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185B1 - 자동차설치용 핸드폰 장치 및 핸드폰 설치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설치용 핸드폰 장치 및 핸드폰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185B1
KR100643185B1 KR1019997008251A KR19997008251A KR100643185B1 KR 100643185 B1 KR100643185 B1 KR 100643185B1 KR 1019997008251 A KR1019997008251 A KR 1019997008251A KR 19997008251 A KR19997008251 A KR 19997008251A KR 100643185 B1 KR100643185 B1 KR 10064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phone
mobile phone
mounting tabl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160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파이커
Original Assignee
안드레아스 파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9705230U external-priority patent/DE29705230U1/de
Application filed by 안드레아스 파이커 filed Critical 안드레아스 파이커
Publication of KR2000007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핸드폰(휴대용 전화기; Mobile telephone)의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전화기(1)와 설치대(3)로 구성되고, 설치대(3)의 수납부(6)에 전화기(1)가 파지구(7, 9)에 의하여 착탈자유롭게 파지되며, 파지구에 밀대(31)가 설치되며, 파지구(7, 9)가 전화기의 한쪽 표면상으로 연장되어 전화기를 수납부에 올려 놓게 되면 전화기가 견고히 파지된다. 전화기(1)는 수납부(6)의 파지 상태로 부터 탈거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로 나온다. 본 발명의 전화기 설치대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전화기가 견고하게 파지되며 설치대로 부터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설치용 핸드폰 장치 및 핸드폰 설치대{Cellular phone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and the Holster arrangement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전화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WO97/0007920호 전화기 장치가 자동차용 전화기 장치로서 알려진 바 있다.
이 전화기 장치는 핸드폰(Mobile telephone; 휴대용 전화기; 이하 '핸드폰'이라 한다) 과 휴대폰을 설치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가지는 설치대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은 설치대의 수납부로 부터 탈거될 수 있다. 휴대폰은 수납부의 좁은 한쪽 사이드에 설치된 파지구에 의하여 파지된다. 파지구는 핸드폰의 표면 위로 뻗는 안테나 베이스 쪽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JP-A-07 135521호로 또 다른 전화기 장치가 알려진 바 있고 이 또한 핸드폰과 설치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핸드폰을 설치하는 수납부의 낮은 쪽 벽에 돌출된 스프링 장치 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플럭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핸드론이 설치대의 수납부에 설치되면 핸드폰의 저부 좁은 쪽 부위가 이 턱을 밀어 넣고, 그리하여 플럭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즉, 플럭 접촉부는 핸드폰을 설치하였을 경우에만 전력과 신호를 연결한다. 핸드폰을 탈거하면 연결이 차단된다. 그러나 여기에는 플럭 수납부위로 들어 오는 먼지 등으로 부터의 아무런 보호수단을 가지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의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내에서와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핸드폰이 안전하게 파지될 수 있고 또 설치된 핸드폰을 들어 내기가 용이하게 구성된 핸드폰 설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대의 수납부로 부터 핸드폰을 쉽게 분리해 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핸드폰을 설치할 경우 핸드폰의 표면을 적어도 하나의 파지구가 파지하여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여 달성될 수 있다. 설치대의 수납부로 부터 핸드폰을 쉽게 분리해 낼 수 있게 함에 있어서는, 핸드폰을 파지구로부터 분리해 내면 파지를 확실하게 하는 파지구의 밀대가 핸드폰을 밀어내어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구성시킨다. 취급의 간편성을 위하여 파지구는 설치대의 상면부, 핸드폰의 수화기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의 좁은 측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대에 설치된 핸드폰은 축에 따라 회전하는 파지구를 회동시켜 탈거해 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작동되기 위하여는, 작동 버튼이 눌리워져야 하며, 작동 버튼의 머리가 파지구의 표면 위로 살짝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의 돌출 정도는 손으로 만졌을 때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하다. 핸드폰은, 버튼을 파지구의 상표면 아래로 눌렀을 경우에만 설치대로 부터 분리되게 하여야 한다. 버튼이 눌리워지는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므로서 버튼이 제멋대로 약간 정도 눌리워졌다하여 분리 작용이 일어나지 아니하게 한다.
