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835B1 -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835B1
KR100644835B1 KR1020040074178A KR20040074178A KR100644835B1 KR 100644835 B1 KR100644835 B1 KR 100644835B1 KR 1020040074178 A KR1020040074178 A KR 1020040074178A KR 20040074178 A KR20040074178 A KR 20040074178A KR 100644835 B1 KR100644835 B1 KR 10064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ylindrical
eddy current
connecto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391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8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4Magnetic couplings consisting of only two coaxial rotary elements, i.e. the driving element and the driven element
    • H02K49/106Magnetic couplings consisting of only two coaxial rotary elements, i.e. the driving element and the driven element with a radial air g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1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그네트가 구비된 원통형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가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공극을 두고 삽입되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와전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전도체가 구비된 원통형의 연결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원통형의 회전자와 연결자를 이용하여 회전자 측의 회전력을 비접촉식으로 연결자 측으로 전달하거나, 회전자 측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고, 상기 회전자에 부착된 마그네트의 자화 배열의 패턴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가 사용되는 목적에 부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연결자, 회전자, 마그네트, 전도체, 와전류, 와전류 커플링, 와전류 제동기

Description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Device of Cylindrical Eddy Current Axis Conne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전류 커플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A-A'의 단면도로서 할바치(Halbach)형 자화 패턴으로 배열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회전자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A-A'의 단면도로서 수직형 자화 패턴으로 배열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회전자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A-A'의 단면도로서 방사형 자화 패턴으로 배열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회전자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A-A'의 단면도로서 수평형 자화 패턴으로 배열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회전자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각각의 마그네트 자화 패턴에서 회전자의 회전각도에 따른 자속 밀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각각의 마그네트 자화 패턴에서 회전자의 RPM에 따른 제동 토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 : 회전자 4 : 연결자
31 : 마그네트 32 : 철심
33 : 회전자 몸체 35 : 제 1 축
41 : 전도체 41a : 전도체 관통홀
43 : 연결자 몸체 43a : 연결자 몸체 관통홀
45 : 제 2 축 47 : 삽입홀
50 : 공극 51 : 체결나사
52 : 체결홀 60 : 고정체
61 : 키 62 : 키 홀
본 발명은 와전류 축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의 회전자와 연결자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비접촉식으로 전달 또는 제동하고, 부착된 마그네트의 자화 배열의 패턴을 축연결장치의 사용 목적에 맞도록 설계하여 커플링이나 제동장 치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 극의 마그네트가 구비된 디스크와 전기 전도판이 대향하는 경우에 어느 일측이 회전하면 다른 회전판에는 와전류가 발생되어 전도체와 마그네트 사이에는 자기 마찰이 생기고, 상기 자기 마찰에 의하여 어느 일측의 동력을 다른 일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전류 커플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와전류 커플링은 회전자(1)와 연결자(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자(1)는 몸체를 이루며 와전류의 순환통로가 되는 원판형의 회전자 몸체(13)와, 상기 회전자 몸체에 부착되며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되는 8개의 마그네트(11)와, 상기 회전자 몸체(13)에서 상기 마그네트(11)의 반대 면에 연결되는 회전자축(15)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자(2)는 몸체를 이루며 와전류의 순환통로가 되는 원판형의 연결자 몸체(23)와, 상기 마그네트(11)와 대향하여 상기 회전자(1)가 회전하는 경우 와전류를 생성하는 전도판(21)와, 상기 연결자 몸체(23)에서 상기 전도판(21)의 반대 면에 연결되는 연결자축(2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자(1)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1)의 마그네트(11)에 이에 대향하는 연결자(2)의 전도판(21)에는 와전류가 유도되고, 상기 유도된 와전류와 마그네트(11)에 의한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연결자에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자 축(15)이 회전하면 상기 마그네트(11) 및 전도판(21)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 몸체(13) 및 연결자 몸체(23)를 통과하는 유도 와전류가 생성되고, 유도된 와전류에 의하여 또다시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렇게 발생한 자기장과 상기 회전자(1)에 부착된 마그네트(11) 사이에 자기마찰에 의하여 상기 연결자(2)가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자(2)의 회전 속도를 가변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도판(21)과 마그네트(11) 사이의 거리(이하 공극이라 한다.)를 변화시켜서 자기 마찰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극이 작아지게 되면 자기 마찰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자(1)의 회전력이 연결자(2)로 더 많이 전달되므로 상기 연결자(2)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반대로 공극이 커지게 되면 자기 마찰이 감소하므로 상기 연결자(2)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와전류 커플링에서는 상기 마그네트(11)를 배열함에 있어서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되는 자화 배열 패턴을 갖는 원판형의 회전자(1)로만 구성되므로, 상기 와전류 커플링의 사용 목적에 따른 회전 속도 및 토크 등이 부합되는 와전류 커플링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통형의 회전자와 연결자를 이용하여 회전자 측의 회전력을 비접촉식으로 연결자 측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회전자 측의 회전을 제동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에 부착된 마그네트의 자화 배열의 패턴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사용되는 목적에 부합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는 마그네트가 구비된 원통형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가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공극을 두고 