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055B1 - 수목장묘 - Google Patents

수목장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055B1
KR100646055B1 KR1020040090433A KR20040090433A KR100646055B1 KR 100646055 B1 KR100646055 B1 KR 100646055B1 KR 1020040090433 A KR1020040090433 A KR 1020040090433A KR 20040090433 A KR20040090433 A KR 20040090433A KR 100646055 B1 KR100646055 B1 KR 10064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water supply
container
nursery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366A (ko
Inventor
김현복
Original Assignee
김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복 filed Critical 김현복
Priority to KR102004009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0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4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장묘 및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부여되는 수목과, 상기 수목 아래에 매장되는 것으로 자연분해가 가능한 점토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화장한 골분을 수납하는 용기 형태의 유골함과, 상기 수목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비문이 새겨진 명패와, 상기 수목의 뿌리 주위를 권회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급수와 비료투입이 이뤄지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목장묘는 유해를 잘 보존하고 후손과 밀접한 유대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장문화 정신의 근저인 존골사상(尊骨思想)과 계세사상(繼世思想)을 잘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개성화되는 장례의식과 생사관에 맞춘 자연친화적인 장묘법을 보급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묘지조성으로 인한 토지잠식과 무분별한 산림개간 및 벌목으로 인한 자연파괴를 막을 수 있어 산림을 보존할 수 있으며,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묘지관리 및 벌목으로 인한 탄소 배출권 손실 등에 따른 직간접적인 경제적 손실 및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수목장, 수목, 유골, 장묘, 환경 친화적

Description

수목장묘{Tree grav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에 사용되는 유골함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에 사용되는 명패와 판독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회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골함 11 : 용기본체
12 : 덮개 13 : 황토용기
14 : 비료 혼합물 15 : 목재함
20 : 명패 25 : RF 스마트칩
30 : 급수수단 31 : 급수관
32 : 스프링클러 40 : 관리서버
50 : 조회서버 60 : 감지장치
70 : 촬영장치
본 발명은 수목장묘(樹木葬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단위 수목장을 조성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목장묘 및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매장을 선호하는 장례문화가 조금씩 바뀌어 화장 후 납골을 하는 경우도 늘고 있지만, 국민 상당수가 매장을 우선시하고 있어 땅 부족 현상이 가시화해 매년 여의도 면적과 같은 280ha 이상만큼 망자(亡者)를 위해 국토를 할애해야 하는 폐단이 있으며, 일예로 2004년 서울 인근지역 공설묘지의 경우 서울 망우리 묘지와 경기 용미리, 벽제리, 내곡리 묘지 등 매장이 가능한 곳이 8만9391기이나 이미 8만7632기가 사용돼 빈자리는 1759기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망자에 대한 매장과 화장의 비율이 53.6%대46.4% 정도로 집계되고 있으며, 화장선호도가 매년 조금씩 높아지고 사후(死後) 세계를 인정해 화장을 하지 않았던 기독교, 천주교 등도 납골당을 설치하고 있지만 아직도 화장보다 매장을 선호하고 있어 묘지난을 극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산림에서의 묘지조성은 묘지 그 자체가 비생산적이고, 묘지를 설치하기 위해 임목을 벌채해야 하므로 이로 인한 산사태와 같은 산지재해와 산림생태계 변화에 따른 생물 다양성에도 악영향을 초래하여 국토경관과 환경의 쾌적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묘지는 산림훼손과 산사태를 초래한다. 즉, 산지에 적합한 묘지 개발기준 미비로 인해 산지재해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1998년에 경기도 지역에 1만여 기의 묘지가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1999년에는 경기 북부 지역에서 집단묘지 유실과 인명 재산피해를 받은 사고 103건이 발생하였다. 또한, 2001년 태풍 루사 피해지인 강릉의 묘지유실은 재앙에 가까울 정도의 산지재난 사고였다. 이와 같이 집단묘지의 부적절한 부지선정이나 부실한 부지공사는 산림훼손과 산사태를 초래하며 부지확보 과정에서 급경사지 산림을 무분별하게 형질 변경하거나 경제적인 문제로 초래되는 부실공사가 일반적인 묘지피해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이러한 집단묘지로 인한 산림훼손과 산사태는 묘지의 증가에 따라 계속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둘째, 산림에서의 매장관행은 국토의 잠식, 효율적인 국토이용, 자연경관훼손 등의 폐해를 일으킨다. 즉, 기후변화협약 체결로 토지이용과 산림활동에서 임목축적에 변화가 있으면 이를 탄소 배출권과 연계시켜 경제적 영향을 주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에 묘지를 조성하게 되면 임목을 벌채하고 재조림을 하지 않으므로 탄소를 배출하는 산림전용(deforestation)으로 분류되어 탄소 배출권을 잃게 되며, 이는 조만간 우리나라가 탄소배출 감축 의무국이 되면 산림에서의 매장관행은 국토잠식이나 경관훼손 뿐만 아니라 지구환경 문제와 연계되어 국익을 위해 산림에서 충분한 탄소 배출권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당면할 것이다.
