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204Y1 -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204Y1
KR200165204Y1 KR2019990014884U KR19990014884U KR200165204Y1 KR 200165204 Y1 KR200165204 Y1 KR 200165204Y1 KR 2019990014884 U KR2019990014884 U KR 2019990014884U KR 19990014884 U KR19990014884 U KR 19990014884U KR 200165204 Y1 KR200165204 Y1 KR 200165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crew
case
active member
grap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봉
Original Assignee
서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299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35752B1/ko
Application filed by 서수봉 filed Critical 서수봉
Priority to KR2019990014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2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cataly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에 관한것으로, 연료탱크과 연소실 사이에 형성되고,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110)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가 구비되어 연료를 와류,변류시켜 안내함에 의해 유동속도를 증가시켜 연료를 활성화 시키는 물리적 활성부재(120)와; 상기 케이스(100) (110) 내부에 설치되고, 활성화된 연료를 자석의 척력 및 인력을 이용하여 미세 이온화 시키고, 화학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자력 활성부재(140)와; 상기 케이스(100) (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세 활성화 연료에 원적외선 복사에너지를 방출시킴에 의해 연료분자의 진동 및 회전을 활성화 시키는 복사 활성부재(160);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110) 내부에 설치되고 , 상기 미세 활성화된 연료의 응집을 방지하는 미세관통공이 구비된 다수개의 정류판(180)으로 구성되어; 유입 연료를 물리적, 화학적, 복사력으로 활성화시켜 연소실로 방출시키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따라 연료가 미세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소실로 공급되므로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매연 발생량도 감소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device for activating a fuel}
본 고안은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에서 유입된 연료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활성화 시키고, 연료에 포함된 탄화수소 화합물 중에서 탄소와 수소와의 결합구조를 활성화시킨 상태로 연소실에 유입시킴에 의해,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유해 배기가스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연료는 그 중량비율이 14.7:1일때 이론상 완전 연소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의 자동차용 엔진에서는 연소효율이 100%가 되지 못하므로 시동성이나 엔진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서 더 많은 연료를 투입한다. 따라서 필요이상으로 투입된 연료는 무의미한 연소를 일으키거나 배기가스에 섞여서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대기 오염의 주범이 된다. 즉 연료는 연료대로 소비되고 불완전 연소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 (CO), 탄화수소(HC) 그리고 산화질소(NOx)가 과대하게 생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시도가 있어왔다.
종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공급관(1) 외주면에 영구자석(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공급관(1)과 영구자석(2) 사이에는 상기 연료공급관 (1)에 자력이 고르게 작용하도록 자력확산부(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공급관 (1)의 내부에는 망사형의 원형판체로 이루어진 작용판(4)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작용판(4)은 상기 작용판(4)의 중앙부에 구비된 지지대(5)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상기 영구자석(2)의 외측에는 자력차단부(6)가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2)의 자력이 연료공급관(1)에만 미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연료공급관(1)에 유입된 연료가 상기 영구자석(2)의 자력에 의해 화학적으로 활성화되어 연소가 용이하게 되고 이에따라 매연의 배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첫째,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이 연료에 직접 전달되지 못하고 연료 공급관을 통하여 간접 전달됨에 의해 연료의 화학적 활성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연료의 미세 활성화를 영구 자석을 이용한 화학적인 방법에만 의존함에 의해 연료의 연소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탱크에서 유입된 연료를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활성화 시키고, 스크류를 통과하므로 발생되는 기포, 난류, 변류, 와류의 가속도에 의해 연료 입자의 관성을 해제시키고 미세화 시킨 후, 상기 연료를 연소실에 공급함에 의해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매연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1 - 종래의 연료 활성화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2 - 본 고안에 따른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의 사시도.
도3 - 본 고안에 따른 연료 활성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도4 - 도3의 점선 부분의 확대도.
도5 - 제1, 제2스크류 및 제1원통 스크류의 사시도.
