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192B1 -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192B1
KR100649192B1 KR1020050044013A KR20050044013A KR100649192B1 KR 100649192 B1 KR100649192 B1 KR 100649192B1 KR 1020050044013 A KR1020050044013 A KR 1020050044013A KR 20050044013 A KR20050044013 A KR 20050044013A KR 100649192 B1 KR100649192 B1 KR 10064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switch
voltage
reference volt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06F1/305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2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diodes, e.g. Zener di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21Operation of devices; Circuit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02F1/0123Circuits for the control or stabilisation of the bias voltage, e.g. automatic bias control [ABC] feedback loo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피드백 회로부로 공급되는 기준전압을 임의로 변화시켜 스탠바이부의 출력 전압을 마이컴이 리셋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전압으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입력 AC 전원의 탈착 등으로 인한 전원 오프의 경우 또는 기타 이상 발생시에도 마이컴을 반드시 리셋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경우 마이컴이 리셋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기동시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PDP, 스탠바이부, 피드백 회로

Description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APPARATUS OF 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바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피드백 회로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기준전압 공급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기체 방전시에 발생하는 플라즈마로부터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소자로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두께가 얇으면서도 넓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차세대 화면 표시장치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전압을 생성한다. 한편, 전원공급장치는 영상보드에 사용되는 소정의 전압도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스탠바이부(Standby부)는 입력되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스탠바이 전압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영상보드의 마이컴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예를 들면, 5V)을 생성한다. 그리고, 스탠바이부로부터 동작 전압을 입력받은 마이컴은 외부의 신호(예를 들면, 리모콘 신호 등)에 따라 영상보드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영상보드의 마이컴은 입력되는 동작 전압의 상태에 따라 민감하게 동작한다. 특히 입력 AC 전원 탈착 등과 같이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스탠바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들이 서서히 감소하며, 이에 따라 마이컴에 입력되는 동작 전압도 서서히 감소하게 되어 마이컴이 리셋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AC 전원이 탈착되는 경우 마이컴에 입력되는 동작 전압이 서서히 감소하여 마이컴이 제대로 리셋하지 못하고 오동작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AC 입력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영상보드의 마이컴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영상보드의 마이컴의 동작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서 공급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공급장치 에 있어서,
트랜스 포머의 1차 코일에 커플링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의 듀티를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 IC와 상기 출력 전압 및 기준 전압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IC에 공급하는 피드백 회로부 그리고 입력되는 AC 입력 전원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을 생성하며, 생성된 기준 전압을 상기 피드백 회로부에 공급하는 기준전압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바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바이부(Standby부)는 입력 AC 전원을 입력받아 5V 전압을 출력하는 플라이백(FLYBACK) 방식의 DC/DC 컨버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탠바이부는 입력 AC 전원에 일단이 연결되는 커패시터(C1), 커패시터(C1)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트랜스 포머의 1차 코일 (L1), 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L2)의 일단에 애노드가 연결되는 다이오드(D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트랜스 포머의 2차 코일(L2)의 타단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패시터(C2)의 양단의 전압이 스탠바이부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 전압(5V)이며, 이 출력 전압은 영상보드의 마이컴에 공급된다.
한편, 스탠바이부는 1차 코일(L1)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컬렉터와 에미터가 각각 연결되는 스위치(Q1) 및 출력단자가 스위치(Q1)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스위치(Q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IC(100)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전압(5V)을 입력 받아 이에 대응하는 정보(즉, 출력 전압 정보)를 PWM IC(100)에 전송하는 피드백 회로부(200), 입력 AC 전원을 입력받아 피드백 회로부(200)에서 사용되는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기준전압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탠바이부의 출력전압(5V)을 유지하기 위해, 피드백 회로부(200)에 전송되는 출력 전압에 해당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PWM IC(100)는 스위치(Q1)의 듀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바이부의 기준전압 공급부(300)는 입력 AC 전원의 탈착시나 기타 이상시 임의로 기준전압을 변화시켜 피드백 회로부(200)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영상보드의 마이컴으로 공급되는 스탠바이부(STB)의 출력 전압(5V)을 상기 출력 전압(5V)보다 낮은 소정의 전압으로 낮춰준다. 이때, 소정의 전압은 마이컴을 리셋시키기에 충분한 크기의 전압이다.
