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521B1 - 브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브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521B1
KR100652521B1 KR1020040072608A KR20040072608A KR100652521B1 KR 100652521 B1 KR100652521 B1 KR 100652521B1 KR 1020040072608 A KR1020040072608 A KR 1020040072608A KR 20040072608 A KR20040072608 A KR 20040072608A KR 100652521 B1 KR100652521 B1 KR 10065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ulley
shaft
driven
continuousl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880A (ko
Inventor
이시카와히데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52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의 레이아웃이 차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풀리(45)의 가동 부분(452)을 크랭크축(41)에 따라 변위시키는 기어 장치(60)의 하나의 축(64)을 연장하여 센서 출력축으로 한다. 센서 출력축(64)의 선단에는 웜 기어(641)를 형성하고, 이 웜 기어(641)와 맞물리는 웜 휠(110)의 축(111)에 회전 센서(112)를 결합한다. 즉, 회전 센서(112)의 축(111)과 센서 출력축(64)은 직교하도록 레이아웃된다. 기어 장치(60)와 웜 기어(641) 및 웜 휠(110)은 크랭크 케이스(40)의 커버(401)와는 별체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 커버(58)로 덮여진다.

Description

브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V V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의 전방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의 후방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4는 무단 변속 장치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 커버의 정면도,
도 5는 액츄에이터 커버와 크랭크 케이스로 형성되는 워터 펌프의 벽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전동 케이스 41 : 크랭크축
45 : 구동 풀리 53 : 슬라이더
57 : 모터 60 : 기어 장치
73 : 종동 풀리 100 : V벨트
110 : 웜 휠 111 : 웜 휠 축
112 : 회전 센서 451 : 구동 풀리 부분
452 : 가동 풀리 부분
본 발명은 V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식 액츄에이터로 변속비를 제어할 수 있는 V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 등의 원동기에 연결한 구동 풀리와, 부하에 연결한 종동 풀리와의 사이에 V벨트를 건너질러 놓고,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에 대한 V벨트의 감김 직경을 연속적으로 바꾸어 변속비를 제어하는 V벨트식 무단 변속기가 알려져 있다. V벨트의 감김 직경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각각 구성하는 고정 풀리 부분 및 가동 풀리 부분 중, 가동 풀리 부분을 그 지지축 방향으로 변위시켜, 양 풀리 부분끼리의 간격을 변화시켜 감김 직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가동 풀리 부분을 모터로 구동하도록 한 무단 변속 장치가 일본국 특개평 5-4482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무단 변속 장치에서는, 구동 풀리의 가동 풀리 부분을, 베어링을 통해 슬라이더에 결합하고, 또한 기어를 통해 이 슬라이더를 모터에 연결하고 있다.
변속비의 제어는 엔진의 회전수나 스로틀 개도 등으로부터, 이 엔진의 운전 상태를 검출하여 행해진다. 변속비가 적당한 값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가동 풀리 부분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검출한 가동 풀리 부분의 위치에 따라서 모터를 피드백 제어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5-44827호 공보
상기 종래의 무단 변속 장치에 있어서는, 가동 풀리 부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직동식(直動式) 가변 저항기가 사용되고 있다. 즉, 슬라이더에 추종하여 이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변위하는 로드를 가변 저항상에서 이동시켜, 그 위치에 따른 전압을 가동 풀리 부분의 위치 정보로서 출력시킨다. 이 검출 방법에서는,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따라 로드를 배치하고, 그 로드의 일단을 슬라이더에 접하게 해, 타단을 가변 저항기에 슬라이드시키고 있다. 따라서, 검출부가 전체적으로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 즉 구동 풀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이아웃이 된다. 이 때문에, 구동 풀리의 축방향으로 돌출부가 생겨, 인접하는 다른 구성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저하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구동 풀리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억제하면서 가동 풀리 부분의 변위량 검출 센서를 배치한 V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 구동되는 구동 풀리와 V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에 종동하는 종동 풀리를 가지고, 상기 각 풀리가, 각각의 지지축에 대해 고정된 고정 부분과 상기 지지축에 대해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부분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풀리의 가동 부분을 모터로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시켜 고정 부분 및 가동 부분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그 변화에 따라 종동 풀리의 가동 부분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구동 풀리에 대한 종동 풀리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 풀리의 가동 부분에 전달하는 기어 장치의 각 기어를 상기 구동 풀리의 지지축과 평행하게 배치한 축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기어 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어축의 하나를 센서 출력축으로 하고, 상기 센서 출력축에 직교하는 축과, 상기 센서 출력축에 직교하는 축에 결합된 회전 센서를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무단 변속기를 포함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외관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1)의 차체 전방부(2)와 차체 후방부(3)는 낮은 플로어부(4)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차체의 골격은, 다운 튜브(6) 및 다운 튜브(6)로부터 후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튜브(7)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튜브(7)의 상측방에는 시트(8)가 배치된다. 시트(8)와 메인 튜브(7)와의 사이에는 헬맷 등의 수납 박스와 연료 탱크가 설치된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시트(8)는 수납 박스의 뚜껑을 겸한다.