움직이는 자동차에 있어서와 같은 열악한 환경하에서도 설치대에 설치된 핸드폰이 요동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핸드폰이 설치대에 견고히 설치되어야 한다. 핸드폰과 설치대는 온도와 재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들을 서로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핸드폰을 쉽게 탈거하여 잡을 수 있도록, 레버와 스프링 등과 같은 밀어내기장치로 핸드폰을 설치대의 수납부로 부터 살짝 들어내어 탈거시키어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한다. 위의 스프링은 핸드폰의 수화기 부위의 아래쪽 설치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폰과 설치대 사이에 플러그를 매개로하여 전력이나 전기 신호가 통하게 되는데, 플러그는 설치대의 저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플러그의 설치 부위에 동전이나 머리 핀, 종이 클립 등과 같은 금속물체가 떨어져 쇼트가 일어나지 아니하도록 플러그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폰을 들어 올리더라도 플러그는 항상 덮여 있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폰이 결합되어 있을 경우 에만 플러그커버가 열려 플러그가 핸드폰과 접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위와 같은 효과 이외에,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본 발명에 다른 효과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핸드폰(휴대용 전화기; 이하 '핸드폰'이라 한다) 설치대의 종단면도이며, 핸드폰이 설치대에 설치되어 있으나, 잠김장치에 의해 잠기지 아니한 상태로서 앞으로 민 상태도임. 여기에는 수납부의 고정 브라켓이 보이지 아니하나 도 3 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제 1 도에 도시된 핸드폰의 설치대로 부터 핸드폰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핸드폰을 걸어 놓은 상태의 핸드폰 설치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핸드폰을 빼어 놓은 상태의 송수화시 설치대의 일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 5 는 송수화시 설치대의 저부 발췌 단면도로 플러그가 설치되고 핸드폰이 빼어져 플러그가 덮여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나, 핸드폰이 걸린 상태도이다.
도 7 과 도 8 은 플러그 커버의 다양한 실시예의 간략 설명도이다.
도 9 는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장치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작용설명도 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기는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전화기(1)과 설치대(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설치대(3)와는 다른 설치대가 WO-A97/00792로 알려진 바 있다. 설치대(3)는 자동차에 브라켓(5)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치된다. 그리고 브라켓(5)과 설치대는 케이블에 의하여 서로 전원과 신호가 연결되나 도면에는 이러한 사항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브라켓(5)은 라디오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있어 신호의 연결을 위하여 전화기(1)로부터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발한다. 전화기(1)는 설치대(3)의 수납부(6)에 파지장치(7, 9)로 안전하게 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파지장치(7, 9)는 각각 핸드폰의 상하 표면부를 감싼다. 파지장치(7)는 핸드폰의 수화기 부분의 좁은 쪽 표면을 감싼다. 그리고 파지장치(9)는 송화기부위(10a, 10b)의 표면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있다. 파지장치(9)는 견고하게 형성되었으며, 첨부된 도면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3)의 내부 좁은 한 쪽에 설치 되어 있다.
전화기(1)가 수납부(6)에 설치되어 있을 때, 전화기(1)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13)은 설치대(3)의 중심선 및 수납부(6)의 중심선과 일치된다. 파지장치(7)는 길이방향 축(13)과 수직하게 설치되어있는 회전축(14)에 축설되어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3도는 파지장치(7)가 잠겨져 있는 상태를, 제 4도는 파지장치(7)가 열려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파지장치(7)는 돌출부(17)를 가진 파지구(15)를 가진다. 돌출부(17)는 수화기(10a) 측의 좁은 표면 상부를 덮어 씌운다. 파지장치(7)는 파지구(15)를 축설한 회전축(14)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으로 동작하는 버튼(19)을 가지고 있다. 버튼(19)은 파지구(15)의 표면으로 부터 충분히 돌출되어 있으므로 손으로 감지하기 용이하다. 버튼의 돌출부분은 이를 한 손가락으로 눌러 파지구(15)를 손쉽게 누를 수 있도록 형성시킨다. 버튼의 돌출부분, 감싸기용 턱 그리고 작동장치는 손으로 감지하기 용이하게 제조되어 있으며, 사고에 의한 자의적인 작동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동버튼(19)은 파지장치(7)가 잠겨져있는 상태에서 설치대(3)의 몸체상단부(23)에 설치되어 있는 홈(20)에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21)를 갖는다. 파지장치(7)는 걸림돌기(21)가 홈(20)에서 밀려 나간 후에만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도 4 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버튼(19)이 눌리워지면 걸림돌기(21)가 홈(20)으로 부터 밀려나게 된다. 잠금장치(21)가 밀려 나가게 되면 파지장치(7)의 상부가 길이방향의 축(13)에 평행하도록 회동축(14)을 중심으로하여 밖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 회동은 몸체(23)의 턱(25)부위에 걸릴때까지 회동한다. 동시에 걸림돌기(21)는 다른 홈(27)에 걸리게 된다. 그리하면, 파지장치(7)는 열린 상태에서 고정된다. 홈(20)의 벽(29)은 상대적으로 깊고 가파르며, 수납부(6)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음과 달리, 홈(27)의 벽(30)은 수납부(6)를 향하며 깊이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다. 벽(30)의 형태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화기(1)를 설치하면, 잠금장치(21)가 홈(20)에 걸릴때까지 미끄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요컨대, 파지장치(7)는 잠금장치(걸림돌기;21, 홈;20)에 의해 잠겨진다.