도6 - 제3, 제4스크류 및 제2원통 스크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부 케이스 101 : 연료 유입통로
102 : 결합 수나사산 110 : 하부 케이스
111 : 연료 유출통로 112 : 결합 암나사산
120 : 물리적 활성부재 121 : 제1스크류
121a : 평평부 121b : 관통공
121c : 안내유로 122 : 제2스크류
122a : 평평부 122b : 안내유로
123 : 제3스크류 123b : 관통공
123c : 안내유로 124 : 제4스크류
124a : 안내유로 125 : 제1원통 스크류
125a : 안내유로 126 : 제2원통 스크류
126a : 안내유로 140 : 자력 활성부재
141 : 흑연자석 142 : 흑연 세라믹
143 : 희토류 면코일 144 : 이온 세라믹 입자
160 : 복사 활성부재 161 : 기공
180 : 정류판 181 : 제1정류판
182 : 제2정류판 183 : 제1원통 정류판
184 : 제2원통 정류판 185 : 상부 정류판
186 : 하부 정류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료탱크과 연소실 사이에 형성되고,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가 구비되어 연료를 와류,변류시켜 안내함에 의해 유동속도를 증가시켜 연료를 활성화 시키는 물리적 활성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활성화된 연료를 자석의 척력 및 인력을 이용하여 미세 이온화 시키고, 화학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자력 활성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세 활성화 연료에 원적외선 복사에너지를 방출시킴에 의해 연료분자의 진동 및 회전을 활성화 시키는 복사 활성부재;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세 활성화된 연료의 응집을 방지하는 미세관통공이 구비된 다수개의 정류판으로 구성되어; 유입 연료를 물리적, 화학적, 복사력으로 활성화시켜 연소실로 방출시키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적 활성부재는,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상부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1스크류와;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2스크류 하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제1원통 스크류와;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하부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3스크류와;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스크류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4스크류; 그리고 상기 제4스크류 상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제2원통 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력 활성부재는, 상기 제1원통 스크류와 제2원통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개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링형상의 흑연자석과; 상기 제1원통 스크류와 제2원통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흑연자석의 자력을 분산 전달하는 링형상의 흑연 세라믹과; 상기 흑연자석 및 흑연 세라믹과 소정공간 이격되어 환형상으로 형성된 희토류 면코일; 그리고 상기 흑연자석 및 흑연 세라믹과 희토류 면코일사이의 소정 공간에 충진된 이온 세라믹 입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사 활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고 박박형의 원판형상으로 구성되는 다공 원적외선 세라믹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연료를 미세 이온으로 활성화시킨 후 연소실로 유입시킴에 의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연료 활성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점선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제1, 제2스크류 및 제1원통 스크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3, 제4스크류 및 제2원통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연료 활성장치는 크게 케이스(100)(110), 물리적 활성부재 (120), 자력 활성부재(140), 복사 활성부재(160) 그리고 정류판(18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110)는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110)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 케이스(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0)는 두랄루민 재질로 구성되고. 대략 원통콘 형상의 모양을 가진다. 그리고 상부콘의 중앙부에는 연료탱크의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 유입통로(101)가 구비되고, 하부 외주면에 결합 수나사산(102)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하부 케이스(110)의 결합 암나사산 (112)과 결합한다.
하부 케이스(1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되고, 하부콘 중앙부에는 연소실로 연료를 방출하는 연료 유출통로(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원통의 상부 내주면에는 결합 암나사산(112)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 (100)에 형성된 결합 수나사산(102)과 결합함에 의해 상,하부 케이스(100)(11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케이스(100)(110)가 결합한 경우 상기 연료 활성장치는 대략 대칭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리적 활성부재는 제1(121), 제2(122), 제3(123), 제4스크류(124), 제1원통 스크류(125) 그리고 제2원통 스크류(126)로 구성된다.
