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573B1 - 김밥 포장기 - Google Patents

김밥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573B1
KR100648573B1 KR1020060015381A KR20060015381A KR100648573B1 KR 100648573 B1 KR100648573 B1 KR 100648573B1 KR 1020060015381 A KR1020060015381 A KR 1020060015381A KR 20060015381 A KR20060015381 A KR 20060015381A KR 100648573 B1 KR100648573 B1 KR 100648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roll
pulley
shaft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829A (ko
Inventor
김정중
Original Assignee
김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중 filed Critical 김정중
Priority to KR102006001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5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밥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지롤과 걸이대, 포장지 장력유지수단, 포장지 인출수단, 포장지 절단수단을 포함하는 포장지 공급수단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스프로킷, 제 1 포장롤러 내지 제 5 포장롤러, 회전축, 평행축, 수직축과 측면 포장롤, 상기 수직축에 장착된 회전수 감지센서, 수직바, 수평바, 상기 수직바와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수직바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포장이 완성된 김밥을 밀어올려 주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는 김밥 포장수단으로 구성되는 자동 김밥 포장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김밥 포장기{Laver rice pack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상의 김밥 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김밥 포장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김밥 포장기의 측면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김밥 포장기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5a는 본 발명 김밥 포장기에서 포장지 공급수단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 내지 도 6d는 본 발명 김밥 포장기에서 김밥 포장수단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김밥 포장기 10. 케이스
20. 걸이대 30. 포장지 롤
40. 포장지 장력유지수단 41. 좌우측판
42. 격판 43. 판상체
44. 장력유지롤 45. 축
50. 포장지 인출수단 51. 상부 인출롤
52. 하부 인출롤 53. 제 1 모터
53a. 풀리 54. 벨트
62. 하부칼날 60. 포장지 절단수단
61. 상부칼날 63. 제 1 수직바
64. 수평바 65. 제 2 수직바
66. 제 2 모터 66a. 풀리
80. 광센서 스위치 100. 포장지 공급수단
200. 김밥 포장수단 210. 제 3 모터
210a. 풀리 210b. 풀리
211. 벨트 212. 벨트
220. 메인스프로킷 221. 제 1 포장롤러
222. 제 2 포장롤러 223. 제 3 포장롤러
224. 제 4 포장롤러 225. 제 5 포장롤러
226. 김밥 회전공간 227. 장홈
230. 회전축 230a. 제 1 풀리
230b. 제 2 풀리 240. 평행축
240a. 풀리 241. 베벨기어
241a. 베벨기어 242. 벨트
243. 수직축 244. 측면 포장롤
245. 회전수 감지센서 250. 수직바
251. 수평바 252. 롤러
260. 솔레노이드 밸브 270. 동작감지센서
280. 토출수단 281. 토출봉
282. 지지대 283. 구멍
284. 캠(cam) 285. 제 4 모터
285a. 축 290. 작동버튼
300. 김밥
본 발명은 김밥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신호에 의해 포장지를 일정길이만큼 인출한 후 자동 절단하는 포장지 공급수단과, 상기 포장지에 롤형 김밥을 올려놓고 작동버튼을 누르면 롤형 김밥이 회전되면서 상기 포장지가 김밥에 자동 포장되도록 구성된 김밥 포장수단으로 이루어진 김밥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김밥을 제조 판매시 롤형 김밥을 그 형태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절단하고 알루미늄 호일로 포장하여 김밥을 한 줄씩 판매할 수 있도 록 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김밥 제조공장에서는 위와 같은 포장방식을 수작업으로 하고 있어 대량으로 생산되는 김밥을 일일이 포장하기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김밥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고, 인건비의 부담으로 김밥 판매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게 되었다.
