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789B1 -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789B1
KR100650789B1 KR1020060078464A KR20060078464A KR100650789B1 KR 100650789 B1 KR100650789 B1 KR 100650789B1 KR 1020060078464 A KR1020060078464 A KR 1020060078464A KR 20060078464 A KR20060078464 A KR 20060078464A KR 100650789 B1 KR100650789 B1 KR 10065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groove
receiving space
main body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준
Original Assignee
(주)성지토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지토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성지토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6007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가 달린 다륜차가 차도와 차도보다 높게 형성되는 인도 사이를 원활히 교통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도와 맞닿는 인도에 절개 형성된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그 상면이 인도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되고, 중심에는 상면 및 전면으로 개구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한 쌍의 탑재공간을 갖추며,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가요성 및 탄성재질로 된 완충부재가 개구된 전면을 폐구하는 본체; 상기 탑재공간에 안착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제어기와, 상기 실린더와 맞물려 유압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쪽으로 수평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 쪽 일면 중심에는 중심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곡선으로 절개된 가이드라인을 갖는 이동체와, 둘레면을 따라 절개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의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중심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돌부와 이 회전돌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라인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돌부를 구비한 바퀴고정대로 구성된 한 쌍의 푸싱장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면을 폐구하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본체와 측면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타단 저면이 상기 완충부재와 맞닿아 상하로 이동하고, 저면에는 양측면으로 사면을 이루면서 상광하협한 돌출부가 구성되며, 상기 사면은 상기 바퀴와 맞닿으면서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리는 돌부가 상하로 형성되는 한편, 상면은 수용홈을 이루고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경사면체; 상기 경사면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수용홈 내에 탑재되어 상기 경사면체의 상면으로부터 받는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감지부재; 스피커; 및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기로부터 현재 신호등의 상태를 전달받아 청색등 및 적색등의 점등에 따라 상기 푸싱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경사면체가 경사로를 이루기 전 상기 중량감지부재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Incline mak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를 이루는 경사로 생성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체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싱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체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1 ; 차도 12 ; 인도
13 ; 신호등지주 14 ; 안착홈
100 ; 경사로 생성기 110 ; 본체
111 ; 수용공간 112 ; 회전축
113 ; 탑재공간 114 ; 완충부재
115 ; 덮개 120 ; 경사면체
121 ; 회전대 122 ; 축구멍
123 ; 돌출부 123a ; 사면
130, 130' ; 푸싱장치 131 ; 실린더
132 ; 피스톤 133 ; 이동체
134 ; 바퀴고정대 135 ; 회동축
136 ; 바퀴 136a ; 가이드홈
137 ; 유압제어기 140 ; 중량감지부재
150 ; 제어모듈 160 ; 조작부
170 ; 스피커
본 발명은 바퀴가 달린 다륜차가 차도와 차도보다 높게 형성되는 인도 사이를 원활히 교통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도는 차도보다 높게 형성되어 바퀴가 달린 다륜차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다. 여기서 다륜차란 휠체어, 자전거 또는 유모차 등을 통칭한다.
