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413B1 - 세정액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액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413B1
KR101959413B1 KR1020170075712A KR20170075712A KR101959413B1 KR 101959413 B1 KR101959413 B1 KR 101959413B1 KR 1020170075712 A KR1020170075712 A KR 1020170075712A KR 20170075712 A KR20170075712 A KR 20170075712A KR 101959413 B1 KR101959413 B1 KR 10195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urifier
wing
flu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054A (ko
Inventor
이수태
이수규
성재봉
임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7007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41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와, 분리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부를 갖는 정화기정화기정화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정화장치는 원활한 작동을 위한 다양한 수단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세정액정화장치는 동력공급수단, 여액저장수단, 응집제공급수단, 교반수단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내장한 세정액정화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정액정화장치{Liquid Cleaning Purifier}
본 발명은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와, 분리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부를 갖는 정화기를 포함하는 세정액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정화장치는 원활한 작동을 위한 다양한 수단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세정액정화장치는 동력공급수단, 여액저장수단, 응집제공급수단, 교반수단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에 대한 것이다.
현대의 선박은 대부분 자체 동력과 난방을 위한 엔진과 보일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엔진과 보일러 등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연료를 태워야 하는데,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는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PM(Particular Matter, 입자성 물질) 등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은 인체의 점막에 작용해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오염물질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SOx나 NOx가 공기 중으로 그대로 방출되면 대기 중의 수분(H20)과 반응하여 각각 황산(H2SO4), 질산(HNO3)이 되어 산성비의 주된 원인이 되기도 한다.
PM은 가스상오염물질에 대비되는 작은 입자의 형태로서 배기가스 속의 PM이 그대로 대기 중에 방출되면 가시거리를 줄이는 시정장애를 일으키거나, 미세한 입자가 폐나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들어가 각종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 문제가 되는 미세먼지 또한 상기 PM에 의한 것으로서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기가스 속 유해물질에 대한 방지책이 필요한데, 특히 선박의 경우는 엔진의 출력규모가 거대하여 승용차의 130배에 달하는 배기가스를 내뿜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방대한 양의 유해물질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선박의 배기가스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이하 IMO)에서는 배출규제지역(Emission Control Area, 이하 ECA)를 설정하여 해당 해역 내에서 유해물질의 배출량을 제한하고 있다. 특히 황산화물 배출규제지역(SOx Emission Control Area, 이하 SECA)은 NOx 등의 다른 유해물질도 같이 규제하는 상기 ECA보다 더 광범위하게 규정하여 강력한 제재를 가하고 있다.
더구나 2015년 1월 1일부터는 규제를 더욱 강화하여 상기 SECA를 지나는 모든 선박에 대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연료 내 황(Sulphur) 함유율을 0.1%로 제한하였다(IMO 184(59)). 상기 SECA는 2011년 8월 해양오염방지협약의 수정을 통해 기존의 발틱해와 북해지역에서 북미지역으로 확대 규정되었고, 2016년 4월 1일부터는 중국 근해도 지정되는 등, 앞으로 계속 확장될 것이므로 선박의 황산화물 관리는 더 중요해질 전망이다.
또한, ECA 이외 전세계 해역에서도 배기가스 내 SOx 함유량을 3.5% 이하로 규제하던 것을 2016년 10월 28일 개최된 IMO 총회에서 0.5%로 낮추는 법안이 통과되어 2020년부터 시행될 예정에 있는바, 지역을 불문하고 황산화물 관리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저황유(Low sulphur)를 사용하거나 황산화물의 배출량이 적은 천연가스가 연료로 쓰이는 LNG 추진선이 이용되기도 하지만, 배출가스의 황산화물을 절감하는 스크러버(Scrubber)를 사용하기도 한다.
스크러버를 이용해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면 황 함유율이 비교적 높은 저가의 연료로도 상기 규제들을 만족시키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기에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이렇듯 스크러버는 경제성과 환경성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어 선박뿐만 아니라 발전소 등에서도 사용될 만큼 범용성이 높다.