상기 다운 튜브(6)의 전단은 차체 전방부(2)에 설치되는 헤드 파이프(5)에 접합된다. 헤드 파이프(5)에는, 프론트 포크(12)가 회전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된다. 프론트 포크(12)의 상측방 연장 부분에는 핸들(11)이 장착되고, 프론트 포크(12)의 하단에는 전륜(13)이 축으로 지지된다. 핸들(11)의 상부는 계기판을 겸한 핸들 커버(33)로 덮여진다.
메인 튜브(7)의 수직부 하단에는 브래킷(15)이 설치되고, 브래킷(15)에는, 링크 부재(16)를 통해 행거 브래킷(18)이 연결되고, 스윙 유닛(17)이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스윙 유닛(17)의 후부와 메인 튜브(7)의 후부는 완충 부재를 가지는 리어 서스펜션(22)으로 연결된다. 스윙 유닛(17)의 전방부에는, 단기통 4사이클 엔진(200)이 탑재된다. 엔진(200)의 후방에는, V벨트식 무단 변속기(35) 및 감속기(38)가 설치된다. 감속기(38)의 출력축(후술)에는 후륜(21)이 결합된다. 즉, 엔진(200)의 출력은 무단 변속기(35) 및 감속기(38)를 통해 후륜(21)에 전달된다.
스윙 유닛(17)의 전방부에는, 엔진(200)의 실린더 헤드(32)로부터 연장된 흡기관(23)이 접속된다. 흡기관(23)에는 기화기(24) 및 기화기(24)에 연결된 에어 클리너(25)가 배치된다. 스윙 유닛(17)의 크랭크 케이스(31)에 설치된 행거 브래킷(18)에는, 주차용 메인 스탠드(26)가 지지된다. 변속기(35)의 케이스 커버(외부 커버)(36)로부터 돌출된 킥축(27)에는 킥 아암(28)이 고정되고, 킥 아암(28)의 선단에는 킥 페달(29)이 설치된다.
도 1은, 무단 변속기의 전방부 단면도, 도 2는 동 후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무단 변속기는, 엔진(200)의 크랭크 케이스(31)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전동 케이스(40)와, 전동 케이스(40)를 차체 좌측면으로부터 덮는 전동 케이스 커버(401)와, 전동 케이스 커버(401)를 다시 외부로부터 덮는 외부 커버(36)와, 전동 케이스 커버(401)의 전방부(차량의 주행 방향 전방부)에 맞붙여지는 변속용 구동부 커버(이하, 「액츄에이터 커버」라고 한다)(58)로 외형을 형성한다.
도 1에 있어서, 엔진(200)의 크랭크축(41)은, 전동 케이스(40)에 설치된 베 어링(42) 및 도시하지 않은 또 하나의 베어링에 의해서 지지된다. 전동 케이스(4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크랭크축(41)의 부분(43)은 구동 풀리(45)의 지지축이고, 무단 변속기의 구동축이다.
구동축(43)의 외주에는 가이드 파이프(44)가 장착된다. 구동 풀리(45)는 구동축(43)의 축단에 설치된 고정 풀리 부분(451)과, 구동축(43)의 축방향으로 이동자유로운 가동 풀리 부분(452)으로 이루어진다. 구동 풀리(45)에는, 후술하는 종동 풀리에 걸쳐지는 V벨트(100)가 걸려있다. 고정 풀리 부분(451)은 구동축(43)의 축단에 설치된 나사부에 조여진 너트(46)로 구동축(43)에 고정된다. 가동 풀리 부분(452)의 허브(453)는, 가동 풀리 부분(452)이 구동축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이드 파이프(44)의 외주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끼워진다.
