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439B1 -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조향장치 - Google Patents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439B1
KR100646439B1 KR1020050073852A KR20050073852A KR100646439B1 KR 100646439 B1 KR100646439 B1 KR 100646439B1 KR 1020050073852 A KR1020050073852 A KR 1020050073852A KR 20050073852 A KR20050073852 A KR 20050073852A KR 100646439 B1 KR100646439 B1 KR 10064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teering
carrier
input shaft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준
송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7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8Changing the transfer ratio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by variable supply of energy, e.g. by using a superpositio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입력축; 상기 입력축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이며, 외주면의 상단에는 웜 휠이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의 하단에는 태양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슬리브; 상기 입력축의 하단이 상기 입력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캐리어; 상기 태양 기어에 외접하되 상기 캐리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성 기어; 상기 유성 기어가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내 기어; 상기 내 기어의 하단과 연결되는 출력축; 및 상기 캐리어의 저면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기어 치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 태양 기어나 유성 기어가 다른 장치와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기어 비 변환 장치, 능동 전륜 조향장치, 유성 기어, 탄성 부재, 헬리컬 기어

Description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Variable Gear Ratio Transmission and Active Front Wheel Steering System of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헬리컬 기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비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기어 비 변환 장치121: 캐리어
123: 유성 기어125: 내 기어
131: 웜 축133: 웜 휠
135: 태양 기어401: 슬리브
403: 탄성 부재405: 유성 기어 회전축
501: 삽입공503: 스러스트 베어링
505: 스러스트 베어링 가이드601: 유니버설 조인트
본 발명은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또한, 동력 보조 조향장치(Power Steering Apparatus)는 운전자가 조향 휠(Steering Wheel)을 조작할 경우에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해 주는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 휠 조작력을 보조하여 줌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HPS: 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와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EPS: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로 크게 구분된다.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된 유압 펌프가 작동유를 작동 실린더로 공급하면, 작동유의 유압에 의한 조향 보조 동력이 제공되어 랙 바(Rack Bar)가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양쪽 바퀴가 선회되므로 운전자로 하여금 작은 힘으로 조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반면,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유압 펌프와 작동 실린더 대신에 랙 바 또는 컬럼에 모터 및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하고 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조향 보조 동력이 공급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주행 중 강하게 불어오는 횡풍이나 좌우가 대칭적이지 않은 노면의 상태 등의 외부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조향 휠과 조향 컬럼 사이의 조향 축을 분리한 것으로, 운전자의 조향 휠 조작으로 인한 조향각을 직접 조향 컬럼에 전달하지 않고 수시로 변화하는 조향각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이를 차량의 각종 정보와 비교분석한 후 조향 컬럼의 조향 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함으로써 조향각을 조절하는 이른바 능동 전륜 조향장치(AFS: Active Front Wheel Steering)가 등장하였다. 또한, 이러한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는 기어 장치에서 입력과 출력 사이의 기어 비를 변환시키는 기어 비 변환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기어 비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는 조향 휠(101)과, 조향 휠(101)에 연결되는 조향 축(103)과, 상단이 조향 축(103)에 연결되는 입력축(105)과,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07)와, 조향 축(103)의 회전에 의한 조향각의 변화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109)와, 조향 축(103)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111)와, 차속 센서(107), 조향각 센서(109) 및 토크 센서(111)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는 전자 제어 장치(113)와, 전자 제어 장치(113)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모터(115)와, 모터(115)에 의해 제어되는 기어 비 변환 장치(120)와, 조향 휠(10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조향력을 상기 자동차의 랙-피니언 기어부에 전달하는 출력축(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조향 휠(101)을 조작함에 따라 조향 축(103)이 회전하면 조향 축(103)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축(105)이 회전하고, 또한 입력축(10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캐리어(121)가 입력축(105)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이 경우 캐리어(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유성 기어(123)가 회전하게 되고, 유성 기어(123)와 접하고 있는 내 기어(125)는 유성 기어(123)의 회전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회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내 기어(1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출력축(117)이 회전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휠(101) 조작에 따라 발생한 조향력이 랙-피니언 기어부에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위의 과정은 전자 제어 장치(113)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이고, 전자 제어 장치(113)가 작동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변화가 생긴다.