그러나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황산화물(SOx)과 PM을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그 과정에서 오염된 세정액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세정액을 바다에 바로 배출시키면 해양 오염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결국 대기 오염을 해양 오염으로 전가시키는 것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배기가스 속에 들어있었던 유해물질을 포함한 세정액을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순수한 세정액과 오염물질로 분리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특허 제 10-09681130000호(2010.62.29.등록) "연속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슬러지고액분리처리기"
상기 특허문헌에 도시된 발명은, 액체와 고형물을 분리하는 디캔터 원심분리기로써 축과 하우징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비중이 높은 고형물을 분리하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도시된 발명은 축과 날개(스크류)를 덮고 있는 하우징이 일측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테이퍼 부분의 날개(스크류)는 수직으로 전개되어 날개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이 부합하지 못하였다. 이렇게 양 단면이 상응하지 못하면 슬러지(찌꺼기)의 분리가 원활히 일어날 수 없다. 이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한 확인이 가능한데, 경사진 하우진의 내측면(8122a')은 밑으로 기울어졌음에도 날개의 단면(8141aa')은 수평하게 전개되어 양 면이 일치하지 못해 빈 공간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틈을 통해 입자가 빠져나가면 분리작용의 효율을 떨어트리게 된다.
또한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사용된 세정액 속 입자는 세정액에 의해 뭉친다 하더라도 그 크기가 작아 원심력이 작용하여도 외측으로 잘 안밀리기에 별도로 응집제를 넣어 그 크기를 증대시켜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캔터 원심분리기는 이러한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해 무겁고 부피가 많이 나가는 별도의 장치(82')를 구비하여 원심분리장치 전체의 부피가 매우 커 이동 및 설치에 불편함이 많았다. 그리고 상기 투입된 응집제를 세정액과 섞어야 입자의 응집이 원활히 발생하는데, 이를 위해 별도의 혼합기(83')를 구비하여 장치의 부피가 커져 설계 및 설치에 제한이 있었다. 상기 원심분리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기로 작동되는 모터(85')가 필요한데, 이러한 모터(85') 또한 부피가 커 자리를 많이 차지하기에 개선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원심분리기에서 고형물과 분리된 순수한 세정액을 다시 순환시키기 전에 상황에 따라 잠시 보관해 둘 저장고(tank, 84')가 필요한데, 상기 발명에는 이에 대한 내용은 게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다양한 수단을 별도의 구성으로 가진 종래기술은 도 1에서도 확인이 가능한데, 배관이 매우 복잡하고 부피가 큰 것을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원심분리장치는 그 유입구와 유출구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처리용량 역시 일정했었다. 그러나 배출되는 세정액은 그 양이 항시 변하고, 또 오염된 정도도 매번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액체의 양 및 오염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기에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날개의 형상을 개선하여 원심분리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그 유량과 처리 수질을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부피를 줄여 이동 및 설치가 간단한 원심분리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수단을 내장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 없이도 독립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킨 다양한 수단을 내장한 세정액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동력공급이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설치가 간단한 다양한 수단을 내장한 세정액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액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여액의 저장이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이동이 간편한 다양한 수단을 내장한 세정액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집제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응집제의 공급이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킨 다양한 수단을 내장한 세정액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반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유체와 응집제를 섞을 수 있고 부피를 줄여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 가능한 다양한 수단을 내장한 세정액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세정액과 그 속의 고형물을 분리해낼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내장한 세정액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 속의 고형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내장한 세정액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량을 조절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향상된 분리효율을 가진 세정액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고형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와, 분리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부를 갖는 정화기를 포함하는 세정액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정화장치는 원활한 작동을 위한 다양한 수단이 내장되어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동력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동력공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고형물이 분리된 여액을 저장하는 여액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저장탱크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효율적인 분리를 위해 유체 속 고형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수단을 내장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공급된 응집제와 유체를 섞는 교반수단을 정화기 내부에 포함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상기 동력공급수단이 상기 정화기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세정액정화장치는 고형물이 분리된 여액을 저장하는 여액저장수단을 더 포함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저장탱크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효율적인 분리를 위해 유체 속 고형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수단을 내장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공급된 응집제와 유체를 섞는 교반수단을 정화기 내부에 포함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와 연동되어 유해물질을 포함한 