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198B1 -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198B1
KR100651198B1 KR1020050061482A KR20050061482A KR100651198B1 KR 100651198 B1 KR100651198 B1 KR 100651198B1 KR 1020050061482 A KR1020050061482 A KR 1020050061482A KR 20050061482 A KR20050061482 A KR 20050061482A KR 100651198 B1 KR100651198 B1 KR 10065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covery
link
coll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이동식
한중혁
황진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지폐 회수 장치는 하단부에 형성된 회수구를 갖는 지폐 적재부, 회수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회수 도어, 구동부 및 구동부에 일단이 연결된 제1 링크, 제1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회전을 회수 도어로 전달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도어 구동부, 및 회수 도어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회수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 회수부를 포함한다.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도어 구동부에서 제1 및 제2 링크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도어 구동부의 구조만으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링크의 구조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견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셔터, 금융 자동화기기, 회수 도어, 회수 장치, ATM, CD

Description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JECTING A SHEET MEDIUM}
도 1은 종래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금융 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회수 장치의 제1 및 제2 링크가 회전하여, 회수 도어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지폐 회수 장치에서 제1 및 제2 링크가 회전하여, 회수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지폐 회수 장치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 지폐 적재부 204: 지폐 회수부
205: 회수 도어 301: 구동부
302: 제1 링크 303: 제2 링크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출금 및 지폐 회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지폐 출금부를 통해 노출되는 지폐 적재부 및 지폐 회수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 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무인 자동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 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지폐출금기와 지폐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지폐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티켓 발매 등 기타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융 자동화기기는 지폐 또는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장비로서, 하나의 하우징 내에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지폐 입출금 모듈 등과 같이 기능 단위로 구별되는 여러 개의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금융 자동화기기에서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은 카드 투입부(10)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화면(20)이나 키 입력부(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지폐 입출금 모듈은 지 폐 배출 장치(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지폐 배출 장치(30)는 셔터(50)를 통해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고 있다.
출금 기능에 있어서, 금융 자동화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인증과정에 따른 인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인증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액수만큼 정해진 종류 및 갯수의 지폐를 지폐 출금부로 이송하게 된다. 이 때, 금융 자동화기기는 지폐 출금부로부터 배출되는 지폐를 소정의 적재 공간에 적재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액수만큼의 개수를 적재하게 되면 비로소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적재 공간은 셔터(50)에 의하여 보호되며, 셔터(50)는 측면에 잠금 장치가 위치하고, 상기 잠금 장치를 통해 외부의 인증되지 않은 압력으로부터 셔터(50)의 개폐를 보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 금융 자동화기기에서 지폐 회수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사용자로부터 지폐의 인출 명령을 수신한 금융 자동화기기(201)는 지폐 출금부(CDU)로부터 지폐를 꺼낸다. 상기 지폐는 소정의 이동 경로를 통해, 지폐 적재부(202)에 적재되며, 상기 사용자는 셔터(203)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지폐를 인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지폐를 미회수하는 경우 상기 지폐는 지폐 회수부(204)로 인출되지 않은 상태로 잔류할 수가 있다. 또한, 지폐가 상기 이동 경로에 걸리거나, 사용자가 지폐를 입금하는 경우 등의 특이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지폐는 지폐 회수부(204)로 적재될 수 있다.
