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612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612B1
KR100641612B1 KR1020040068564A KR20040068564A KR100641612B1 KR 100641612 B1 KR100641612 B1 KR 100641612B1 KR 1020040068564 A KR1020040068564 A KR 1020040068564A KR 20040068564 A KR20040068564 A KR 20040068564A KR 100641612 B1 KR100641612 B1 KR 10064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sheet
substrate
light emitting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443A (ko
Inventor
히노다까시
호우끼시게루
Original Assignee
교토덴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토덴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토덴키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11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inspection of the interior of hollow structures, e.g. vessels,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4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the sides of polyhedrons, e.g. cubes or pyram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12Diffuse illumination, e.g. "sky"
    • G01N2021/8816Diffuse illumination, e.g. "sky" by using multiple sources, e.g.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Led Devic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과제) 시트형 기판의 케이스 부재에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 1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4)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 부재(6)와,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를 구비한 제 1 시트형 기판(10)과, 복수의 제 2 발광소자(12)를 구비한 제 2 시트형 기판(14)과, 제 1 시트형 기판(10)을 고정하기 위해 제 1 케이스 부재(4)에 부착되는 제 1 누름 부재(64)를 구비하며, 제 1 시트형 기판(10)은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 및 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조사 영역과,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44)가 형성된 단자 영역(22)을 가지며,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조사 영역의 외주부가 제 1 케이스 부재(4)와 제 2 케이스 부재(6) 사이에 고정되고, 조사 영역의 내주부가 제 1 케이스 부재(4)와 제 1 누름 부재(64) 사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조명장치{ILLUMINATING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서의 T-T' 선에 의한 단면도.
도 3 은 제 1 시트형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는 제 2 시트형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제 1 시트형 기판을 제 1 케이스 부재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 은 제 2 시트형 기판을 제 2 케이스 부재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 은 제 2 시트형 기판을 제 2 케이스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제 2 시트형 기판을 제 2 케이스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9 는 제 2 케이스 부재를 제 1 케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0 은 커버 부재를 제 1, 2 케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장치를 사용한 화상처리 검사방법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커버 부재를 제 1, 2 케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조명장치 4:제 1 케이스 부재
6:제 2 케이스 부재 8:제 1 발광소자
10:제 1 시트형 기판 12:제 2 발광소자
14:제 2 시트형 기판 20:제 1 단자 영역
22:제 2 단자 영역 42, 55:조사 영역
44, 56:단자부 64:제 1 누름 부재
70:제 2 누름 부재 74, 74A:커버 부재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장 등에서 제품검사 등에 사용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린트 기판이나 반도체 등의 공업제품의 품질, 예를 들어 납땜 불량, 결손, 이물질의 부착 등 그리고 음용 캔의 제조일 등의 인자 미스 등을 제조 라인 상에서 검사할 때, CCD 카메라 등에 의한 촬상을 이용하는 화상처리검사가 이 루어지고 있다. 이 화상처리 검사는, 부품의 특정 개소를 촬상하여 정상인 부품의 촬상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이상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 화상처리 검사에서는 CCD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검사대상물의 부위를 조명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한 조명장치로서 예를 들어 링형 조명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링형 조명장치에서는, 굴곡이 가능하고, 또 절결을 갖는 원환형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평면형으로 유지한 다음, 스루 홀에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라 함)의 리드를 삽입하여 납땜하고, 그 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양단부끼리를 접합하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만곡시켜 링 모양(절두 원추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7706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조명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링형 조명장치를 제조할 때, 먼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평면상태로 유지한 다음 다수의 LED 를 납땜으로 실장하고, 그 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한 쪽 단부에 배치된 LED 의 리드가 다른 쪽 단부에서의 스루 홀에 삽입되도록 겹치고, LED 의 리드와 스루 홀의 도전 랜드를 납땜시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링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링 모양으로 형성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원환 형상의 케이스 부재에 장착할 때, 조사 영역의 중심부(검사대상물이 설치되는 위치)의 조도가 가장 높아지도록 정확하게 위치 결정해야 한다.
그런데, 수작업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링 모양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생기 고, 그 결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케이스 부재에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 정밀도에도 편차가 생기고 있다.
