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674B1 -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674B1
KR100641674B1 KR20040090019A KR20040090019A KR100641674B1 KR 100641674 B1 KR100641674 B1 KR 100641674B1 KR 20040090019 A KR20040090019 A KR 20040090019A KR 20040090019 A KR20040090019 A KR 20040090019A KR 100641674 B1 KR100641674 B1 KR 100641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let port
acceleration member
discharge por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9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425A (ko
Inventor
김교훈
Original Assignee
김교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훈 filed Critical 김교훈
Priority to KR2004009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6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2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1/00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 F02B51/02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involving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1/00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 F02B51/04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involving electricity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02M27/045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by permanent mag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서 유입된 연료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연료에 포함된 탄화수소 화합물 중에서 탄소와 수소와의 결합구조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연소실에 유입시킴에 의해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유해 배기가스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연료의 소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권인 등록번호 20-0227785호 및 특허출원번호 10-2003-6159호의 기술을 개량한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에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를 유입시키는 인입포트(10a)와 하부에 유입된 연료를 엔진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포트(10b)를 가지며, 서로 결합되면서 공간부가 마련되는 상, 하부 케이스(10)(1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의 인입포트(10a)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을 갖는 안내유로(11a)의 형성에 의해 인입포트(10a)로 유입된 연료를 와류, 변류시키고 유속을 증속시켜 연료를 미세 활성화하는 1단의 1차 연료증속부재(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배출포트(10b)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을 갖는 안내유로(12a)의 형성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재차 와류, 변류 및 증속시켜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촉진하며, 중앙에 일정 내경의 코어홀(12b)을 갖는 1단의 2차 연료증속부재(12)와; 상기 2차 연료증속부재(12)의 코어홀(12b)에 일정 틈새를 갖도록 끼워져 일단은 인입포트(10a)와 직결되고, 타단은 1차 연료증속부재(11)에 안착되며, 대략 중앙부에 연료를 배출포트(10b)로 안내하도록 관통구멍(13a)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기립부재(13)와; 인입포트(10a)에 직결된 상기 기립부재(13)의 일측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되고, 관통구멍(13a)을 통한 흐름의 연료를 배출포트(10b)로 배출 전에 재차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14a)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속저항을 줄이기 위해 배출포트(10b)와 서로 통하는 직결유로(14b)를 갖는 3차 연료증속부재(14)와; 상기 3차 연료증속부재(14)와 대항하는 기립부재(13)의 타단에 끼워져 구성되어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구비되되, N극을 상기 3차 연료증속부재(14)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시켜 자력에 의해 연료의 배출흐름방향으로 유도하는 자력부재(15); 및 상기 케이스(10)(10')의 내부, 1차 연료증속부재(11)와 2차 연료증속부재(12) 사이 공간부에 충진되어, 미세 활성화된 연료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복사에너지를 포함시켜 연료분자의 진동 및 회전을 활성화시키기는 음이온 발생제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연료효율, 인입포트, 배출포트, 음이온 발생제재

Description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Fuel activiation apparatus}
도 1 은 종래 연료 활성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서 연료 활성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종래 연료 활성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의 내부구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상,하부 케이스,10a: 인입포트,
10b: 배출포트,11: 1차 연료증속부재,
11a: 안내유로,12: 2차 연료증속부재,
12a: 안내유로,12b: 코어홀,
13: 기립부재,13a: 관통구멍,
14: 3차 연료증속부재,14a: 안내유로,
14b: 직결 유로,15: 자력부재,
15a: 엣지,16: 음이온 발생제재,
18: 백금망,
본 발명은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에서 유입된 연료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연료에 포함된 탄화수소 화합물 중에서 탄소와 수소와의 결합구조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연소실에 유입시킴에 의해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유해 배기가스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연료의 소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권인 등록번호 20-0227785호 및 특허출원번호 10-2003-6159호의 기술을 개량한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료는 그 중량비율이 14.1:1일 때 이론상 완전연소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의 자동차용 엔진에서는 연소효율이 100%가 되지 못하기 때문에 시동성이나 엔진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서 더 많은 연료를 투입하게 된다.