셋째, 고가 수입목재의 과소비를 초래한다. 즉, 장례용 목관의 연간 목재 소 비량은 원목 기준으로 3만 5,000m3에 달하고 시장규모로 환산하면 74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매장용 목관 원목소비량은 2만 7,000m3으로 전체소비량의 75%를 점하고 있다. 화장용 목관 규격이 18mm 두께로 한 벌에 평균 6만원 정도로 값싼 오동나무인데 비해, 매장용은 45mm로 두껍고 한 벌에 평균 47만원, 최고 100만원의 고가 수입목재를 이용하고 있어 외화지출과 목재 과소비를 초래하고 있다.
반면, 매장용 목관을 전량 국내산 소나무로 공급하려면 매년 강원도 소나무 50년생 산림 93ha의 벌채 압력이 발생하며, 매장용 목관제조에 이용 가능한 소나무는 형질이 좋은 원목이어야 하므로 자칫 귀중한 문화재 보수용 목재의 공급 부족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매장관행에 따른 집단묘지 조성은 위와 같은 문제점과 함께 유고사상의 퇴조와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조상의식이 희박해지고 후손들의 묘지관리를 기대할 수 없게 되면서 매장은 줄고 화장률이 늘어나고 있음을 통계로 알 수 있다.
또한, 정부는 '장사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지자체가 화장 및 납골의 확산을 위해 의무적으로 화장장 및 납골시설의 중장기수급계획을 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납골시설은 화장문화를 확산하는데 필수적이지만 대개 석구조물인데다 규모도 커지고 있고 혐오시설로 인식되면서 지역주민들의 지역 이기주의에 부딪힘에 따라 결국 그 구조물들이 주민들의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산림을 전용하여 국토를 잠식하고 산림을 훼손하게 되는 폐단이 있으며, 아울러 납골시설을 건립하기 위해 중국 등에서 수입하는 석재 및 법적 안치기간이 끝난 후에 유골 등의 처리 문제 등의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장한 골분을 나무 아래에 묻는 대단위 수목장묘를 조성하여 인공시설물이 최소화된 자연친화적인 장묘문화를 보급화시킬 수 있는 수목장묘 및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묘지로 인한 토지잠식이나 환경파괴 등을 막고 산림을 보호하는 한편 휴식공간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수목장묘 및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장묘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부여되는 수목과, 상기 수목 아래에 매장되는 것으로 화장한 골분이 수납되고 식재된 수목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용기 형태의 유골함과, 상기 수목에 부착 구비되는 것으로 비문이 새겨진 명패와, 상기 수목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급수와 비료투입이 이뤄지는 급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유골함은 황토 분말과 곡물가루분과 탄산칼슘 그리고 섬유질을 혼합하여 반죽 성형 가공하고 이를 소정온도에서 열처리한 것으로 유골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에 의해 차폐되는 용기본체 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유골함은 황토를 용기형태로 성형하여 소정온도에서 열처리한 황토용기와, 이 황토용기 내부에 유골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하고 충진되는 비료 혼합물과, 상기 황토 용기를 수납하는 목재함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비료 혼합물은 곡물가루분과 탄산칼슘과 섬유질과 맥반석, 숯, 키토산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명패는 판재형의 목재로 가공되어 일면에 비문이 각인되며, 일측에는 관리자가 소지한 판독기를 이용하여 정보판독이 가능하도록 수목의 고유식별코드와 고인의 인적사항 등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한 RF 스마트칩이 내장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수목의 뿌리 주위를 권회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일측 끝은 차폐되어 매립된 상태이고 타측 끝은 급수 및 비료투입이 가능하도록 지면 위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급수관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수목의 근처에 배치되고 일측 끝에 공급되는 급수 또는 액상의 비료나 물을 분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은, 고유의 식별코드를 갖는 수목 아래에 유골을 매장한 수목장묘로 조성되는 수목장림에 있어서,