삽입되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와전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전도체가 구비된 원통형의 연결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와전류의 순환 회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회전자 몸체와, 상기 회전자 몸체의 외부 옆면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마그네트와, 상기 회전자 몸체와 결합된 제 1 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자는 상기 회전자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전류의 순환회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연결자 몸체와, 상기 삽입홀의 내부 옆면에 위 치하는 원통형의 전도체와, 상기 연결자 몸체와 결합된 제 2 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자에는 상기 회전자가 삽입되는 면적이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자 몸체 및 전도체가 상기 제 2 축 상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삽입 면적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 면적 조절 수단은 상기 연결자 몸체 및 전도체를 일체로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이 연장되는 위치에 축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체결홀과,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체결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체결하여 상기 연결자 몸체와 제 2 축을 고정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자는 어느 일측이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패턴은 할바치(Halbach) 배열, 수직형 배열, 방사형 배열, 수평형 배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A-A'의 단면도로서 할바치(Halbach)형 자화 패턴으로 배열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회전자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의 A-A'의 단면도로서 수직형 자화 패턴으로 배열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회전자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A-A'의 단면도로서 방사형 자화 패턴으로 배열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회전자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A-A'의 단면도로서 수평형 자화 패턴으로 배열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회전자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각각의 마그네트 자화 패턴에서 회전자의 회전각도에 따른 자속 밀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의 각각의 마그네트 자화 패턴에서 회전자의 RPM에 따른 제동 토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3)와 연결자(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자(3)는 유도되는 와전류의 순환 회로가 형성되도록 스틸로 제작되는 원통형의 회전자 몸체(33)와, 상기 원통형의 회전자 몸체(33)의 외부 옆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마그네트(31)와, 상기 원통형의 회전자 몸체(33)의 중심에 결합된 제 1 축(3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의 마그네트(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A-A'선으로 단면을 절단하여 자화 패턴을 보면 할바치(halbach)형 배열, 수직형 배열, 방사형 배열, 수평형 배열 등의 패턴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자(4)는 상기 회전자(3)가 소정의 공극(50)을 갖으며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홀(47)이 원통의 중심에 형성되고 유도된 와전류의 순환회로가 형성되도록 스틸로 제작되는 원통형의 연결자 몸체(43)와, 상기 삽입홀(47)의 내부 옆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전도체(41)와, 상기 삽입홀(47)에 상기 회전자(3)가 삽입되는 측의 반대 측으로 삽입되는 제 2 축(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자 몸체(43) 및 전도체(41)에서 측면의 어느 일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일체로 관통하는 연결자 몸체 관통홀(43a) 및 전도체 관통홀(41a)이 축의 길이 방향으로 2개씩 상하 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45)에서 상기 연결자 몸체(43)의 삽입홀(47)에 상기 제 2 축(45)이 삽입되는 경우 축방향으로 4개의 체결홀(52)이 상기 관통홀(43a, 41a)이 연장되는 위치로 상하 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관통홀(43a, 41a)을 통하여 상기 4개의 체결홀(52) 중 어느 연속되는 2개의 체결홀(52)을 선택하여 2개의 체결나사(51)가 상기 연결자 몸체(43) 및 전도체(41)와 제 2 축(45)을 상하 측에서 각각 고정한다.
여기서 2개의 관통홀(43a, 41a)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자(4)가 회전할 때에 상기 연결자 몸체(43)와 제 2 축(45) 사이에 뒤틀림이 일어나지 않을 만큼의 거리를 이격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관통홀(43a, 41a)은 본 실시예에서는 축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측에 각각 2개가 형성되었는데, 원주 방향으로 3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3개 이상의 체결나사(51)가 상기 연결자 몸체(43)와 제 2 축(45)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52)은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상기 제 2 축(45)의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자 몸체(43)와 제 2 축(45)이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은 3가지가 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 상기 회전자(3)가 상기 연결자(4)의 삽입홀(47)에 삽입되는 면적이 조절되고, 나아가 4개 이상의 체결홀(5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3)의 삽입 면적을 상기 실시예보다 더욱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자(4)를 필요한 경우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축(45)의 어느 일측에는 키(6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45)이 삽입되는 키 홀(6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60)에 상기 제 2 축(45)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가 커플링으로 작동할 때에는 상기 회전자의 제 1 축(35)이 회전하면 상기 마그네트(31)와 상기 연결자의 전도체(41)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 몸체(33) 및 연결자 몸체(43)를 통과하는 유도 와전류가 생성되고, 상기 유도된 와전류에 의하여 또다시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렇게 발생한 자기장과 상기 회전자(3)에 부착된 마그네트(31) 사이에 자기마찰에 의하여 상기 연결자(4)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가 제동기로 작동할 때에는, 상기 연결자(4)를 고정시키는 고정체(60)에 형성된 키 홀(62)이 제 2 축(45)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키(61)와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자(4)가 고정되어 상기 연결자(4)는 고정자로서 기능하고, 이 경우 상기 회전자의 제 1 축(35)이 회전하면 상기 마그네트(31)와 상기 연결자의 전도체(41)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 몸체(33) 및 연결자 몸체(43)를 통과하는 유도 와전류가 생성되고, 상기 유도된 와전류에 의하여 또다시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렇게 발생한 자기장과 상기 회전자(3)에 부착된 마그네트(31) 사이에 자기마찰이 생긴다.
