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778B1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 Google Patents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778B1
KR100650778B1 KR1020050128458A KR20050128458A KR100650778B1 KR 100650778 B1 KR100650778 B1 KR 100650778B1 KR 1020050128458 A KR1020050128458 A KR 1020050128458A KR 20050128458 A KR20050128458 A KR 20050128458A KR 100650778 B1 KR100650778 B1 KR 10065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owder
austenitic stainless
content
stainless steel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모
Original Assignee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창원특수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창원특수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05012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protect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22D11/002Stainless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005Manufacture of stainless st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Mold Powd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로, SiO2: 31.05~34.50%, CaO: 31.25~34.85%, Al2O3: 5.23~7.36%, Na2O: 5.35~7.30%, F: 3.20~5.60%, 프리(free) C: 4.05~5.05%, 전체 C(전체 C는 프리 C 및 CO2내 C함량 포함): 5.33~6.33%, CO2: 4.6~4.7 %, 나머지 연소손실(loss of ignitio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그 염기도(CaO/SiO2)가 0.90~1.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의 연속주조시 종래의 주편표면에 비해 양호한 표면상태를 얻을 수 있어 표면연삭 회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표면결함, 몰드 파우더, 스테인레스, 불룸, 면세로크랙

Description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A mold powder for austenitic stainless steel bloom}
도 1은 종래의 몰드 파우더를 사용한 주편의 표면품질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몰드 파우더를 사용한 주편의 표면품질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몰드 파우더를 사용한 주편의 응고조직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몰드 파우더를 사용한 주편의 응고조직을 관찰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Mold Powd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주조로 제조되는 스테인레스 불룸의 표면결함을 저감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에 관한 것이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은 가열로에서 최적의 온도로 가열되어 압연라인을 거쳐 각종 봉강 및 선재로 생산되며, 기계부속류, 산업설비류 부품, 주방 및 의료기기 등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연속주조로 제조되는 스테인레스 불룸은 표면결함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제품의 표면품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는 몰드 파우더는 연속주조시 스테인레스 불룸의 표면에 불균일 응고 및 이상응고 현상을 일으키므로 주편 표면결함의 원인이 된다. 여기에서 표면결함이라 함은 면세로크랙, 면가로크랙 및 스타크랙 등을 말하는데 각각의 생성원인은 서로 다르며, 몰드 파우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표면결함은 면세로크랙으로써 그 생성원리는 다음과 같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을 연속주조할 때의 초기 응고시에 강의 표면에는 델타-페라이트가 생성되어 감마-오스테나이트로 체적감소와 함께 변태를 하게 된다. 이때 체적감소로 인해 에어 갭(Air gap)이 발생하는데, 상기 에어 갭은 주형과 응고 쉘(shell)간의 열전달을 감소시켜 응고쉘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고, 이러한 두께가 불균일한 응고쉘 주변에 인장응력 등이 집중되면 필연적으로 면세로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불균일 응고와는 양상이 다르지만, 블리딩(bleeding)이라고 불리는 이상응고 현상도 불룸의 단변에 면세로크랙을 유발하므로 이에 대한 면세로 크랙의 발생빈도를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주편 표면결함은 후공정 최종제품의 품질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종래에는 연속주조후 주조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면크랙의 유무 및 정도에 따라 표면을 연삭(grinding)하여 표면결함을 제거하였다. 