세정액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상기 정화기가 중심의 축과 이를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축의 외면에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외측면은 이와 마주하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져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상기 하우징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경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하우징에 대응되는 위치의 경사날개는 그 외측면이 경사하우징의 내측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축으로부터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상기 경사날개가 상기 경사하우징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는 상기 경사날개가 축과 결합된 부분인 날개내측과, 상기 날개내측의 일단에서 경사하우징을 향해 연장형성된 날개외측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내측은 축에 수직이고, 상기 날개외측은 그 외측면이 상기 경사하우징의 내측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날개내측의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 없이도 독립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동력공급이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설치가 간단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여액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여액의 저장이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이동이 간편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집제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응집제의 공급이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반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유체와 응집제를 섞을 수 있고 부피를 줄여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세정액과 그 속의 고형물을 분리해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 속의 고형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유량을 조절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향상된 분리효율을 가진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의 날개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기를 나타낸 a-a'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기의 날개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 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 조절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a-a'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a-a'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세정액정화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의 날개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기를 나타낸 a-a'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기의 날개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 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 조절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a-a'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a-a'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출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정액정화장치(8)는 원심력에 의해 유체와 고형물을 분리하는 정화기(81), 상기 고형물을 응집시켜 부피를 크게 만드는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공급수단(82), 상기 응집제공급수단(82)에서 공급된 응집제와 유체를 섞는 교반수단(83), 상기 정화기(81)에 의해 고형물과 분리된 여액을 저장하는 여액저장수단(84), 상기 정화기(81)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동력공급수단(8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정화기(81)는 고형물을 함유한 유체가 들어오는 유체유입부(811)와, 정화기(81)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812), 저속으로 회전하는 축(813), 상기 축(813)의 외면에 형성되어 같이 회전하는 나선형의 날개(814), 고형물이 배출되는 고형물유출부(8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후방에 고형물이 분리된 유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유출량조절수단(8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유체유입부(811)는 고형물을 포함한 유체가 들어오는 부분으로 정화기(81)의 일측에 형성되는데, 후술할 축(813)의 유입관(8131)과 연통되어 유체를 축(813) 내부로 흘러보낸다.
상기 하우징(812)은 내부가 비어있는 통의 형상을 가져 상기 축(813)과 상기 날개(814)를 감싸 정화기(81) 전체의 몸체를 이루는데, 길이방향으로 단면적이 일정한 수평하우징(8121)과, 상기 수평하우징(8121)의 단부에서 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taper) 형상의 경사하우징(8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하우징(8121)의 일측은 상기 유체유입부(811)와 결합된다. 타측은 경사하우징(8122)과 연결되는데,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수평하우징(8121)의 타측과 상기 경사하우징(8122)의 시작부분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져 원심분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단면적은 원형이 된다.
상기 경사하우징(8122)은 상기 수평하우징(8121)의 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데, 반대방향의 원주면에 고형물유출부(816)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분리된 고형물을 배출시킨다. 상기 수평하우징(8121)이 원통형일 경우 경사하우징(8122)은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812)은 상기 축(813) 및 날개(814)에 비해 고속으로 회전하며 유체와 고형물을 원심분리시키는데, 이때 유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고형물이 하우징(812)의 내측면(8121a, 8122a)에 몰리게 된다.
상기 축(813)은 상기 하우징(812)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축(813)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개되는 유입관(8131)과, 상기 유입관(8131)의 타측에 형성된 방(8132), 상기 방(8132)의 둘레에 형성된 유입구(8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8131)은 상기 유체유입부(811)와 연통되어 고형물을 포함한 유체를 하우징(812) 내부로 흘려보내는데, 축(813)의 길이방향 중간까지 연장형성된다.
상기 방(8132)은 상기 유입관(8131)의 단부와 상기 유입구(8131a)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유체가 축(813)에서 하우징(812)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구(8131a)는 상기 방(8132)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데, 유입관(8131)을 통해 들어온 유체를 하우징(812)에 공급하는 구멍이다.