도 2는 도 1의 피드백 회로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회로부(200)는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일 단이 연결되는 저항(R3), 저항(R3)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가변 저항(R4) 및 저항(R5), 가변 저항(R4)과 저항(R5)의 사이에 접점인 노드(node a)에 기준단자(R)가 연결되고 접지에 애노드 단자(A)가 연결되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 210),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R2), 저항(R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션트 레귤레이터(210)의 캐소드 단자(K)에 연결되는 저항(R1), 저항(R2)의 타단에 애노드가 연결되며 션트 레귤레이터(210)의 캐소드 단자(K)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포토 다이오드(PC1), PWM IC(100)의 피드백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피드백 커패시터(C3), 피드백 커패시터(C3)의 일단에 컬렉터가 연결되고 커패시터(C3)의 타단에 에미터가 연결되는 포토 트랜지스터(PC2)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토 다이오드(PC1)와 포토 트랜지스터(PC2)는 함께 포토 커플러(PC)를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션트 레귤레이터(210)의 기준단자(R)의 전압은 기준전압 공급부(300)에 의해 변동된다.
입력 AC전원으로부터 AC가 입력되면 스탠바이부의 출력전압(5V)은 영상보드에 입력되어 마이컴의 동작 전압인 바이어스 전압(Vcc 전원)이 되고, 이에 따라 마이컴은 동작하게 되어, 외부의 신호(예를 들어, 릴레이 온 신호)에 대응하게 된다. 이때, 출력 전압(5V)은 수학식 1을 통해 저항(R3, R4, R5)에 의해 분할되며, 노드 a에 연결된 기준전압 공급부(300)로 저항(R3, R4, R5)에 의해 분할된 출력 전압이 입력된다. 여기서, 노드 a에 걸리는 전압 즉, 기준전압 공급부(300)로 공급되는 기준전압(Vref) 및 커패시터(C2)의 양단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에 따라 포토커플러(PC)의 포토 다이오드(PC1)의 전류가 결정되며 이는 포토 트랜지스터(PC2)의 전류 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이 PWM IC(100)에 반영되어 출력전압의 안정화를 도모하게 된다.
Figure 112005027447496-pat00001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피드백 회로부(200)의 기준 전압(Vref)은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수학식 1에서 다음의 수학식 2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5027447496-pat00002
여기서, 수학식 1 및 2를 참조하면 출력 전압(5V)은 기준 전압(Vref)에 의해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AC 전원의 탈착 등 전원이 오프되거나 기타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마이컴을 리셋시킬 수 있도록 스탠바이부의 출력 전압을 하강시키기 위해 기준 전압(Vref)을 임의로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즉, 피드백 회로부(200)로 기준 전압(Vref)을 공급하는 기준전압 공급부(300)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기준전압 공급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전압 공급부(300)는 입력 AC 전원에 애노드가 연결되는 다이오드(D2),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R6), 저항 (R6)의 타단에 직렬로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R7), 저항(R7)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3), 커패시터(C3)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며 커패시터(C3)와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C4), 커패시터(C4)의 일단에 연결된 노드(node b)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ZD1), 제너 다이오드(ZD1)의 애노드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R8) 및 저항(R9)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준전압 공급부(300)는 저항(R8)과 저항(R9)과의 사이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전원(Vcc1)에 연결되는 스위치(Q2), 스위치의 컬렉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는 저항(R10), 저항(R10)의 일단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접지에 연결되는 스위치(Q3), 스위치(Q3)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포토 다이오드(PC1'), 포트 다이오드(PC1')와 포토 커플러(PC')를 형성하는 포토 포트 트랜지스터(PC2'), 포트 다이오드(PC1')의 애노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R11), 포트 트랜지스터(PC2')의 컬렉터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R12)을 포함한다. 저항(R11, R12)의 타단은 전원(Vcc2)에 연결된다.
한편, 기준전압 공급부(300)는 전원(Vcc3)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R13), 저항(R13)의 타단에 에미터가 연결되고 베이스는 포트 트랜지스터(PC2')의 컬렉터에 연결되는 스위치(Q4), 스위치(Q4)의 컬렉터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R14)과 저항(R14)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15), 저항(R14)의 일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항(R14)과 저항(R15)과의 사이의 접점인 노드(node c)에 걸리는 기준 전압(Vref)은 피드백 회로부(200)로 공급된다.