상기 수목장묘의 위치와 고인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는 것으로 무선통신망과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저장된 정보를 공유하며 선택적으로 고객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조회서버와; 상기 수목장묘를 3~15개로 그룹화하고 그룹지역내에 설치되어 강우,풍속, 기압,소음, 온도,습도, 풍향, 지질,토양 등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관리서버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룹지역내의 특정 수목장묘를 선택적으로 촬영하는 것으로 관리서버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계되어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영상데이터를 송출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특징으로서, 상기 조회서버는, 고객 단말기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고객으로부터 조회내용을 입력받아 분석 처리하는 조회입력모듈과; 상기 조회입력모듈에 연계되어 조회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초로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수목장묘 정보를 제공받아 가공 생성하는 생성모듈과; 상기 생성모듈에 연계되어 수목장묘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조회서버는 관리서버 및 촬영장치와 연계되어 조회정보에 해당되는 수목장묘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 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 및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에 사용되는 유골함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에 사용되는 명패와 판독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회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는 크게 녹음수종에 속하는 수목(100)과 자연분해되는 천연소재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골분을 수납하는 유골함(10)과, 수목(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비문이 새겨지는 명패(20)와, 상기 수목(100)에 급수와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목(100)(영생목)은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받아 관리되며, 이에 쓰이는 영생목(永生木)은 참나무, 너도밤나무, 자작나무 등 다양한 수종이 식재될 수 있으나, 수목의 수령과 목재로의 활용 가치 그리고 관상수로의 적합성 등 을 고려 하여 본 발명에서는 메타스 콰이어 또는 삼나무를 제안한다.
여기서, 메타스 콰이어는 그 특성상 일직선으로 곧게 자라므로 관상수로도 부족함이 없으며, 산림면적이 국토의 70%를 차지하면서도 이용 가능한 수종이 적은 현실에 차후 유용한 목재로 사용가능하고, 가지가 옆으로 퍼지지 않고 곧게 뻗으므로 단위 면적당 많은 식재가 가능하다.
그리고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는 과목 낙우송과의 상록교목으로, 줄기는 곧게 뻗고 빽빽이 분지하며, 재질이 좋고 특유의 향기가 있으며, 가구재·건축재·장식재 등으로 사용된다. 일본 원산이며, 한국 남부지방에서 조림되고 있다.
이러한 수목(100)은 수종에 따라 장기수는 1ha당 3,000본을 식재하며 간격은 1.8m×1.8m, 구덩이크기는 너비30cm×깊이 30cm가 적당하고, 메타스 콰이어는 1ha당 600본을 식재하고 간격은 3m×5m, 구덩이크기는 너비 40cm×깊이 70cm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수목(100)은 그 일측에 고인에 관련된 비문이 새겨진 명패(20)가 부착되며, 부착위치는 지면에서 대략 1m 내외가 적당하다.
