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677B1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677B1
KR100652677B1 KR1020040079171A KR20040079171A KR100652677B1 KR 100652677 B1 KR100652677 B1 KR 100652677B1 KR 1020040079171 A KR1020040079171 A KR 1020040079171A KR 20040079171 A KR20040079171 A KR 20040079171A KR 100652677 B1 KR100652677 B1 KR 100652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control signal
uniqu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343A (ko
Inventor
손현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6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차량 사용자에게 각각의 고유번호를 할당하고 각각의 사용자가 할당된 번호를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서 송출된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고유번호가 미리 기억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고 그 제어에 따른 차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차량상태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VEHICLE CONTROL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서비스 구성도.
도2는 종래 기술에서 차량제어절차에 대한 흐름도.
도3은 도2에서 원격제어용 신호 송출 과정의 상세 흐름도.
도4는 종래 기술에서 차량상태보고절차에 대한 흐름도.
도5는 도1에서 차량제어시의 이동단말기 화면의 예시도.
도6은 도1에서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한 이동단말기 화면의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제어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급상황 전송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711~713 : 이동단말기 720 : 차량제어장치
721 : 송수신부 722 : 고유번호 식별부
723 : 메모리 724 : 차량 제어부
725 : 차량상태 판단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원격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리모컨을 사용하거나 적외선 장치를 사용하는 등의 여러 방법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동작 거리가 짧은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 차량제어 방식에서 대두되었던 거리 상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상태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자동 통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90365호(명칭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이하 "종래 기술"이라 칭함)에 제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서비스 구성도이다.
도1에서 차량제어장치(31)는 차량(30)의 내부에 장치되어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의 지시에 따라 차량(30)의 시동 온/오프, 창문 개폐, 히터 가동, 에어컨 가동, 경적 울림, 헤드라이트 온/오프 등 차량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동단말기(10)와 차량제어장치(31)는 이동통신시스템(20)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또한, 차량제어장치(31)는 이동단말기(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차량(30)을 제어하는 외에도 현재의 차량상태를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해주는 기능도 수행한 다. 이때, 차량제어장치(31)와 이동통신시스템(20)은 기지국(21-2)을 통해 계속적으로 일정 신호를 주고받고 있으며, 이 과정은 이동단말기(10)와 기지국(21-1)간에 계속적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차량제어장치(31)는 차량관련 정보를 전송할 때 기지국(21-2)과 주고받는 신호에 추가하여 전송한다.
한편, SMS 서버(22:Short Message Service Server)는 이동통신시스템(20)과 연동하며, 간단한 문자 메시지를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SMS 서버(22)를 이용하면, 차량제어장치(31)에서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하는 정보를 문자형태의 메시지로 전해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제어절차를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차량제어절차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3은 도2의 원격제어용 신호 송출 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며, 도5는 차량제어용 메뉴 화면의 예시도이다.
자신의 차량을 원격 제어하려는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한다(S210:제1-1 단계).
제1-1 단계(S210)를 도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차량제어를 위한 모드로 설정한다(S211). 이 과정은 이동단말기(10)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동단말기(10)에 구현된 메뉴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S211에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0)를 차량제어모드로 설정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제어를 위한 각종 차량제어용 메뉴가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S212).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차량제어용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면(S213), 이동단말기(10)는 선택된 제어항목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용 신호를 송출한다(S214). 이때, 원격제어용 신호는 각 차량제어용 항목별로 코드화되어 있어야 하며, 자신의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장치(31)와의 접속번호가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제1-1단계(S210)에서 이동단말기(10)로부터 송출된 원격제어용 신호는 기지국(21-1)을 통해 이동통신시스템(20)으로 전송되며, 이동통신시스템(20)은 수신한 원격제어용 신호를 기지국(21-2)을 통해 차량제어장치(31)로 전송한다(S220:제1-2 단계).
제1-2 단계(S220)에서 이동통신시스템(20)이 전송한 원격제어용 신호를 수신한 차량제어장치(31)는 원격제어용 신호에 따라 차량(30)을 제어하고, 제어결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S230:제1-3 단계). 예를 들어, 원격제어용 신호가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라는 것이면 차량제어장치(31)는 시동스위치를 온시켜 차량(30)에 시동을 걸은 후 시동이 올바로 걸렸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차량제어장치(31)는 제1-3 단계(S230)에서 수집한 제어결과에 관한 정보를 송출한다(S240:제1-4 단계).
따라서, 이동통신시스템(20)은 차량(30)의 제어결과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면 기지국(21-1)을 통해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한다(S250:제1-5 단계).
한편, 종래 기술에서 차량상태보고절차를 도4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차량상태보고절차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6은 이동단말기에 수신된 차량상태정보 화면의 예시도이다.