그러면 상기 연결자(4)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자기 마찰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3)의 회전력을 제동한다.
한편 상기 연결자(4)의 회전 속도 및 제동력을 가변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회전자(3)의 옆면을 형성하는 마그네트(31)와 상기 연결자(4)의 내부 옆면을 형성하는 전도체(41)가 마주보는 면적을 조절해야하는데, 상기 면적을 넓혀서 자기 마찰을 증가시키려면 상기 제 2 축(45)의 체결홀(52)의 좌측 끝단의 2개의 체결홀에 상기 체결나사(51)를 체결하고, 상기 면적을 좁혀서 자기 마찰을 감소시키려면 상기 제 2 축(45)의 체결홀(52)의 우측 끝단의 2개의 체결홀에 상기 체결나사(51)를 체결하면 되며, 양자의 중간 정도의 자기 마찰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앙의 2개의 체결홀(52)에 상기 체결나사(51)를 체결하여 상기 연결자(4)와 제 2 축(45)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31)의 자화 패턴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가 있는데,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A-A'의 단면도로서,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 패턴을 보면 할바치(Halbach) 배열, 수직형 배열, 방사형 배열, 수평형 배열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에서 상기 연결자(4)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커플링으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마그네트(31)의 자화 패턴에서 회전자(3)의 회전각도에 따른 자속 밀도를 도시한 도 9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순간적으로 가장 큰 자속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할바치 배열의 마그네트(31)가 사용되어야하고, 회전 각도에 대하여 비교적 편차가 적은 자속 밀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방사형 또는 수평형 배열을 갖는 마그네트(31)가 사용되어야하며, 작은 자속밀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수직형 배열을 갖는 마그네트(31)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원통형 와전류 축고정장치에서 상기 연결자(4)가 상기 고정체(6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제동기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마그네트(31)의 자화 패턴에서 회전자(3)의 RPM에 따른 제동 토크를 도시한 도 10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회전자(3)의 속도에 따라 가장 큰 제동 토크가 필요한 경우에는 방사형 또는 수평형 배열을 갖는 마그네트(31)가 사용되어야하고, 중간 크기의 제동 토크가 필요한 경우에는 할바치 배열을 갖는 마그네트(31)가 사용되어야하고, 가장 작은 제동 토크가 필요한 경우에는 수직형 배열을 갖는 마그네트(31)가 사용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31)의 자화 배열 패턴은 수회의 실험 및 그 해석을 통하여 결정되어야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4개의 패턴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한 자화패턴을 가진 마그네트(3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는 본 발명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3)가 연결자(4)에 삽입되는 면적을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의 체결홀(52) 및 체결나사(51)를 사용한 것 이외에도 상기 원통형의 회전자(3) 및 연결자(4)에서 삽입 면적을 조절하도록 스텝 모터 등을 사용하는 등 연결자(4)에 삽입되는 면적이 조절 가능한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는 본 발명에 해당한다.
