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201B1 -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201B1
KR101224201B1 KR1020100092480A KR20100092480A KR101224201B1 KR 101224201 B1 KR101224201 B1 KR 101224201B1 KR 1020100092480 A KR1020100092480 A KR 1020100092480A KR 20100092480 A KR20100092480 A KR 20100092480A KR 101224201 B1 KR101224201 B1 KR 101224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tery
positioning system
natural
position indicat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280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10009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2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 G06K7/10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 G06K7/1009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the directional field being used for pinpointing the location of the record carrier, e.g. for finding or locating an RFID tag amongst a plurality of RFID tags, each RFID tag being associated with an object, e.g. for physically locating the RFID tagged object in a ware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표시기 내부에 유골과 RF칩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나중에 자연장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골을 확인 및 수습할 수 있는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자연장된 묘지의 위치를 표시하고 탐색하기 위한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유골공간과 칩공간이 분리되어 유골공간의 내부에는 유골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담기고 칩공간의 내부에는 탐색신호를 수신하여 ID신호를 송신하는 RF칩이 담겨 묘지에 매립되는 위치표시기와, 상기 위치표시기의 RF칩으로부터 ID신호를 수신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인지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탐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SYSTEM FOR POSITIONING NATURAL BURIALS}
본 발명은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표시기 내부에 유골과 RF칩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나중에 자연장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골을 확인 및 수습할 수 있는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묘의례에 따라 매장하거나 혹은 화장을 하게 되는 바,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매장을 통한 분묘를 만드는 것이 아직까지는 보편적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으나, 묘지에 의해 국토가 잠식되는 제반 여건에 의해 점차 화장에 의한 장묘의례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전통적인 매장문화가 변화해감에 따라 화장을 하여 유해를 모셔두는 납골분묘(납골당)도 있으나 납골당의 설치가 오히려 자연파괴가 많아 보다 친자연적으로 새롭게 등장한 수목장, 잔듸장, 산골장 등과 같은 자연장(Natural Burials)이 앞으로는 많이 실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수목장은 주로 화장에 의해 처리된 미세한 골분을 각종 나무의 주변에 묻거나 그 위에 나무 또는 꽃을 심는 자연장의 대표적인 하나로서, 서구 여러 나라에서는 널리 보급 실시하고 있으며, 근자에 우리나라에서도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하는 자연장의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수목장 등의 자연장은 은 기존의 장묘방식에 비해 환경에 대한 인위적인 간섭이 낮고 국민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정부차원의 법적, 제도적 지원이 다각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일반적인 수목장은 다수의 수목이 밀집되어 있어 제사나 참배시 그 위치를 파악하기가 불편하고 수목이 자라남에 따라 모양이 변하며 찾기가 곤란하고, 잔듸장의 경우도 넓은 평지에 조성되기 때문에 묘지의 식별이 곤란하기 때문에 묘지의 식별을 위해서는 별도의 비석이나 상징물과 같은 인위적인 설치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자연장 묘지에 식별을 위한 별도의 설치물을 설치하는 경우 자연친화적인 자연장의 의미를 희석시킬 우려가 있으며, 별도의 표식이나 상징물이 없는 경우에는 정확한 묘지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연장의 경우 고인의 유골이 흙과 섞이고 유골이 섞인 흙이 매립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나중에 이장 등을 위하여 유족이 유골이나 그 유골이 섞인 흙을 수습하여 이장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표시기 내부에 유골과 RF칩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나중에 자연장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골을 확인 및 수습할 수 있는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자연장된 묘지의 위치를 표시하고 탐색하기 위한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유골공간과 칩공간이 분리되어 유골공간의 내부에는 유골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담기고 칩공간의 내부에는 탐색신호를 수신하여 ID신호를 송신하는 RF칩이 담겨 묘지에 매립되는 위치표시기와, 상기 위치표시기의 RF칩으로부터 ID신호를 수신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인지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탐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상기 