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621B1 - 가변형 파티션 - Google Patents

가변형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621B1
KR100648621B1 KR1020050127725A KR20050127725A KR100648621B1 KR 100648621 B1 KR100648621 B1 KR 100648621B1 KR 1020050127725 A KR1020050127725 A KR 1020050127725A KR 20050127725 A KR20050127725 A KR 20050127725A KR 100648621 B1 KR100648621 B1 KR 10064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coupled
partition
ro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 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with adjustable angular connection of panels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을 가변형으로 형성하여 실질적인 사무공간의 확장을 통해 사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변형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 형상의 보디부재, 보디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확장부재를 포함한다.
파티션, 가변형, 보조 패널, 지지대

Description

가변형 파티션{EXTENSIBLE PARTI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변형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무실 등에서 사무 공간의 분할을 위한 파티션(Partition)은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업무능률을 향상시키며 직원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할 수 있고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보다 집중력 있고 창의적인 사무환경을 제공하며, 각 부서별로 해당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칸막이로 설치하여 각 부서의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파티션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다수의 패널이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프레임은 수직 패널과 수평 패널이 사각의 틀을 형성하고, 그 중간에는 다수의 보강부재가 수평방향으로 배설되어 수직 패널을 보강하는 구조로 사용된다.
특히, 사무용 또는 가정용 가구에 있어서 파티션은 공간을 분할하여 활용하며, 기존의 파티션은 기둥을 이용하여 수납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기둥들이 공간의 분할에 한정하는 것으로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티션(1)은 사무공간에서 칸막이로서의 역할만 하여 파티션(1) 이외에 별도로 책상(2), 보조 테이블(3) 등 다수의 가구비품들이 소요되므로 고정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무공간에서 회의공간으로 변형할 경우에도 각각의 구성비품들을 창고 등의 여유공간에 적재해야 하므로 보관 및 관리를 위한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사무공간에 비용이 증가하여 사무공간 활용의 경제성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어서 종래의 파티션은 공간의 활용이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최근에 파티션을 배치함에 있어 사무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티션을 가변형으로 형성하여 실질적인 사무공간의 확장을 통해 사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변형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 형상의 보디부재, 보디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확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은 보디부재(210), 연결부재(220, 230), 확장부재(240, 250)를 포함한다.
보디부재(210)는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 형상의 패널로 형성된다. 보디부재(210)는 일반적인 파티션 구성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연결부재(220, 230)는 제1 연결부재(220), 제2 연결부재(230)를 포함하여 보디부재(2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제1 연결부재(220)와 제2 연결부재(23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부재(220)는 제1 로드(220a)와 제2 로드(220b)를 포함하며, 보디부재(21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230)는 보디부재(210)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한 제1 연결부재(220)의 구성과 같이 제1 로드(230a)와 제2 로드(230b)를 포함한다.
한편, 제1 연결부재(220)를 구성하는 제1 로드(220a)는 보디부재(210)의 일측 상면에 상부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로드(220b)는 제1 로드(220a)의 하부와 확장부재(240, 250)의 상면에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보디부재(210)의 일측면 상부와 타측면 상부에는 제1 로드(220a, 230a)가 각각 안착되는 제1 가이드면(212, 214)이 형성된다.
확장부재(240, 250)는 연결부재(220, 230)에 결합되며, 제1 연결부재(220)와 결합되는 제1 확장부재(240), 제2 연결부재(230)와 결합되는 제2 확장부재(2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확장부재(240)와 제2 확장부재(25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장부재(240)의 상부와 제2 확장부재(250)의 상부에는 각각 제 2 로드(220b, 230b)가 안착되는 제2 가이드면(242, 252)이 형성된다.
한편, 연결부재(220, 230)와 확장부재(240, 250)의 두께는 보디부재(210)의 두께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부재(220, 230)와 확장부재(240, 250)의 두께는 보디부재(2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간 결합은 힌지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합시 결합 매개체의 간섭으로 연결부재(220, 230)와 확장부재(240, 250)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로드(220a)와 제2 로드(220b)의 연결시 회동가능한 구조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제1 로드(220a)와 제2 로드(220b)를 체결시킬 수 있는데, 볼트 머리와 너트가 제1 로드(220a) 및 제2 로드(220b)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서 각각의 체결 부위에 볼트 머리 또는 너트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안착홈의 형성은 연결부재(220, 230)를 포함한 보디부재(210)와 확장부재(240, 25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은 파티션을 가변형으로 형성하므로 파티션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형 파티션의 보관시와 사용시 가변형 파티션이 차지하는 공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무공간의 유용한 활용이 가능해지고, 비교적 간단한 동작 으로도 가변형 파티션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즉, 가변형 파티션의 보관과 사용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가변형 파티션의 보관 및 설치를 위한 작업 공정이 단축되면서도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저가의 비용으로 복합적인 가변형 사무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을 운반이나 보관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켜 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형 파티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되는 부분들이 펼쳐지도록 하여 해당되는 파티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은 기존의 파티션을 이용한 공간의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장부재(240, 250)가 보디부재(210)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연결부재(220, 230)가 보디부재(210)와 확장부재(240, 250)의 사이에서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보디부재(210)가 일부 칸막이 기능을 하고, 확장부재(240, 250)가 기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220, 230)는 빔(Beam)으로 활용되어 적절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변형 파티션을 사용하지 않거나, 운반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재(240, 250)와 연결부재(220, 230)를 보디부재(210)의 양측에 접히도록 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디부재(210)와 확장부재(240, 250)의 하부에 연결부재(420, 430)를 더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20, 430)는 제3 연결부재(420), 제4 연결부재(430)를 포함하여 보디부재(210)의 하부 일측면에 결합되며, 제3 연결부재(420)와 제4 연결부재(43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연결부재(420)는 제3 로드(420a)와 제4 로드(420b)를 포함하며, 보디부재(210)의 하부 일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4 연결부재(430)는 보디부재(210)의 하부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한 제3 연결부재(420)의 구성과 같이 제3 로드(430a)와 제4 로드(430b)를 포함한다.
한편, 제3 연결부재(420)를 구성하는 제3 로드(420a)는 보디부재(210)의 일측 하면에서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제4 로드(420b)는 제3 로드(420a)의 상부와 확장부재(240, 250)의 하면에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보디부재(210)의 일측면 상부 및 하부와 보디부재(210)의 타측면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로드(220a, 230a)와 제3 로드(420a, 430a)가 각각 안착되는 제1 가이드면(212, 214)과 제3 가이드면(502, 504)이 형성된다.
확장부재(240, 250)는 연결부재(220, 230, 420, 430)에 각각 결합되며, 제1 연결부재(220)와 제3 연결부재(420)가 각각 결합되는 제1 확장부재(240), 제3 연결부재(420)와 제4 연결부재(430)가 각각 결합되는 제2 확장부재(2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확장부재(240)와 제2 확장부재(25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장부재(240)의 상부 및 하부와 제2 확장부재(25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2 로드(220b, 230b)와 제4 로드(420b, 430b)가 안착되는 제2 가이드면(242, 252)과 제4 가이드면(506, 508)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20, 430)의 작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20, 230)의 작동과 같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관시와 사용시 가변형 파티션이 차지하는 공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무공간의 유용한 활용이 가능해지고, 비교적 간단한 동작으로도 가변형 파티션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확장부재(240, 250)의 하부에도 연결부재(420, 430)를 구성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파티션은 파티션을 가변형으로 형성하므로 공간기능의 확장이 가능하여 사무공간의 유용한 활용이 가능해지고, 소량의 부품으로 공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 형상의 보디부재;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확장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보디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보디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티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 상면에 상부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로드;
    상기 제1 로드의 하부와 상기 확장부재의 상면에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티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면 상부와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1 로드가 각각 안착되는 제1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제1 확장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 확장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티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재의 상부와 상기 제2 확장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제2 로드가 안착되는 제2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재와 상기 제2 확장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보디부재의 타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면 하부에 결합되는 제3 연결부재;
    상기 보디부재의 타측면 하부에 결합되는 제4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티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 상면에 상부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로드;
    상기 제1 로드의 하부와 상기 확장부재의 상면에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티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 하면에 하부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로드;
    상기 제1 로드의 상부와 상기 확장부재의 하면에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티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상기 제4 연결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재의 일측면 상부 및 하부와 타측면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1 로드가 각각 안착되는 제1 가이드면과 제3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3 연결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제1 확장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4 연결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제2 확장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티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재의 상부 및 하부와 상기 제2 확장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2 로드가 각각 안착되는 제2 가이드면과 제4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재와 상기 제2 확장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변형 파티션.
KR1020050127725A 2005-12-22 2005-12-22 가변형 파티션 KR10064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725A KR100648621B1 (ko) 2005-12-22 2005-12-22 가변형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725A KR100648621B1 (ko) 2005-12-22 2005-12-22 가변형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621B1 true KR100648621B1 (ko) 2006-11-23

