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673B1 -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673B1
KR100652673B1 KR1020040075226A KR20040075226A KR100652673B1 KR 100652673 B1 KR100652673 B1 KR 100652673B1 KR 1020040075226 A KR1020040075226 A KR 1020040075226A KR 20040075226 A KR20040075226 A KR 20040075226A KR 100652673 B1 KR100652673 B1 KR 10065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casing
key
protrus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347A (ko
Inventor
최철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673B1/ko
Priority to CA2519814A priority patent/CA2519814C/en
Priority to EP05020240A priority patent/EP1638120B1/en
Priority to AT05020240T priority patent/ATE379842T1/de
Priority to JP2005269949A priority patent/JP2006092536A/ja
Priority to DE602005003522T priority patent/DE602005003522T2/de
Priority to MXPA05010008A priority patent/MXPA05010008A/es
Priority to RU2005129178/09A priority patent/RU2313903C2/ru
Priority to BRPI0503847-2A priority patent/BRPI0503847A/pt
Priority to US11/230,974 priority patent/US7702356B2/en
Publication of KR2006002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일면에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상기 기판과 층상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키패드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키패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키패드의 중앙 영역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른 외력 작용 시 키패드에 그 외력이 전달되어 그의 중앙이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ROTRUSION PREVENTION FUNCTION FOR KEY PAD}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키패드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케이싱 및 키패드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외력 작용 시 도 6의 돌출방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케이싱 22a : 전면케이싱
22b : 후면케이싱 23 : 공통키홀
25 : 부분키수용부 31 : 기판
33 : 스위치 41 : 키패드
42 : 패드본체 44 : 돌기
51 : 제1키 53 : 제2키
57 : 제3키 61 : 프레임
63 : 관통공 65 : 돌출방지부
67 : 돌기 68 : 돌기수용부
69a,69b : 돌기수용공 70 : 결합돌기
72 : 결합돌기공
본 발명은,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른 외력 작용 시 키패드의 중앙이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에 기판(115)이 수용되는 하부폴더(111)와,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23)를 구비하여 하부폴더(111)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폴더(121)와, 하부폴더(111)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1)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폴더(11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12)과, 케이싱(112) 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115)과,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118a)를 구비하여 키(118a)가 외부에 노출되게 케이싱(112)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는 키패드(117)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115)의 일측 판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시 동작되는 복수의 스위치(116)가 구비되어 있으며, 키패드(117)에는 각 스위치(116)에 대응되게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키(118a)가 형성되어 있다. 각 키(118a)의 저부에는 해당 스위치(116)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기(11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12)의 측부에는 케이싱(112)의 폭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사이드키(127)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싱(112)의 전면에는 키(118a)가 외부에 노출되어 누름 조작이 가능하게 각각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키홀(11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키홀(114)의 연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119)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키패드(117)에는 결합돌기(119)가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19)의 형상에 대응되게 관통된 복수의 결합돌기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각 키(118a)가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키홀(114)의 연부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결합돌기(119)를 형성하고 키패드(117)에는 결합돌기(119)가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결합돌기공(120)을 형성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있어, 사이드키(127)의 조작 시와 같이 케이싱(112)의 폭방향을 따라 외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케이싱(112)의 중앙부가 주변에 비해 융기되고 이 때, 결합돌기(119)에 일체로 결합된 키패드(117)의 중앙영역이 탄성 변형되면서 케이싱(112)과 함께 중앙영역이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사용 기간이 경과되어 키패드(117)의 중앙영역의 돌출 현상이 누적적으로 발생될 경우, 키패드(117)의 변형 및 각 키(118a)의 위치 이탈 등이 발생되어 기능 및 품위를 저하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케이싱(112)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아니한 상태에서 키(118a)의 개수를 증가시키게 될 경우, 각 키홀(114)의 연부의 폭(W)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이에 기인한 형상 유지 강도의 저하로 돌출 현상이 심화되어 키패드(117)의 변형 및 키(118a)의 위치 이탈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른 외력 작용 시 키패드의 중앙이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일면에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상기 기판과 층상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키패드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키패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키패드의 중앙 영역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방지부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키패드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케이싱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키패드에 관통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케이싱에는 복수의 키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동시에 수용 결합되는 공통키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패드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측 판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패드본체와, 상기 패드본체의 타측 판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키와, 얇은 판상의 강성부재로 상기 키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드본체에 면접촉되게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키는, 상기 패드본체의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되게 상기 패드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키와, 상기 제1키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1키에 대해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이 가능하게 상기 제1키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메탈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패드본체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도록 각각 관통형성되는 돌기수용공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키패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케이싱 및 키패드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외력 작용 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21)과, 일면에 복수의 스위치(33)가 구비되며 케이싱(21)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31)과, 복수의 스위치(33)를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키(50)가 외부에 노출되게 기판(31)과 층상으로 케이싱(21)의 내부에 수용되는 키패드(41)와, 케이싱(21)과 키패드(41) 사이에 개재되어 케이싱(21)의 폭방향을 따른 외력의 작용 시 키패드(41)의 중앙영역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방지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판(31) 및 키패드(41)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5)가 구비되는 하부폴더(20)와,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2)가 장착되며 하부폴더(2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폴더(10)를 구비한 소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하부폴더(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두께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싱(22a) 및 후면케이싱(22b)을 구비한 케이싱(21)과, 일측 판면에 복수의 스위치(33)를 구비하여 케이싱(21)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31)과, 각 스위치(33)를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키(50)를 구비하여 기판(31) 상에 적층되는 키패드(41)를 구비하고 있다.
