140) 톱니의 전치높이(a)가 상기 골부(46b)로부터 정부(46a)까지의 높이인 세레이션부재(45)의 전치높이(b)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도 7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가 상기 판스프링(110)에 대하여 소정의 가압력(P1)을 전달하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판스프링(110)은 상기 돌출턱(36)이 구비된 방향으로 다소 밀착되어 상기 판스프링(110)과 상기 돌출턱(36)은 h1만큼의 간격을 유지한다.
그 이후 상기 피니언기어(140)가 회동되어 상기 피니언기어(140)의 톱니가 회동되어 상기 피니언기어(140)의 톱니와 톱니사이가 상기 세레이션부재(45)의 정부(46a)에 걸리게 되는데, 상기 피니언기어(140) 톱니의 전치높이(a)가 상기 골부(46b)로부터 정부(46a)까지의 높이인 세레이션부재(45)의 전치높이(b)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도 7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에서 상기 판스프링(110)에 대하여 전달된 소정의 가압력(P1)이 복원되어 상기 판스프링(110)에서 상기 피니언기어(140)에 대하여 소정의 가압력(P2)을 다시 전달하며, 그로 인해 상기 판스프링(110)은 상기 돌출턱(36)에 대하여 이격되어 상기 판스프링(110)과 상기 돌출턱(36)은 h2만큼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100)는 상기 카메라(31)가 회동됨에 있어 스텝핑효과를 구현한다.
그 이후 상기 피니언기어(140)가 더욱 회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기어(140) 톱니의 전치높이(a)가 상기 골부(46b)로부터 정부(46a)까지의 높이인 세레이션부재(45)의 전치높이(b)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도 7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가 상기 판스프링(110)에 대하여 소정의 가압력(P1)을 전달하며, 그로 인해 상기 판스프링(110)은 상기 돌출턱(36)에 대하여 다소 밀착되어 상기 판스프링(110)과 상기 돌출턱(36)이 다시 h1만큼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 및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33)이 회전축(37)을 중 심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하면 상기 피니언기어(140)는 상기 세레이션부재(45)의 내면에 구비된 상기 정부(64a) 및 골부(64b)와 접촉되어 회동 하게 되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기어(140) 톱니의 전치높이(a)가 상기 골부(46b)로부터 정부(46a)까지의 높이인 세레이션부재(45)의 전치높이(b)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세레이션부재(45)의 정부(46a)와 상기 피니언기어(140)가 접촉될 때 스텝핑효과가 발생되어 상기 피니언기어(140)와 상기 세레이션부재(45)의 골부(64b)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하우징(33)이 불시에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상기 피니언기어(140) 톱니의 전치높이(a)가 상기 골부(46b)로부터 정부(46a)까지의 높이인 세레이션부재(45)의 전치높이(b)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으나 그와는 반대로 상기 피니언기어(140) 톱니의 전치높이(a)가 상기 골부(46b)로부터 정부(46a)까지의 높이인 세레이션부재(45)의 전치높이(b)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는, 화상촬영이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회동됨에 있어 소정의 각도에서 스텝핑 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회전 제어장치의 마모성을 줄임으로써 회전 제어장치의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지속적인 스텝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그 길이방향의 양 측으로 돌출 구비된 회전축과, 그 내부에 화상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포함되어 형성된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하우징이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이 그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장치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장치는,
    상기 카메라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그 일측에 회동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접촉부와,
    상기 카메라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 지지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그 내면과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접촉부의 상대 회동 궤적에 대응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선 외부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반형상을 가지는 고정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접촉부는,
    상기 회전축 중심축선의 외부반경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의 이격된 지점에 상 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된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가 회동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핀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기 설정된 피치 및 기 설정된 전치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톱니가 구비된 피니언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지부는 기 설정된 피치 및 기 설정된 전치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톱니가 그 내부에 구비된 세레이션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접촉부는,
    상기 돌출턱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턱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돌출턱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 메라 회전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의 전치높이는 상기 세레이션부재의 전치높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KR1020050052754A 2005-06-18 2005-06-18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KR100652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54A KR100652726B1 (ko) 2005-06-18 2005-06-18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CNB2006100757572A CN100477543C (zh) 2005-06-18 2006-04-26 移动通信终端的照相机旋转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54A KR100652726B1 (ko) 2005-06-18 2005-06-18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726B1 true KR100652726B1 (ko) 2006-12-01

Family

ID=3751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754A KR100652726B1 (ko) 2005-06-18 2005-06-18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2726B1 (ko)
CN (1) CN1004775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1455B (zh) * 2013-04-26 2016-05-25 亚旭电脑股份有限公司 转动结构
WO2020075772A1 (ja) * 2018-10-09 2020-04-16 陽斗子 是枝 携帯通信端末機器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1991A (zh) 2006-12-20
CN100477543C (zh)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2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0675734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JP2597707B2 (ja) レンズ鏡筒
US20060005353A1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hinge device
KR20070009322A (ko) 카메라조립체 및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7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제어장치
KR20040012218A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에프피시비 회동 컨넥터 구조
KR100524747B1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조립체 구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8769732U (zh) 内窥镜接口、内窥镜组件及内窥镜持镜系统
JP4731882B2 (ja) レンズバリア付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JPH1123948A (ja) 焦点調節操作切換機構を持つレンズ鏡筒
KR20080068532A (ko) 광량 조정 장치 및 촬상 장치
CN116300108B (zh) 头带调节装置及头戴显示器设备
JP2007334245A (ja) レンズバリヤ機構及び撮像装置
CN109965827A (zh) 内窥镜动力锁紧与调节机构及内窥镜持镜系统
JP4056758B2 (ja) 嵌合二部材間のクリックストップ機構
KR1006527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101758600B1 (ko) 유니버셜 타입 광케이블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접속장치
KR100509371B1 (ko)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KR100649490B1 (ko)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
KR20060007888A (ko) 휴대폰용 카메라 회전 조절장치
CN216437277U (zh) 图像采集设备
CN218762588U (zh) 一种转轴结构及其云台
KR100539800B1 (ko) 카메라 교체 가능한 이동단말기
CN112969018B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