따라서 필요이상으로 투입된 연료는 무의미한 연소를 일으키거나 배기가스에 섞여서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대기오염의 주범이 된다. 즉 연료는 연료대로 소비되고 불완전 연소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그리고 산화질소(NOx)가 과다 생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동일한 연료 투입량으로도 엔진효율을 극대화하고, 또한 연료의 연소를 거의 완전에 가깝게 하여 불완전 연소시 배출되는 여러 가지 산화 배기가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료 활성장치를 고안하여 등록(등록번호 20-0227785호)을 받은 바 있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본 출원인의 선등록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연료 활성장치는 대체로 원통 콘(corn) 형상을 갖고,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되며, 상, 하부에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가 인입되는 인입포트(110)와 배출되어 엔진으로 투입되는 배출포트(210)를 갖는 두랄루민 재질의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가 구비되고, 인입포트(110)측의 상부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부 원뿔 스크류(300)와 상부 원통 스크류(400)가 순차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00)와 맞대응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200)에는 상부 케이스(100)에는 상부 케이스(100)의 스크류 부재(300)(400)의 역순으로 배치되는 하부 원뿔 스크류(500)와 하부 원통 스크류(6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원뿔 스크류(300)(400)와 원통 스크류(500)(600)는 그 외주면에 유입되는 연료의 이동속도를 이상적으로 빠르게 하고, 또한 연료의 입자를 세분화하여 활성화시키기 위해 스크류 형상의 가이드 요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형태로써, 동심원을 갖는 각각 스크류 부재의 다수가 각 내경에 끼워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한편, 서로 대향되는 상부 원통 스크류(500)와 하부 원통 스크류(600) 사이에는 상부 원뿔 스크류(300) 및 상부 원통 스크류(400)를 거친 미세 분자의 연료가 원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공명 및 공진 현상에 의해 분자구조 자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알갱이 다발로 이루어진 복사 활성부재(70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200)의 코어에는 미세 분자 상태의 연료가 다시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척력의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자력 활성부재(800)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료 활성장치는 본 출원인이 실험을 거듭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연료가 대향되게 배치된 원뿔 스크류와 원통 스크류를 거치면서 연료 활성화가 높은 미세 입자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유속은 빠르지만 저항이 너무 커 제대로 연료공급이 되지 않았고,
둘째, 복사 활성부재가 장치 중앙부 한군데만 위치되어 미세 입자의 연료가 원적외선 복사에너지를 제대로 받지 못한 상태로 엔진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기대치만큼 연료 활성화 및 배기가스의 감소를 이루지 못하였으며,
셋째, 종래 자력 활성부재의 위치가 장치의 코어부분에 한정되어 자기장에 의한 척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미세한 입자의 연료가 재결합되는 것을 충분히 막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인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문제점에 대한 방안으로 특허출원(10-2003-6159)을 한 바 있으나, 도 3을 참고하여 보면, 상, 하부 케이스(100)(100') 내부에 충진되는 복사 활성부재(140)(150)의 역할에서는 기대치 이상으로 효과가 발휘되나 연료의 활성화를 위해 미세입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요소, 즉 연료 유입측(100a)의 원뿔 스크류(110)와 연료 배출측(100a')의 원통 스크류(160), 원뿔 스크류(170)는 미세입자로의 변환에만 치중한 나머지 상기 스크류 수단들로 인해 연료의 유입시 저항이 커서 엔진까지의 전달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고, 또한 자력 활성부재(130)는 척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그 자기력에 의해 연료의 미세입자로의 변환을 도모하였으나 실험을 거듭한 결과 오히려 이러한 효과의 반대급부로 엔진으로 배출되는 흐름저항을 커지게 되는 현상을 낳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료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미세 입자상태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의 복사에너지를 충분히 머금을 수 있도록 하면서 연료의 흐름저항을 최소화하여 엔진의 연소효율을 향상하고 배기가스의 청정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연료의 유연한 흐름을 안내하도록 하는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를 유입시키는 인입포트와 하부에 유입된 연료를 엔진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포트를 가지며, 서로 결합되면서 공간부가 마련되는 상,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인입포트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을 갖는 안내유로의 형성에 의해 인입포트로 유입된 연료를 와류, 변류시키고 유속을 증속시켜 연료를 미세 활성화하는 1단의 1차 연료증속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배출포트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을 갖는 안내유로의 형성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재차 와류, 변류 및 증속시켜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촉진하며, 중앙에 일정 내경의 코어홀을 갖는 1단의 2차 연료증속부재와;