또한, 위와 같이 포장을 손으로 하게 되면 작은 압력으로도 구김이 생기는 알루미늄 호일의 특성상 포장지에 잔 구김이 생기게 되어 식품의 구매의욕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량의 김밥을 빠른 시간 내에 포장할 수 있도록 수초 내에 한 개의 김밥 포장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고, 김밥 포장시 포장지의 외연에 국부적이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김밥이 포장된 포장지에 구김이 거의 생기지 않게 함으로써 깔끔하게 포장된 김밥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김밥 포장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포장지롤과 걸이대, 포장지 장력유지수단, 포장지 인출수단, 포장지 절단수단을 포함하는 포장지 공급수단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스프로킷, 제 1 포장롤러 내지 제 5 포장롤러, 회 전축, 평행축, 수직축과 측면 포장롤, 상기 수직축에 장착된 회전수 감지센서, 수직바, 수평바, 상기 수직바와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수직바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포장이 완성된 김밥을 밀어올려 주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는 김밥 포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상의 김밥 포장기(1)는 크게 포장지 공급수단(100)과, 김밥 포장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 공급수단(100)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스(10) 상면에 설치된 걸이대(20) 상부에는 알루미늄 호일 롤(이하 포장지 롤이라 함)(30)이 축을 통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걸이대(20)의 하부에는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은 좌우측판(41)와 격판(42)으로 이루어진 판상체(43)와, 상기 좌우측판(41) 사이에 구비된 장력유지롤(44)로 구성되고, 상기 판상체(43)는 상기 장력유지롤(44)의 원호방향 운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0) 좌우측판 사이에 축(45)을 통해 힌지 고정된다.
상기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의 전방에는 포장지 인출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포장지 인출수단(50)은 상부 인출롤(51)과 하부 인출롤(52)로 이루어지 며, 상기 상부 인출롤(51)은 소정의 하중만큼 하부 인출롤(52)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인출롤(52)의 일측은 제 1 모터(53)의 풀리(53a)에 벨트(54)로 연결된다.
상기 포장지 인출수단(50)의 전방에는 포장지 절단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포장지 절단수단(60)은 상부칼날(61)과 하부칼날(6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칼날(62)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칼날(61)은 상하 수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칼날(61)의 양쪽에는 제 1 수직바(63)가 힌지형태로 연결되고, 이 제 1 수직바(63)에는 수평바(64)의 일측이 힌지형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평바(64)의 타측에는 제 2 수직바(65)가 힌지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수직바(65)의 타측은 제 2 모터(66)의 풀리(66a)에 힌지형태로 편심되게 연결된다.
상기 수평바(64)의 중도부는 케이스(10)에 축(67)으로 고정하여 시소 형태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장지 절단수단(60)의 전방에는 인출되는 포장지의 하향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바(7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바(70)는 원호방향으로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 이유는 포장지가 인출되면서 이후에 설명될 김밥회 전공간(226)의 상측에 덮여져야 하는데 기온이 높을 때는 포장지의 온도가 상승하여 포장지가 인출되면서 김밥회전공간(226)을 덮기 전에 아래로 휘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때는 상기 가이드바(70)의 높이를 상향조정함으로써 포장지가 인출되면서 아래로 휘어지더라도 김밥회전공간(226)의 상측을 덮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 공급수단(100)의 작용을 도 5 및 도 5a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걸이대(20)에 걸려진 포장지 롤(30)의 일단을 인출하여 상기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에 구비된 장력유지롤(44)과 격판(42) 사이로 통과시킨 다음 상기 포장지 인출수단(50)의 상부 인출롤(51)과 하부 인출롤(52) 사이에 계지시켜 둔다.
