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603B1 - 응축방울 검지센서 - Google Patents

응축방울 검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603B1
KR100650603B1 KR1020050096076A KR20050096076A KR100650603B1 KR 100650603 B1 KR100650603 B1 KR 100650603B1 KR 1020050096076 A KR1020050096076 A KR 1020050096076A KR 20050096076 A KR20050096076 A KR 20050096076A KR 100650603 B1 KR100650603 B1 KR 10065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wells
inclined surfaces
detection sensor
silic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락
한무호
김성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9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01N27/22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by using hygroscopic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4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using distillation, extraction, sublimation, condensation, freezing, or crystallisation
    • G01N25/14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using distillation, extraction, sublimation, condensation, freezing, or crystallisation by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603Making arrays on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 B01J2219/00605Making arrays on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the compounds being directly bound or immobilised to solid supports
    • B01J2219/00614Delimitation of the attachment areas
    • B01J2219/00617Delimitation of the attachment areas by chemical means
    • B01J2219/00619Delimitation of the attachment areas by chemical means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region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방울 검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응축된 미량의 물방울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는 응축방물 검지센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의 중앙에 경사식각에 의해 우물(well)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상면과 상기 우물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상기 우물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과 이에 연이은 상기 실리콘 산화막 일부의 상면에 박막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검지센서를 실리콘 기판을 이용하여 반도체 공정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설비 주위에 형성된 응축 물방울을 실시간으로 검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설비를 운영할 수 있고, 센서의 검지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응축 방울, 검지, 실리콘 산화막, 소수성 박막, 어레이 박막