Family

ID=3771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725A KR100648621B1 (ko) 2005-12-22 2005-12-22 가변형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110U (ja) * 1991-11-21 1993-06-18 株式会社礒見通三建築研究室 家具一体移動間仕切り
US6095226A (en) 1999-01-11 2000-08-01 Chen; Hong-Jen Structure multipurpose partition
KR200251903Y1 (ko) 2001-07-14 2001-11-1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 소형 건축물의 이동식 가변형 칸막이 구조
JP2002101957A (ja) 2000-10-02 2002-04-09 Okamura Corp パーテーショ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110U (ja) * 1991-11-21 1993-06-18 株式会社礒見通三建築研究室 家具一体移動間仕切り
US6095226A (en) 1999-01-11 2000-08-01 Chen; Hong-Jen Structure multipurpose partition
JP2002101957A (ja) 2000-10-02 2002-04-09 Okamura Corp パーテーション
KR200251903Y1 (ko) 2001-07-14 2001-11-1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 소형 건축물의 이동식 가변형 칸막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3041A1 (en) Furniture construction
IL24850A (en) Cupboards
KR102105593B1 (ko)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US20070114808A1 (en) Rear package tray for hatch back style vehicles
US20120187814A1 (en) Furniture System and a Frame Assembly for a Furniture System
US20230044061A1 (en) Reinforcement beam for horizontal frames and prefabricated shelf using same
KR100648621B1 (ko) 가변형 파티션
US5251413A (en) Stabilized space dividing frames and panels
KR102461622B1 (ko)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 프레임
KR100648620B1 (ko) 공간 확장형 파티션
JP5378739B2 (ja) 物品収納庫の組立構造
CN210961063U (zh) 一种多用途可无限扩展方格自定义家具
KR101141199B1 (ko) 가변형 파티션
JP3021400B2 (ja) ラック構造
KR200481983Y1 (ko) 조립식 가구
KR20150136803A (ko) 조립식 가구
KR200424682Y1 (ko) 양방향 서랍을 갖는 파일박스
KR200257658Y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200233993Y1 (ko) 조립식 가구
KR200481408Y1 (ko) 변환탁자
KR102532858B1 (ko)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KR20130002472A (ko)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CN216166043U (zh) 一种收合结构的柜
JP6817817B2 (ja) キャビネットシステム
JP2002045250A (ja) 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