파지장치(7)는 두 개의 팔을 가진 레버로 구성되어 있어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파지장치(7)에 설치된 버튼(19)은 레버상부(32a)에 설치되며, 다른 레버하부(32b)에는 전화기(1)가 재치되는 밀대(31)와 스프링(34)(제 3, 4도에서 도시되어있지 않음)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받이(33)가 형성되어 있다. 밀대(31)는 레버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지친 형태의 팔로 형성되어 있고, 전화기(1)를 탈거하게 되면 밀대(31)는 설치대(3)의 수납부(6) 저부(36)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35)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설치대(3)에는 안쪽이 오목한 모양으로 생긴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아래 상술하는 바와 같이 이 돌출부(37)는 브라켓(5)의 요함부(39)에 삽입되게 된다. 돌출부(37)의 개략적인 모양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지만 다른 모양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37)에는 수화기(40)가 설치되고, 외부로 통하는 소리통로(41)를 가진다. 수화기(40)와 소리통로(41)는 저부(36)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덮개(43)로 덮여있다. 덮개(43)에 스프링(44)을 포함하는 슬라이드(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44)은 수납부(6)로부터 전화기(1)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된다. 추가적으로 안테나잭(47)이 덮개(43)에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5)은 설치대(3)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하여 미늘모양의 고정요소를 가진다. 제 3도의 A위치에 고정요소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5)은 또한 자석(49)를 포함하고 있다. 자석(49)는 리드계전기의 리드스위치(50)와 함께 작용한다. 리드계전기는 설치대(3)가 브라켓(5)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소위 스피커폰 형식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설치대(3)에 리드스위치(52)와 함께 작용하는 자석(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석(51)은, 전화기(1)가 설치대(3)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 전화기(1)의 수화기와 송화기의 연결을 끊어주고 설치대의 수화기와 송화기를 작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 5, 6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3)와 전화기(1)사이의 전원이나 신호의 이송은 요함부(11)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로서 플러그(53)를 통해 이루어진다. 플러그(53)는 플러그커버(55)에 의해 덮이게 되며, 플러그커버(55)는 회전축(54)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회전축(54)은 길이방향축(13)에 대해 직교되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커버는 선박의 하수용골(centerboard)모양을 취하며,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위치에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위치 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스프링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플러그(53)를 수용하기 위하여 플러그커버(55)는 일방향으로만 열려있는 공간부(57)를 가지고 있으며, 덮개부를 가지고 있다. 공간부(57)는 플러그를 다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거나, 모든 접촉을 이룰 수 있는 챔버로 형성되어 있다. 전화기(1)가 설치대(3)와 결합되어 있는 경우, 플러그커버(55)의 측면부(59)는 전화기(1)의 표면(60)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어 개구부(61)를 통하여 요함부(11)로 들어가게 된다. 제 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커버(55)가 접히게 되면 플러그(53)가 노출되게 된다.