상기 2차 연료증속부재의 코어홀에 일정 틈새를 갖도록 끼워져 일단은 인입포트와 직결되고, 타단은 1차 연료증속부재에 안착되며, 대략 중앙부에 연료를 배출포트로 안내하도록 관통구멍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기립부재와;
인입포트 직결된 상기 기립부재의 일측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되고, 관통구멍을 통한 흐름의 연료를 배출포트로 배출 전에 재차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속저항을 줄이기 위해 배출포트와 서로 통하는 직결유로를 갖는 3차 연료증속부재와;
상기 3차 연료증속부재와 대향하는 기립부재의 타단에 끼워져 구성되어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구비되되, N극을 상기 3차 연료증속부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시켜 자력에 의해 연료의 배출흐름방향으로 유도하는 자력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1차 연료증속부재와 2차 연료증속부재 사이 공간부에 충진되어, 미세 활성화된 연료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복사에너지를 포함시켜 연료분자의 진동 및 회전을 활성화시키기는 음이온 발생제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음이온 발생 제재는, La2O3 4.10 중량%, CeO2 8.00 중량%, ZrO2 55.00 중량%, Fe2O3 0.26 중량%, Nd 4.20 중량%, Pr 1.20 중량%, ThO2 2.9 중량%, Al2O3 1.00 중량%, SiO2 19.54 중량%, P2O5 3.20중량%, IGloss 0.6 중량%의 조성비를 갖고, 다공성 결정체 알갱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의 내부구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에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를 유입시키는 인입포트(10a)와 하부에 유입된 연료를 엔진(도시안됨)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포트(10b)를 가지며, 서로 나사결합되면서 공간부가 마련되는 상, 하부 케이스(10)(10')가 구비된다. 상기 상, 하부 케이스(10)(10')는 일반적으로 내마모성이 강한 두랄루민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0')의 인입포트(10a)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을 갖는 안내유로(11a)의 형성에 의해 인입포트(10a)로 유입된 연료를 와류, 변류시키고 유속을 증속시켜 연료를 미세 활성화하는 1단의 1차 연료증속부재(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배출포트(10b)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을 갖는 안내유로(12a)의 형성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재차 와류, 변류 및 증속시켜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촉진하며, 중앙에 일정 내경의 코어홀(12b)을 갖는 1단의 2차 연료증속부재(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2차 연료증속부재(12)의 코어홀(12b)에 일정 틈새를 갖도록 끼워져 일단은 인입포트(10a)와 직결되고, 타단은 1차 연료증속부재(11)에 안착되며, 대략 중앙부에 연료를 배출포트(10b)로 안내하도록 관통구멍(13a)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기립부재(13)가 구비된다.
인입포트(10a)에 직결된 상기 기립부재(13)의 일측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되고, 관통구멍(13a)을 통한 흐름의 연료를 배출포트(10b)로 배출 전에 재차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14a)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속저항을 줄이기 위해 배출포트(10b)와 서로 통하는 직결유로(14b)를 갖는 3차 연료증속부재(14)가 구비된다.
상기 3차 연료증속부재(14)와 대향하는 기립부재(13)의 타단에 끼워져 구성되어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구비되되, N극을 상기 3차 연료증속부재(14)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시켜 자력에 의해 연료의 배출흐름방향으로 유도하는 자력부재(15)가 구비된다. 상기 자력부재(15)의 끝부분에는 금속재질의 엣지(15a)가 마감 처리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케이스(10)(10')의 내부, 1차 연료증속부재(11)와 2차 연료증속부재(12) 사이 공간부에 충진되어, 미세 활성화된 연료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복사에너지를 포함시켜 연료분자의 진동 및 회전을 활성화시키기는 음이온 발생제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음이온 발생제재(16)는 La2O3 4.10 중량%, CeO2 8.00 중량%, ZrO2 55.00 중량%, Fe2O3 0.26 중량%, Nd 4.20 중량%, Pr 1.20 중량%, ThO2 2.9 중량%, Al2O3 1.00 중량%, SiO2 19.54 중량%, P2O5 3.20중량%, IGloss 0.6 중량%의 조성비를 갖고, 다공성 결정체 알갱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출포트(10b)에 직결되는 기립부재(13) 사이에는 음이온 발생을 더옥 촉진시키기 위한 백금망(18)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연료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상부 케이스(10)에 형성된 인입포트(10a)를 통해 유입되면 1차 연료증속부재(11)의 안내유로(11a)를 따라 일정이상의 유속과 와류형태의 흐름에 의해 상기 연료의 유동력 및 운동에너지가 증가되어 연료 자체가 활성화된다. 유체인 경우 회오리 형상으로 배수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배수속도도 빠르다.