차량제어장치(31)가 현재 차량상태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원격제어용 신호를 수신한 경우(S410), 혹은 기 설정된 차량상태와 현재의 차량상태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S420)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410이나 단계 S420에서 차량(30)의 상태를 보고할 것을 지시받은 차량제어장치(31)는 차량의 상태를 실은 신호를 송출한다(S430:제2-1 단계). 이 신호는 기지국(21-2)을 통해 이동통신시스템(20)으로 전해지며, 이동통신시스템(20)은 차량상태신호를 기지국(21-1)을 통해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10)에 차량(30)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며, 사용자는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중인 차량의 도어가 강제로 열리면 즉시 이 상태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MS 서버(22)를 사용하도록 구성한다면, 도6에 도시한 예와 같이 이동단말기(10)의 화면에 현재 차량의 상태가 문자형태로 표시된다.
근래에는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차량을 1명의 운전자가 운전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이나 부모, 친척, 친구 등 여러 명이 공동으로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종래에는 1명의 사용자만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음으로 다른 사람이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 차량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차량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수의 차량 사용자에게 각각의 고유번호를 할당하고 각각의 사용자가 할당된 번호를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창안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에서 송출된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고유번호가 미리 기억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고 그 제어에 따른 차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차량상태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장치와, 상기 차량제어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제어결과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다수의 이동단말기와, 다수의 이동단말기 사용자별로 할당된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기저장된 고유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며 그 제어결과에 따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다수의 이동단말기 중 제어신호를 송출한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차량 이용자의 이동단말기 전화번호 및 단말기 일련번 호, 차량 제어를 위해 할당된 고유번호, 차량기능을 제어할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차량제어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711~713)와, 차량제어장치(7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7에서 "731~734"는 운전석 조절, 사이드미러 조절, 룸 미러 조절, 오디오 볼륨 조절, 히터 가동, 창문 개폐, 에어컨 구동, 경적 온, 헤드라이트 온/오프 등을 위한 전자장치이고, "735"는 시동 온/오프를 위한 시동장치이다.
상기 차량제어장치(720)는 이동단말기(711~713)별로 할당된 다수의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723)와, 송수신부(721)에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723)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고유번호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고유번호가 있는지 확인하는 고유번호 식별부(722)와, 상기 비교과정에서 일치하는 고유번호가 확인되면 원격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전자장치(731~734) 및 시동장치(735) 중 해당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제어부(724)와, 상기 원격제어에 따른 차량상태를 수집하며 주기적으로 차량상태를 수집하여 그 수집된 차량상태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711~713) 중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한 이동단말기 및 차량소유자의 이동단말기로 상기 수집된 제어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차량상태를 점검하여 위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송수신부(721)를 통해 특정관리자 및 차량소유자에게 긴급구조신호를 전송하는 차량상태 판단부(72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우선, 이동단말기(711~713)에 할당된 고유번호는 차량제어장치(720)에 구비된 메모리(723)에 저장되며 상기 차량제어장치(720)도 이동통신사업자에게 가입하여 전화번호를 할당받게 된다.
이동단말기(711~713)에 할당된 고유번호가 각기 "1011", "1022", "1033"이고, 상기 이동단말기(711)가 차량소유자의 단말기이며, 상기 이동단말기(713)에서 시동 온을 위한 원격제어신호가 송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차량제어장치(7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차량 이용자의 이동단말기 전화번호 및 단말기 일련번호, 차량 제어를 위해 할당된 고유번호, 차량기능을 제어할 데이터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제어장치(720)는 이동단말기 전화번호 및 단말기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송된 신호인지를 1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기(711~713)와 차량제어장치(720)간의 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임으로 이의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송수신부(721)에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고유번호 식별부(722)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에서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메모리(723)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고유번호("1011", "1022", "1033")중에 상기 추출된 고유번호가 있는지 비교하게 된다.
만일, 상기 비교결과가 일치하는 고유번호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차량제어부(724)는 원격제어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713)에서 원격제어신호가 송출되는 것으로 미리 가정하였으므로 고유번호 식별부(722)가 원격제어신호에서 추출한 고유번호 "1033"가 메 모리(723)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번호 중에 일치하는 고유번호를 확인하면 차량 제어부(724)는 차량제어모드로 판단하고 원격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제어할 장치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시동 온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차량 제어부(724)는 시동장치(735)를 구동하여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게 된다.
이때, 차량상태 판단부(725)는 차량 제어부(724)로부터 시동을 온시켰다는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시동장치(735)를 점검하여 시동이 온되었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동장치(735)를 점검한 차량상태 판단부(725)는 현재 차량상태 정보를 수집함과 동시에 현재 차량 사용자를 확인하고 그 수집된 정보(차량상태와, 차량 사용자)를 송수신부(721)를 통해 차량 소유자의 이동단말기(711)와 차량 이용자의 이동단말기(713)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소유자는 이동단말기(711)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차량의 상태 및 차량 이용자를 확인할 수 있고, 차량 이용자는 현재 제어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의 과정을 도8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단말기(713)에서 차량 컨트롤 모드를 설정하고 제어할 기능을 선택한 후 전화를 걸어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이 경우,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차량제어장치(720)는 차량에 구비된 송수신부(721)에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고유번호 식별부(722)는 원격제어신호에서 추출한 고유번호를 메모리 (723)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번호와 비교한다.