위와 같이 준비가 완료된 후 케이스(10)에 구비된 광센서 스위치(80)에 손을 대면 상기 제 1 모터(53)가 일정한 회전수만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53)의 풀리(53a)와 벨트(54)로 연결된 상기 하부 인출롤(52)이 포장지 인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인출롤(52)과 상부 인출롤(51) 사이에 계지된 포장지가 롤 회전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의 판상체(43)는 뉘어져 있던 상태에서 포장지가 인출되면 이 포장지 인출속도가 상기 판상체(43)에 구비된 장력유지롤(44)의 회전수보다 빠르기 때문에 상기 판상체(43)는 그 축(45)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직립하게 되며, 이어서 포장지 인출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판상체(43)는 그 자중에 의해 다시 뉘어지면서 포장지 롤(30)의 포장지를 잡아당김으로써 포장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모터(53)는 일정한 회전수만큼만 회전하게 되어 있어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인출롤(52)도 일정한 회전수만큼만 회전하게 되므로 인출되는 포장지의 길이는 항상 일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인출롤(52)의 상측에 위치된 상부 인출롤(51)이 상기 하부 인출롤(52)에 소정의 하중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지와 하부 인출롤(52)의 외표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포장지가 미끌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모터(53)가 일정한 회전수만큼 회전한 후 정지되면 이어서 포장지 절단수단(60)이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모터(66)가 일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 모터(66)의 풀리(66a)에 편심되게 연결된 제 2 수직바(65)가 상하운동을 하게 되며, 이어서 상기 제 2 수직바(65)에 연결된 수평바(64)가 시소운동을 하게 되면서, 이 수평바(64)의 타측에 연결된 제 1 수직바(63)가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수직바(63)에 연결된 상기 상부칼날(61)이 하강 및 상승 동작을 하면서 인출된 포장지를 절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인출되어 절단된 포장지로 김밥을 포장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김밥 포장수단(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 제 3 모터(210)가 장착되고, 이 제 3 모터(210)의 풀리(210a)에 벨트(211)로 연결된 메인스프로킷(220)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스프로킷(220)의 좌우 및 하부에 반원호 형태로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5 포장롤러(225)가 설치되고, 이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5 포장롤러(225)의 중앙부에 김밥 회전공간(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4 포장롤러(224)의 끝단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인스프로킷(220)에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5 포장롤러(225)의 축은 케이스(10)의 좌우측판에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장홈(227)에 삽입되어 있어, 김밥 회전공간(226)에 삽입된 깁밥의 직경에 따라서 상기 장홈(227) 상에서 위치이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소정의 자중으로 김밥(300)의 외주연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롤 김밥이 굵고 가늚에 상관없이 포장지가 김밥에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감겨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3 모터(210)의 또 다른 풀리(210b)에도 벨트(212)가 연결되어 있고, 이 벨트(212)는 케이스(10)의 전방 하부에 위치된 회전축(230)의 제 1 풀리(230a) 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230)에는 별도의 제 2 풀리(230b)가 구비되고, 이 제 2 풀리(230b)는 상기 회전축(230)의 상측에 설치된 베벨기어(241) 평행축(240)의 풀리(240a)와 벨트(242)로 연결된다.
상기 평행축(240)의 베벨기어(241)와 치합되는 또 다른 베벨기어(241a)의 수직축(243)은 끝단이 'ㄱ'자형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부의 끝단에는 외주연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측면 포장롤(24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측면 포장롤(244)은 김밥(300)이 회전될 때 그 김밥(300)의 양 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포장지를 쳐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포장롤(244)은 김밥(3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김밥(300)이 회전될 때 상기 측면 포장롤(244)의 모서리에 포장지가 걸리는 일이 없이 자연스럽게 포장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직축(243)에는 회전수 감지센서(245)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수직축(243)이 일정한 회전수만큼만 회전된 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는 하부가 힌지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좌우 수직바(250)와 이 수직바(250)에 힌지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김밥 회전공간(226) 쪽으로 돌출된 좌우 수평바(2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수평바(251) 사이에는 롤러(252)가 장착된다.