지폐의 회수를 위해서, 지폐 적재부(202)는 도어 구동부(207) 및 도어 잠금 장치(206)을 포함한다. 도어 구동부(207)는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작동할 수 있으며, 지폐의 회수가 필요한 경우 회수 도어(205)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회수구를 개방할 수가 있다. 지폐 회수가 완료된 후에는 도어 구동부(207)는 반대로 회전하여 도어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며, 회수 도어(205)가 원상태로 복귀된 후에는 도어 잠금장치(206)가 작동하여 회수 도어(205)과 결속된다. 물론, 지폐를 회수할 때에도, 도어 구동부(207)가 작동하기 전에 미리 도어 잠금장치(206)가 회수 도어(205)로부터 분리되거나 회수 도어(205)가 열릴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어 잠금장치(206)로는 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도어 잠금을 위한 솔레노이드는 도어 구동부(207)와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으며, 제어부의 순차적인 명령에 따라 도어 잠금장치(206)의 솔레노이드 및 도어 구동부(207)의 모터가 차례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회수를 위해서는 릴레이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장치에 전원을 차례로 공급해야 하며, 작동되는 시기도 제어하여야 한다. 또한, 하나라도 작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다른 장치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실제로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어느 장치가 고장이 났는지를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또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얇고 가는 솔레노이드 바(bar)에 의해서 회수 도어(205)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하지만, 솔레노이드 바는 외부로부터 약간의 힘을 받더라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지폐 회수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게 된다. 일단, 지폐 출금부를 통해서 지폐 회수부가 노출되면, 노출된 부분을 통해서 지폐의 도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 들로 인해 금융 자동화기기(201)의 내부 장치가 파손되는 것은 물론, 지폐를 노리는 잦은 시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에는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을 하는 도어 구동부와 도어 잠금부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도어의 구동 기능 및 도어의 잠금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지폐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 출금부 및 지폐 회수부를 차단하는 회수 도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지폐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수 도어의 개폐 과정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잦은 개폐 및 잦은 잠금/해제 과정에서도 고장 없이 유지될 수 있는 지폐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수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열린 경우 및 기타 경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기기의 고장이나 지폐 분실 등에 대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폐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회수 장치는 하단부에 형성된 회수구를 갖는 지폐 적재부, 상기 회수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회수 도어,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 단이 연결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상기 회수 도어로 전달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동부, 상기 회수 도어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회수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 회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링크는 회수 도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간단한 링크 구조를 이룰 수 있지만, 제2 링크가 회수 도어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별도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기능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종래의 링크 구조가 다양하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회수 방법은 하단부에 형성된 회수구를 갖는 지폐 적재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회수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회수 도어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회수 도어의 개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연결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상기 회수 도어로 전달하는 제2 링크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수 도어가 열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회수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지폐가 지폐 회수부에 적재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회수 장치의 제1 및 제2 링크가 회전하여, 회수 도어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회수 장치는 지폐 적재부(202), 지폐 회수부(204), 회수 도어(205), 구동부(301), 제1 링크(302), 및 제2 링크(303)를 포함한다.
지폐 적재부(202)는 및 하단부에 형성된 회수구를 갖는다. 회수구는 사용자가 지폐 인출 과정에서 수거하지 않은 미수거 지폐에 대하여, 회수하기 위한 배출구이며, 이와 더불어 불량 지폐의 회수, 및 지폐 예금 등의 경우 상기 회수구가 지폐의 배출구로써 사용된다.
회수 도어(205)는 상기 회수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수구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구가 지폐 적재부(202)의 저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회수 도어(205)가 회수구의 상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수구는 지폐 적재부(202)의 전방에 위치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수 도어도 지폐 적재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수 도어(205)가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이 열리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이 열리는 구조가 사용될 수가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회수구는 회수 도어(205)에 의한 개폐 상태를 유지한 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의 회수구의 일측은 지폐 적재부(202)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가변적으로 지폐 적재부(20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이 지폐 적재부(202)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회수구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회수구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구동부(301)는 금융 자동화기기로부터 회수 도어(205)를 열린 상태로 전환하는 열림 전환 신호를 수신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부(301)는 회전이 가능하며, 일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수 도어(205)는 열린 상태로 전환하고, 타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수 도어(205)는 닫힌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지폐 회수 장치는 도어 구동부로서 제1 링크(302) 및 제2 링크(303)를 유지한다. 제1 링크(302)의 일단은 구동부(301)에 연결되고, 제1 링크(302)의 타단은 제2 링크(303)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 링크(303)의 타단은 회수 도어(205)에 연결된다.
구동부(301)는 금융 자동화기기로부터 회수 도어(205)의 닫힘 전환 신호 또는 열림 전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힘을 제1 링크(302)로 전달한다. 제1 링크(302)는 상기 타단에 연결된 제2 링크(303)에 전달하고, 제1 링크(302)는 상기 타단에 연결된 회수 도어(205)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전환한다.
지폐 회수부(204)는 회수 도어(205)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회수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지폐를 보관한다. 구동부(301)의 회전에 따라 회수 도어(205)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지폐는 중력에 의하여, 하단부의 지폐 회수부(204) 로 적재된다.