AC 전원이 탈착되거나 기타 이상이 발생하여 입력 전원(Vin)이 인가되지 않으면, 노드(node b)에 걸리는 전압(Vb)은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이때, 전압(Vb)이 제너 다이오드(ZD1)의 항복전압(Vz) 이하로 떨어지면 스위치(Q2)는 턴온되고, 차례로 스위치(Q3)를 턴온시킨다. 스위치(Q3)가 턴온되면 포토 커플러(PC')의 포토 다이오드(PC1')가 온되고, 또한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온되어 스위치(Q4)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노드(node c)에 걸리는 전압 즉, 기준 전압(Vref)이 피드백 회로부(20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기준전압 공급부(300)에서 임의로 변화시킨 기준 전압(Vref)이 피드백 회로부(200)로 공급되면 피드백 회로부(200)는 입력 AC 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출력 전압을 급격히 하강시킨다. 스탠바이부의 출력 전압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스탠바이부의 하강된 출력 전압은 마이컴이 리셋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전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동작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입력 AC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영상보드의 마이컴으로 공급되는 스탠바이부의 출력 전압은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 전압의 방전 시간에 따라 재기동시 마이컴이 리셋되지 못하고 오동작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음,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입력 AC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영상보드의 마이컴으로 공급되는 스탠바이부의 출력 전압은 서서히 감소하다가 일정한 시간 후에는 급격히 하강하는 구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전압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되는 기준 전압(Vref)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출력 전압이 방전되기 시작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는 출력 전압을 마이컴이 리셋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전압까지 떨어뜨려 재기동시 마이컴이 반드시 리셋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컴이 리셋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기동시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드백 회로부로 공급되는 기준전압을 임의로 변화시켜 스탠바이부의 출력 전압을 마이컴이 리셋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전압으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입력 AC 전원의 탈착 등으로 인한 전원 오프의 경우 또는 기타 이상 발생시에도 마이컴을 반드시 리셋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경우 마이컴이 리셋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기동시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영상보드의 마이컴의 동작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서 공급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트랜스 포머의 1차 코일에 커플링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듀티를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 IC;
    상기 출력 전압 및 기준 전압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IC에 공급하는 피드백 회로부;
    입력되는 AC 입력 전원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을 생성하며, 생성된 기준 전압을 상기 피드백 회로부에 공급하는 기준전압 공급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공급부는 상기 AC 입력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준 전압을 낮추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이 감소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출력 전압은 상기 마이컴이 리셋 가능한 크기의 전압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회로부는
    출력 전압에 제1 단이 연결되는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제2 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저항 및 제3 저항;
    상기 제2 저항과 제3 저항의 접점인 제1 접점에 기준 단자가 연결되고 접지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는 션트 레귤레이터;
    상기 제1 저항의 제1 단에 제1 단이 연결되는 제4 저항;
    상기 제4 저항의 제2 단에 제1 단이 연결되고 제2 단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되는 제5 저항;
    상기 제5 저항의 제1 단에 애노드가 연결되며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 단자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포토 다이오드;
    상기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커플러를 형성하는 포토 트랜지스터; 및
    상기 포트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피드백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공급부는
    입력 AC 전원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의 컬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3 스위치;
    상기 제3 스위치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포토 다이오드;
    상기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커플러를 형성하는 포토 트랜지스터;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4 스위치;
    상기 제4 스위치의 컬렉터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6 저항 및 제7 저항 사이의 접점인 제2 접점에 걸리는 전압인 기준 전압을 상기 제2 접점에 연결된 상기 피드백 회로부로 공급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AC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AC 전원과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캐소드 사이의 제3 접점에 걸리는 제1 전압은 서서히 감소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항복 전압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되고, 상기 제3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가 턴온되면 상기 포토 커플러를 통해 전류가 흘러 상기 제4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20050044013A 2005-05-25 2005-05-25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064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013A KR100649192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013A KR100649192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192B1 true KR100649192B1 (ko) 2006-11-24

Family

ID=3771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013A KR100649192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1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146A (ko) * 2003-10-30 2005-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출력 전원공급장치
KR100523378B1 (ko) * 2005-05-17 2005-10-24 (주)대길엔지니어링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KR20050114104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146A (ko) * 2003-10-30 2005-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출력 전원공급장치
KR20050114104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3378B1 (ko) * 2005-05-17 2005-10-24 (주)대길엔지니어링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556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JP446739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7215359A (ja) 冷蔵庫のdc電源装置
JP6772730B2 (ja) 電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49192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RU2407212C2 (ru) Схема подавления повыш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и панельный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JP2010142002A (ja) 電源起動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244424B2 (ja) 電源回路
JP693513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05876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520090B1 (ko) 과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JP5310124B2 (ja) 電子機器の電源回路
JP2012093978A (ja) 電子機器装置
KR200159452Y1 (ko) 스위칭 전원 회로의 돌입 전류 방지 회로
KR200172696Y1 (ko) 과전압보호회로
JP2005124246A (ja) 電圧生成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イッチング電源
KR200173055Y1 (ko) 모니터의 마이콤 안정화 회로
KR19990052739A (ko) 모니터의 전원회로
KR20000004300A (ko) 모니터의 마이콤 안정화 회로
KR20000028443A (ko) 모니터의 전원장치에서 저전압 보호회로
KR19990034335A (ko) 모니터의 스위칭 전원회로에 있어서 소프트 스타트회로
KR100296577B1 (ko)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전압 안정화회로
KR2001003887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19980030035U (ko) 모니터의 스위칭 전원 보호 회로
JP200601446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