상기 수직바(250)는 그 하부에 솔레노이드 밸브(260)가 연결되어 있어 이 솔 레노이드 밸브(2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바(250)는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250)가 원호방향으로 소정각도 전진하였을 때 그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바(250)가 완전히 전진되었을 때의 위치상에 동작감지센서(27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김밥 회전공간(226)의 하부에는 포장이 완성된 김밥(300)을 김밥 회전공간(226)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 올리기 위한 토출수단(280)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수단(280)은, 김밥(300)을 밀어 올리기 위한 토출봉(281)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봉(281)의 하단에는 지지대(28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82)에는 반원형의 구멍(28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83)에는 캠(cam)(284)이 삽입되며, 이 캠(284)은 제 4 모터(285)의 축(285a)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김밥 포장수단(200)의 작용을 도 6 내지 도 6d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포장지 공급수단(100)을 통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포장지는 상기 김밥 회전공간(226)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사용자가 롤 김밥(300)을 상기 포장지의 중앙부에 올려놓으면 김밥(300)은 자중에 의해 포장지와 함께 상기 김밥 회전공간(226)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는 포장지가 김밥(300)을 받치고 있는 형상이 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김밥 포장수단(200)의 작동버튼(290)을 누른다.
작동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상기 수직바(250)를 김밥 회전공간(226) 쪽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이러한 수직바(250)의 동작에 의해 이 수직바(250)의 상단에 연결된 상기 수평바(251) 역시 김밥 회전공간(226) 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서, 상기 수평바(251)는 상기 김밥 회전공간(226) 속으로 김밥(300)과 함께 밀려들어간 포장지의 양쪽 끝단을 접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수직바(250)가 전진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수직바(250)의 전진 위치에 설치된 동작감지센서(270)가 작동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60)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수직바(250)를 원상태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3 모터(2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 3 모터(210)가 작동함에 의해, 이 제 3 모터(210)의 풀리(210a)에 벨트(211)로 연결된 메인스프로킷(220)이 회전되면서 이에 따라 이 메인스프로킷(220)에 치합된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4 포장롤러(224)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김밥(3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김밥(300)이 회전됨에 의해 김밥(300)을 받치고 있던 포 장지도 함께 회전되면서 이 포장지가 김밥(300)의 외주연을 따라 감싸지게 된다. 이때 중요한 점은 상기 수평바(251)가 전진하여 포장지의 끝단부를 접어준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김밥(300)이 회전되도록 하여야 자연스럽게 포장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김밥(300)이 회전되면서 포장이 진행될 때 상기 수직축(243)도 동시에 회전되면서 이 수직축(243)에 구비된 상기 측면포장롤(244)을 통해 포장지의 측면이 접어지게 된다.
상기 수직축(24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모터(210)의 풀리(210b)에 벨트(212)로 연결된 회전축(230)과, 이 회전축(230)에 벨트(242)로 연결된 베벨기어 평행축(240)과, 이 평행축(240)의 베벨기어(241)에 치합된 또 다른 베벨기어(241a)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축(243)은 회전수 감지센서(245)에 의해 일정한 회전수만큼만 회전된 후 동작을 정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5 포장롤러(225)는 초당 15~20회전, 상기 수직축(243)은 초당 25~30회전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회전수는 여러 차례의 시험결과 도출된 것으로서 포장시간과 포장성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회전수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 김밥(300) 한 줄의 포장에는 약 2초의 시간만이 소요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축(243)의 회전이 정지되면 이어서 김밥 토출수단(280)이 작동된다.