가동 풀리 부분(452)의 허브(453)에는, 구동축(43)의 축방향으로 긴 구멍 즉 가이드 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파이프(44)의 외주에는 가이드 핀(48)이 세워 설치되고, 이 가이드 핀(47)의 헤드부(481)가 가이드 구멍(47) 내에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핀(48)의 헤드부에는, 적어도 가이드 구멍(47)의 내면에 대향하는 부분을 덮도록 표면의 마찰 계수가 작은 불소 수지 등의 컬러(49)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44)의 외주에 대향하는 부분도 덮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허브(453)가 고정된 가동 풀리 부분(452)은, 가이드 핀(48)에 의해서 가이드 파이프(44) 즉 구동축(43)에 대한 회전 방향의 변위가 규제되어, 구동축(43)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다. 가이드 핀(48)은 컬러(49)를 통해 허브(453)의 가이드 구멍(47)으로 슬라이드하므로, 가동 풀리 부분 (452)의 움직임은 자연스럽고, 슬라이드 음의 발생도 억제된다.
가동 풀리 부분(452)의 허브(453)의 외주에는 베어링 지지 링(50)이 끼워지고, 이 지지 링(50)의 외주에는 베어링(51)의 내륜이 끼워진다. 베어링(51)의 외륜에는 슬라이더 지지 링(52)이 끼워지고, 또한 이 지지 링(52)에는 슬라이더(53)가 끼워진다. 슬라이더(53)는 원통 형상이고, 외측에는 기어(53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내주에 암나사(스크류 나사)가 형성된 이송 링(54)이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이송 링(54)의 암나사는 통체(55)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스크류 나사)로 조여진다. 통체(55)는 그 외주에 용접된 플랜지부를 통해 볼트(56)로 전동 케이스(40)에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 슬라이더(53)의 기어(53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설명한다. 슬라이더(53)의 기어(531)를 구동하는 구동부는 기어 장치와 모터를 갖는다. 모터(57)는 베이스 플레이트(571)와 하우징(572)을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71)는 전동 케이스(40)의 액츄에이터 커버(58)에 끼워져 삽입되어 고정된다. 모터축(59)의 선단에는, 출력 기어(591)가 형성된다.
기어 장치(60)는 공통하는 축(61)에 고정된 제1단 기어(62, 63)와, 다른 공통하는 축(64)에 고정된 제2단 기어(65, 66)를 구비한다. 기어 장치(60)의 각 기어는 동작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수지제로 하는 것이 좋다. 제1단 기어의 축(61)은 전동 케이스(40)에 설치된 베어링(67)과 액츄에이터 커버(58)에 형성된 베어링(68)으로 지지된다. 한편, 제2단 기어축(64)은 전동 케이스(40)에 설치된 베어링(69)과 액츄에이터 커버(58)에 설치된 베어링(70)으로 지지된다. 제1단 기어 중 대 기 어(62)는 출력 기어(591)에 맞물리고, 소 기어(63)는, 제2단 기어 중 대 기어(65)에 맞물린다. 그리고, 제2 기어 중 소 기어(66)는 상기 슬라이더(53)의 기어(531)에 맞물린다.
제2단 기어축(64)의, 베어링(70)을 관통한 연장부에는 기어(641)가 형성된다. 기어(641)는 웜 기어이고, 이 웜 기어(641)는, 회전 센서로서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 또는 회전형 전위차계(potentiometer)에 연결되는 웜 휠(회전 센서와 웜 휠은 후술한다)에 맞물린다. 이렇게 해서, 축(64)은, 회전 센서에 기어 장치(60)의 회전량을 전달하는 센서 출력축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전동 케이스(40)에는, 상기 슬라이더(53)에 형성된 기어(531)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리브(402)가 형성된다. 리브(402)의 단부에는, 볼트(71)에 의해서 규제 플레이트(72)가 장착된다. 규제 플레이트(72)에 의해서, 슬라이더(53)는 구동 풀리(45)측으로의 이동 한계가 규정된다. 통상은, 슬라이더(53)의 기어(531)는, 규제 플레이트(72)에 접하지 않은 범위에서 이동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모터(57)의 회전은 출력 기어(591), 제1단 기어(62, 63) 및 제2단 기어(65, 66)를 순차로 거쳐 슬라이더(53)의 기어(531)에 전달되고, 슬라이더(53)를 회전한다. 슬라이더(53)가 회전되면, 이송 링(54)이 통체(55)의 주위에서 회전하고, 그 결과, 슬라이더(53)는 상대적으로 크랭크축(41)의 축방향으로 나사 이송된다. 나사의 작용에 의한 슬라이더(53)의 변위 방향은 이송 링(54) 및 통체(55)의 암나사 및 수나사의 방향에 의한다.