전화기(1)가 아래쪽 파지구에 결합되면서 플러그 회로의 연결이 완성된 후에 전화기(1)의 수화기부분이 설치대(3)에 결합이 된다. 제 1, 2, 4, 7도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장치(7)가 열려있다. 전화기(1)의 수화기 부분이 끼워져 들어 가면서 먼저 힘을 받는 부분은 저부(36)의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슬라이드(45)이며, 결합이 종료되면 안테나 플러그의 회로 연결이 완성된다. 끼워넣기 과정이 종결되기 직전에 전화기(1)의 하단 엣지(62)는 밀대(31)를 누르게 되어 밀대(31)는 통공(35)으로 밀려들어가 된다. 이로 인해 레버(32b)가 회전축(14)을 따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안쪽으로의 회동은 레버(32b)로 하여금 축(14)에 의하여 화살표(65)의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며, 홈(27)에 위치하는 걸림돌기(21)에 의한 가벼운 파지력은, 경사진 벽(30)으로 인하여 비교적 그 힘이 작으므로, 극복된다. 화살표 방향의 회전운동(65)에 의해 파지구(15)의 돌출부(17)는 전화기(1)의 상단표면(63)의 엣지(66)의 위로 밀리게 되며, 걸림돌기(21)는 홈(20)에 물리게 된다. 전화기(1)는 안정적으로 설치대(3)와 결합하게 되며, 자석(51)과 리드스위치(52)로 구성되는 리드계전기가 도통된다.
자석(51)과 리드스위치(52), 자석(49)과 리드스위치(50)로 각각 구성되는 두 개의 리드계전기의 전기회로적 연계는 전화기(1)가 설치대(3)와 결합되어 있고, 설치대(3)가 브라켓(5)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 자유롭게 말하고 들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외부마이크와 외부스피커 또한 설치 되어져 있다. 이때 핸드폰의 송화기와 수화기는 꺼져있게 된다.
설치대(3)가 브라켓(5)에서 떨어져 있고 전화기(1)는 설치대(3)에 결합되어 있다면, 돌출부(37)에 설치된 수화기(40)와 설치대(3) 하단의 송화캡슐(67)이 작동하게 된다. 송화캡슐(67)은 소리채널(67)에 의해 외부와 연결되며, 외부마이크와 외부스피커, 전화기(1)의 송화기와 수화기는 모두 꺼지게 된다.
전화기(1)가 설치대(3)에서 분리될 경우, 전화기(1)의 송화기와 수화기가 작동하게 되며, 설치대의 송/수화장치들과 외부스피커, 외부 마이크들은 모두 꺼지게 된다. 설치대(3)가 브라켓(5)에 결합되고 전화기(1)만 분리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전화기(1)가 분리될 경우에, 설치대(3)의 송화기와 수화기가 작동하도록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제 3자가 통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위치를 슬라이드(45)로 구성시키므로서, 설치대(3)를 브라켓(5)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대화의 도중에 스위치가 도통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슬라이드(45)는 선회잠금장치를 가져서 설치대(3)의 저부(36)에 완전히 삽입이 되었을 때 슬라이드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슬라이드(45)를 다시 풀 수 있다. 슬라이드(45)의 윗부분은 손가락 끝으로 누르기 용하도록 돌기모양의 무늬를 구성한다. 전화기(1)를 결합할 때에 슬라이드(45)가 누름 작용을 검출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위치는 설치대(3)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칭을 위한 시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제3자가 허락 없이 대화에 참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플러그(53)는 설치대(3)의 하단부 대신에 상단부의 파지장치(7)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화기(1)가 설치대(3)에 결합함과 동시에 회로가 연결이 된다. 제 7도와 8도에서 또 다른 플러그의 보호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제 6도에서 도시된 덮개의 작용이 제 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제 7도에서의 설치대(3)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플러그(70)의 밀어내기 작용과 다르다.
제 6도, 7도에서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화기(1)가 설치대(3)에서 분리될 경우, 레버(73a, 73b)들이 평행한 벽(71a, 71b)의 내측 부분으로 접혀들어온다. 레버(73a, 73b)에는 각각 피벗베어링(74a, 74b)를 포함하고 있다. 피벗베어링(74a, 74b) 반대편의 레버의 끝부분은 내측부분의 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동판(76a, 76b)은 길이방향슬롯(75a, 75b)에 있는 축(77a, 77b)에 의해 축설 되어있다. 두 개의 이동판(76a, 76b)은 모두 플러그(70)의 폭의 절반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슬롯(79a, 79b)를 가지고 있다. 슬롯의 폭은 플러그(70)의 두께보다 조금 큰 정도가 적당하다. 두 이동판(76a, 76b)모두 스프링(80a, 80b)에 의해 축(77a, 77b)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제 7도는 전화기(1)가 분리되어 있을 때를 도시하고 있다. 전화기(1)가 탈거 되면, 슬롯(79a, 79b)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려지도록 위치하여 플러그(70)를 덮게되어 플러그를 물 등의 외부물질에 대해서 보호하게 된다.