따라서, 횡단보도와 같이 차도를 통해 인도로 진입하거나 그 반대로 진입해야하는 장소의 경우, 다륜차의 이동이 어려워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장소의 인도를 낮추어 차도와 그 높이가 맞도록 경사지게 시공하고 있으나, 이럴 경우 차량이 인도로 쉽게 진입할 수도 있어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이 침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경사진 인도에 차량의 진입을 막는 볼라드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블라드의 추가는 도시의 외관미를 훼손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블라드가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해 경사진 인도의 중심부에 설치되면서 폭이 큰 휠체어 등의 다륜차는 오히려 그 이동이 방해를 받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도와 인도 간의 높이 차를 유지하면서 차량의 진입을 막는 한편, 횡단보도와 같이 인도와 차도 간의 원활한 이동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다륜차가 상기 높이 차를 극복하여 쉽게 왕래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도와 맞닿는 인도에 절개 형성된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그 상면이 인도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되고, 중심에는 상면 및 전면으로 개구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한 쌍의 탑재공간을 갖추며,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가요성 및 탄성재질로 된 완충부재가 개구 된 전면을 폐구하는 본체;
상기 탑재공간에 안착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제어기와, 상기 실린더와 맞물려 유압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쪽으로 수평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 쪽 일면 중심에는 중심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곡선으로 절개된 가이드라인을 갖는 이동체와, 둘레면을 따라 절개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의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중심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돌부와 이 회전돌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라인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돌부를 구비한 바퀴고정대로 구성된 한 쌍의 푸싱장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면을 폐구하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본체와 측면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타단 저면이 상기 완충부재와 맞닿아 상하로 이동하고, 저면에는 양측면으로 사면을 이루면서 상광하협한 돌출부가 구성되며, 상기 사면은 상기 바퀴와 맞닿으면서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리는 돌부가 상하로 형성되는 한편, 상면은 수용홈을 이루고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경사면체;
상기 경사면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수용홈 내에 탑재되어 상기 경사면체의 상면으로부터 받는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감지부재;
스피커; 및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기로부터 현재 신호등의 상태를 전달받아 청색등 및 적색등의 점등에 따라 상기 푸싱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경사면체가 경사로를 이루기 전 상기 중량감지부재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성시스템는 다륜차의 통행에 어려움을 주는 차도(11)와 인도(12) 간의 높이 차를 유지하는 본체(110)와, 이 본체(11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경사면체(120)로 이루어진 경사로 생성기(100)를 통해 극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경사로 생성기(100)는 횡단보도가 설치된 인도(12)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경사로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체(120)는 본체(110)와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차도(11)쪽 타단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경사면체(120)의 작동은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통신하면서 횡단신호인 청색등이 점등할 때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강제로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에서, 상기 경사로 생성기(100)는 횡단보도의 신호가 바뀔 때마다 항시 작동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상황에만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작부(160)는 버튼방식으로 신호등 지주(13)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생성기(100)에 인접한 지주 등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를 이루는 경사로 생성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체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작동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생성기(100)는 인도(12)에 절개 형성된 안착홈(14)으로 삽입 고정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경사면체(120)와, 상기 경사면체(120)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푸싱장치(1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인도(12)를 시공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형성시스템를 용이하게 완성할 수 있도록 경사로 생성기(100)를 일체로 포장하는 것으로, 경사면체(12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수용공간(111)을 갖추고, 상기 푸싱장치(130)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공간(113)을 상기 수용공간(111)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체(120)의 일단을 고정하면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회전축(112)이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푸싱장치(130)은 동력을 일으키는 장치로, 사용에 따라 수리가 필요할 수 있는 바, 상기 탑재공간(113)에 탑재되는 푸싱장치(130)를 상기 본체(110)의 매설 후에도 쉽게 관리하고 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개구부(미도시함)을 두고, 평상시에는 상기 개구부를 덮어 폐구하는 덮개(115)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수용공간(1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경사면체(120)의 상하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11)의 전면이 개구되도록 절개한다. 즉, 평상시에는 경사면체(120)의 타단이 차도(11)쪽 전방으로 돌출되어 차도(11)와 인도(12) 사이에 턱을 형성하다가, 유사시 경사면체(120)가 경사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타단이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걸림없이 상기 경사면체(12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111)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경사면체(120)의 타단 저면을 지지하는 완충부재(1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14)는 가요성, 탄성을 갖는 재질로 경사면체(120)의 타단 저면과 맞물려서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경사면체(120)가 경사로를 만들기 위해 회동할 시 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경사면체(120)의 타단이 충분히 내려가 수용공간(111)의 바닥과 닿으면 상기 바닥과 경사면체의 타단 저면을 상호 완충한다. 이를 위한 상기 완충부재(114)는 스폰지와 같은 다공성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체(120)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면 개구부를 덮어 폐구하며, 상기 회전축(112)이 맞물리는 축구멍(122)을 갖는 회전대(121)가 측면의 일단에 편중되게 형성된 평판형상이다.