슬라이더(53)가 구동축(43)에 따라 변위하면, 그 움직임은 베어링(51)을 통 해 가동 풀리 부분(452)에 전달되고, 가동 풀리 부분(452)과 고정 풀리 부분(451)의 간격이 변화한다. 고정 풀리 부분(451)과 가동 풀리 부분(452)의 간격이 넓어지면, 후술하는 종동 풀리의 움직임과 더불어 V벨트(100)는 구동 풀리(45)에 대한 감김 직경이 작아지도록 동작한다. 한편, 고정 풀리 부분(451) 및 가동 풀리 부분(452) 양자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의 힘은, V벨트(100)를 구동 풀리(45)의 외주 방향으로 확대하는 분력을 작용시켜, 후술하는 종동 풀리의 움직임과 더불어 V벨트(100)의 감김 직경을 크게 한다.
슬라이더(53)의 위치는 이 변속기의 변속비를 대표한다. 따라서, 상기 웜 기어(641)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로, 슬라이더(53)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변속비의 제어에 피드백할 수 있다.
다음에, 무단 변속기의 후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종동 풀리(73)는, 고정 풀리 부분(731)과 가동 풀리 부분(732)으로 이루어진다. 종동 풀리(73)를 지지하는 종동축(종동 풀리의 지지축)(74)은 베어링(75, 76)으로 지지된다. 종동축(74)의 한쪽측 즉 도 2상에서 베어링(75)보다 좌측 부분의 단부에는, 베어링(77)이 끼워 삽입되고, 또한 베어링(77)보다 선단측에는 컬러(78)가 씌워진다. 컬러(78)에는, 사발형상의 클러치판(79)이 용접되어 있다. 종동축(74)의 이 단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나사에 너트(80)가 조여지고, 컬러(78) 및 클러치판(79)은 베어링(77)의 내륜을 통해 종동축(74)에 고정된다. 종동축(74)의 중간부 외주에는, 베어링(81)이 설치되고, 이 베어링(81) 및 상기 베어링(77)에 의해서 고정 풀리 부분(731)의 허브(82)가 종동축(74)에 관해서 그 외주에 장착된다.
또한, 고정 풀리 부분(731)의 허브(82)의 외주에는 가동 풀리 부분(732)의 허브(83)가 설치된다. 가동 풀리 부분(732)은 고정 풀리 부분(731)에 대해, 종동축(74)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다. 허브(82)에는 가이드 핀(84)이 세워 설치된다. 허브(83)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831)은 가이드 핀(84)의 헤드부에 걸리고, 이에 따라 허브(83)에 대한 가동 풀리 부분(732)의 회전이 규제된다.
고정 풀리 부분(731)의 허브(82)의 단부에는, 클러치 슈(shoe)의 지지 플레이트(85)가 너트(86)로 고정된다. 지지 플레이트(85)에는, 클러치 슈(87)가 설치된다. 클러치 슈(87)는, 지지 플레이트(85)에 세워 설치된 피벗축(88)으로 지지되는 보스(89)를 갖는 아암(90)에 고정된다. 아암(90)은 클러치 슈(87)가 클러치판(79)의 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수철(91)로 힘을 받는다. 또한, 가동 풀리 부분(732)과 지지 플레이트(85)와의 사이에는 가동 풀리 부분(732)을 고정 풀리 부분(731)측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 용수철(92)이 끼워져 있다.
무단 변속기의 후부에는, 감속기(38)가 설치된다. 감속기(38)는, 종동축(74)의 타단 즉 도 2상에서 베어링(75)과 (76)의 사이에 설치된 입력 기어(94)와 중간 기어(95, 96) 및 최종단 기어(97)를 갖는다. 입력 기어(94)는 중간 기어의 대 기어(95)에 맞물리고, 중간 기어의 소 기어(96)는 최종단 기어(97)와 맞물린다. 중간 기어(95, 96)의 축은 베어링(98, 99)으로 지지되고, 최종단 기어(97)의 축 즉 출력축(101)은 베어링(102, 103)으로 지지된다. 베어링(76, 98, 103)은 상기 리브(402)에 연속되는 후부 케이싱(403)에 끼워져 삽입되고, 베어링(75, 99, 102)은 케이싱(403)에 고정되는 감속기 커버(104)에 끼워져 있다.