전화기(1)의 하단부 표면(60)이 빈 공간에 삽입되었다면, 벽(71a, 71b)에 배열되어 있는 레버(73a, 73b)는 스프링(80a, 80b)의 힘을 극복하면서 화살표방향(81a, 81b)으로 밀려지게 된다. 레버(73a, 73b)가 이동함에 따라 두 개의 슬롯(79a, 79b)은 서로 겹치게 되어 플러그가 개방되게 된다. 플러그(70)는 슬롯들의 겹침으로 개방되게 됨에 따라 전화기(1)의 하단부표면(60)에 설치되어있는 연결장치와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플러그(70)를 덮는 방법으로는 제 8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가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제 8도는 또한 전화기(1)가 분리되어 있을 경우의 플러그(70)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플러그(70)는 빈공간의 저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양쪽에 설치되어있는 스프링(83a, 83b)을 누르는 상태에 있다. 제 8 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동판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슬롯(79a, 79b)이, 제7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 등으로부터 보호할수 있도록 플러그를 덮는 위치에 있다. 제8도에서의 레버(73a)은 제7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바,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80a)에 의해 지정된 곳에 위치하게 된다. 두 개의 롤러(84a, 84b)를 통한 케이블은 축(77a,)(제7도에서 도시된 것과 동일한)에 의해서 플러그(70)로 유도된다. 플러그(70)는 수직가이드(86a, 86b)를 따라 저부의 빈공간으로 이동된다. 수직가이드(86a, 86b)는 예를 들면, 판의 모서리를 사용할 수 있다. 케이블(85)는 스프링(87)에 의해 장력을 유지한다.
전화기(1)의 하단부 표면(60)이 삽입되어 눌려지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73a)가 화살표(81a)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레버(73a)가 이동하게되면 플러그(70)가 스프링(83a, 83b)에 의해 위로 밀려올라가게 된다. 이 과정은 슬롯(79a, 79b)이 완전히 겹쳐져야만 가능하다. 케이블(85)의 조절은 스프링(87)에 의해 수행된다. 레버(79a, 79b)가 충분히 이동하였을 경우에만 플러그(70)가 위로 밀려올라가 전화기(1)의 하단부 표면(60)에 설치되어있는 연결장치와 접촉하게 된다.
두 번째 동작의 지연을 피하기 위해, 플러그(70)를 올려주기 위한 세 번째의 레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세 번째 레버의 형태는 직선일 필요는 없고, 필요한 움직임에 적합한 곡선의 형태도 적당하다.
플러그(70)를 물 등의 유해환경에서 보호하는 방법으로 위에서 상술한 일련의 방법 외에도 고무커버를 사용할 수 있다. 연결장치 또한 전화기(1)의 하단부에 있거나 또는 어느곳에 위치하던지 외부 위해환경으로부터 보호벽을 가진다. 이러한 보호벽은 압력하의 유체충전막(fluid-filled buble)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저부 개구부에 격막(diaphragm)이 설치되어 있다. 유체충전막은 탄력성있는 물질로 되어 있다.격막의 탄성계수는 나머지 유체충전막의 탄성계수보다 작다. 내부압력에 의하여 격막이 보호벽의 내부로 미끄러지면서 외부의 위해 환경을 차단하게 된다. 전화기(1)의 하단부 표면(60)이 결합되면 연결장치가 격막을 보호벽 내부의 빈공간으로 밀어내게 된다.
전화기(1)의 디자인에 따라서, 전원이나 신호의 이송을 위한 연결장치는 설치대(3)의 측면이나 또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장치의 전원이나 신호의 전달은 반드시 접촉에 의할 필요는 없다. 전자기 유도나 또는 전자기파에 의해서도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다. 전자기 유도에 의한 신호의 전달은 예를 들어 특히 핸드폰의 배터리에 대한 전원의 전달에 적당하다. 반면에 통화신호는 다음과 같은 전환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기파, 가시광선, 자외선이 통화나 제어에 관련된 신호를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트랜스시버 다이오드(transceiver diode)들이 투명한 창(window)으로 격리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핸드폰이나 요함부 또는 그 주위에 설치되어있다. 이러한 창은 액체나 기타 이물질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이 결합되어 있을 때에도 양호한 보호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조에서 전원 유도장치를 채택함으로써 방수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다.