이러한 경우 최종제품의 품질은 향상시킬수 있으나 실수율이 저하되고, 별도의 연삭비용이 부담되는 등 단점이 있 으므로 가능한 한 표면 연삭없이 양호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몰드 파우더의 조성을 개선하여 표면크랙의 발생빈도를 낮추고 표면연삭의 횟수를 줄임으로써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의 표면품질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SiO2: 31.05~34.50%, CaO: 31.25~34.85%, Al2O3: 5.23~7.36%, Na2O: 5.35~7.30%, F: 3.20~5.60%, 프리(free) C: 4.05~5.05%, 전체 C(전체 C는 프리 C 및 CO2내 C함량 포함): 5.33~6.33%, CO2: 4.6~4.7 %, 나머지 연소손실(loss of ignitio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그 염기도(CaO/SiO2)가 0.90~1.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성분제한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SiO2: 31.05~34.50중량%(이하, 단지 '%'로 기재함)
상기 SiO2는 본 발명에서 염기도를 결정하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31.05% 미만이거나 34.50%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CaO함량에 따른 염기도를 만족할 수 없으므 로, 그 함량을 31.05~34.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O: 31.25~34.85%
상기 CaO도 본 발명에서 염기도를 결정하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31.25% 미만이거나 34.85%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SiO2 함량에 따른 염기도를 만족할 수 없으므로, 그 함량을 31.25~34.8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2O3: 5.23~7.36%
상기 Al2O3는 통상적으로 점도를 증가시키나 결정화온도 및 응고온도를 낮추는 성분이기도 하다. 그 함량이 5.23% 미만이면 점도가 낮아져서 몰드파우더의 유동성은 좋아지나 소모량이 늘어나고, 7.36%를 초과하면 몰드파우더내 점도는 증가하나 브레이크 아웃의 위험성이 커진다. 따라서, 그 함량을 5.23~7.36%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a2O: 5.35~7.30%
상기 Na2O는 몰드파우더의 점도를 증가시키는데 유효한 성분으로, 그 함량이 5.35%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7.30%를 초과하면 Al2O3를 과도하게 흡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그 함량을 5.35~7.3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3.20~5.60%
상기 F는 점도를 저하시키고 몰드파우더의 결정화온도 및 용융온도를 저하시키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3.20% 미만이면 점도, 결정화온도 및 용융온도가 높아지고, 5.60%를 초과하면 몰드파우더의 소모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그 함량을 3.20~5.6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 C: 4.05~5.05%
상기 프리(free) C는 몰드파우더의 용융속도를 감소시키는데 유효한 성분으로, 그 함량이 4.05%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5%를 초과하면 몰드파우더내 탄소가 용강중으로 침탄하여 표면크랙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함량을 4.05~5.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C: 5.33~6.33%
상기 전체 C는 상기 프리 C 및 CO2내 C함량을 포함한 값을 의미하며, 그 함량이 5.33% 미만이면 용융금속 상부에 형성된 몰드파우더 용융풀의 온도가 낮아져 몰드파우더층이 비정상적으로 굳어버릴 가능성이 크고, 6.33%를 초과하면 연소가 너무 활발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그 함량을 5.33~6.3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2: 4.6~4.7%
상기 CO2는 몰드파우더 분말층상의 화염층을 현저하게 확보하여 용강 보온능을 개선하면서 이상응고 현상 및 슬래그림 발생현상을 개선시키는데 유효한 성분으로, 그 함량이 4.6% 미만이면 용융금속 상부에 형성된 몰드파우더 용융풀의 온도가 낮아져 몰드파우더층이 비정상적으로 굳어버릴 가능성이 크고, 4.7%를 초과하면 연소가 너무 활발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그 함량을 4.6~4.7%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 이외에 나머지는 연소손실(loss of ignition)이며, 기타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로는 예를 들면 MgO, MnO, P2O5, K2O, Fe2O3 및 수분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파우더는 상기한 성분 조성을 만족함과 아울러 0.90~1.12 범위의 염기도(CaO/SiO2)를 가져야 하는데, 이는 통상적인 오스테나이트계 몰드 파우더의 염기도(약 0.86정도)에 비하여 상향조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염기도를 상향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염기도에 따라 용강열에 의한 몰드 파우더의 용융, 몰드 슬래그 풀 형성 및 몰드와 주편사이로의 몰드 파우더의 윤활 특성이 달라지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한 염기도 범위는 고점도 조건에서 몰드 파우더의 소모가 적어 경제적이면서 우수한 몰드 파우더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표 1의 조성 및 염기도를 갖는 몰드 파우더를 제조하고, 각각의 몰드 파우더를 불룸용 몰드내에 취입하여 불룸을 주조한 후 표면품질을 관찰하였다.