그런데, 상기 경사면체(120)의 저면은 양측면이 상광하협한 형상으로 경사진 돌출부(123)를 갖는다.
상기 푸싱장치(130)는 본체(110)의 탑재공간(113)에 탑재되며, 유압으로 피 스톤 운동을 하는 실린더(131) 및 피스톤(132)과, 상기 피스톤(132)에 연결되는 이동체(133)와, 상기 이동체(133)에 체결되며 회전하는 바퀴(136)를 고정하는 바퀴고정대(134) 및 상기 실린더(131) 및 피스톤(132)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제어기(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싱장치(130)는 한 쌍의 탑재공간(113)에 각각 탑재될 수 있는 한 쌍이 구비되어서, 상기 바퀴(136)가 양측면이 경사진 돌출부(123)의 사면(123a)과 각각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싱장치(130)는 경사면체(1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사면(123a)에 힘을 가해 경사면체(120)의 상하이동을 이룬다. 물론, 도 3을 통해 도시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체(120)의 작동원리를 보이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상기 경사면체(120)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도 3의 경사면체(120)의 동작모습과는 달리 그 타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모습이 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경사면체(120)는 다륜차가 통과하는 구간으로, 비교적 큰 하중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12)을 전동기와 연결시켜 상기 전동기의 힘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경사면체(120)의 자중과 다륜차 등으로부터 받게 되는 하중이 회전축(112) 및 상기 전동기에 무리를 주어 쉽게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장을 막기 위해 전동기의 출력을 높이려면, 고가의 전동기와 높은 전력을 소비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성시스템에는 상기 경사면체(120)의 회동을 위해 회전축(112)의 회전이 아닌 경사면체(120)를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되어 운용효율을 높이고 그 동작을 안정적이면서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체(120)를 밀어올리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푸싱장치(130, 130')가 경사면체(120)의 양측 사면(123a)에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즉, 상기 유압제어기(137)가 실린더(131)의 유압을 높이면, 실린더(131)에 맞물린 피스톤(132)이 사면(123a)쪽으로 이동하고, 이동체(133)에 고정된 바퀴(136)는 사면(123a)과 맞물리는 것이다.
도 3(a)는 평상시 경사면체(120)가 수평하게 위치되면서 유압제어기(137)가 가하는 유압으로 지지되는 모습이다.
도 3(b)는 횡단보도의 신호가 통행신호로 바뀌면 유압제어기(137)가 실린더(131) 내 유압을 낮추어 경사면체(120)의 하중이 바퀴(136), 바퀴고정대(134), 이동체(133) 및 피스톤(132) 등으로 순차 전달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피스톤(132)이 실린더(131)를 따라 이동한 모습이다.
물론, 횡단보도의 신호가 정지신호로 바뀌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제어기(137)가 실린더(131) 내 유압을 높여 피스톤(132)이 수평이동하도록 하고, 이로인해 상기 바퀴(136)가 경사면체(120)의 사면(123a)과 맞물려 상기 경사면체(120)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계속해서, 상기 경사면체(120)의 상면은 절개되어 수용홈(124)을 이루고, 상기 수용홈(124)으로는 중량감지부재(140)가 탑재된다. 한편, 상기 중량감지부재(14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수용홈(124)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커버(125)를 덮는다.