이 후 미세하게 분리된 미세입자의 연료는 상, 하부 케이스(10)(10')의 공간부 전면에 충진된 다공질의 라틴, 악티늄 계열의 원소입자로 구성된 음이온 발생제재(16)에 머물면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의 복사에너지를 취하게 된다.
이 때 미세 활성연료가 상기 음이온 발생제재(16)를 통과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음이온 및 복사에너지를 흡수함에 의해 연료 분자 내부에서 공명 및 공진이 발생하여 회전 및 진동운동이 활발해지고, 분자운동이 가속화되어 쉽게 기화할 수 있도록 더욱 활성화된다. 이어서 연료는 2차 연료증속부재(12)를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연료의 구성요소인 탄소화합물 즉, C-H, C-C, C=C 등의 결합구조가 상기 음이온 및 원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공명 및 공진현상에 의해 분자구조 자체가 활성화되어 산소와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됨과 동시에 분자 체적이 증가하여 연소가 용이한 연료로 변환된다.
이 후 더욱 활성화된 연료는 2차 연료증속부재(12)의 코어홀(12b)의 틈새와 기립부재(13)의 관통구멍(13a)을 통한 흐름이 유도되는데, 이 때 기립부재(13) 후방에 인력에 의해 부착되어 끼워지는 다수의 자력부재(15)는 자력선이 발생되는 N극이 배출포트(10b)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3차 연료증속부재(14)의 안내유로(14a) 및 직결유로(14b)로 배출되는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게 된다.
특히 3차 연료증속부재(14)는 그 안내유로(14a)에 의해 이미 활성화된 연료의 입자를 다시 미세 분리시켜 배출시킴은 물론 배출저항을 줄이기 위해 직결유로(14b)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배출저항이 현저히 감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료를 세립화하고 유속을 증대시키도록 한 구성과 음이온 발생제재의 구성에 의해 연료의 활성화가 가속화되어 불완전 연소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산화질소 등 인체에 치명적인 배출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배출포트와 직결되는 3차 연료증속부재의 직결유로와 자기력이 시작되는 N극이 배출포트로 향하는 인력상태의 자력부재의 구성에 의해 배출흐름을 종래에 비해 더욱 원활하게 안내해 줌으로 장치의 신뢰성이 더욱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에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를 유입시키는 인입포트(10a)와 하부에 유입된 연료를 엔진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포트(10b)를 가지며, 서로 결합되면서 공간부가 마련되는 상, 하부 케이스(10)(1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의 인입포트(10a)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을 갖는 안내유로(11a)의 형성에 의해 인입포트(10a)로 유입된 연료를 와류, 변류시키고 유속을 증속시켜 연료를 미세 활성화하는 1단의 1차 연료증속부재(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배출포트(10b)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을 갖는 안내유로(12a)의 형성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재차 와류, 변류 및 증속시켜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촉진하며, 중앙에 일정 내경의 코어홀(12b)을 갖는 1단의 2차 연료증속부재(12)와;
    상기 2차 연료증속부재(12)의 코어홀(12b)에 일정 틈새를 갖도록 끼워져 일단은 인입포트(10a)와 직결되고, 타단은 1차 연료증속부재(11)에 안착되며, 대략 중앙부에 연료를 배출포트(10b)로 안내하도록 관통구멍(13a)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기립부재(13)와;
    인입포트(10a)에 직결된 상기 기립부재(13)의 일측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되고, 관통구멍(13a)을 통한 흐름의 연료를 배출포트(10b)로 배출 전에 재차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14a)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속저항을 줄이기 위해 배출포트(10b)와 서로 통하는 직결유로(14b)를 갖는 3차 연료증속부재(14)와;
    상기 3차 연료증속부재(14)와 대향하는 기립부재(13)의 타단에 끼워져 구성되어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구비되되, N극을 상기 3차 연료증속부재(14)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시켜 자력에 의해 연료의 배출흐름방향으로 유도하는 자력부재(15); 및