상기 축(813)은 상기 유입관(8131) 및 방(8132)이 끝나는 곳에서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우징(812)의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경사하우징(812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마찬가지로 테이퍼 형상으로 축경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날개(814)는 상기 축(813)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축(813)에 수직으로 전개되는 수직날개(8142)와, 상기 하우징(812)의 내측면(8121a, 8122a)에 상보적인 외측면을 갖는 경사날개(8141)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정화기는 하우징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날개는 항상 축에 수직으로 형성되었기에, 하우징의 내측면(8122a')과 날개의 외측면(8121aa')이 서로 평행하지 않아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었다. 정화기의 작동시 고형물은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8122a')에 쏠리게 되는데, 여기에 날개의 외측면(8121aa')과 간극이 있는 경우 그 사이로 빠져나가 유체와 같은 곳으로 배출되어 분리 작업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정화기(81)는 하우징(812)의 형상에 따라 날개(814)를 수직날개(8142)와 경사날개(8141)로 구분하여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고형물이 빠져나가지 않고 유체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면적이 일정한 수평하우징(8121)에 대응되는 부분은 축(813)과 하우징(8121)의 내측면(8121a)이 이미 평행하므로, 이 위치의 수직날개(8142)는 축(813)에 수직으로 형성되어도 날개의 외측면과 수평하우징(8121)의 내측면(8121a)이 평행하여 그 사이 간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반면, 단면적이 길이방향으로 좁아지는 경사하우징(8122) 부분에서는 축(813)과 하우징의 내측면(8122a)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는바, 날개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축(81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된 경사날개(8141)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사날개(8141)가 하우징과 수직이 되어 날개외측면(8141aa)과 하우징의 내측면(8122a)이 평행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우징과 수직이 되는 부분은 날개외측(8141a)에 한정되어 날개내측(8141b)은 외측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채 축(813)에 결합될 수도 있고, 경사날개(8141) 전체가 경사하우징(8122)에 수직이 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날개(814)와 하우징(812) 사이의 간극이 최소화되어 유체 속의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고형물유출부(816)는 유체로부터 분리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경사하우징(8122)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유출량 조절수단(86)은 상기 수평하우징(8121)의 후면에 결합되며, 왕복운동하는 차단부(861)와, 상기 차단부(861)가 들어가는 실린더(863), 상기 차단부(861)의 왕복운동을 유도하는 조절부(865), 상기 조절수단(86)을 감싸는 조절수단하우징(86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861)은 상기 실린더(863) 내부에서 위아래로 왕복운동하며, 축(813) 측으로 모였을 때는 상부(8611)까지 외부에 노출되지만, 하우징(812) 쪽으로 퍼지면 하부(8613)만이 보인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실린더(863)는 상기 정화기(81)의 수평하우징(8121) 후방과 연통되어 유체를 받아들이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86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861)는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개방구(863a)의 단면적을 증가/감소시킨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조절부(865)는 제1로드(8651), 제2로드(8653), 제3로드(865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로드(8651)는 상기 차단부(861)에 결합되고, 상기 제3로드(8655)는 앞뒤로 움직이도록 가이드되며, 상기 제2로드(8653)는 상기 두 로드(8651, 8655)를 연결하며 4-bar 메커니즘을 완성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조절수단하우징(867)은 상기 수평하우징(8121)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부(861), 실린더(863)를 감싸고 유체가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응집제공급수단(82)은 상기 정화기(81)의 밑에 위치하여 일체의 세정액정화장치(8)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정액정화장치(8)가 엔진이나 보일러 등의 배기가스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세정액과 고형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형물의 크기가 매우 작아 그 자체로는 원심력에 의한 분리가 어렵다. 따라서 별도의 응집제를 넣어 PM 등의 고형물 크기를 확장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고형물을 투입하는 장치가 정화기와 별도로 구비되어 전체적인 부피가 크고 공간활용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세정액정화장치(8)는 응집제공급수단(82)을 상기 정화기(81) 밑에 포함하여 고형물을 응집해 분리 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교반수단(83)은 상기 응집제공급수단(82)에서 분비된 응집제와 유체를 섞는 기능을 가지는데, 정화기(81)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세정액정화장치(8)에 내장되어 전체적인 부피를 줄임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다.