즉, 상기 제 4 모터(285)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 4 모터(285)에 장착된 캠(284)이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대(282)를 밀어올렸다 내리는 상하운동을 하게 되면서 상기 지지대(282)의 상면에 구비된 토출봉(281)이 포장된 김밥(300)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렇게 밀어 올려진 포장된 김밥(300)은 제 1 포장롤(221)과 제 5 포장롤(225) 사이에 계지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서, 한 줄의 김밥포장에 걸리는 시간이 수초에 불과하므로 대량의 김밥을 빠른 시간 내에 포장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에게 신선한 김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김밥 포장시 포장지의 외연에 국부적이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김밥이 포장된 포장지에 구김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깔끔하게 김밥포장이 가능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김밥 포장기는 규모가 작아 소규모의 매점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며, 작동방법이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케이스(10) 상면에 설치된 걸이대(20)의 상부에 포장지 롤(30)이 축을 통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걸이대(20)의 하부에는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의 전방에는 포장지 인출수단(50)이 구비되고, 상기 포장지 인출수단(50)의 전방에는 포장지 절단수단(60)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지 절단수단(60)의 전방에는 인출되는 포장지의 하향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바(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은 좌우측판(41)와 격판(42)으로 이루어진 판상체(43)와, 상기 좌우측판(41) 사이에 구비된 장력유지롤(44)로 구성되고, 상기 판상체(43)는 상기 장력유지롤(44)의 원호방향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0) 좌우측판 사이에 축(45)을 통해 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인출수단(50)은 상부 인출롤(51)과 하부 인출롤(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인출롤(51)은 소정의 하중만큼 하부 인출롤(52)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인출롤(52)의 일측은 제 1 모터(53)의 풀리(53a)에 벨트(54)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절단수단(60)은 상부칼날(61)과 하부칼날(6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칼날(62)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칼날(61)은 상하 수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칼날(61)의 양쪽에는 제 1 수직바(63)가 힌지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수직바(63)에는 수평바(64)의 일측이 힌지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바(64)의 타측에는 제 2 수직바(65)가 힌지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수직바(65)의 타측은 제 2 모터(66)의 풀리(66a)에 힌지형태로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기 수평바(64)의 중도부는 케이스(10)에 축(67)으로 고정되어 시소 형태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5. 케이스(10) 상면에 설치된 걸이대(20)의 상부에 포장지 롤(30)이 축을 통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걸이대(20)의 하부에는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지 장력유지수단(40)의 전방에는 포장지 인출수단(50)이 구비되고, 상기 포장지 인출수단(50)의 전방에는 포장지 절단수단(60)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지 절단수단(60)의 전방에는 인출되는 포장지의 하향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바(7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 제 3 모터(210)가 장착되고, 이 제 3 모터(210)의 풀리(210a)에 벨트(211)로 연결되는 메인스프로킷(220)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스프로킷(220)의 좌우 및 하부에 반원호 형태로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5 포장롤러(225)가 설치되어 이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5 포장롤러(225)의 중앙부에 김밥 회전공간(22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4 포장롤러(224)의 끝단에는 기어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스프로킷(220)에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5 포장롤러(225)의 축은 케이스(10)의 좌우측판에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장홈(227)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터(210)에는 또 다른 풀리(210b)가 구비되고, 이 풀리(210b)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회전축(230)의 제 1 풀리(230a)와 벨트(212)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230)에는 별도의 제 2 풀리(230b)가 구비되며, 이 제 2 풀리(230b)는 상기 회전축(230)의 상측에 설치된 베벨기어(241) 평행축(240)의 풀리(240a)와 벨트(242)로 연결되고, 상기 평행축(240)의 베벨기어(241)와 치합되는 또 다른 베벨기어(241a)의 수직축(243)은 끝단이 'ㄱ'자형으로 절곡되며, 그 절곡부의 끝단에는 외주연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측면 포장롤(244)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포장롤(244)은 김밥(3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고, 김밥(300)이 회전될 때 그 김밥(300)의 양 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포장지를 쳐내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243)에는 회전수 감지센서(245)를 장착하여 상기 수직축(243)이 일정한 회전수만큼 회전한 후 정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는 하부가 힌지형태로 고정된 좌우 수직바(250)와, 이 수직바(250)에 힌지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김밥 회전공간(226) 쪽으로 돌출된 좌우 수평바(251)가 설치되며, 상기 좌우 수평바(251) 사이에는 롤러(252)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바(250)의 하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60)가 연결되어 이 솔레노이드 밸브(2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바(250)가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바(250)가 원호방향으로 소정각도 전진하였을 때 그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바(250)가 완전히 전진되었을 때의 위치상에 동작감지센서(27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 회전공간(226)의 하부에는 김밥(300)을 밀어 올리기 위한 토출봉 (281)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봉(281)의 하단에는 지지대(28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82)에는 반원형의 구멍(283)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283)에는 캠(cam)(284)이 삽입되며, 이 캠(284)은 제 4 모터(285)의 축(285a)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토출수단(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장롤러(221) 내지 제 5 포장롤러(225)는 초당 15~20회전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243)은 초당 25~30회전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포장기.