이때 몰드 파우더의 용융온도와 점도(poise)는 종래예에서는 용융온도가 1143℃, 점도가  4.01이었으며, 발명예에서는 용융온도가 1115℃, 점도가  4.60이었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SiO2 CaO Al2O3 Na2O F 프리C 전체C CO2 염기도 점도
종래예 36.48 31.22 5.09 5.88 6.66 3.50 4.82 - 0.86 4.01
발명예 33.09 33.28 6.23 6.42 4.08 4.55 5.83 4.69 1.01 4.60
도 1은 종래의 몰드파우더를 사용해서 주편의 표면품질을 관찰한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몰드파우더를 사용해서 주편의 표면품질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육안으로 보더라도 본 발명의 몰드파우더를 사용한 주편의 표면이 훨씬 양호한 결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몰드파우더를 사용한 경우에는 불균일 응고에 의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도 3과 도 4는 각각 종래의 몰드파우더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본 발명의 몰드파우더를 사용했을 경우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응고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종래의 몰드파우더를 사용한 경우에 응고조직에 까맣게 보이는 불균일 응고조직이 많이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몰드파우더를 사용한 경우에는 응고조직이 대부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의 연속주조시 종래의 주편표면에 비해 양호한 표면상태를 얻을 수 있어 표면연삭 회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중량%로, SiO2: 31.05~34.50%, CaO: 31.25~34.85%, Al2O3: 5.23~7.36%, Na2O: 5.35~7.30%, F: 3.20~5.60%, 프리(free) C: 4.05~5.05%, 전체 C(전체 C는 프리 C 및 CO2내 C함량 포함): 5.33~6.33%, CO2: 4.6~4.7 %, 나머지 연소손실(loss of ignitio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그 염기도(CaO/SiO2)가 0.90~1.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KR1020050128458A 2005-12-23 2005-12-23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KR10065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458A KR100650778B1 (ko) 2005-12-23 2005-12-23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458A KR100650778B1 (ko) 2005-12-23 2005-12-23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778B1 true KR100650778B1 (ko) 2006-11-30

Family

ID=3771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458A KR100650778B1 (ko) 2005-12-23 2005-12-23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5791A (zh) * 2018-07-09 2018-08-31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低镍高氮奥氏体不锈钢连铸结晶器保护渣
CN112620598A (zh) * 2020-12-16 2021-04-09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索氏体不锈钢专用连铸结晶器保护渣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697A (ja) * 1998-07-30 2000-02-15 Kawasaki Steel Corp 高Al含有鋼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JP2000071051A (ja) * 1998-08-31 2000-03-07 Nkk Corp 鋼の連続鋳造用パウダー
JP2001205402A (ja) * 2000-01-28 2001-07-31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697A (ja) * 1998-07-30 2000-02-15 Kawasaki Steel Corp 高Al含有鋼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JP2000071051A (ja) * 1998-08-31 2000-03-07 Nkk Corp 鋼の連続鋳造用パウダー
JP2001205402A (ja) * 2000-01-28 2001-07-31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5791A (zh) * 2018-07-09 2018-08-31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低镍高氮奥氏体不锈钢连铸结晶器保护渣
CN112620598A (zh) * 2020-12-16 2021-04-09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索氏体不锈钢专用连铸结晶器保护渣及其应用
CN112620598B (zh) * 2020-12-16 2022-02-11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索氏体不锈钢专用连铸结晶器保护渣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7315B2 (ja) 環境に優しい無鉛快削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5083143B2 (ja) 高Al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フラックス及び鋳片の製造方法
KR10065077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KR20130009472A (ko) 연속주조용 몰드파우더
KR100650779B1 (ko) 저탄소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KR100450611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주주편제조방법
KR101027246B1 (ko) 절삭성이 우수한 친환경 무연쾌삭강 및 그 제조방법
JPH0565263B2 (ko)
KR100548726B1 (ko) 유황함유 스텐레스 쾌삭강용 몰드파우더
KR100349148B1 (ko) 고응력고실리콘스프링용선재의제조방법
JP2001191153A (ja) B含有鋼の連続鋳造用パウダーおよび連続鋳造方法
KR101197881B1 (ko) 저탄소 유황 쾌삭강 주편의 제조방법
KR101259223B1 (ko) 저탄소강 빌렛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탄소강 빌렛
KR20040056867A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JP3158233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4717357B2 (ja) 炭素鋼の高速連続鋳造方法
KR101020098B1 (ko) 용강 래들용 내화물
KR101675672B1 (ko) 보론강의 제조 방법
JP2002205153A (ja) B含有鋼のための連続鋳造用パウダーおよびb含有鋼の製造方法
KR20010027741A (ko) 고탄소 합금 공구강의 연속주조방법
CN102764870A (zh) 一种低合金钢连铸坯的质量改进方法
KR101435035B1 (ko) 크랙이 저감된 미니밀 공정에 의한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연강판
JPH04279246A (ja) 内部品質が健全な連続鋳造丸鋳片
KR100584759B1 (ko) 면거침이 발생하지 않는 주방용 304j 1강의 연속주조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574447B1 (ko) 철-크롬-알루미늄계 압연 빌렛의 표면균열 저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