Claims (26)

  1. 상부에 수화기를 가진 전화기(1)와, 내부의 좁은 한쪽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지장치에 의해 전화기(1)를 착탈자재롭게 파지되게 하는 수납부(6)를 가지는 설치대(3)와, 전화기(1)를 설치대(3)에 설치하면 전화기(1)를 자동적으로 덮어씌워 전화기를 파지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구(15)를 가지는 파지장치로 구성되고, 수납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로 전화기(1)를 수납부의 밖으로 내보내는 밀어내기장치(31, 45)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15)가 상기 전화기의 한쪽 끝을 부분적으로 파지하며,
    파지구(15)는 전화기의 길이 방향으로 축에 의해 회동되어 전화기의 파지를 해제하여 전화기(1)를 탈거할 수 있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파지구(15)는 잠금장치에 의하여 파지상태에서 기계적으로 잠겨지고, 이러한 잠김상태는 전화기(1)를 설치대(3)의 수납부(6)에 설치하면 항상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전화기를 수납하고 잠금작용을 하기 위해서, 파지구(15)를 가지는 파지장치(7)는 그 상부 표면에 작동 버튼(19)이 설치되는 바, 작동 버튼은, 그 상부를 손으로 감득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돌출되게 형성시키되 표면이 평평한 다른 물체에 접하여져 자의로 눌리워지지 아니할 정도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하나의 손가락으로 파지구(15)의 표면 이하로 눌리워져 작동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파지구(15)를 가지는 파지장치(7)는 밀대(31)를 가지어, 전화기를 탈거하는 경우 밀대(31)가 전화기(1)를 들어 올려 수납부(6)에서의 수평적 수납 상태를 해제하고 플러그(53, 70)의 연결을 해제하며, 전화기(1)를 설치할 경우에는 파지장치(7)가 자동적으로 잠김 위치로 이동 되도록 전화기가 밀대(31)를 밀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수납부(6)에 설치된 슬라이드(45)가, 파지장치(7)에 의한 파지상태가 해제된 때에, 전화기(1)를 설치대(3)로부터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로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6.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5)이 설치되고, 브라켓(5)은 자동차의 몸체에 고정되고, 이에 센서(49, 50, 51, 52)와 함께 설치대(3)가 결합되며, 센서들은 설치대(3)에 전화기(1)가 설치되거나, 브라켓(5)에 설치대가 결합되어 있음을 검출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전화기(1)와 설치대(3) 사이에 전원이나 신호를 전달하는 분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47, 53, 70)가 설치되고, 설치대(3)에 스프링을 가지는 플러그 커버(55)가 설치되어 플러그를 덮게 하여 전화기(1)가 설치대에서 탈거되면 플럭의 접점부를 보호하며, 플러그 커버(55)는 작동부(59)를 가지며, 작동부(59)는 설치대(3)의 수납부(6)로 뻗쳐있고, 전화기(1)를 수납부(6)에 설치함으로서 전화기(1)에의 연결을 위해 접점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8.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버(55)는 막대 모양으로 되고, 축에 의해 회동되며 한쪽으로 터진 공간부(57)를 가져, 커버가 밖 쪽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접점부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9. 특허청구범위 제8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버(55)는 전화기의 바닥부(6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턱을 가지며, 수납부(6)의 저부 가장자리에 요함부(61)를 형성시켜 전화기(1)를 설치할 때 안쪽으로 회동하는 막대가 수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설치대(3)에는 수화기나 송화기가 형성되어 있고, 전화기(1)가 탈거되면 송수화기가 작동되어 전화기(1)에 연결된 통화에 타인이 참여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핸드폰을 수납하는 수납부(6)를 가지며, 수납부(6)는 그 한쪽 끝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장치를 가지고, 그 파지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구(15)를 가지며, 파지구(15)는 핸드폰(6)이 설치대(3)에 설치되면 위의 파지구(15)가 자동적으로 그 일부분이 전화기의 외부를 덮어 파지하고, 수납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로 전화기(1)를 수납부의 밖으로 내보내는 밀어내기장치(31, 45)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15)는 수화기가 설치된 전화기의 한쪽 끝 상부표면을 부분적으로 덮어 파지하며,