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07), 조향각의 변화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109), 그리고 조향 휠(101)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111)로부터 각각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여 전자 제어 장치(113)에 도달하면 전자 제어 장치(113)는 모터(115)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115)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위의 과정에 의해 모터(115)가 구동함에 따라 모터 축에 연결되어 있는 웜 축(131)도 회전하고 그에 따라 웜 축(131)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웜 휠(133)이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웜 휠(133)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태양 기어(135)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능동 전륜 조향장치는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향 휠(101)을 일 방향으로 조작하여 입력축(105), 캐리어(121) 및 유성 기어(123)가 회전하더라도 전자 제어 장치(113)가 웜 휠(133), 더 나아가 태양 기어(135)가 유성 기어(123)의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한편, 능동 전륜 조향장치는 자동차가 주차 등을 위해 저속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유성 기어(123)의 회전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한 운전을 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는 기어 비 변환 장치(120)로서 태양 기어(135), 유성 기어(123) 및 내 기어(125)로 구성되는 유성 기어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태양 기어(135)와 유성 기어(123)는 일반적으로 헬리컬 기어로서 형성되는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헬리컬 기어는 기어치의 열이 기어의 회전축과 평행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헬리컬 기어는 기어치의 열이 기어의 회전축과 평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서로 맞물리는 기어치 끼리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더 큰 힘을 전달할 수 있고 기어치의 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회전하므로 소음도 더 적다.
그러나 헬리컬 기어는 기어치의 열이 경사져 있으므로 헬리컬 기어의 작동시 축 방향으로 추력(Thrust)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헬리컬 기어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서로 맞물리는 기어치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원활한 회전이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헬리컬 기어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어의 회전축이 다른 장치와 부딪히면서 소음이나 진동을 일으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기어 비 변환 장치 내에 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의 각각의 기어 치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가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태양 기어나 유성 기어가 다른 장치와 부딪히면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입력축; 상기 입력축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이며, 외주면의 상단에는 웜 휠이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의 하단에는 태양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슬리브; 상기 입력축의 하단이 상기 입력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캐리어; 상기 태양 기어에 외접하되 상기 캐리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성 기어; 상기 유성 기어가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내 기어; 상기 내 기어의 하단과 연결되는 출력축; 및 상기 캐리어의 저면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비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휠과, 상기 조향 휠에 연결되는 조향 축과, 상단이 상기 조향 축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상기 조향 축의 회전에 의한 조향각의 변화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와, 상기 조향 축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와, 상기 차속 센서, 상기 조향각 센서 및 상기 토크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 비 변환 장치와, 상기 조향 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조향력을 상기 자동차의 랙-피니언 기어부에 전달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 비 변환 장치는, 상기 입력축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이며, 외주면의 상단에는 웜 휠이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의 하단에는 태양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슬리브; 상기 입력축의 하단이 상기 입력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캐리어; 상기 태양 기어에 외접하되 상기 캐리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성 기어; 상기 유성 기어가 내접하도록 형성되되 하단이 출력축과 연결되는 내 기어; 및 상기 캐리어의 저면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비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비 변환 장치는 회전 가능한 입력축(105)과, 입력축(105)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이며 외주면의 상단에는 웜 휠(133)이 구비되고 외주면의 하단에는 태양 기어(135)가 구비되어 있는 슬리브(401)와, 입력축(105)의 하단이 입력축(105)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캐리어(121)와, 태양 기어(135)에 외접하되 캐리어(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성 기어(123)와, 유성 기어(123)가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내 기어(125)와, 내 기어(125)의 하단과 연결되는 출력축(117)과, 캐리어(121)의 저면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4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축(105)은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으로서 회전 가능한 구조이며, 입력축(105)의 하단에는 캐리어(121)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401)는 입력축(105)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이며, 외주면 상단에는 방사상으로 외경이 확장되어 웜 축(131)의 웜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웜 휠(133)이 구비되고, 외주면 하단에는 역시 방사상으로 외경이 확장되어 유성 기어(123)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태양 기어(135)가 구비된다. 다만, 웜 휠(133)이나 태양 기어(135)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슬리브(401)의 외경이 반드시 확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외경이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웜 휠(133)이나 태양 기어(135)는 슬리브(401)와 별도로 구비되어 슬리브(401)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캐리어(121)는 입력축(105)의 하단이 입력축(105)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끝단에는 유성 기어 회전축(405)이 삽입되도록 삽입공(501)이 형성되어 있어서 유성 기어(123)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성 기어 회전축(405)의 외주면과 삽입공(501)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 기어(125)는 유성 기어(123)가 내 기어(125)에 내접하도록 유성 기어(123)를 둘러싸면서 형성된다.