고정 풀리 부분(731)의 허브(82)의 측면에는, 센서 플레이트(105)가 설치되고, 이 센서 플레이트(105)의 외주에 대향하여 자기 센서(106)가 설치된다. 센서 플레이트(105)는 철이고, 이 철 제의 센서 플레이트(105)는, 외주로 돌출 혹은 오목한 부분을 1 내지는 다수 갖는다. 따라서, 이 형상 변화 부분에서 자기 센서(106)의 출력이 변화하고, 이 변화의 상태, 예를 들면, 출력 변화의 간격에 의해서, 종동 풀리(73)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다. 자기 센서(106)는, 감속기 커버(104)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45)측에서 V벨트의 감김 직경이 확장하면, V벨트(100)의 장력은 증가하고, 그 장력의 증대에 의해, 종동 풀리(73)의 가동 풀리 부분(732)과 고정 풀리 부분(731)의 사이를 확대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종동측에서는 V벨트(100)의 감김 직경이 작아진다. 즉 감속비가 작아진다. 한편, 상기 구동 풀리(45)측에서 V벨트의 감김 직경이 축소하면, V벨트(100)의 장력은 저감하여, 그 장력의 저감에 의해, 코일 용수철(92)의 부세력이 V벨트(100)에 걸리는 장력의 분력을 상회하면, 종동 풀리(73)의 가동 풀리 부분(732)과 고정 풀리 부분(731) 사이를 축소하는 힘이 발생한다. 그 결과, 종동측에서는 V벨트(100)의 감김 직경이 커진다. 즉 감속비가 커진다.
종동 풀리(73)의 회전이 소정의 값이 되면, 원심력의 증대에 의해 클러치 슈(87)가 클러치판(79)에 접한다. 그러면, 클러치판(79)이 결합되어 있는 종동축(74)이 회전하여, 입력 기어(94), 중간 기어(95, 96) 및 최종단 기어(97)를 통해 출력축(101)이 회전한다. 출력축(101)의 회전은 후륜(21)에 전달되어, 자동 이륜 차가 주행할 수 있다.
도 4는 전동 케이스의 전방부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 커버(58)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액츄에이터 커버(58)는 상술과 같이 모터(57)로부터 축(64)까지의 감속 계통의 구성 부품을 덮는 동시에, 엔진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워터 펌프의 커버를 겸한다. 도 4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커버(58)에 끼워진 베어링(70)으로 지지되는 웜 기어(641)와 맞물리는 웜 휠(110) 및 그 축(111)을 수용하고, 축(111)을 지지하기 위한 통형상 돌출부(581)가 형성된다. 축(111)에는, 웜 휠(11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112)가 결합된다. 회전 센서(112)의 검출 출력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공급되고, 이 검출 출력에 의거하여, 웜 휠(110)과 연동하는 각 기어(641, 65, 66, 531)를 통해 가동 풀리 부분(452)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액츄에이터 커버(58)는 상기 모터(57)의 베이스 플레이트(571)를 지지하기 위한 보스(582, 583)와, 모터(571)의 베이스 플레이트(571)의 허브를 수용하는 보스 구멍(584)에 인접하여 설치된 좌(585, 586)를 갖는다.
또한, 액츄에이터 커버(58)는, 도 5로부터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전동 케이스(40)의 일부와 맞붙여져 워터 펌프(113)의 외벽을 형성한다. 이 외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임펠러(114)와 축(115)이 수용된다. 축(115)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 장치에 의해서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꼭지쇠(116)는 서모스텟을 통해 라디에이터로 부터 순환되는 냉각수의 입구이고, 꼭지쇠(117)는 라디에이터를 통하지 않고 순환되는 냉각수의 입구이다. 엔진 시동시 내 지는 냉각 수온이 낮을 때는, 꼭지쇠(117)로부터 물이 도입되고, 냉각 수온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꼭지쇠(116)로부터 라디에이터를 통해 온도가 저하된 물이 도입된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출력축은 기어 장치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므로, 그 회전량은 구동 풀리의 가동 부분을 변위시키는 기어 장치의 출력축의 회전량에 대응한다. 즉, 센서 출력축의 회전량은 모터의 회전량이나 해당 변속 장치의 변속비의 함수이다. 따라서, 회전 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변속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센서의 축은 센서 출력축에 직교하고 있으므로, 센서 출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 센서 장착을 위한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회피된다. 예를 들면,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기어 장치의 각 기어축의 연장 방향 즉 차폭 방향으로 확대되기 쉬운 회전 센서의 배치를 차폭에 따른 방향으로 할 수 있다.