KR1020060015381A 2006-02-17 2006-02-17 김밥 포장기 KR10064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381A KR100648573B1 (ko) 2006-02-17 2006-02-17 김밥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381A KR100648573B1 (ko) 2006-02-17 2006-02-17 김밥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829A KR20060024829A (ko) 2006-03-17
KR100648573B1 true KR100648573B1 (ko) 2006-11-23

Family

ID=3713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381A KR100648573B1 (ko) 2006-02-17 2006-02-17 김밥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58B1 (ko) * 2007-05-02 2008-09-01 이남재 김밥의 로울 포장기
KR20240002336A (ko) 2022-06-29 2024-01-05 주식회사 삼흥 김밥 자동포장장치
KR20240025096A (ko) 2022-08-17 2024-02-27 김선빈 김밥 자동 절단 포장기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127A (ko) * 1995-06-23 1997-01-21 대비드 존 드랍쉬 좌석구조물
KR20040062737A (ko) * 2003-01-03 2004-07-09 김유태 김이 내장된 롤형 김밥 포장시트를 이용한 김밥 포장장치
KR20040088998A (ko) * 2004-06-28 2004-10-20 이남재 김밥포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127A (ko) * 1995-06-23 1997-01-21 대비드 존 드랍쉬 좌석구조물
KR20040062737A (ko) * 2003-01-03 2004-07-09 김유태 김이 내장된 롤형 김밥 포장시트를 이용한 김밥 포장장치
KR20040088998A (ko) * 2004-06-28 2004-10-20 이남재 김밥포장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7000012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58B1 (ko) * 2007-05-02 2008-09-01 이남재 김밥의 로울 포장기
KR20240002336A (ko) 2022-06-29 2024-01-05 주식회사 삼흥 김밥 자동포장장치
KR20240025096A (ko) 2022-08-17 2024-02-27 김선빈 김밥 자동 절단 포장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829A (ko) 200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6501B2 (ja) 伸張可能フィルムを有する、物品のための常温処理収縮巻付け機、及び関連手順
EP1736426A2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reels of extendable film prestretched longitudinally
US200900263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ding machinery
CN105128071B (zh) 制造空白的装置和方法
KR100648573B1 (ko) 김밥 포장기
EP18483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ding machinery.
US6560948B1 (en) Tear-off cushions of loose fill packing material, and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229928A (en)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packaging consumer goods
CN106586662B (zh) 卫生材料纱布折叠机
IT201900000733A1 (it) Metodo e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un involtino alimentare
ITMI20010094A1 (it) Macchina per l&#39;avvolgimento in rotoli e/o l&#39;imballaggio di rotoli di tessuti e simili
CN206841838U (zh) 一种纸壳成型装置
CN212346219U (zh) 一种面条定量分装的供面烫面系统
CN111904267A (zh) 一种面条定量分装装置的供面烫面系统及方法
WO2022152578A8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gabe einer folienbahn für packgut
KR20150092520A (ko) 비닐 시트 포장장치
EP3439995B1 (en) Device for feeding and accumulating film made of plastic material
KR101074879B1 (ko) 화장솜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S582726Y2 (ja) フイルム包装における繰出しフイルム安定装置
CN106114939B (zh) 自动包装机
KR20240025096A (ko) 김밥 자동 절단 포장기계
EP3526157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illows
JP3455647B2 (ja) 食品包装装置
ITMO20090304A1 (it) Procedimento per la fasciatura di carichi ed impianto relativo
JP2764010B2 (ja) 麺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