상기 중량감지부재(140)는 경사면체(120)의 상면으로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여,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것이다. 즉, 차도(11)를 횡단하기 위해 기다리는 보행자가 상기 경사면체(120) 상에 위치하면 상기 경사면체(120)가 작동하면서 상기 보행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전이 경고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은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조작부(160)와 푸싱장치(130) 및 중량감지부재(140)와 연동하고,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70)와 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기(15)와 통신하면서 제어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형성시스템은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작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160)가 사용 희망자에 의해 조작되면 그 신호는 제어모듈(15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신호기(15)로부터 현재 신호상태를 확인하여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는 청색등이 점등된 상태라면 푸싱장치(130)를 작동시켜 상기 경사면체(120)를 내리고, 적색등이 점등된 상태라면 청색등이 점등될 때까지 대기한 후 청색등이 점등되면 푸싱장치(130)를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50)은 중량감지부재(140)와 통신하면서, 경사면체(120)가 경사로를 이루기 전 경사면체(120)의 상면에 무게가 감지되면 스피 커(17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러한 경고음은 안내멘트가 될 수도 있고, 싸이렌과 같은 소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을 통해 보면, 경사면체(120)의 자중과 경사면체(120)가 받는 모든 하중은 한 쌍의 상기 푸싱장치(130, 130')에 집중된다. 따라서, 경사면체(120)가 가하는 자중 및 하중을 일차로 받게 되는 바퀴(136)는 사면(123a)과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넓혀 상기 자중 및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퀴(136)는 상당한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을 하고, 하나의 회동축(135)을 매개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바퀴고정대(134)의 회전편(134a)과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바퀴(136)가 사면(123a)의 수평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되어 상기 자중 및 하중을 분산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사면체(120)는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차도(11) 타단이 상하로 회전하므로, 상기 사면(123a)이 항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결국, 상기 사면(123a)의 길이에 상응하게 형성된 바퀴(136)와 사면(123a)과의 완전한 맞물림에 제한을 받는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 또한 다음과 같은 구조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싱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체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면(123a)은 경사면체(120)의 회동으로 그 위치가 변한다. 따라서, 상기 바퀴(136) 또한 상기 사면(123a)의 위치변화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서, 상기 사면(123a)과 바퀴(136)가 경사면체(120)의 동작에 관계없이 항시 완전히 맞물리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퀴(136)를 고정하는 바퀴고정대(134)의 중심에는 회전돌부(134b)를 두고, 상기 바퀴고정대(134)가 고정되는 이동체(133)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돌부(134b)가 회전가능하게 박히는 중심홈(133a)을 두어, 상기 회전돌부(134b)와 중심홈(133a)을 매개로 상기 바퀴(136)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돌부(134b)와 중심홈(133a)이 받는 힘을 분담하기 위해 상기 바퀴고정대(134)에는 상기 회전돌부(134b)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가이드 돌부(134c)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체(133)의 일면에서 상기 중심홈(133a)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곡선으로 절개된 가이드라인(133b)을 각각 배치한다. 상기 가이드 돌부(134c)와 가이드라인(133b)은 상기 바퀴고정대(134)의 회전각도를 제한 및 안내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바퀴(136)가 경사면체(120)의 사면(123a)과 밀착되어 그 이동에 따를 수 있도록, 상기 바퀴(136)의 둘레면에는 가이드홈(136a)이 형성되고, 상기 사면(123a)의 해당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홈(136a)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돌부(123b)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136a)과 돌부(123b)가 서로 결합되면서 경사면체(120)의 이동에 따른 상기 바퀴(136)의 움직임이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는 상기 경사면체(120)가 인도(12)와 수평하게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상기 경사면체(120)가 경사로를 제공하기 위해 회동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차에 의한 턱을 갖는 인도와 차도 사이를 다륜차가 쉽게 통행할 수 있도록 경사면체가 경사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인도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미관을 해치거나 불필요한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Claims (1)

  1. 차도와 맞닿는 인도에 절개 형성된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그 상면이 인도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되고, 중심에는 상면 및 전면으로 개구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한 쌍의 탑재공간을 갖추며,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가요성 및 탄성재질로 된 완충부재가 개구된 전면을 폐구하는 본체;