제1스크류(121)는 상부에 소정의 평평부(121a)를 가지는 대략 콘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평부(121a)에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연료 유입통로(101)와 연통되는 관통공(121b)이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크류(121)의 외주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스크류 (121)의 외주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스크류 형상을 가지는 안내유로(121c)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연료 유입통로(101)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안내유로(121c)를 따라 와류되어 흐르게 된다.
제2스크류(122)는 상기 제1스크류(121)와 동일하게 상부에 평평부(122a)를 가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스크류(122)의 외주면이 상기 제1스크류(121)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고, 스크류 형상을 가지는 안내유로(122b)가 구비되어 상기 제1스크류(121)의 관통공 (121b)을 통하여 유입된 연료가 상기 안내유로(122b)를 따라 와류되게 흐른다.
상기 제1원통 스크류(125)는 원주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스크류(122)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스크류(122)와 제1원통 스크류(125) 사이의 이격부에는 후술하는 제1정류판(181)이 제2스크류(122)와 제1원통 스크류 (125)에 밀착설치된다. 그리고 제1원통 스크류(125)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125a)가 형성되어, 제1정류판(181)을 통과한 연료를 와류형상으로 흐르게 함에 의해 연료의 유동 속도를 증가 시킨다.
상기 제3스크류(123)는 상기 제1스크류(1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 내주면에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평평부(미도시) 중앙부위에는 관통공(123b)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연료 유출통로(111)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3스크류(123)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123c)가 구비되어, 연료를 와류형상으로 흐르게 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구비된 연료 유출통로(111)로 안내한다.
상기 제4스크류(124)는 상기 제2스크류(12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3스크류(123)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4스크류(124)의 외주면에도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124a)가 구비되어, 연료가 와류형상으로 흐르게 하여 상기 제3스크류(123)에 형성된 관통공(123b)을 지나 하부 케이스(110)의 연료 유출통로(111)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제2원통 스크류(126)는 원주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스크류(124)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원통 스크류(126)와 제4스크류(124) 사이의 이격부에는 후술하는 제2정류판(182)이 상기 제4스크류(124)와 제2원통 스크류 (126)에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원통 스크류(126)의 외주면에도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126a)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0)를 거친 연료를 와류시켜 흐르게 하여 후술하는 제2정류판(182)으로 안내한다.
상기 자력 활성부재(140)는 흑연자석(141), 흑연 세라믹(142), 희토류 면코일 (143) 그리고 이온 세라믹 입자(144)로 구성된다.
상기 흑연자석(141)은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원통 스크류(125)와 제2원통 스크류(126)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 (125), 제2원통 스크류(126)의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다수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흑연자석(141)의 배열은 제1원통 스크류(125)에 설치된 각 흑연자석(141)들 간에는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극이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제2원통 스크류(126)에 설치된 흑연자석(141)들 간에도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극이 배열된다. 그러나 상기 제1원통 스크류(125)와 제2원통 스크류(126)에 설치된 흑연자석(141)들 간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극이 배열된다.
상기 흑연 세라믹(142)은 상기 흑연자석(141)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제1(125), 제2원통 스크류(126)의 외주면에 밀착 설치된다. 상기 흑연 세라믹(142)은 상기 흑연자석(141)의 자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므로 흑연자석(141) 사이 사이에 구비되거나, 흑연자석(141)의 단부에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흑연자석(141) 및 흑연 세라믹(142)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제1(183), 제2원통 정류판(184)이 상기 흑연자석(141) 및 흑연 세라믹(142)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흑연자석(141) 및 흑연 세라믹(142)에 밀착 설치된다.