도 4는 도 3의 지폐 회수 장치에서 제1 및 제2 링크가 회전하여, 회수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수 도어(205)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링크(302) 및 제2 링크(303)는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며, 이에 따라 회수 도어(205)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에 대한 저항력이 최대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301)가 대략 상부에 위치한다. 즉, 닫힌 상태의 회수 도어(205)를 기준으로, 구동부(301)는 회수 도어(205)의 단부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회수 도어(205)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링크(302) 및 제2 링크(303)는 상호 겹쳐진 상태에 있으며,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를 닫힌 상태의 회수 도어의 단부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 위치하게도 할 수 있다. 구동부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는 상호 펼쳐진 상태가 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회수 도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회수 장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회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의 지폐 회수 장치는 도 3의 지폐 회수 장치와 비교하여 도어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 센서(304)는 회수 도어(205)의 위치를 판단하여 열린 또는 닫힌 상태를 판단한다. 일례로, 도어 센서(304)가 회수 도어(205)를 열린 상 태라고 판단하고, 구동부(301)가 회수 도어(205)의 닫힌 상태로 회전한 경우 소정의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알린다. 즉, 금융 자동화기기는 도어 센서(304)가 판단한 회수 도어(205)의 상태와 구동부(301)가 회전하여 유지하는 회수 도어(205)의 상태가 다른 경우, 소정의 경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회수 도어(205)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센서(304)는 역학센서, 광센서, 전자기센서, 음향센서, 열센서, 및 적외선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학센서는 물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접촉센서, 변위(물체의 이동거리, 위치)센서, 스트레인 게이지센서 및 유속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601, 602, 60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는 지폐 적재부, 회수 도어, 구동부,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유지한다.
지폐 적재부는 하단부에 지폐의 회수를 위한 회수구를 갖는다. 상기 회수구는 회수의 필요성이 있는 지폐를 중력의 힘으로 하단부로 배출한다. 회수구는 회수 도어를 통해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열린 상태인 경우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폐를 배출한다. 또한,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지폐의 배출을 방지하며, 상기 금융 자동화기기의 내부 장치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수 도어는 상기 구동부를 통해 개폐된다. 상기 구동부는 회 전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구동부 일단에는 제1 링크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 운동이 상기 제1 링크의 회전 운동을 야기시킨다.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는 제2 링크가 연결된다.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회수 도어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상기 회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으로 전환한다.
단계(604)에서, 상기 구동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의 회전은 상기 회수 도어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이로써, 닫힌 상태의 상태의 회수 도어는 열린 상태로 전환한다.
단계(605)에서, 상기 회수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지폐가 지폐 회수부에 적재된다. 지폐 회수부는 상기 회수 도어의 하단에 위치하고, 중력에 의하여 상기 지폐를 회수한다. 일례로, 상기 지폐 회수부는 상기 회수 도어의 하단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소정의 구동력으로 지폐를 회수할 수도 있다.
단계(606)에서, 상기 구동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수 도어를 닫힌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일방향에 대응되는 타방향으로 상기 구동부가 회전하여 상기 회수 도어를 닫는다(단계(607)).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단계(608)). 즉, 금융 자동화기기는 상기 일직선 상에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가 위치함에 따라, 상기 회수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을 최대한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 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에 따르면, 도어 구동 및 도어 잠금/해제는 하나의 모터 구동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를 담당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도어 구동부와 도어 잠금부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제어부는 상호 분리된 구동부와 잠금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야만 원활한 도어 개폐 및 도어 잠금을 수행할 수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어 구동부가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링크 간의 구조적인 지지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도어 구동 및 도어 잠금을 동시에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어 개폐 및 도어 잠금에 대한 구조를 하나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 외에도, 도어 개폐 및 도어 잠금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여 고장 발생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 등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지폐 출금부 및 지폐 회수부를 차단하는 회수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할 때,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링크 또는 제2 링크가 외력에 대해서 파손되지 않는 한, 안전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기존에 솔레노이드 및 솔레노이드 바가 외력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받아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과는 다르게, 제1 및 제2 링크는 외력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력에 대응하기 때문에 재질이 견디는 한에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수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열린 경우 및 기타 경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기기의 고장이나 지폐 분실 등에 대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2)

  1. 하단부에 형성된 회수구를 갖는 지폐 적재부;
    상기 회수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회수 도어;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연결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상기 회수 도어로 전달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회수 도어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회수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 회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닫힌 상태의 상기 회수 도어의 단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회수 도어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는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회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닫힌 상태의 상기 회수 도어의 단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회수 도어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는 상호 펼쳐진 상태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회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구는 상기 지폐 적재부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회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도어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회수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회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센서는 역학센서, 광센서, 전자기센서, 음향센서, 열센서 및 적외선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회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회수 도어를 열린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회수 도어의 닫힌 상태로 회전한 경우 소정의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지폐 회수 장 치.