키패드(41)는, 기판(31)의 각 스위치(33)에 접촉될 수 있게 저부에 복수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는 패드본체(42)와, 패드본체(42)의 각 돌기(44)의 대향측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키(50)와, 각 키(50)의 적어도 일 영역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공(63)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61)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본체(42)는 합성수지부재 또는 고무부재 등을 이용하여 필름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균열이 잘 발생되지 아니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패드본체(42)의 일측 판면에는 기판(31)의 각 스위치(33)와 접촉될 수 있게 복수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드본체(42)의 타측 판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복수의 키(50)가 구비되어 있다.
키(50)는, 패드본체(42)의 전면 일 영역에 패드본체(42)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키(51)와, 제1키(51)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키(53)와, 패드본체(42)에 접착되는 복수의 제3키(57)로 구성되어 있다.
제1키(51)는 패드본체(42)의 전면 일 영역에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일체로 돌 출되고 패드본체(42)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키(53)는 제1키(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1키(51)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계면(54a)이 구비되도록 플라스틱부재를 사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패드본체(42)의 제1키(51)의 사이영역에는 제2키(53)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프레임(61)을 통과할 수 있게 돌출된 복수의 제2키결합부(4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키(51)는 제2키(5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을 고려하여 누름 조작 시 제2키(53)와의 간섭이 작아지도록 제2키(53)의 표면에 비해 패드본체(42)의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2키(53)의 표면과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61)은, 제1키(51) 및 제2키(53) 형성영역에 결합될 수 있도록 패드본체(42)의 길이(L1)에 대해 축소된 길이(L2)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61)은 얇은 두께에서도 형상유지강도가 우수한 부재로 형성되도록 하며, 합성수지부재 또는 금속부재로 시트(sheet)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얇고 탄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부재를 이용하여 메탈시트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프레임(61)에는 제1키(51) 및 제2키결합부(45)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63)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관통공(63)은 제1키(51)가 단독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제1키(51)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제2키결합부(45) 및 제1키(51)가 동시에 통과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61) 결합 시 프레임(61)의 일측으로 연장된 패드본체(42)의 연장영역 (43a)에는 복수의 제3키(57)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3키(57)는 플라스틱부재로 사출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어 연장영역(43a)에 일체로 접착되어 있다. 제3키(57)의 주변에는 조작 시 인접된 다른 키(51,53,57)의 연동에 기인한 입력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관통된 복수의 슬릿(4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면케이싱(22a)의 측부에는 기판(31)의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34)와 접촉가능하게 사이드키(28)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제1키(51) 및 제2키(53)가 외부에 노출되게 동시에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공통키홀(2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공통키홀(23)의 각 연부에는 각 제1키(51)의 일측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제1키(51)의 형상에 대응되게 반원형상으로 함몰된 복수의 부분키수용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키홀(23)의 일측에는 제3키(57)가 각각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키홀(27)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케이싱(22a)의 배면 공통키홀(23)의 상하측 연부에는 키패드(4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돌기(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프레임(61)의 상하측 단부 및 패드본체(42)의 제1키(51) 및 제2키(53) 형성영역에는 해당 결합돌기(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당 결합돌기(70)의 형상에 대응되게 결합돌기공(7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면케이싱(22a)의 배면 공통키홀(23)의 양 측연부와 이에 접촉되는 키패드(41)의 양 측 연부에는 전면케이싱(22a)의 폭방향을 따른 외력의 작용 시 키패드(41)의 중앙영역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방지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방지부(65)는, 전면케이싱(22a)의 폭방향을 따라 전면케이싱(22a)의 배면 공통키홀(23)의 양 측 연부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부(67)와, 키패드(41)의 양 측 연부에 각 돌기부(67)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 돌기부(67)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폭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수용부(68)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수용부(68)는, 패드본체(42)의 폭방향을 따라 양 측 연부에 각 돌기부(67)가 상대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돌기수용공(69a)과, 프레임(61)의 양 측 연부에 해당 돌기부(67)가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돌기수용공(69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돌기수용공(69a,69b)은 해당 돌기부(67)의 수용 결합 시 전면케이싱(22a)의 폭방향을 따라 외력 작용 시 해당 돌기부(67)가 상대 이동되고, 외력 해제시 키패드(41)가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외측에 배치된 단부에 해당 돌기부(67)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면케이싱(22a)의 공통키홀(23) 및 각 키홀(27)에 제1 내지 제3키(51,53,57)가 각각 수용되게 키패드(41)를 결합하면, 각 돌기부(67) 및 결합돌기(70)는 해당 돌기수용부(68) 및 결합돌기공(72)에 각각 삽입 결합된다. 다음, 각 돌기(44)와 스위치(33)가 접촉되도록 기판(31)을 결합하고, 전면케이싱(22a)의 배후에 후면케이싱(22b)을 결합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 때, 각 돌기부(67)는 해당 돌기수용부(68)의 외측 단부에 접촉됨으로써 키패드(41)가 폭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각 결합돌기(70)는 결합돌기공(72)의 연부에 접촉되 게 수용되어 키패드(41)의 변위를 억제하게 된다.