후술하는 제1(183), 제2원통 정류판(184)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희토류 면코일(143)이 구비된다. 상기 희토류 면코일(143)은 환 형상으로 감겨져, 상기 상,하부 케이스(100)(110)의 내주벽면에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1 (181), 제2정류판(182)과 희토류 면코일(143) 사이의 소정공간에는 소정크기를 가지는 이온 세라믹 입자(144)가 충진된다. 상기 이온 세라믹 입자(144)의 전하는 양이온을 띠던지 또는 음이온을 띠는 형태로 구성되어 연료 입자를 이온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사 활성부재(160)는 원판 디스크 형태로 구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 내주면에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사 활성부재(160)의 상면과 하면에는 후술하는 상,하부 정류판(185)(186)이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사 활성부재(160)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복사 활성부재(160)는 실리카(SiO2), 알루미나 (Al2O3), 지르코니아(ZrO2), 몰리브덴 (Mo2O2) 등의 물질 및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로 형성된 다공 원적외선 세라믹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사 활성부재(160)에는 내부 및 외부에 다수개의 기공 (161)이 형성되고, 소정부분 탄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기공(161)을 통하여 연료가 자유롭게 이동된다.
상기 정류판은 제1정류판(181), 제2정류판(182), 제1원통 정류판(183), 제2원통 정류판(184), 상부 정류판(185) 그리고 하부 정류판(186)으로 구성된다.
제1정류판(181)은 박막형 원판 형태로 구성되고, 외주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 (10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면은 제1(121), 제2스크류(122)의 하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정류판(181)의 하면은 상기 제1원통 스크류(125)의 상단부 및 희토류 면코일(143)의 상단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미세 관통공이 형성되어 연료의 유동이 자유롭다.
제2정류판(182)은 제1정류판(18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하면은 제3(123), 제4스크류(124)의 상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정류판(182)의 상면은 제2원통 스크류(126)의 하단부 및 희토류 면코일(143)의 하단부에 밀착되고, 미세 관통공이 구비된다.
제1원통 정류판(183)은 상기 상부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된 흑연자석(141) 및 흑연 세라믹(14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제2원통 정류판(184)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된 흑연자석(141) 및 흑연 세라믹(142)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정류판(185)은 상기 제1원통 스크류(125) 및 희토류 면코일(143)의 하단부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이온 세라믹 입자(144)가 상기 상부 정류판(185)과 희토류 면코일(143) 사이의 빈공간에서 안정되게 위치하고 외부로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정류판(186)도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된 희토류 면코일(143) 및 제2원통 스크류(126)의 상단부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이온 세라믹 입자(144)가 상기 제2원통 정류판(184)과 희토류 면코일(143) 사이의 빈공간에서 안정되게 위치하고 외부로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정류판(180)에 형성된 미세 관통공은 미세 활성화된 입자가 상기 미세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미세 분자의 재결합이 방지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 효과를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같다.
연료탱크에 저정된 연료가 상기 상부 케이스(100) 상부에 형성된 연료 유입통로(101)를 통하여 상부 케이스(100)로 유입된다. 상기 연료중 일부는 제1스크류 (1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유로(121c)를 따라 하부로 흘러내림에 의해, 고정 펌프의 고정압력으로 유동되는 연료의 안정적 흐름을 갑자기 와류 형태로 변형 시킴에 의해 상기 연료의 유동력을 증가 시킴과 동시에 운동 에너지를 극대화시켜, 연료 자체를 활성화 시킨다. 상기 현상은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배수의 모습에서 연상되듯이, 배수되는 물의 형상은 자연스런 소용돌이를 형성하면서 배수된다. 유체인 경우 회오리 형상으로 배수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배수속도도 빠르다. 즉 유체가 나선형의 안내유로를 따라 유동하게 되면 직선상의 안내유로를 흐르는 것보다 빠른 속도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 연료중 일부는 제1스크류(121)에 형성된 관통공(121b)을 통하여 제2스크류(122) 상부면으로 이동된 다음, 제2스크류(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유로(122b)를 따라 하부로 흘러 내림에 의해 속도가 증가하고, 운동 에너지도 증가하여 연료 자체가 활성화 된다. 상기 제1(121), 제2스크류(122)의 안내유로 (121c)(122b)를 통과한 활성 연료는 1차적으로 제1정류판(181)에 도착된다.