  8.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방법에 있어서,
    하단부에 형성된 회수구를 갖는 지폐 적재부, 상기 회수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회수 도어, 상기 회수 도어의 개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연결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상기 회수 도어로 전달하는 제2 링크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수 도어를 열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회수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지폐가 지폐 회수부에 적재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회전하여 상기 회수 도어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닫힌 상태의 상기 회수 도어의 단부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회수 도어의 단부에 연결하며,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수 도어를 구조적으로 지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닫힌 상태의 상기 회수 도어의 단부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회수 도어의 단부에 연결하며,
    상기 회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상호 펼쳐진 상태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수 도어를 구조적으로 지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자동화기기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센서가 상기 회수 도어의 위치를 판단하여 열린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도어 센서가 판단한 상기 회수 도어의 상태와 상기 구동부가 회전하여 유지하는 상기 회수 도어의 상태가 다른 경우, 소정의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도어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 하거나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양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회수 방법.
KR1020050061482A 2005-07-08 2005-07-08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065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82A KR100651198B1 (ko) 2005-07-08 2005-07-08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82A KR100651198B1 (ko) 2005-07-08 2005-07-08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198B1 true KR100651198B1 (ko) 2006-12-01

Family

ID=3773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482A KR100651198B1 (ko) 2005-07-08 2005-07-08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6889A1 (zh) * 2012-05-10 2013-11-1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保障自助终端用户资金安全的装置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807A (ko) * 1992-10-29 1994-05-26 오오가 노리오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화 방법 및 복호화 장치
JPH09171574A (ja) * 1995-12-19 1997-06-30 Toyo Commun Equip Co Ltd 現金カセットの紙幣取込用扉ロック機構
JPH11238154A (ja) 1998-02-20 1999-08-31 Laurel Bank Mach Co Ltd 紙幣入出金機
KR20010073782A (ko) * 2000-01-20 2001-08-03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JP2004110640A (ja) 2002-09-20 2004-04-08 Oki Electric Ind Co Ltd 顧客操作口シャッタロック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807A (ko) * 1992-10-29 1994-05-26 오오가 노리오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화 방법 및 복호화 장치
JPH09171574A (ja) * 1995-12-19 1997-06-30 Toyo Commun Equip Co Ltd 現金カセットの紙幣取込用扉ロック機構
JPH11238154A (ja) 1998-02-20 1999-08-31 Laurel Bank Mach Co Ltd 紙幣入出金機
KR20010073782A (ko) * 2000-01-20 2001-08-03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JP2004110640A (ja) 2002-09-20 2004-04-08 Oki Electric Ind Co Ltd 顧客操作口シャッタロック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6889A1 (zh) * 2012-05-10 2013-11-1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保障自助终端用户资金安全的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6069B1 (en) Secure bag assembly for a lockable removable cassette
EP1607915B1 (en) Sheet handling machine
US20060144922A1 (en) Bill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US20170109958A1 (en)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KR100926856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KR100651198B1 (ko)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0603936B1 (ko) 셔터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099264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US8151967B2 (en) Banknot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banknotes therefrom
KR101016460B1 (ko) 회수기능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
EP3309758B1 (en) Cassette push plate locking device
KR101849182B1 (ko) 이미지 센싱을 통해 지폐의 이상을 검출하는 출금기
KR20070037924A (ko) 지폐카세트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80117505A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102128949B1 (ko)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20039355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399009Y1 (ko) 카세트프레임 도어 잠금장치
KR100696993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의 초기화 방법
CN103021075A (zh) 上锁装置和现金自动交易装置
JP3736178B2 (ja) 自動取引装置の筺体構造
KR101965855B1 (ko) 도어 잠금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금고 및 금융기기
WO2010025371A1 (en) Removable currency storage unit with content access monitoring
KR200393555Y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398687Y1 (ko) 카세트 프레임 잠금장치
KR10068824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의출금장치의 현금회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