Description

응축방울 검지센서{Detecting sensor of a drop of water condensa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방울 검지센서의 평면도(a)와 단면도(b).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방울 검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검지 개념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방울 검지센서의 우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a)와 단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응축방울 검지센서 12 : 소수성 박막
14 : 박막형 전극 16 : 우물
17 : 실리콘 경사 식각면 18 : 실리콘 기판
19 : 실리콘 산화막 40 : 병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
50 : 직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
본 발명은 응축방울 검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리콘 기판에 경사면과 박막형 전극을 갖는 우물구조를 형성하고, 박막형 전극과 그 사이의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기가 많거나, 외부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된 미량의 물방울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는 응축방울 검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 표면의 온도가 실내 공기의 노점(dew point)이하로 떨어지면 그 표면에 이슬이 맺히고, 이 이슬이 응축되어 물이 되어 떨어지는데, 이러한 미량의 응축방울은 수냉식 냉각방법을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응축된 물방울을 검지하기 위하여 설비 환경에 맞게 습도 센서나 광학 검지 장치들을 이용하였으나 오 동작 및 설치 환경에 맞지 않아 주로 사람이 이를 육안으로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경우 미량의 응축방울은 사람에 의해 인지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고 전류 및 고 전압 하에서는 물방울을 검지하기 위해서 전류나 전압 방식의 검지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고 전류 및 고 전압의 영향에 의해 검지센서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며, 또한 센서의 전류 및 전압이 설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검지 센서의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센서는 해당 설비의 여러 부분에 설치하기 때문에 저가제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응축된 물방울로 인한 설비의 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적이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검지센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리콘 기판에 경사면과 박막형 전극을 갖는 우물구조를 형성하여, 박막형 전극과 그 사이의 공기에 의해 커패시턴스를 형성하고, 우물 내부에 물방울이 형성되거나 떨어질 때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여 응축된 미량의 물방울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는 응축방물 검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리콘 기판에 경사면과 박막형 전극을 갖는 우물구조를 어레이형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응축방울의 검지영역을 확장하여 응축된 미량의 물방울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응축방울 검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의 중앙에 경사식각에 의해 우물(well)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상면과 상기 우물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상기 우물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과 이에 연이은 상기 실리콘 산화막 일부의 상면에 박막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막형 전극이 그 두께가 0.3 ~ 0.6㎛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산화막의 상면에 소수성 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응축방울 검지센서는 실리콘 기판에 경사식각에 의해 다수의 우물이 배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상면과 상기 다수의 우물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우물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에 박막형 전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박막형 전극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어레이 박막형 금속이 형성되며, 상기 어레이 박막형 금속의 양단에 외부인출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실리콘 기판에 경사식각에 의해 다수의 우물이 배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상면과 상기 다수의 우물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우물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에 박막형 전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박막형 전극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어레이 박막형 금속이 형성되며, 상기 어레이 박막형 금속의 양단에 외부인출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방울 검지센서의 평면도(a)와 단면도(b)이다.
응축방울 검지센서(10)는 실리콘 기판(18)의 중앙에 경사식각에 의해 우물(16)이 형성되고, 실리콘 기판(18)의 상면과 우물(16)의 경사식각면(17)에 실리콘 산화막(19)이 형성되며, 우물(16)의 경사식각면(17)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식각면(17)과 이에 연이은 실리콘 산화막(19) 일부의 상면에 박막형 전극(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박막형 전극(14)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 0.6㎛일 수 있다.
이러한 응축방울 검지센서(10)는 우물(16)의 경사식각면(17)에 형성된 박막형 전극(14)과 그 사이의 공기에 의해 일정한 커패시턴스를 형성하여 이러한 커패시턴스는 인가되는 교류전원에 대하여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즉, 우물(16) 내의 공기가 유전체 역할을 하여 일정한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는데, 이때, 우물(16) 내에 응축방울이 형성되거나 유입되는 경우에는 응축방울이 유전체 역할을 하여 그 커패시턴스가 변화된다.
또한, 응축방울 검지센서(10)는 실리콘 산화막(19)의 표면과 경사식각면(17)면의 표면에 형성된 응축방울이 우물(16) 내부로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실리콘 산화막(19)의 상면에 소수성 박막(1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방울 검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검지 개념도이다.
응축방울 검지센서(10)의 검지 원리는 응축방울 검지센서(10)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응축방울 검지센서(1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즉, 응축방울 검지센서(10)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응축방울 검지센서(10)의 커패시턴스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응축방울에 의해 응축방울 검지센서(10)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응축방울의 형성을 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원부(30)에 저항(20)과 응축방울 검지센서(10)를 직렬로 접속하고, 응축방울 검지센서(10)와 병렬로 커패시턴스 측정부(40)를 접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교류 전원부(30)는 저항(20)을 거쳐 응축방울 검지센서(10)에 교류 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인가된 교류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응축방울 검지센서(10)의 커패시턴스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응축방울 검지센서(10)의 우물(16)에 물방울이 형성되거나 떨어지면, 이 물방울이 유전체 역할을 하여 응축방울 검지센서(10)의 커패시턴스가 변화되고, 커패시턴스 측정부(40)는 이를 검지함으로써, 응축방울을 검지한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이용하여 응축방울 검지센서(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방울 검지센서의 우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a)와 단면도(b)이다.
먼저, 실리콘 기판(18)에 몸체 식각 저지 산화 실리콘을 증착하고, 경사식각이 가능한 용액으로 실리콘 몸체를 식각한다. 이와 같은 경사식각에 의해 형성된 우물(16)의 크기는 0.5㎜ x 0.5㎜ 내지 5㎜ x 5㎜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물(16)이 형성되면, 외부와 실리콘 기판(18)과의 절연을 위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산화막(19)을 증착하고, 우물의 양측 경사식각면(17)과 이와 연이은 실리콘 산화막(19) 일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막형 전 극(14)을 형성한다.
실리콘 산화막(19) 위에는 응축방울이 우물(16) 안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소수성 표면 현상을 이룰 수 있는 소수성 박막(12)을 형성함으로써, 응축방울 검지센서(10)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응축방울 검지센서(10)는 하나의 우물(16)에 의해 한정된 영역 이외에는 적용이 곤란하므로 우물(16)을 다수개 설치한 어레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의 평면도이다.
병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40)는 검지영역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응축방울 검지센서(10)를 병렬 형태로 다수개 형성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40)는 실리콘 기판(48)에 경사식각에 의해 다수의 우물(46)이 배열 형태로 형성되고, 실리콘 기판(48)의 상면과 다수의 우물(46)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다수의 우물(46)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에 박막형 전극이 각각 형성되고, 박막형 전극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어레이 박막형 금속(420)이 형성되며, 어레이 박막형 금속(420)의 양단에 외부인출 전극(4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실리콘 산화막의 상면에는, 응축방울이 우물(46)로 용이하게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수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의 평 면도이다.
직렬식 응축방울 어레이 센서(50)는 검지영역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응축방울 검지센서(10)를 직렬로 다수개 형성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기판(58)에 경사식각에 의해 다수의 우물(56)이 배열 형태로 형성되고, 실리콘 기판(58)의 상면과 다수의 우물(56)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다수의 우물(56)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에 박막형 전극이 각각 형성되고, 박막형 전극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어레이 박막형 금속(520)이 형성되며, 어레이 박막형 금속(520)의 양단에 외부인출 전극(5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실리콘 산화막의 상면에는, 응축방울이 우물(56)로 용이하게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수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축방울 검지센서는 실리콘 기판의 상면에 경사식각에 의해 우물을 형성하고 우물의 양측 경사면에 박막형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검지센서를 실리콘 기판을 이용하여 반도체 공정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설비 주위에 형성된 응축 물방울을 실시간으로 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 산화막의 상면에 소수성의 표면 현상을 이룰 수 있는 소수성 박막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아주 작은 물방울도 우물 안으로 쉽게 유입되도록 하여 응축방울의 형성 초기에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우물구조에 의해 일정량의 커패시턴스를 형성하고,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감지함으로써, 고 전압 및 고 전류의 설비 주위에서 형성된 응축 물방울을 실시간으로 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설비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센서 구조를 어레이형 배열로 형성함으로써, 검지영역을 보다 확장하여 센서의 검지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실리콘 기판의 중앙에 경사식각에 의해 우물(well)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상면과 상기 우물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상기 우물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과 이에 연이은 상기 실리콘 산화막 일부의 상면에 박막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방울 검지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형 전극은 그 두께가 0.3 ~ 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방울 검지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막의 상면에 소수성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방울 검지센서.
  4. 실리콘 기판에 경사식각에 의해 다수의 우물이 배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상면과 상기 다수의 우물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우물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에 박막형 전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박막형 전극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어레이 박막형 금속이 형성되며, 상기 어레이 박막형 금속의 양단에 외부인출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방울 검지센서.
  5. 실리콘 기판에 경사식각에 의해 다수의 우물이 배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상면과 상기 다수의 우물의 경사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우물의 경사면중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에 박막형 전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박막형 전극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어레이 박막형 금속이 형성되며, 상기 어레이 박막형 금속의 양단에 외부인출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방울 검지센서.
KR1020050096076A 2005-10-12 2005-10-12 응축방울 검지센서 KR10065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076A KR100650603B1 (ko) 2005-10-12 2005-10-12 응축방울 검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076A KR100650603B1 (ko) 2005-10-12 2005-10-12 응축방울 검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603B1 true KR100650603B1 (ko) 2006-11-29