상기 명패(20)는 목재 또는 석재를 이용하여 판재형으로 가공하고 그 일면에 비문과 고인에 관련된 정보나 사진 등을 각인한 것으로서, 이러한 비문은 그 일측으로 RF 스마트칩(25)이 부착 또는 내장되게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상기 RF 스마트칩(25)은 수목(100)과 고인에 관련된 각종 정보(수목(100)의 고유식별코드와 식재일, 검침일 및 고인의 인적사항 등)를 칩(25)내부에 저장하고 있으며 관리자가 소지한 판독기(28)(휴대용 카드 리더 및 라이터기)를 이용하여 정보판독과 정보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RF 스마트칩(25)은 배터리가 필요없고 컨택리스칩은 수명이 거의 무한하고 운영상의 신뢰성이 높으며 시스템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컨택리스칩(contactless chip)"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컨택리스칩은 상용제품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골함(10)은 고인의 분골을 수납하면서 식재된 수목(100)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이나 성형이 용이하고 자연분해가 가능한 목재나 석재 또는 점토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안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환경 친화적이면서 자연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식재된 수목(100)의 초기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유골함(10)을 제안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골함(10)은 황토 분말과 곡물가루분과 탄산칼슘 그리고 섬유질을 일정비율로 혼합 반죽하고 이를 성형한 뒤 소정온도에서 열처리한 것으로 유골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1)와, 이 용기본체(11)의 입구를 차폐시키는 덮개(12)로 구성된 유골함(10)을 제안한다. 이러한 유골함(10)은 점토를 용기형태로 성형 가공하고 이를 소정온도에서 열처리하거나 또는 자연건조시키는 통상의 도기 제조방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황토와 각종 비료 성분을 포함하는 유골함(10)은 매장시 자연분해되면서 수목(100)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각종 유기물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골함(10)은 황토용기(13)와, 비료 혼합물(14) 그리고 목재함(15)으로 구성되며, 상기 황토용기(13)는 황토를 용기형태로 성형 가공하고 이를 소정온도에서 열처리한 것으로 통상의 도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되며, 상기 비료 혼합물(14)은 식재된 수목(100)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곡물 가루분과 탄산칼슘과 섬유질 그리고 맥반석, 숯, 키토산 등을 혼합 반죽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며, 상기 목재함(15)은 상기 유골이 담겨진 황토용기(13)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황토용기(13)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매장시 황토용기(1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상자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골함(10) 자체가 황토와 비료 성분으로 성형된 것과, 황토로 성형된 용기에 비료 혼합물(14)을 충진시킨 형태의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환경 친화적이면서 자연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고 동시에 수목(100)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특징을 갖는다면 목재나 섬유질과 같은 천연재료를 이용한 유골함(10)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골함(10)은 고인의 분골이 담겨진 상태에서 수목(100)의 아래에 매장되며, 이때 매장위치는 수목(100)의 수종과 수령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한다.
상기 급수수단(30)은 상술한 수목(10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급수와 비료투 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급수수단(30)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될 수 있으나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급수관(31) 형태로 제안될 수 있다.
먼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수단(30)은 급수관(31)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급수관(31)은 수목(100)의 뿌리 주위를 권회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서, 상기 수목(100) 뿌리에 급수와 비료투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급수관(31)은 장기간 매립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재활용이 가능해야 하므로 합금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관(31)은 대략 50~100mm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구조이며, 일측 끝은 차폐되어 수목(100)의 뿌리 근처에 매립된 상태이고 타측 끝은 급수 및 비료투입이 가능하도록 지면위로 돌출된 투입구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때의 상기 투입구는 조문객이 조문시 각종 비료원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안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멍은 흙이나 기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되게 노즐 형태로 돌기물을 돌출시키고, 이 돌기물에 배출구멍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급수관(31)은 수목(100)을 식재할 때 식재 구덩이와 뿌리분 사이에 나선형 형태로 설치되어 급수관(31)을 통한 급수작업과 비료투입작업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수목(100) 활착율과 성장률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급수관(31) 형태의 급수수단(30) 외에도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수단(30)은 스프링클러(32)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클러(32)는 수목(100)의 근처에 배치되고 일측 끝은 액상의 비료나 물을 분출하는 노즐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32)는 이미 공지된 형태의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급수수단(30)을 구비시키는 가장 큰 이유는, 상기 수목(100)이 일반적인 조경수가 아닌 수목장묘에 사용되는 영생목이므로 자칫 물이나 영양분 부족으로 인한 고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목장묘는 다양한 조성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일예로, 1구의 골분만을 하나의 수목(100)에 매장하는 개인 영생목 수목장묘와, 몇 그루의 영생목을 가족 구성원용으로 하는 가족 합장용 영생목 수목장묘 그리고 다수의 수목(100)을 화단이나 정원형태로 조성하고 이를 