    파지구(15)는 전화기의 길이 방향으로 축에 의해 회동되어 전화기의 파지를 해제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15.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핸드폰을 설치한 상태에서 파지구(15)가 잠금장치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잠겨지며, 잠금장치는 설치대(3)의 수납부(6)에 전화기(1)가 설치되면 자동적으로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16.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전화기를 수납하고 잠금작용을 하기 위해서, 파지구(15)를 가지는 파지장치(7)는 그 상부 표면에 작동 버튼(19)이 설치되는 바, 작동 버튼은, 그 상부를 손으로 감득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돌출되게 형성시키되 표면이 평평한 다른 물체에 접하여져 자의로 눌리워지지 아니할 정도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하나의 손가락으로 파지구(15)의 표면 이하로 눌리워져 작동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17.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파지구(15)를 가지는 파지장치(7)는 밀대(31)를 가지어, 전화기를 탈거하는 경우 밀대(31)가 전화기(1)를 들어 올리어 수납부(6)에서의 수평적 수납 상태를 해제하고 플러그(53, 70)의 연결을 해제하며, 전화기(1)를 설치할 경우에는 파지장치(7)가 자동적으로 잠김 위치로 이동 되도록 전화기가 밀대(31)를 밀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18.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수납부(6)에 설치된 슬라이드(45)가, 파지장치(7)에 의한 파지상태가 해제된 때에, 전화기(1)를 설치대(3)로부터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로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19.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브라켓(5)이 설치되고, 브라켓(5)은 자동차의 몸체에 고정되고, 이에 센서(49, 50, 51, 52)와 함께 설치대(3)가 결합되며, 센서들은 설치대(3)에 전화기(1)가 설치되거나, 브라켓(5)에 설치대가 결합되어 있음을 검출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20.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전화기(1)에 전원이나 신호를 전달하는 분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47, 53, 70)가 설치되고, 스프링을 가지는 플러그 커버(55)가 설치되어 플러그를 덮게 하여 전화기(1)가 설치대에서 탈거되면 플러그의 접점부를 보호하며, 플러그 커버(55)는 작동부(59)를 가지며, 작동부(59)는 설치대(3)의 수납부(6)로 뻗쳐있고, 전화기(1)를 수납부(6)에 설치함으로서 전화기(1)에의 연결을 위해 접점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21. 특허청구의 범위 제20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버(55)는 막대 모양으로 되고, 축에 의해 회동되며 한쪽으로 터진 공간부(57)를 가져, 커버가 밖 쪽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접점부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22. 특허청구의 범위 제21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버는 전화기의 바닥부(6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턱을 가지며, 수납부(6)의 저부 가장자리에 전화기(1)를 설치할 때 안쪽으로 회동하는 막대가 수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23.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전화기(1)가 탈거되면 작동되도록 수화기나 송화기가 설치되어 있어, 전화기(1)의 통화 중에 통화자 외의 타인이 통화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24.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장치의 전화기(1)를 수납하는 수납부(6)를 가지며, 전원이나 신호를 전화기(1)로 전달하는 분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47, 53, 70)가 설치되고, 스프링을 가지는 플러그 커버(55)가 설치되어 플러그를 덮게 하여 전화기(1)가 설치대에서 탈거되면 플러그의 접점부를 보호하며, 플러그 커버(55)는 작동부(59)를 가지며, 작동부(59)는 설치대(3)의 수납부(6)로 뻗쳐있고, 전화기(1)를 수납부(6)에 설치함으로서 전화기(1)에의 연결을 위해 접점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25. 특허청구의 범위 제24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버(55)는 막대 형태로 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한 쪽으로 터진 공간부(57)를 가져, 커버가 밖 쪽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접점부들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설치용 핸드폰 설치대.
  26. 특허청구의 범위 제25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버는 전화기의 바닥부(6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턱을 가지며, 수납부(6)의 저부 가장자리에 전화기(1)를 설치할 때 안쪽으로 회동하는 막대를 수납하는 요함부(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설치용 핸드폰 장치.