상기 여액저장수단(84)은 상기 정화기(81)에서 고형물과 분리되어 배출된 여액을 임시로 저장하는 수단으로, 종래기술에서는 별도의 장치로 형성되어 부피가 큰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세정액정화장치(8)는 여액저장수단(84)을 정화기(8) 하측에 내장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상기 동력공급수단(85)은 정화기(81) 속의 하우징(812)과 축(813)을 돌리기 위해 동력을 공급하며, 모터나 내연기관 등이 될 수 있다. 종래에는 모터가 별도의 구성이어서 설치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사용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세정액정화장치(8)는 동력공급수단(85)을 정화기(81) 하측에 내장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세정액정화장치(8)는 선박의 엔진 또는 보일러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처리하고 남은 세정액을 그 속에 포함된 PM 등의 고형물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의한 세정액정화장치(8)가 유체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해내는 과정을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도 8을 참고하면, 배기가스 처리장치에서 PM 등의 고형물을 포함한 채 배출된 유체가 유체유입부(811)를 통해 정화기(81) 내에 유입된다. 상기 유체는 축(813) 내부의 유입관(8131)을 거쳐 방(8132)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8131a)를 통해 하우징(812)으로 들어간다. 이때 응집제공급수단(82)에서 공급된 응집제와 유체가 교반수단(83)에 의해 섞이면서 고형물이 더욱 성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2)은 동력공급수단(85)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축(813)과 날개(814)는 저속으로 회전하는데, 이에 의해 유체 역시 같은 방향으로 돌며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원심력이 생기면 유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고형물이 하우징(812)의 내측면(8121a, 8122a)으로 쏠리게 된다. 이렇게 외측으로 편향된 고형물은 나선형의 날개(814)가 회전하며 타측으로 밀어내어 고형물 유출부(816)로 배출된다. 여액은 뒤로 흘러가 여액저장수단(84)으로 배출되어 분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유출량조절수단(86)이 고형물과 분리된 유체의 유출량을 조절하여 처리용량과 처리수질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출량조절수단(86)에서 상기 조절부(865) 중 제3로드(8655)를 오른쪽으로 밀면, 제2로드(8653)는 수직에 가깝게 서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로드(8651)는 위로 쭉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로드(8651)의 상측에 결합된 차단부(861) 역시 위로 올라가 실린더(863)의 내측 공간으로 들어가 하부(8613)만이 노출되게 된다. 이에 의해 개방구(863a)의 면적은 더욱 넓어지고(h1 증가), 유체(w)는 상당히 많은 양이 개방구(863a)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하우징(812)에 가까운 유체(w)만을 남겨놓고, 축(813)에 가까운 유체(w)는 배출된다. 정화기(81)의 원리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고형물은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812) 쪽에 쏠리게 되는바, 유체(w)는 축(813) 쪽의 수질이 더 처리 효율이 높아 깨끗하고, 하우징(812) 쪽이 상대적으로 정화되지 않은 더러운 유체(w)가 모이게 된다. 따라서 차단부(816)가 올라가 개방면적이 증가(h1 증가)하면 빠져나가는 유체(w)의 양이 많아져 처리 용량은 늘어나지만, 상대적으로 더러운 유체(w)도 같이 배출되어 수질은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차단부(861)가 실린더(863) 내부로 들어간 모습은 도 13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3로드(8655)를 왼쪽으로 잡아 당기면 제2로드(8653)는 밑으로 수평하게 눕게 되고, 상기 제1로드(8651)와 차단부(861)를 밑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의해 차단부(816)는 비교적 상부(8611)까지 축(813) 측으로 모이게 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863)의 개방구(863a)는 그 단면적이 좁아져(h2 감소) 유체(w)는 소량만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소량의 유체(w)는 상대적으로 축(813) 측에 치우진 유체(w)인 바, 수질이 우수한 유체(w)만이 배출되어 처리 효율은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부(861)가 하강한 모습은 도 14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수질은 다소 떨어지나 처리용량을 늘리고자 할 때는 상기 차단부(861)를 상승시키고, 처리 수질을 높이고자 할 때는 처리용량을 다소 감소시키며 차단부(861)를 하강시킨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8: 세정액정화장치
81: 정화기
811: 유체 유입부
812: 하우징 8121: 수평하우징 8122: 경사하우징
8122a: 내측면
813: 축
8131: 유입관 8131a: 유입구
814: 날개
8141: 경사날개 8141a: 날개외측 8141b: 날개내측
8141aa: 날개외측면
8142: 수직날개
815: 유체 유출부
816: 고형물 유출부
82: 응집제공급수단
83: 교반수단
84: 여액저장수단
85: 동력공급수단
86: 유출량 조절수단
861: 차단부
8611: 상부 8613: 하부
863: 실린더 863a: 개방구
865: 조절부
8651: 제1로드 8653: 제2로드 8655: 제3로드
867: 조절수단하우징
89: 덮개

Claims (13)

  1. 고형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와, 분리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부를 갖는 정화기와,
    상기 정화기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정화기 속의 하우징과 축을 돌리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수단과,
    상기 정화기 하측에 내장되어 고형물이 분리된 여액을 저장하는 여액저장수단과,
    상기 정화기의 밑에 위치하여 효율적인 분리를 위해 유체 속 고형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수단과,
    상기 정화기의 측면에 구비되어 공급된 응집제와 유체를 섞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기는 정화기의 일단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여액의 처리수량과 수질을 조절하는 유출량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화기, 동력공급수단, 여액저장수단, 응집제공급수단 및 교반수단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별도의 장치 없이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정화장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와 연동되어 유해물질을 포함한 세정액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정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는 중심의 축과 이를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축의 외면에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외측면은 이와 마주하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져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정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경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하우징에 대응되는 위치의 경사날개는 그 외측면이 경사하우징의 내측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축으로부터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정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날개는 상기 경사하우징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정화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날개는 축과 결합된 부분인 날개내측과, 상기 날개내측의 일단에서 경사하우징을 향해 연장형성된 날개외측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내측은 축에 수직이고,
    상기 날개외측은 그 외측면이 상기 경사하우징의 내측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날개내측의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정화장치.