영생목을 구매할 경제적 능력이 없거나 집단 산골을 필요로 하는 공동용으로 하는 공동 영생목 수목장묘 형태로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성된 수목장묘는 대단위의 수목장림(樹木葬林) 형태로 조성하고, 이렇게 조성된 수목장림에는 기본적 관리시설과 함께 규격화된 영전을 보관할 수 있는 시설과, 몇 개의 추모실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장묘는 매장효력 기간을 정하고 효력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국가에 헌납하여 공익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되 이때 상기 수목장림을 구성하는 수목장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유의 식별코드를 갖는 수목(100) 아래에 유골을 매장한 형태의 것으로, 이러한 수목장묘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단위로 조성한 것이 수목장림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은 수목장묘 주변의 기후변화나 산불 등 자연재해 등을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센터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고인의 유족 즉, 고객에게 해당 수목장묘에 관련된 각종정보와 수목장묘를 촬영한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관리서버(40)와 조회서버(50) 그리고 감지장치(60)와 촬영장치(70)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40)는 상기 수목장림을 조성하는 각각의 수목장묘의 위치와 수목(100)의 상태 그리고 고인에 관련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고 있으며, 무선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관리서버(40)는 메인프로세서(CPU)와 주기억장치 및 보조기억장치 그리고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키보드/마우스/모니터/프린터 등)로 구성되어 운용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을 탑재한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뎀을 탑재하고 있어 후술할 감지장치(60)와 촬영장치(70)와 연계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모뎀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통신망은 기지국 제어기(BSC)와 기지국(BTS)을 관리하는 기지국 관리시스템(BSM)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망은 CDMA2000 기반의 무선이동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으나 관리 및 비용절감 차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며,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망은 이미 다양한 형태로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관리서버(40)는 조회서버(50)와 연계되어 저장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감지장치(60)로부터는 다양한 감지정보를 수신받아 분석 처리하고, 분석내용을 기초로 촬영장치(70)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감시를 실시한다.
상기 조회서버(50)는 관리서버(40)와 네트워크로 연계되어 관리서버(4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공유하면서 선택적으로 고인의 유족(이하 '고객' 이라고 함)에게 해당 수목장묘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회서버(50)는 크게 조회입력모듈(51)과 생성모듈(52) 그리고 정보제공모듈(5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조회입력모듈(51)은 고객의 단말기(퍼스널 컴퓨터/휴대용 컴퓨터 및 PDA 등)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며, 고인 및 그 유족에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차원에서 조회정보 제공을 위한 인증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조회입력모듈(51)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고객에게 조회정보 제공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정상적으로 인증되는 경우에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은 조회내용을 분석 처리하여 생성모듈(52)로 제공한다. 생성모듈(52)은 상기 조 회입력모듈(51)에 연계되어 조회정보를 제공받으며 이를 기초로 관리서버(40)로부터 해당 수목장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정보는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가공된다. 이렇게 상기 생성모듈(52)에서 가공된 정보는 정보제공모듈(53)로 전달되어 고객에게 제공된다.
한편, 상기 조회서버(50)는 관리서버(40) 및 촬영장치(70)와 연계되어 조회정보에 해당되는 수목장묘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장치(60)는 상기 수목장림을 조성하는 수목장묘를 3~15개로 그룹화하고 그룹지역내에 설치되어 강우,풍속, 기압,소음, 온도,습도, 풍향, 지질,토양 등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관리서버(40)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감지장치(60)는 각종 센서와 이들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취합하는 마이컴과 근거리 무선통신모뎀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배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감지장치(60)는 그룹지역내의 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화재나 산사태로 인한 수목장묘 유실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관리서버(40)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 촬영장치(70)는 상기 감지장치(60)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룹지역내의 특정 수목장묘를 선택적으로 촬영하는 것으로 관리서버(4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계되 어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영상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이러한 촬영장치(70)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자세제어기와 상기 관리서버(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뎀과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CCTV와 같이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촬영장치(70)는 관리서버(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 받게 되면 마이콤이 위치제어기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여 해당되는 수목장묘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서버(40)로 전송하여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모니터링 용도외에도 조회서버(50)로 접속한 고객에게 제공된다.