위치표시기는, 상부에 입구를 갖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나누어 유골공간과 칩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 입구로 삽입되는 분리마개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입구를 막기 위한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하로 길게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상하로 입구가 개방된 통체로서 묘지가 조성될 위치에서 매립되어 내부에 유골이 혼합된 흙이 채운 다음 뽑아져 제거되는 영역구분실린더가 구비된 매립보조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위치표시기는 상기 영역구분실린더의 내부에 채워진 흙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상기 매립보조기에는 상기 영역구분실린더의 상부 입구에 놓여 중앙에 상기 위치표시기가 지날 수 있는 위치표시홀이 형성된 위치표시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상기 위치표시링에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표시가 표시되고, 상기 위치표시기에는 상기 위치표시링에 표시된 방향표시와 맞출 수 있는 방향맞춤표시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위치표시기 내부에 유골과 RF칩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나중에 자연장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골을 확인 및 수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의 위치표시기 및 매립보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의 위치표시기를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의 위치표시기가 묘지에 설치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의 위치표시기 및 매립보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의 위치표시기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의 위치표시기가 묘지에 설치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수목장이나 잔듸장과 같이 자연장된 묘지의 위치를 표시하고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표시기(10), 탐색기(20,40), 관리서버(30), 매립보조기(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표시기(10)은 묘지에 매립되어 상기 탐색기(20,40)에 의해 탐색되어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 위치표시기(10)의 내부 공간이 유골이 담기는 유골공간(S1)과 RF칩이 담기는 칩공간(S2)으로 분리되어 묘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표시기(10)는 상부에 입구를 갖는 원통형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나누어 하부의 유골공간(S1)과 상부의 칩공간(S2)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 입구로 삽입되는 분리마개(12)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입구를 막기 위한 뚜껑(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골공간(S1)의 내부에는 묘지의 매립되는 흙에 산골되어 남은 유골과 같이 유골(A)의 일부가 담기고, 상기 칩공간(S2)의 내부에는 상기 탐색기(20,40)로부터 발신된 탐색신호를 수신하여 ID신호를 송신하는 RF칩(14)이 담긴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유골(A)과 RF칩(14)가 담긴 위치탐색기(10) 묘지에 매립된다. 한편, 상기 위치표시기(10)의 케이스(11)의 외면에는 상하로 길게 리브(11a)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11a)는 케이스(11)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위치표시기(10)의 제자리에서의 회전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매립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표시기(10)에는 하술하는 위치표시링(52)에 표시된 방향표시(52a)와 맞출 수 있는 방향맞춤표시(111a)가 표시되어 위치표시기(10)가 묘지에 안치되는 방향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상기 방향맞춤표시(111a)가 리브(11a)의 상단에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탐색기(20,40)은 묘지에 매립된 위치표시기(10)의 RF칩(14)으로부터 ID신호를 수신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인지를 확인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탐색기에는 묘지를 관리하는 관리자 측에서 사용하는 관리자탐색기(20)와 유족이 사용할 수 있는 유족탐색기(40)가 있다. 상기 관리자탐색기(20)는 관리하는 모든 묘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거나 필요시 관리서버(30)와 통신하여 관리서버(30)로부터 묘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유족탐색기(40)는 유족의 묘지에 해당하는 위치표시기(10)에 대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설정된 탐색기이다. 상기 관리자탐색기(20) 및 유족탐색기(40)에는 탐색하고자하는 묘지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로 접근되는 경우 위치표시기(10)로부터 송신된 ID신호를 수신하여 그 ID신호의 일치여부를 표시하며, 또한 고인의 영정 사진과 같은 정보를 동시에 표출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는 묘지 전체를 관리하도록 유족, 묘지, 고인의 영정 사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관리자탐색기(20)와 정보를 주고 받도록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매립보조기(50)는 상기 위치표시기(10)을 묘지에 매립할 때 편리하고 정확한 위치에 매립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매립 영역(L,L1,L2)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매립보조기(50)는 매립영역(L,L1,L2)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구분실린더(51)와 위치표시링(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영역구분실린더(51)는 상하로 입구가 개방된 통체(511)로서 묘지가 조성될 위치에서 매립되어 내부에 유골이 혼합된 흙이 채운 다음 뽑아져 제거된다. 