KR1019997008251A 1997-03-12 1998-03-12 자동차설치용 핸드폰 장치 및 핸드폰 설치대 KR100643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DE29705230.6 1997-03-12
DE29705230U DE29705230U1 (de) 1996-05-15 1997-03-12 Telefongerät mit einer Haltesicherung
PCT/IB1998/000316 WO1998040244A1 (de) 1997-03-12 1998-03-12 Telefongerät mit einer haltesich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160A KR20000076160A (ko) 2000-12-26
KR100643185B1 true KR100643185B1 (ko) 2006-11-13

Family

ID=803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251A KR100643185B1 (ko) 1997-03-12 1998-03-12 자동차설치용 핸드폰 장치 및 핸드폰 설치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56829B1 (ko)
EP (1) EP0966368B1 (ko)
KR (1) KR100643185B1 (ko)
DE (1) DE59802232D1 (ko)
ES (1) ES2168739T3 (ko)
WO (1) WO1998040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9215U1 (de) 1999-05-28 2000-10-05 Peiker, Andreas, 61381 Friedrichsdorf Halterung für Funktelefone
DE19950929A1 (de) 1999-10-21 2001-04-26 Andreas Peiker Halterung für Funktelefon
US7072689B1 (en) * 2000-06-05 2006-07-04 Qualcomm, Inc.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a wireless device
KR100464099B1 (ko) * 2001-10-09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기기를 위한 차량용 거치대
WO2008092429A1 (de) * 2007-01-29 2008-08-07 Peiker Acustic Gmbh & Co. Kg Aufnahme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571A (ja) * 1994-04-18 1995-10-31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の着脱装置
WO1997000792A1 (de) * 1995-06-23 1997-01-09 Andreas Peiker Telefongerät mit einem eine sprech- und/oder hörmuschel aufweisenden handappara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3797A (ja) * 1990-12-28 1992-08-21 Sony Corp 電子機器保持装置
DE4107996C2 (de) 1991-03-13 1996-02-15 Aeg Mobile Communication Schwenkbares Gehäuse mit elektrischer Steckverbindung zur zeitweiligen Halterung von tragbaren Funkgeräten
FI89650C (fi) * 1991-12-05 1993-10-25 Nokia Mobile Phones Ltd Foervaringsstaellning foer telefon
JPH05294190A (ja) * 1992-04-21 1993-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電話装置の車載ホルダー
GB2276514B (en) * 1993-03-25 1996-11-20 Nokia Mobile Phones Ltd A handsfree arrangement
JPH07135521A (ja) * 1993-11-11 1995-05-23 Fujitsu Ten Ltd 携帯電話器用置き台
FI99070C (fi) * 1995-06-30 1997-09-25 Nokia Mobile Phones Ltd Teline
DE19652826A1 (de) * 1996-12-18 1998-06-25 Nokia Mobile Phones Ltd Haltevorrichtung für eine Kommunikationseinheit
US6263080B1 (en) * 1997-12-05 2001-07-1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Holding device for a telephone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571A (ja) * 1994-04-18 1995-10-31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の着脱装置
WO1997000792A1 (de) * 1995-06-23 1997-01-09 Andreas Peiker Telefongerät mit einem eine sprech- und/oder hörmuschel aufweisenden handappar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0244A1 (de) 1998-09-17
EP0966368B1 (de) 2001-11-28
US6456829B1 (en) 2002-09-24
DE59802232D1 (de) 2002-01-10
EP0966368A1 (de) 1999-12-29
ES2168739T3 (es) 2002-06-16
KR20000076160A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7311B1 (en) Hinge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US5177784A (en) Head-set telephone device and method
JP3750025B2 (ja) 送話口及び/又は受話口を有する送受器を備えた電話機
FR2768975A1 (fr) Bloc acoustique d'automobile dans lequel peut etre integre un telephone cellulaire
JP3360703B2 (ja) 携帯電話機
US6058184A (en) Speaker unit with boom microphone
JPH10513614A (ja) 移動電話又は他の電気装置のためのクレードル
FI103166B (fi) Kannettavat puhelimet
KR100643185B1 (ko) 자동차설치용 핸드폰 장치 및 핸드폰 설치대
EP1039726B1 (fr) Téléphone portable avec volet articulé par rapport au boîtier et procédé correspondant
US20140128128A1 (en) Retrievable headset storag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440849B1 (en) Holder for a clamshell-type mobile phone
JP2982943B2 (ja) ハンドセット等を収納する小型防水ケ−ス
KR19980025974U (ko) 핸드프리장치
KR200175159Y1 (ko) 이어폰 마이크 부착장치
JPH01212052A (ja) 折り畳み式電話機
KR19980087601A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JP2001502144A (ja) 無線受信機
KR100550609B1 (ko) 핸즈프리의 연결코드 구조
KR20070097630A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JP2001203786A (ja) 折り畳み型無線装置の着信時通話スイッチ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350573Y1 (ko)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KR200179188Y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200273240Y1 (ko) 이어폰용 보조전화기
KR100792257B1 (ko) 무선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