제1정류판(181)에 도착한 활성 연료는 제1정류판(181)에 형성된 미세 관통공을 통하여, 일부는 제1원통 정류판(183)과 희토류 면코일(143) 사이의 충진된 이온 세라믹 입자(144)가 구비된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일부는, 외주면에 흑연자석 (141)및 흑연 세라믹(142)이 구비된 제1원통 스크류(125)의 안내유로(125a)를 따라 흐르게 된다.
상기 이온 세라믹 입자(144)충진 부위로 유입된 연료는 이온 세라믹 입자 (144)의 이온화 작용에 의해 미세 이온화 됨과 동시에, 간접 전달되는 흑연자석 (141)및 흑연 세라믹(142)의 자력에 의해 분자 입자가 세분화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산소 친화력이 향상된 미세 입자로 분할되어 연소가 양호한 입자로 활성화 된다.
상기 제1원통 스크류(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유로(125a)를 따라 흐르는 연료 입자는 스크류 형상으로 구성된 안내유로(125a)를 따라 흐름에 의해 유동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물리적으로 활성화 된다. 그리고 외주면에 밀착 설치된 흑연자석(141) 및 흑연 세라믹(142)의 자력을 직접 전달받음에 의해, 분자 입자가 세분화 되고, 산소친화력이 향상된 미세 입자로 분할되어 연소가 양호한 입자로 활성화 된다.
상기 이온 세라믹 입자(144) 충진부와 제1원통 스크류(125)를 통과한 미세 활성연료는 상부 정류판(185)에 도착한다. 상부 정류판(185)에 도착한 미세 활성연료는 상부 정류판(185)에 형성된 미세 관통공을 통하여 복사 활성부재(160)의 상면에 도달한다. 그런다음, 복사 활성부재(160)에 형성된 기공(161)을 통하여 유출되어 하부 정류판(186)에 도착한다.
하부 정류판(186)에 도착한 미세 활성연료는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이온 세라믹 입자(144) 충진 부위 및 제2원통 스크류(126)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유로 (126a)를 따라 흐르게 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0)에서와 동일한 형상의 연료 미세 활성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세 활성연료가 상기 상부 정류판(185), 복사 활성부재(160) 그리고 하부 정류판(186)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복사 활성부재(160)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원 적외선 복사에너지를 흡수함에 의해, 연료 분자 내부에서 공명 및 공진이 발생하여 회전 및 진동 운동이 활발해지고, 분자 운동이 가속화 되어 쉽게 기화 될 수 있도록 활성화 된다.
그리고 연료의 구성요소인 탄소화합물 즉, C-H, C-C, C=C 등의 결합구조가 상기 원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공명 및 공진 현상에 의해 분자구조 자체가 활성화 되어, 산소와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됨과 동시에 분자 체적이 증가하여 연소가 용이한 연료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단부의 흑연자석(141) 자극과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단부의 흑연자석(141)의 자극이 동일하므로, 복사 활성부재(160) 근처로 유입된 미세 활성연료는 척력이 작용하는 흑연자석(141)사이에 끼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 활성연료는 상기 흑연자석(141)의 척력을 전달받아 더욱 미세한 입자로 분리된다.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이온 세라믹 입자(144) 충진부 및 제2원통 스크류 (126)를 통과한 미세 활성화 연료는 제2정류판(182)에 도달하여 미세 관통공을 통하여 제3(123), 제4스크류(124)의 안내유로(123c)(124a)를 따라 흐르게 된다. 제3, 제4스크류의 안내유로(123c)(124a)를 따라 흐른 미세 활성연료는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연료 유출통로(111)를 통하여 연소실로 유입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물리적 활성부재, 자력 활성부재 그리고 복사 활성부재를 이용하여 연료탱크에서 유입된 연료를 미세 활성화 시킨후, 연소실로 공급함에 의해 연료의 연소 효율이 향상되어 연료도 절감되고 매연발생량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연료탱크과 연소실 사이에 형성되고,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110)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의 안내유로가 구비되어 연료를 와류,변류시켜 안내함에 의해 유동속도를 증가시켜 연료를 활성화 시키는 물리적 활성부재(120)와;
    상기 케이스(100)(110) 내부에 설치되고, 활성화된 연료를 자석의 척력 및 인력을 이용하여 미세 이온화 시키고, 화학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자력 활성부재(140)와;
    상기 케이스(100)(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세 활성화 연료에 원적외선 복사에너지를 방출시킴에 의해 연료분자의 진동 및 회전을 활성화 시키는 복사 활성부재(160);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110) 내부에 설치되고 , 상기 미세 활성화된 연료의 응집을 방지하는 미세관통공이 구비된 다수개의 정류판(180)으로 구성되어; 유입 연료를 물리적, 화학적, 복사력으로 활성화시켜 연소실로 방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활성부재(120)는,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110) 상부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1스크류(121)와;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121)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2스크류(122)와;