이에 따라, 고유번호의 비교 결과로 정당한 이용자의 이동단말기(713)로부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된 것이 확인되면 차량 제어부(724)는 원격제어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제어내용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장치(735)를 구동시켜 시동을 걸고 각 전기장치(731~734) 중 해당 전기장치를 구동하여 차량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차량상태 판단부(725)는 현재 제어된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여 차량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차량상태 정보를 송수신부(721)를 통해 차량 이용자의 이동단말기(713) 및 차량 소유자의 이동단말기(711)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이용자는 원격에서 차량의 시동장치(735) 및 각종 기능을 위한 전기장치(731~734)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고 차량 소유자는 누가 차량을 이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차량에 위급 상황이 발생된 경우 긴급구조를 요청하는데, 이를 도9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차량상태 판단부(725)는 원격제어에 따른 차량상태 점검하는 과정을 수행함은 물론 주기적으로 차량상태를 점검하는데,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에 위급 상황이 발생하거나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경우 차량에 손상이 확인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나 전기장치 상태가 급격히 변화하게 됨으로 상기 차량상태 판단부(725)는 위급한 상황으로 판단한다.
이때, 차량사고, 부품파손 등으로 차량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차량상태 판단부(725)가 송수신부(721)를 통해 긴급구조신호를 차량 소유자의 이동단말기(711)와 차량 이용자의 이동단말기(713) 또는 특정관리자(예로, 경찰서, 소방서 등등)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소유자와 차량 이용자는 차량이 위급상황에 처하였음을 확인하여 적절하고도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상태 정보(원격제어에 따른 상태정보 및 주기적 점검에 따른 상태정보)를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차량 소유자와 차량 이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라면 차량 소유자와 특정 관리자(예로, 경찰서, 소방서, 미리 지정된 번호의 이용자 등)에게 동시에 전송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사고 등으로 위급한 상황에 처하게 된 경우 차량 상태를 즉시 다른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여 운전자가 처한 위급 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용자가 다수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는데, 차량 소유자에게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권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차량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이용자는 적어도 1명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이용자를 지정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차량상태(운전석, 백미러, 사이드미러, 오디오 볼륨 등)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동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운전자 정보를 차량 소유자에게 알림으로써 차량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다수의 이동단말기별로 할당된 복수의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들로부터 송출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로부터 고유번호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고유번호와 기저장된 복수의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각 단말기 사용자가 송출한 원격제어신호에 따른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차량제어에 따라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한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신호는
    차량 이용자의 이동단말기 전화번호 및 단말기 일련번호, 차량 제어를 위해 할당된 고유번호, 차량기능을 제어할 데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KR1020040079171A 2004-10-05 2004-10-05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KR100652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171A KR100652677B1 (ko) 2004-10-05 2004-10-05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171A KR100652677B1 (ko) 2004-10-05 2004-10-05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343A KR20060030343A (ko) 2006-04-10
KR100652677B1 true KR100652677B1 (ko) 2006-12-06

Family

ID=3714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171A KR100652677B1 (ko) 2004-10-05 2004-10-05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6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79A (ko) * 2000-04-15 2001-11-08 장영일 차량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2745A (ko) * 2003-02-10 2004-08-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의원격시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79A (ko) * 2000-04-15 2001-11-08 장영일 차량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2745A (ko) * 2003-02-10 2004-08-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의원격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343A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90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 차량 제어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20190161057A1 (en) Mobile Alert and Security System
EP22217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via a remote facility
JP3126342U (ja) 主動救援請求盗難防止システム
US70646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nd viewing images of a vehicle interior
US78938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ehicular information with a remote location
EP1369837B1 (en) Surveillance system,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sensor apparatus, and surveillance remote controller
WO2006081367A2 (en) Wireles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5101115A (zh) 用于启动应用的方法和系统
CN110649936B (zh) 挪车呼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08001975A1 (en) Parking position reader having emergency call
JP2002064881A (ja) 移動体からの屋内家電機器制御装置
US6901253B2 (en) Method for synthesizing mobile identification numbers
KR100652677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US6810244B2 (en) Method for synthesizing mobile identification numbers
WO2022227528A1 (zh) 空调控制方法、系统及空调
KR20040107294A (ko) 무선망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장치
CN112305921B (zh) 事件管控方法及事件管控装置
CN105610896A (zh) 用于启动应用的方法和系统
WO2002047046A1 (fr) Appareil pour parc de stationnement
JP2003042045A (ja) 自動車用エンジン遠隔始動装置
KR100626271B1 (ko)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JP2000295670A (ja) 車両遠隔操作装置および車両遠隔操作方法
KR20010090365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JPH1131282A (ja) 簡易警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