    상기 탑재공간에 안착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제어기와, 상기 실린더와 맞물려 유압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쪽으로 수평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 쪽 일면 중심에는 중심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곡선으로 절개된 가이드라인을 갖는 이동체와, 둘레면을 따라 절개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의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중심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돌부와 이 회전돌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라인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돌부를 구비한 바퀴고정대로 구성된 한 쌍의 푸싱장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면을 폐구하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본체와 측면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타단 저면이 상기 완충부재와 맞닿아 상하로 이동하고, 저면에는 양측면으로 사면을 이루면서 상광하협한 돌출부가 구성되며, 상기 사면은 상기 바퀴와 맞닿으면서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리는 돌부가 상하로 형성되는 한편, 상면은 수용홈을 이루고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경사면체;
    상기 경사면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수용홈 내에 탑재되어 상기 경사면체의 상면으로부터 받는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감지부재;
    스피커; 및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기로부터 현재 신호등의 상태를 전달받아 청색등 및 적색등의 점등에 따라 상기 푸싱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경사면체가 경사로를 이루기 전 상기 중량감지부재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KR1020060078464A 2006-08-19 2006-08-19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KR10065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464A KR100650789B1 (ko) 2006-08-19 2006-08-19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464A KR100650789B1 (ko) 2006-08-19 2006-08-19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789B1 true KR100650789B1 (ko) 2006-11-30

Family

ID=3771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464A KR100650789B1 (ko) 2006-08-19 2006-08-19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7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59B1 (ko) 2006-12-04 2007-03-29 (주)한성개발공사 차량진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횡단보도의 도로구조
KR100930087B1 (ko) * 2008-11-28 2009-12-07 (주)서일테크씨에프 카 스토퍼
KR101200002B1 (ko) * 2010-03-03 2012-11-12 주식회사 광명라이팅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KR102241980B1 (ko) * 2021-01-11 2021-04-19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Rfid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702U (ja) 1981-12-19 1983-06-27 株式会社高岳製作所 グレ−ティング装置
JP2005048423A (ja) 2003-07-28 2005-02-24 Univ Kinki 縁石構造物
KR200406095Y1 (ko) 2005-10-28 2006-01-20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도로 경계턱의 경사로 설치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702U (ja) 1981-12-19 1983-06-27 株式会社高岳製作所 グレ−ティング装置
JP2005048423A (ja) 2003-07-28 2005-02-24 Univ Kinki 縁石構造物
KR200406095Y1 (ko) 2005-10-28 2006-01-20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도로 경계턱의 경사로 설치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59B1 (ko) 2006-12-04 2007-03-29 (주)한성개발공사 차량진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횡단보도의 도로구조
KR100930087B1 (ko) * 2008-11-28 2009-12-07 (주)서일테크씨에프 카 스토퍼
KR101200002B1 (ko) * 2010-03-03 2012-11-12 주식회사 광명라이팅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KR102241980B1 (ko) * 2021-01-11 2021-04-19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Rfid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789B1 (ko) 횡단보도와 인도 간의 경사면 형성시스템
US7104721B2 (en) Turntable barrier system
US9617698B1 (en) Permeable paver and modular light system
KR101131851B1 (ko)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0652930B1 (ko) 다륜차의 선택적 통행이 가능한 도로구조
KR20130128071A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100890619B1 (ko) 횡단보도용 수신호기
KR100700064B1 (ko) 보도를 갖는 도로의 보행자 보호장치
CN105696828B (zh) 转体式停车位
WO2021001588A1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peatones destinado a ser instalado en una entrada de paso de peatones
NL2004899C2 (nl) Slagboominstallatie, slagboom en werkwijze hiervoor.
CN102444091A (zh) 一种交通自动管制方法
KR100701059B1 (ko) 차량진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횡단보도의 도로구조
KR19990017571U (ko) 가로등의반사판조절장치
KR200452730Y1 (ko) 개폐형 볼라드
KR101224474B1 (ko) 출입통제용 바리케이드
KR100700385B1 (ko) 차량진입을 차단하는 도로구조
KR200307144Y1 (ko) 내 충격성을 갖는 볼라드
JP2008155787A (ja) 乗用モノレール、乗用台車及び乗用モノレールの敷設方法
KR20070051992A (ko) 주차장용 차단장치
KR100945676B1 (ko) 과속방지턱 장치
KR100650780B1 (ko) 주행차량 감속을 위한 도로구조
KR101923685B1 (ko) 충격완화 및 시인성이 향상된 경계석용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