상기 위치표시기(10)는 상기 영역구분실린더(51)의 내부에 채워진 흙에 매립된다. 상기 영역구분실린더(51)는 위치표시기(10)를 매립한 후 뽑아내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몸체(511)의 상부 양측에 손잡이(512)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511)의 상부 입구에는 상기 위치표시링(5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턱(513)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표시링(52)은 위치표시기(10)가 영역구분실린더(51)의 중앙에서 매립되도록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표시링(52)은 그 가장자리가 상기 영역구분실린더(51)의 몸체(511)에 형성된 안착턱(513)에 걸려 상기 영역구분실린더(51)의 상부 입구에 놓이며, 그 중앙에 상기 위치표시기(10)가 지날 수 있는 위치표시홀(52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위치표시홀(52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위치표시기(10)의 리브(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그 리브(11a)가 지나기 위한 슬롯(52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링(52)에는 방향을 맞출 수 있는 방향표시(52a)가 표시되어 상기 위치표시기(10)의 매립되는 방향을 맞출 수 있다. 우리나라의 매장은 묘지에 유골이 안치되는 방위를 중요시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위치표시링(52)에 표시된 방향표시(52a)를 나침반(도면에 미도시)의 북향과 일치되도록 하여 영역구분실린더(51)의 몸체(511)의 상부에 놓이게 되고, 상기 위치표시기(10)는 방향맞춤표시(111a)를 방향표시(52a)와 일치시키게 상기 위치표시홀(521)을 통과시켜 매립시킴으로써 방위를 고려하여 위치표시기(10)의 안치방향을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의 522는 상기 위치표시링(52)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따내는 블랭킹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의 위치표시기가 묘지에 설치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a)상태는 작업자가 묘지가 설치될 위치에서 지표면(E)을 파내어 묘지터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매립보조기(50)를 안치시킨 다음 매립보조기(50)의 영역구분실린더(51)의 내부에 흙을 채운 상태를 도신한 것이다. 상기 영역구분실린더(51)에 채워지는 흙에는 고인의 유골이 혼합되어 질 수 있다. (b)상태는 상기 영역구분실린더(51)의 내부에 채워진 흙의 중심 위치에 위치표시기(10)를 매립하고 영역구분실린더(51)를 뽑아내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c)상태는 위치표시기(10)가 매립된 후 영역구분실린더(51)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역구분실린더(51)에 의해 매립영역(L)이 구분되고, 위치표시링(52)을 이용함으로써 매립영역(L)의 중앙에 위치표시기(10)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관리자탐색기에 탐색하고자는 하는 묘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탐색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관리자탐색기가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 주변의 일정 반경 내로 접근되면 매립된 위치탐색기의 RF칩은 탐색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되어 자신의 ID신호를 송출한다. 송출된 ID신호는 관리자탐색기가 수신하게 되고, 관리자탐색기는 수신된 ID신호가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의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의 신호와 일치하면 그 위치가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임을 음향이나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한편, 유족탐색기에는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의 정보가 확정적으로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자탐색기와는 달리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이 곧바로 탐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위치표시기
11 케이스
12 분리마개
13 뚜껑
14 RF칩
20 관리자탐색기
30 관리서버
40 유족탐색기
50 매립보조기
51 영역구분실린더
52 위치표시링

Claims (6)

  1. 자연장된 묘지의 위치를 표시하고 탐색하기 위한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유골공간과 칩공간이 분리되어 유골공간의 내부에는 유골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담기고 칩공간의 내부에는 탐색신호를 수신하여 ID신호를 송신하는 RF칩이 담겨 묘지에 매립되는 위치표시기와, 상기 위치표시기의 RF칩으로부터 ID신호를 수신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묘지인지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탐색기와, 상하로 입구가 개방된 통체로서 묘지가 조성될 위치에서 매립되어 내부에 유골이 혼합된 흙이 채운 다음 뽑아져 제거되는 영역구분실린더가 구비된 매립보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위치표시기는 상기 영역구분실린더의 내부에 채워진 흙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기는, 상부에 입구를 갖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나누어 유골공간과 칩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 입구로 삽입되는 분리마개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입구를 막기 위한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하로 길게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보조기에는 상기 영역구분실린더의 상부 입구에 놓여 중앙에 상기 위치표시기가 지날 수 있는 위치표시홀이 형성된 위치표시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링에는 방향을 맞출 수 있는 방향표시가 표시되고,