    상기 제2스크류(122) 하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제1원통 스크류(125)와;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110) 하부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3스크류(123)와;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스크류(123)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4스크류(124); 그리고
    상기 제4스크류(124) 상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제2원통 스크류(1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활성부재(140)는,
    상기 제1원통 스크류(125)와 제2원통 스크류(12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개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링형상의 흑연자석(141)과;
    상기 제1원통 스크류(125)와 제2원통 스크류(12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흑연자석(141)의 자력을 분산 전달하는 링형상의 흑연 세라믹 (142)과;
    상기 흑연자석(141) 및 흑연 세라믹(142)과 소정공간 이격되어 환형상으로 형성된 희토류 면코일(143); 그리고
    상기 흑연자석(141) 및 흑연 세라믹(142)과 희토류 면코일(143)사이의 소정 공간에 충진된 이온 세라믹 입자(1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활성부재(180)는, 상기 케이스(100)(110)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고 박박형의 원판형상으로 구성되는 다공 원적외선 세라믹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19990014884U 1999-07-23 1999-07-24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0165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884U KR200165204Y1 (ko) 1999-07-23 1999-07-24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918A KR100335752B1 (ko) 1999-07-23 1999-07-23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19990014884U KR200165204Y1 (ko) 1999-07-23 1999-07-24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918A Division KR100335752B1 (ko) 1999-07-23 1999-07-23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204Y1 true KR200165204Y1 (ko) 2000-02-15

Family

ID=2663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884U KR200165204Y1 (ko) 1999-07-23 1999-07-24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2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646B1 (ko) * 2016-06-30 2017-08-17 서수봉 연료 활성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646B1 (ko) * 2016-06-30 2017-08-17 서수봉 연료 활성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3203A1 (en) Plasma reactor
CN101701558B (zh) 一种提高内燃机燃烧效率的方法
JPH1047208A (ja) 燃料噴射弁
WO2000077360A1 (fr) Moteur a injection directe et injecteur de carburant utilise dans ledit moteur
KR100335752B1 (ko)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JP2003269268A (ja) 液体燃料磁気処理装置
KR200165204Y1 (ko)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US5673674A (en) Fuel saver
CN215313234U (zh) 一种内置磁化结构的气相辅助雾化喷嘴
CA2820741C (en) Fluid activating apparatus
KR200227785Y1 (ko) 연료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CN112974012A (zh) 一种内置磁化结构的气相辅助雾化喷嘴及雾化方法
KR20020039209A (ko) 연료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0165210Y1 (ko) 가스연료혼합장치
KR100641674B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WO2002040852A1 (en) Device for activating a fuel
CN100500260C (zh) 利用导磁轭铁加强层叠磁体阵列实现空气中氧气富集的装置及方法
KR101178780B1 (ko) 내연기관의 연소 활성화 장치
CN209511234U (zh) 一种降噪废水电磁阀
KR100596063B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KR101768646B1 (ko) 연료 활성화 장치
KR200357007Y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연료활성장치
KR200312443Y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KR200216675Y1 (ko) 연료 활성화장치
KR200312431Y1 (ko) 연료효율 및 배기가스의 청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연료활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