한편, 상기 촬영장치(70)는 상술한 감지장치(60)와 마찬가지로 배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은 여러개의 수목장묘를 그룹화하고, 이 그룹화된 수목장묘들을 감지장치(60)와 촬영장치(70)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계시켜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현장감시를 수행하므로 적은 인원으로도 관리가 가능하며, 산불이나 산사태 등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수목장묘는 점토로 성형한 유골함을 수목 아래에 매장하므로 유골함이 분골과 함께 자연분해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급수관을 통해 급수와 비료투입을 통해 자연상태에서의 고사의 위험성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칩을 내장한 명패를 부착시켜 수목의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이를 기초로 각각의 수목장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목장묘는 유해를 잘 보존하고 후손과 밀접한 유대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장문화 정신의 근저인 존골사상(尊骨思想)과 계세사상(繼世思想)을 잘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개성화되는 장례의식과 생사관에 맞춘 자연친화적인 장묘법이다.
특히, 묘지조성으로 인한 토지잠식과 무분별한 산림개간 및 벌목으로 인한 자연파괴를 막을 수 있어 산림을 보존할 수 있으며,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묘지관리 및 벌목으로 인한 탄소 배출권 손실 등에 따른 직간접적인 경제적 손실 및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림 관리시스템은 각각의 수목장묘에 대한 실시간 감시를 통해 산불이나 기타 자연재해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원격지에 위치한 고객(유족)이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되는 수목장묘에 대한 정보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고유의 식별코드가 부여되는 수목과;
    상기 수목 아래에 매장되는 것으로 화장한 골분이 수납되고 식재된 수목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용기 형태의 유골함과;
    상기 수목에 부착 구비되는 것으로 비문이 새겨진 명패와;
    상기 수목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급수와 비료투입이 이뤄지는 급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은 황토 분말과 곡물가루분과 탄산칼슘 그리고 섬유질을 혼합하여 반죽 성형 가공하고 이를 소정온도에서 열처리한 것으로 유골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에 의해 차폐되는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은 황토를 용기형태로 성형하여 소정온도에서 열처리한 황토용기와, 이 황토용기 내부에 유골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하고 충진되는 비료 혼합물과, 상기 황토 용기를 수납하는 목재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 혼합물은 곡물가루분과 탄산칼슘과 섬유질과 맥 반석, 숯, 키토산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패는 판재형의 목재로 가공되어 일면에 비문이 각인되며, 일측에는 관리자가 소지한 판독기를 이용하여 정보판독이 가능하도록 수목의 고유식별코드와 고인의 인적사항 등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한 RF 스마트칩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수목의 뿌리 주위를 권회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일측 끝은 차폐되어 매립된 상태이고 타측끝은 급수 및 비료투입이 가능하도록 지면 위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급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수목의 근처에 배치되고 일측 끝에 공급되는 급수 또는 액상의 비료나 물을 분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40090433A 2004-11-08 2004-11-08 수목장묘 KR10064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433A KR100646055B1 (ko) 2004-11-08 2004-11-08 수목장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433A KR100646055B1 (ko) 2004-11-08 2004-11-08 수목장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366A KR20060041366A (ko) 2006-05-12
KR100646055B1 true KR100646055B1 (ko) 2006-11-15

Family

ID=3714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433A KR100646055B1 (ko) 2004-11-08 2004-11-08 수목장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0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195B1 (ko) 2006-05-04 2007-06-22 정경환 유해매장구조
KR100799966B1 (ko) 2007-08-07 2008-02-01 김광부 전자칩이 내장된 추모용 골회 사리
KR101224201B1 (ko) * 2010-09-20 2013-01-18 박영준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6463B (en) * 2013-03-18 2014-10-01 Greenacres Groups Ltd Improved burial systems and methods
KR101654482B1 (ko) * 2015-11-16 2016-09-05 윤원중 자연장지용 분골 매장방법
CN108086785A (zh) * 2017-12-14 2018-05-29 苗磊 殡葬工艺制品、一种载有dna遗传信息的殡葬方法及专用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615A (ja) 1996-09-27 1998-04-24 Niyokai Matsushima 墓参システム