    상기 위치표시기에는 상기 위치표시링에 표시된 방향표시와 맞출 수 있는 방향맞춤표시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6. 삭제
KR1020100092480A 2010-09-20 2010-09-20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KR10122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480A KR101224201B1 (ko) 2010-09-20 2010-09-20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480A KR101224201B1 (ko) 2010-09-20 2010-09-20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280A KR20120030280A (ko) 2012-03-28
KR101224201B1 true KR101224201B1 (ko) 2013-01-18

Family

ID=4613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480A KR101224201B1 (ko) 2010-09-20 2010-09-20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609A (ko) 2021-08-12 2023-02-21 김형록 장례 문화 개선을 위해 마을향교, 마을회관 및 경로당에서 활용 가능한 기존 봉분장 활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033U (ko) * 1998-12-14 2000-07-05 정승종 유품수납부가 구비된 유골함
KR100646055B1 (ko) * 2004-11-08 2006-11-15 김현복 수목장묘
KR20080080250A (ko) * 2007-02-14 2008-09-03 심규원 정보화기반 수목장 관리 및 운영 시스템
KR100971632B1 (ko) 2009-11-16 2010-07-22 김윤석 수용용량 확장형 안치단 및 그 안치단에 수용되는 유골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033U (ko) * 1998-12-14 2000-07-05 정승종 유품수납부가 구비된 유골함
KR100646055B1 (ko) * 2004-11-08 2006-11-15 김현복 수목장묘
KR20080080250A (ko) * 2007-02-14 2008-09-03 심규원 정보화기반 수목장 관리 및 운영 시스템
KR100971632B1 (ko) 2009-11-16 2010-07-22 김윤석 수용용량 확장형 안치단 및 그 안치단에 수용되는 유골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609A (ko) 2021-08-12 2023-02-21 김형록 장례 문화 개선을 위해 마을향교, 마을회관 및 경로당에서 활용 가능한 기존 봉분장 활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280A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55457B (zh) 一种基于遥感卫星图像的泥石流地质灾害识别方法
Sideris et al. At-risk cultural heritage: new excavations and finds from the Mycenaean site of Kastrouli, Phokis, Greece
KR101501160B1 (ko) 하수관로 시설물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1224201B1 (ko) 자연장 묘지 위치 확인 시스템
Bojčić et al. Rezultati probnih istraživanja nalazišta Batina–Sredno 2010. godine
EP2781674A2 (en) Improved burial systems and methods
US20030047226A1 (en) Location marker
US20190390474A1 (en) Interment apparatus and method
Coward et al. Human Adaptation to Coastal Evolution: Late Quaternary evidence from Southeast Asia (SUNDASIA)–A report on the second year of the project.
KR101467668B1 (ko) 화분장묘
EP1185760A1 (en) Chip planter technology
Soetens Juktas and Kophinas: two ritual landscapes out of the ordinary
Augustinová et al. Archaeological survey of the oases of Zarabag, Karabag and Kampyrtepa in the piedmont of the Kugitang mountains, South Uzbekistan–Preliminary report for the season 2016
Tobin et al. New evidence of a Campanian age for the Cretaceous fossil-bearing strata of Cape Marsh, Robertson Island, Antarctica
McKee et al. A high-resolution multi-scalar approach for micro-mapping historical landscapes in transition: a case study in Texas, USA
Kaimaris et al. The Locating of an Unknown Archaeological Site in the Valley of Filippi, Eastern Macedonia, Greece with the Use of Aerial Photographs, Satellite Images and GIS
Altschul et al. A slave who would be king
US20210381268A1 (en) Submerged and/or flush to ground anchoring system for sporadic use
Jucha Tell el-Murra–results of survey and prospects for research
Byer et al. Use of precision mapping and multiple geophysical methods at the historic Reese Cemetery in Muncie, Indiana
Naveau et al. UBC 2017 Stadium Neighbourhood Tree Inventory Project
Dziurdzik Ljubski archaeological project: a roman and late antique settlement in western Herzegovina, 2015
Brooks et al. Roman Long Melford, Excavations at the primary School: burial rites and bronze smithing
Pearthree et al. Geologic Map of the West of Avra 7.5'Quadrangle, Pima County, Arizona, v. 2.0
Field et al. Geologic Map of the Buckeye NW 7.5'Quadrangle, Maricopa County, Arizona, v. 2.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