출력축(117)은 내 기어(125)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는데, 유성 기어(123)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내 기어(125)를 통해서 출력축(117)에 전달된다.
내 기어(125)의 하단과 출력축(117)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내 기어(125)와 출력축(117)을 일체로 가공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고, 출력축(117)의 상단이 내 기어(125)의 하단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출력축(117)을 내 기어(125)의 하단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연결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3)는 캐리어(121)의 저면에 구비되어 캐리어(121)를 탄성 지지하는 동시에 유성 기어(123)의 축 방향 이동에 수반되는 캐리어(121)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에는 태양 기어(135)에 외접하는 유성 기어(123)가 유성 기어 회전축(405)을 매개로 캐리어(121)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성 기어(123)가 작동하면서 축 방향의 추력(Thrust)이 발생하면 이 추력은 곧바로 캐리어(121)에 전달되어 캐리어(121)의 축 방향 운동을 일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캐리어(121)가 유성 기어(123)로부터 추력을 받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캐리어(121)의 하측에 구비되는 출력축(117)의 상단 또는 내 기어(125)의 하단과 캐리어(121)가 부딪혀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태양 기어(135)와 캐리어(121) 사이 또는 유성 기어(123)와 캐리어(121)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려면 태양 기어(135)나 유성 기어(123)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탄성 부재(403)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 부재(403)로는 스프링 또는 접시 스프링 와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캐리어(121)의 저면과 내 기어(125)의 상면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50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503)은 캐리어(121)의 저면과 내 기어(125)의 상면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러스트 베어링(503)의 저면에 스러스트 베어링 가이드(505)를 구비하여 스러스트 베어링(503)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스러스트 베어링(503)도 캐리어(121)의 축 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지만 스러스트 베어링(503)의 설치만으로 추력(또는 이에 수반되는 진동)의 발생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따라서 캐리어(121)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추력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로서 탄성 부재(403)가 필요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조향 휠(101)과, 조향 휠(101)에 연결되는 조향 축(103)과, 상단이 조향 축(103)에 연결되는 입력축(105)과,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07)와, 조향 축(103)의 회전에 의한 조향각의 변화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109)와, 조향 축(103)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111)와, 차속 센서(107), 조향각 센서(109) 및 토크 센서(111)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는 전자 제어 장치(113)와, 전자 제어 장치(113)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모터(115)와, 모터(115)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 비 변환 장치(120)와, 조향 휠(10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조향력을 자동차의 랙-피니언 기어부에 전달하는 출력축(117)을 포함한다.
조향 축(103)은 상단이 조향 휠(101)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향 휠(101) 조작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입력축(105)에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하단은 유니버설 조인트(601)를 매개로 입력축(105)과 연결되어 있다.
입력축(105)은 유니버설 조인트(601)를 매개로 상단이 조향 축(103)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캐리어(121)가 형성되어 있다.
차속 센서(107), 조향각 센서(109) 및 토크 센서(111)는 각각 자동차의 속도, 조향각의 변화 및 조향 토크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 제어 장치(11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제어 장치(113)는 차속 센서(107), 조향각 센서(109) 및 토크 센서(111)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종합하여 모터(115)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115)는 전자 제어 장치(113)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구동되고 모터 축과 연결되는 웜 축(131)을 통해 구동력을 기어 비 변환 장치(120)에 전달함으로써 자동차의 조향을 보조한다. 또한, 모터(115)로는 일반적으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나 BLAC(Brushless Alternating Current) 모터 등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어 비 변환 장치(120)는 슬리브(401), 유성 기어(123), 캐리어(121), 내 기어(125) 및 탄성 부재(4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는 차속 센서(107), 조향각 센서(109) 및 토크 센서(11)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전자 제어 장치(113)가 모터(115)를 구동하여 기어 비 변환 장치(120)를 제어하는 경우 탄성 부재(403)가 태양 기어(135)나 유성 기어(123)의 축 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태양 기어(135)나 유성 기어(123)의 기어 치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는 탄성 부재(403)의 상측에 스러스트 베어링(503) 및 스러스트 베어링 가이드(505)를 구비함으로써 태양 기어(135)나 유성 기어(123)에서 발생하는 추력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의 기어 비 변환 장치 내에 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의 각각의 기어 치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가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태양 기어나 유성 기어가 다른 장치와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회전 가능한 입력축;
    상기 입력축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이며, 외주면의 상단에는 웜 휠이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의 하단에는 태양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슬리브;
    상기 입력축의 하단이 상기 입력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캐리어;
    상기 태양 기어에 외접하되 상기 캐리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성 기어;
    상기 유성 기어가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내 기어;
    상기 내 기어의 하단과 연결되는 출력축; 및
    상기 캐리어의 저면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저면과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비 변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저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비 변환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접시 스프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비 변환 장치.