아울러 상기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가 제동기로 기능되도록 상기 연결자(4)를 고정하기 위한 키(61) 및 키 홀(62)을 사용한 이외에도, 기타 다른 고정 수단으로 상기 원통형의 연결자(4)를 고정한 것이 당해 업계에 종사하는 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발명이라면 이는 본 발명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는 와전류에 의해서 연결자를 회전 또는 제동시킴으로써, 회전에 의해서도 부품이 마모되지 않고, 청정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전자와 연결자가 분리되어 있어 제 1 축 및 제 2 축을 분해 또는 조립하기가 쉬우며, 어느 한 축의 진동이 다른 축에 전달되지 않으며, 회전자 및 연결자의 회전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동력이 전달되거나 이를 제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는 연결자가 회전 가능한 경우에는 커플링으로서 회전자의 동력을 연결자에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자가 고정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동기로서 회전자의 동력을 제동하는 이중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는 마그네트와 전도체를 원 통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원통형의 원주 방향의 공극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회전자가 연결자에 삽입되는 정도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자기 마찰의 크기를 조절하여 연결자의 회전 속도 및 회전자의 제동 토크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에 장착되는 마그네트가 원통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마그네트의 자화 배열 패턴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가 있으므로 요구 조건에 따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설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마그네트가 구비된 원통형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가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공극을 두고 삽입되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와전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전도체가 구비된 원통형의 연결자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자는 상기 회전자가 삽입되는 면적이 가변되도록 하는 삽입면적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와전류의 순환 회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회전자 몸체와;
    상기 회전자 몸체의 외부 옆면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마그네트와;
    상기 회전자 몸체와 결합된 제 1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자는 상기 회전자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전류의 순환회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연결자 몸체와;
    상기 삽입홀의 내부 옆면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전도체와;
    상기 연결자 몸체와 결합된 제 2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면적 조절 수단은 상기 연결자 몸체 및 전도체가 상기 제 2 축 상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면적 조절 수단은 상기 연결자 몸체 및 전도체를 일체로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이 연장되는 위치에 축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체결홀과;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체결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체결하여 상기 연결자 몸체와 제 2 축을 고정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자는 일측이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
  7. 청구항 1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속도에 따라 할바치(Halbach) 배열, 수직형 배열, 방사형 배열, 수평형 배열 중 어느 하나의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회전자의 제동토크에 따라 할바치(Halbach) 배열, 수직형 배열, 방사형 배열, 수평형 배열 중 어느 하나의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40074178A 2004-09-16 2004-09-16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 KR10064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78A KR100644835B1 (ko) 2004-09-16 2004-09-16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78A KR100644835B1 (ko) 2004-09-16 2004-09-16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91A KR20060025391A (ko) 2006-03-21
KR100644835B1 true KR100644835B1 (ko) 2006-11-15

Family

ID=3713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178A KR100644835B1 (ko) 2004-09-16 2004-09-16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9807A (zh) * 2017-02-25 2017-05-03 辽宁工业大学 一种适用于高速传动的离合器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706A (ja) * 1992-05-14 1993-12-10 Sawafuji Electric Co Ltd リターダの渦流板及び冷却構造
JPH0974777A (ja) * 1995-09-08 1997-03-18 Nippon Soken Inc 磁気カップリング装置
JPH11278076A (ja) 1998-03-30 1999-10-12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可変動力伝達装置
KR19990084233A (ko) * 1998-05-01 1999-12-06 신덕교 동력전달용 마그네틱 커플링장치
JP2000197340A (ja) 1998-12-26 2000-07-14 Kyodo Kumiai Puroodo 磁気カップリング及び高速縦軸回転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706A (ja) * 1992-05-14 1993-12-10 Sawafuji Electric Co Ltd リターダの渦流板及び冷却構造
JPH0974777A (ja) * 1995-09-08 1997-03-18 Nippon Soken Inc 磁気カップリング装置
JPH11278076A (ja) 1998-03-30 1999-10-12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可変動力伝達装置
KR19990084233A (ko) * 1998-05-01 1999-12-06 신덕교 동력전달용 마그네틱 커플링장치
JP2000197340A (ja) 1998-12-26 2000-07-14 Kyodo Kumiai Puroodo 磁気カップリング及び高速縦軸回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91A (ko) 200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9052B2 (ja) 永久磁石式リラクタンス型回転電機
US4733118A (en) Low damping torque brushless D.C. motor
US7458262B2 (en) Integral center plane balancing of a rotating electric device
US7960888B2 (en) Electric motor with field weakening
JP2000152537A (ja) ロ―タを高速用に特別適合させた電気装置
DE60233517D1 (de) Dynamoelektrische maschine mit axialem luftspalt
JP2006158030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JP3993160B2 (ja) 電気機械用のロータ装置及び永久磁石モータ
KR20160137434A (ko) 단상 모터, 기류 생성 장치, 및 전기 장치
US6897595B1 (en) Axial flux motor with active flux shaping
CN108809034A (zh) 马达
KR100644835B1 (ko) 원통형 와전류 축연결장치
EP2744086B1 (en) Coolant supplying and collecting apparatus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JP2009278758A (ja) 動力伝達装置
JP2004304943A (ja) 永久磁石式同期回転電機における回転子機構
CN214124971U (zh) 电机转子组件及电机
US6509663B2 (en) Stepping motor
KR102004883B1 (ko) 모터의 스테이터 코어 고정용 스테이터 브라켓
CN112398250A (zh) 电机转子组件及电机
CN112910126A (zh) 无刷永磁电机中使用多极环形磁体增加磁场的方法
CN113054817B (zh) 电动工具、无刷电机和转子
WO2022030031A1 (ja) 磁束変調型磁気歯車
JP3925177B2 (ja) 永久磁石形回転電機のロータ構造
JP3029700B2 (ja) 回転型磁気ダンパ装置
JP2013165580A (ja) 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