한편, 사이드키(28)의 조작 시와 같이, 전면케이싱(22a)의 폭방향을 따라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 각 돌기수용부(68)는 내부에 수용결합된 각 돌기부(67)가 키패드(41)를 가압함이 없이 전면케이싱(22a)의 폭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키패드(41)는 가압되기 전의 평면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외력의 작용에 기인한 키패드(41)의 중앙영역의 돌출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폴더 및 하부폴더를 구비한 소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소위 슬라이드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바형 또는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케이싱에 제1키 및 제2키가 동시에 수용결합되는 공통키홀이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돌출방지부가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각 키가 독립적으로 수용 결합되는 복수의 키홀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돌출방지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일면에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과, 복수의 스위치를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키가 외부에 노출되게 기판과 층상으로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키패드와, 케이싱과 키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른 외력의 작용 시 키패드의 중앙영역이 그 외력을 전달받아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방지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른 외력의 작용 시 키패드의 중앙영역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돌출에 기인한 변형 및 키의 위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일면에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상기 기판과 층상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키패드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키패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키패드의 중앙 영역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방지부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키패드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케이싱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키패드에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복수의 키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동시에 수용 결합되는 공통키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측 판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패드본체와;
    상기 패드본체의 타측 판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키와;
    얇은 판상의 강성부재로 상기 키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드본체에 면접촉되게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는,
    상기 패드본체의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되게 상기 패드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키와;
    상기 제1키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1키에 대해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이 가능하게 상기 제1키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메탈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패드본체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도록 각각 관통형성되는 돌기수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75226A 2004-09-20 2004-09-20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226A KR100652673B1 (ko) 2004-09-20 2004-09-20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A2519814A CA2519814C (en) 2004-09-20 2005-09-15 Keypad assembly for mobile station
AT05020240T ATE379842T1 (de) 2004-09-20 2005-09-16 Tastatur für mobilstation
JP2005269949A JP2006092536A (ja) 2004-09-20 2005-09-16 キーパッドアセンブリおよび移動電話端末
EP05020240A EP1638120B1 (en) 2004-09-20 2005-09-16 Keypad assembly for mobile station
DE602005003522T DE602005003522T2 (de) 2004-09-20 2005-09-16 Tastatur für Mobilstation
MXPA05010008A MXPA05010008A (es) 2004-09-20 2005-09-19 Ensamble de teclado para estacion movil.
RU2005129178/09A RU2313903C2 (ru) 2004-09-20 2005-09-19 Узел клавиатуры для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BRPI0503847-2A BRPI0503847A (pt) 2004-09-20 2005-09-19 conjunto de teclado para estação móvel
US11/230,974 US7702356B2 (en) 2004-09-20 2005-09-20 Keypad assembly for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226A KR100652673B1 (ko) 2004-09-20 2004-09-20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47A KR20060026347A (ko) 2006-03-23
KR100652673B1 true KR100652673B1 (ko) 2006-12-06

Family

ID=3713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226A KR100652673B1 (ko) 2004-09-20 2004-09-20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6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47A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8957A1 (en) Mobile device having an impact resistant input
JP4435507B2 (ja) キーシート
KR100834633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JP2007141662A (ja) キーシート
US5746307A (en) Switch assembly for a portable radio
JP4486395B2 (ja)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固定構造
US8427345B2 (en) Side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450385B1 (en) Keypad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09024237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using with key buttons coupled thereto
KR100652673B1 (ko) 키패드 돌출방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EP2323353A1 (en) Side key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727447B2 (en) Resistant integrated keypad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398718B2 (ja) キーシート一体型筐体パネル
KR100641173B1 (ko) 키패드결합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290806A (ja) 携帯端末装置、筐体パネルの装着方法、及び筐体パネル装置
JP4347679B2 (ja) キーシート
JP4471905B2 (ja) 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通信機器
KR100652674B1 (ko) 키 연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JP200622862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060036823A (ko) 일체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449541B2 (ja) キーユニット、キ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313630B2 (ja) キー入力装置
JP4362361B2 (ja) キーシート
CN211743031U (zh) 开关结构
KR1005951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