JPH11112971A (ja) 1997-10-06 1999-04-23 Masanobu Kujirada 墓参システム
KR19990068323A (ko) * 1999-04-02 1999-09-06 이학성 묘지의검색시스템
KR20010000367A (ko) * 2000-09-22 2001-01-05 김웅기 장묘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4482A (ko) * 2000-09-25 2002-03-30 조성만 인터넷을 이용한 묘지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615A (ja) 1996-09-27 1998-04-24 Niyokai Matsushima 墓参システム
JPH11112971A (ja) 1997-10-06 1999-04-23 Masanobu Kujirada 墓参システム
KR19990068323A (ko) * 1999-04-02 1999-09-06 이학성 묘지의검색시스템
KR20010000367A (ko) * 2000-09-22 2001-01-05 김웅기 장묘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4482A (ko) * 2000-09-25 2002-03-30 조성만 인터넷을 이용한 묘지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195B1 (ko) 2006-05-04 2007-06-22 정경환 유해매장구조
KR100799966B1 (ko) 2007-08-07 2008-02-01 김광부 전자칩이 내장된 추모용 골회 사리
KR101224201B1 (ko) * 2010-09-20 2013-01-18 박영준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366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ilthuizen et al. Effects of karst forest degradation on pulmonate and prosobranch land snail communities in Sabah, Malaysian Borneo
Kroodsma et al. Carbon sequestration in California agriculture, 1980–2000
Schulze et al. Productivity of forests in the Eurosiberian boreal region and their potential to act as a carbon sink–‐a synthesis
Brye et al. Carbon budgets for a prairie and agroecosystems: effects of land use and interannual variability
Körner Responses of humid tropical trees to rising CO2
Facelli et al. Establishment and growth of seedlings of Eucalyptus obliqua: interactive effects of litter, water, and pathogens
Wilsey et al. Tropical pasture carbon cycling: relationships between C source/sink strength, above‐ground biomass and grazing
Leslie et al. The potential for Eucalyptus as a wood fuel in the UK
Morneau et al. Changes in breeding bird richness and abundance in Montreal parks over a period of 15 years
Bekele Plant population dynamics of Dodonaea angustifolia and Olea europaea ssp. cuspidata in dry Afromontane forests of Ethiopia
Wang et al. Carbon balance of young birch trees grown in ambient and elevated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s
Kolb et al. Effect of western spruce budworm defoliation on the physiology and growth of potted Douglas-fir seedlings
US20100145716A1 (en) Carbon sequestration via wood burial and storage
KR100646055B1 (ko) 수목장묘
Scholes et al. Biogeochemistry of terrestrial ecosystems
Pinto et al. Stocktype and vegetative competition influences on Pseudotsuga menziesii and Larix occidentalis seedling establishment
Whitehead et al.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in the shrubland species mānuka (Leptospermum scoparium) and kānuka (Kunzea ericoides) for the estimation of annual canopy carbon uptake
Nordlander et al. Feeding by the pine weevil Hylobius abietis in relation to sun exposure and distance to forest edges
Daugaviete et al. Plantation forests: A guarantee of sustainable management of abandoned and marginal farmlands
Harrington et al. Site and provenance interact to influence seasonal diameter growth of Pseudotsuga menziesii
KR20080080250A (ko) 정보화기반 수목장 관리 및 운영 시스템
Metslaid et al. Recovery of advance regeneration after disturbances: acclimation of needle characteristics in Picea abies
Wullschleger et al. Climate change: a controlled experiment
Lariviere et al. Ten years after: Release cutting around old oaks still affects oak vitality and saproxylic beetles in a Norway spruce stand
Ow et al. Comparing the morphology and physiology of trees planted in containers and in-ground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