Claims (2)

  1. 엔진(200)으로 구동되는 구동 풀리(45)와 V벨트(100)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45)에 종동하는 종동 풀리(73)를 가지고,
    상기 각 풀리(45, 73)가, 각각의 지지축(43, 74)에 대해 고정된 고정 부분(451, 731)과 상기 지지축(43, 74)에 대해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부분(452, 732)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풀리(45)의 가동 부분(452)을 모터(57)로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시켜 고정 부분(451) 및 가동 부분(452)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그 변화에 따라 종동 풀리(73)의 가동 부분(452)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구동 풀리(45)에 대한 종동 풀리(73)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57)의 동력을 상기 구동 풀리(45)의 가동 부분(452)에 전달하는 기어 장치(60)의 각 기어(62, 63, 65, 66)를 상기 구동 풀리(45)의 지지축(43)과 평행하게 배치한 축(61, 64)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기어 장치(60)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어축(61, 64)의 하나를 센서 출력축(64)으로 하고,
    상기 센서 출력축(64)에 직교하는 축(111)과,
    상기 센서 출력축(64)에 직교하는 축(111)에 결합된 회전 센서(1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센서(112)는 회전형 전위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KR1020040072608A 2003-09-30 2004-09-10 브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KR100652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2366A JP4136878B2 (ja) 2003-09-30 2003-09-30 Vベルト式無段変速装置
JPJP-P-2003-00342366 200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880A KR20050031880A (ko) 2005-04-06
KR100652521B1 true KR100652521B1 (ko) 2006-12-01

Family

ID=3453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608A KR100652521B1 (ko) 2003-09-30 2004-09-10 브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36878B2 (ko)
KR (1) KR100652521B1 (ko)
CN (1) CN1299026C (ko)
TW (1) TWI2857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18B1 (ko) * 2003-09-30 2007-02-28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브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JP2008202628A (ja) * 2007-02-16 2008-09-04 Yamaha Motor Co Ltd 変速装置及び該変速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ユニット
JP5162218B2 (ja) * 2007-09-03 2013-03-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無段変速装置の制御装置、無段変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TW201323742A (zh) * 2011-12-09 2013-06-16 guo-qing Lv 一種反衝擊力的裝置
CN104295358A (zh) * 2014-10-20 2015-01-21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的水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6189A1 (de) * 1982-04-30 1983-11-03 Wolf-Geräte GmbH, 5240 Betzdorf Rasenmaeher mit radantrieb
JPH03358A (ja) * 1989-05-25 1991-01-07 Aichi Mach Ind Co Ltd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H0914416A (ja) * 1995-06-28 1997-01-14 Suzuki Motor Corp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601127B2 (ja) * 1995-09-29 2004-12-15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回転角センサ取付構造
DE19733960A1 (de) * 1997-08-06 1999-02-1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setzungsverstellung bei einem CV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9026C (zh) 2007-02-07
KR20050031880A (ko) 2005-04-06
TWI285715B (en) 2007-08-21
CN1603660A (zh) 2005-04-06
TW200512406A (en) 2005-04-01
JP2005106220A (ja) 2005-04-21
JP4136878B2 (ja)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7638B2 (en)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323134B2 (en) Transmission controller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system
EP0558752B1 (en) Non-stage transmission for vehicle
US7591241B2 (en) Power unit
US7351173B2 (en) Transmission controller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system
KR100652521B1 (ko) 브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JP4024199B2 (ja) Vベルト式無段変速装置
JP4535318B2 (ja) Vベルト式無段変速装置
JP3194641B2 (ja) 車両用無段変速制御装置
JP4014556B2 (ja) Vベルト式無段変速装置
JP6120334B2 (ja) 車両用vベルト式無段変速機
EP3421839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v-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014555B2 (ja) Vベルト式無段変速装置
JP4891183B2 (ja) パワーユニット
KR100688218B1 (ko) 브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JP2011033066A (ja)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4959480B2 (ja) パワーユニット
JP6594792B2 (ja) 電子制御vベルト式無段変速機
EP3421838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v-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7263229A (ja) パワーユニット
JP201715054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