Family

ID=3771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076A KR100650603B1 (ko) 2005-10-12 2005-10-12 응축방울 검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3376A (zh) * 2020-04-10 2020-07-14 燕山大学 同面阵列电容传感器成像方法
WO2023042940A1 (ko) * 2021-09-17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결로센서를 구비한 전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147A (ja) * 1995-11-28 1997-06-30 Lg Semicon Co Ltd 半導体素子の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4532A (ko) * 2001-08-11 2003-02-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이크로 수소이온농도 센서의 전극형성 방법
JP2003322630A (ja) * 2002-05-01 2003-11-14 Seiko Epson Corp バイオセンサ、バイオ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バイオセンシ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147A (ja) * 1995-11-28 1997-06-30 Lg Semicon Co Ltd 半導体素子の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4532A (ko) * 2001-08-11 2003-02-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이크로 수소이온농도 센서의 전극형성 방법
JP2003322630A (ja) * 2002-05-01 2003-11-14 Seiko Epson Corp バイオセンサ、バイオ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バイオセンシング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3376A (zh) * 2020-04-10 2020-07-14 燕山大学 同面阵列电容传感器成像方法
CN111413376B (zh) * 2020-04-10 2021-06-22 燕山大学 同面阵列电容传感器成像方法
WO2023042940A1 (ko) * 2021-09-17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결로센서를 구비한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8621B2 (en) Gas sensing device with chem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sensing
KR101093612B1 (ko) 정전용량형 습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9224658B2 (en) Membrane-based sensor device with non-dielectric etch-stop layer around substrate recess
KR100488432B1 (ko) 패시베이션막을 구비한 캐패시턴스 타입 습도 센서
JP5400560B2 (ja) 静電容量型センサ
US7683636B2 (en) Structure for capacitive balancing of integrated relative humidity sensor
US10180406B2 (en) Semiconductor gas sens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9039110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lative humidity sensor and relative humidity sensor
US9234859B2 (en) Integrated device of a capacitive type for detecting humidity, in particular manufactured using a CMOS technology
US9766053B1 (en) Material damage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ame
KR100650603B1 (ko) 응축방울 검지센서
US20170067841A1 (en) Gas sensor platform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834547B2 (en) Humidity sens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525793B2 (en) CMOS compatible dew point sensor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dew point
CN103675041A (zh) 多量程叉指电容式湿度传感器
KR101061468B1 (ko) 응축 물방울 검지센서 및 검지 시스템
TWI622757B (zh) 具有用於熱短路的柱狀結構吸收器的輻射熱測定器
KR101720570B1 (ko) 가스센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CN102183265A (zh) 一种用于测量表面覆盖物的电容传感器及测量方法
KR100474516B1 (ko) 캔틸레버를 이용한 초정밀 습도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230859A (ja) 微小装置とその製造方法
TWI676025B (zh) 熱膨脹係數檢測系統及方法
KR20190012373A (ko) 단열구조를 갖는 가스센서와 가스센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ang et al. A high-speed capacitive humidity sensor
Li et al. A novel SOI Pirani sensor with triple heat s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