KR1020170075712A 2017-06-15 2017-06-15 세정액정화장치 KR10195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712A KR101959413B1 (ko) 2017-06-15 2017-06-15 세정액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712A KR101959413B1 (ko) 2017-06-15 2017-06-15 세정액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054A KR20180137054A (ko) 2018-12-27
KR101959413B1 true KR101959413B1 (ko) 2019-03-20

Family

ID=6495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712A KR101959413B1 (ko) 2017-06-15 2017-06-15 세정액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054B1 (ko) * 2022-06-13 2023-06-20 (주)플루엔 슬러지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고속혼화기 내장형 원심분리, 농축 및 탈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1116B2 (ja) * 2000-03-31 2003-01-27 株式会社イーアンドイー ワイヤソー砥粒スラリーの再利用システム
JP2007051555A (ja) * 2005-08-16 2007-03-0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JP5009764B2 (ja) * 2007-12-06 2012-08-22 巴工業株式会社 横型遠心分離装置およびダム形成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400A (ja) * 1991-08-02 1993-02-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脱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1116B2 (ja) * 2000-03-31 2003-01-27 株式会社イーアンドイー ワイヤソー砥粒スラリーの再利用システム
JP2007051555A (ja) * 2005-08-16 2007-03-0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JP5009764B2 (ja) * 2007-12-06 2012-08-22 巴工業株式会社 横型遠心分離装置およびダム形成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054A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4027C2 (ru) Морской скруббер для очистки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KR101938149B1 (ko) 확산수단을 가진 배기가스 처리장치
EP2595728B1 (en) Improved flue gas scrubb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CN104326604B (zh) 基于钠碱法的船舶废气脱硫洗涤水处理工艺及其处理系统
US10125651B2 (en) Exhaust purification system for ship
CA2629766A1 (en) Wet flue-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wet flue-gas desulfurization
JP2007051555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JP2012007524A (ja) 浮遊物回収用ポンプ装置および回収船
WO2013187038A1 (ja) 廃水処理装置、廃水処理システム、排気再循環ユニット、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船舶
JP6232257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CN103466837A (zh) 一种船舶脱硫废水处理装置及方法
KR101959413B1 (ko) 세정액정화장치
KR102469956B1 (ko)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선박
KR101885179B1 (ko) 향상된 분리효율을 가진 세정액정화장치
JP6596280B2 (ja) 脱硫システム及び排ガス処理装置
JP2013255876A (ja) 廃水処理装置、排気再循環ユニット、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船舶
CN205435389U (zh) 一体式海水脱硫脱氮尾气处理装置
KR20180125129A (ko) 수적분리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085200B1 (ko) 측방분사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421939B1 (ko) 패키지화된 배기가스 정화장치
JP2015183556A (ja) 船舶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80125119A (ko) 향상된 공간활용도와 유해물질 제거효율을 가진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80125130A (ko) 수적포집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JP2014163365A (ja) 再循環排ガス浄化装置及び再循環排ガス浄化方法
KR20180125120A (ko) 향상된 공간활용도와 유해물질 제거효율을 가진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