    상기 케이스(10)(10')의 내부, 1차 연료증속부재(11)와 2차 연료증속부재(12) 사이 공간부에 충진되어, 미세 활성화된 연료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복사에너지를 포함시켜 연료분자의 진동 및 회전을 활성화시키기는 음이온 발생제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 제재(16)는, La2O3 4.10 중량%, CeO2 8.00 중량%, ZrO2 55.00 중량%, Fe2O3 0.26 중량%, Nd 4.20 중량%, Pr 1.20 중량%, ThO2 2.9 중량%, Al2O3 1.00 중량%, SiO2 19.54 중량%, P2O5 3.20중량%, IGloss 0.6 중량%의 조성비를 갖고, 다공성 결정체 알갱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040090019A 2004-11-05 2004-11-05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KR10064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0019A KR100641674B1 (ko) 2004-11-05 2004-11-05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0019A KR100641674B1 (ko) 2004-11-05 2004-11-05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425A KR20060040425A (ko) 2006-05-10
KR100641674B1 true KR100641674B1 (ko) 2006-11-03

Family

ID=3714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90019A KR100641674B1 (ko) 2004-11-05 2004-11-05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33B1 (ko) 2007-06-22 2008-10-17 지경호 액상연료 다용도 분자 활성이온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6433B (zh) * 2011-05-31 2013-03-06 青岛创恩康环保设备有限公司 内燃机用-高效率负离子发生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1634A (ja) * 1996-04-09 1997-10-21 Yamaha Motor Co Ltd ガス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ガス脱臭方法
KR20010088122A (ko) * 2000-03-10 2001-09-26 이광호 자동차용 연료절감판 조성물
JP2001304056A (ja) 2000-04-19 2001-10-31 Kiyoshi Nozato 黒煙低減装置
KR20040025031A (ko) * 2002-09-18 2004-03-24 이종봉 연료절감 및 매연감소장치
KR20040069659A (ko) * 2003-01-30 2004-08-06 이철수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1634A (ja) * 1996-04-09 1997-10-21 Yamaha Motor Co Ltd ガス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ガス脱臭方法
KR20010088122A (ko) * 2000-03-10 2001-09-26 이광호 자동차용 연료절감판 조성물
JP2001304056A (ja) 2000-04-19 2001-10-31 Kiyoshi Nozato 黒煙低減装置
KR20040025031A (ko) * 2002-09-18 2004-03-24 이종봉 연료절감 및 매연감소장치
KR20040069659A (ko) * 2003-01-30 2004-08-06 이철수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33B1 (ko) 2007-06-22 2008-10-17 지경호 액상연료 다용도 분자 활성이온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425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751B2 (en) Nozzle system for injector
US3831843A (en) Method of fuel atomization and a fuel atomizer nozzle therefor
JP4662334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0641674B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WO2010053033A1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WO2012101901A1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4362272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US7464691B2 (en) Mixing element for creating a vortex motion in an inlet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96063B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US20100170225A1 (en) Exhaust treatment system having a reductant supply system
KR200312443Y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KR200165210Y1 (ko) 가스연료혼합장치
KR100335752B1 (ko)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0312431Y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JPS5939921A (ja) 圧縮着火式直接噴射内燃機関
KR20040068799A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KR102013221B1 (ko) 기화기
KR200357007Y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KR200227785Y1 (ko) 연료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0165204Y1 (ko)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101959413B1 (ko) 세정액정화장치
KR20020039209A (ko) 연료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101768646B1 (ko) 연료 활성화 장치
WO2002040852A1 (en) Device for activating a fuel
KR100388532B1 (ko) 연료계통의연료활성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