  5. 삭제
  6. 자동차의 조향 휠과, 상기 조향 휠에 연결되는 조향 축과, 상단이 상기 조향 축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상기 조향 축의 회전에 의한 조향각의 변화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와, 상기 조향 축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와, 상기 차속 센서, 상기 조향각 센서 및 상기 토크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 비 변환 장치와, 상기 조향 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조향력을 상기 자동차의 랙-피니언 기어부에 전달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 비 변환 장치는,
    상기 입력축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이며, 외주면의 상단에는 웜 휠이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의 하단에는 태양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슬리브;
    상기 입력축의 하단이 상기 입력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캐리어;
    상기 태양 기어에 외접하되 상기 캐리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성 기어;
    상기 유성 기어가 내접하도록 형성되되 하단이 출력축과 연결되는 내 기어; 및
    상기 캐리어의 저면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저면과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저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접시 스프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
KR1020050073852A 2005-08-11 2005-08-11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조향장치 KR10064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852A KR100646439B1 (ko) 2005-08-11 2005-08-11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852A KR100646439B1 (ko) 2005-08-11 2005-08-11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439B1 true KR100646439B1 (ko) 2006-11-14

Family

ID=3765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852A KR100646439B1 (ko) 2005-08-11 2005-08-11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382B1 (ko) 2007-07-13 2014-06-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회전수 조절장치
KR20160104762A (ko) * 2015-02-26 2016-09-0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11B1 (ko) * 1995-06-29 1998-04-10 정몽원 자동차의 전자제어 조향장치
JP2003312486A (ja) 2002-04-24 2003-11-06 Koyo Seiko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JP2005030458A (ja) 2003-07-09 2005-02-03 Nsk Ltd シザーズギヤ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11B1 (ko) * 1995-06-29 1998-04-10 정몽원 자동차의 전자제어 조향장치
JP2003312486A (ja) 2002-04-24 2003-11-06 Koyo Seiko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JP2005030458A (ja) 2003-07-09 2005-02-03 Nsk Ltd シザーズギヤ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382B1 (ko) 2007-07-13 2014-06-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회전수 조절장치
KR20160104762A (ko) * 2015-02-26 2016-09-0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KR102246685B1 (ko) 2015-02-26 2021-05-0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401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0621347B1 (ko)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 장치
KR100651141B1 (ko)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 장치
JP200803074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646439B1 (ko)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조향장치
JP4520804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80022425A (ko) 래틀 노이즈가 감소되는 전동식 조향장치
KR102106292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JP2006218980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1421339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90104672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20060101622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감속기 유격보상구조
KR100804570B1 (ko) 유성 기어 장치를 감속기로서 구비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KR100651157B1 (ko) 기어 비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능동 전륜조향장치
KR20120029152A (ko)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220081772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101076585B1 (ko) 백래쉬 저감장치가 구비된 유성 기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능동 전륜 조향장치
KR101630123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172122B1 (ko) 가변 기어비 유성 기어 장치
KR100723725B1 (ko) 제롤 베벨기어를 구비한 모터 구동식 조향장치
KR20230023152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04504207A (ja) 機械式バックアップ装置付電気式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20070075110A (ko) 유격 보상기구를 구비한 기어비 가변 조향장치
KR20070051590A (ko)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
KR100621346B1 (ko) 축 연결 부재를 가지는 감속기구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기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