또, 종래의 판형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서는, 배선 패턴이 단선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다지 강하게 만곡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조명장치의 형상에 자유도를 줄 수 없어, 예를 들어 조명장치의 설치장소가 대단히 좁은 스페이스밖에 없는 경우 등, 소형·박형의 조명장치를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CCD 카메라의 촬상에 의해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검사대상물의 검사부위에 조명장치로부터의 조명광을 집광시킬(조명광의 초점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조명장치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검사대상물의 크기(높이)에 따라 조명장치로부터 검사대상물의 검사부위까지의 거리가 변화하기 때문에, 검사대상물에 따라서는 검사부위에 조명광이 집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검사대상물의 크기(높이)에 따른 최적의 조사각도를 갖는 조명장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검사 라인 상에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크기(높이)가 다른 두 가지의 검사대상물을 검사하는 경우, 조명광의 조사각도가 상이한 2 대의 조명장치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검사대상물의 크기(높이)에 따라 필요한 조사각도를 갖는 조명장치를 각각 준비할 필요가 있어 검사설비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형 기판의 케이스 부재에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매우 소형·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 대의 조명장치로 조명광의 여러 가지 조사각도가 얻어지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기재된 조명장치는, 창구멍 및 이 창구멍 주위에 형성된 제 1 부착부를 갖는 제 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부착부에 대응하여 그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부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부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발광소자를 구비한 제 1 시트형 기판과, 상기 제 2 부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발광소자를 구비한 제 2 시트형 기판과, 상기 제 1 시트형 기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제 1 누름 부재와, 상기 제 2 시트형 기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제 2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형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 및 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조사 영역과,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단자 영역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 2 시트형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 2 발광소자 및 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조사 영역과,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단자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시트형 기판의 상기 조사 영역의 외주부가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조사 영역의 내주부가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누름 부재 사이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2 시트형 기판의 상기 조사 영역의 외주부가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누름 부재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조사 영역의 내주부가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의 이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 중 어느 한 쪽의 외주부에는 제 1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되고, 이들중 다른 쪽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돌기와 걸어 맞춰지는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의 내주부 및 상기 제 1 누름 부재 중 어느 한 쪽에는 제 2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되고, 이들중 다른 쪽에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돌기와 걸어 맞춰지는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시트형 기판의 상기 조사 영역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돌기가 삽입 통과하는 제 1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 영역의 내주부에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돌기가 삽입 통과하는 제 2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서는, 상기 제 2 시트형 기판의 내주부에는 부착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돌기가 상기 부착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에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부착부에는,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구멍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부착면을 갖는 고리형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를 이 부착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는 상기 창구멍의 중심부 상방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5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부착부의 부착면의 연직방향에 대한 경사각도와 상기 제 2 부착부의 부착면의 연직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 2 발광소자의 조사방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제 6 항에 기재된 조명장치에서는,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가 장착된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를 덮기 위한 커버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제 2 누름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서의 T-T' 선에 의한 단면도, 도 3 은 제 1 시트형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는 제 2 시트형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제 1 시트형 기판을 제 1 케이스 부재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 은 제 2 시트형 기판을 제 2 케이스 부재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 은 제 2 케이스 부재에 제 2 시트형 기판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제 2 케이스 부재에 제 2 시트형 기판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9 는 제 2 케이스 부재를 제 1 케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0 은 커버 부재를 제 1, 2 케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도시한 조명장치(L)는 제 1 창구멍(2)이 형성된 제 1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4)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 부재(6)와,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가 부착된 제 1 시트형 기판(10)과, 복수의 제 2 발광소자(12)가 부착된 제 2 시트형 기판(14)과, 제 1 시트형 기판(10)을 제 1 케이스 부재(4)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누름 부재(64)와, 제 2 시트형 기판(14)을 제 2 케이스 부재(6)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누름 부재(70)로 구성된다.
도 5 를 참조하여, 제 1 케이스 부재(4)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직사각형의 박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케이스 부재(4)의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 편측(도 1 및 도 5 에서 상측, 도 2 에서 좌측)으로 약간 치우친 부위에는, 원형으로 관통된 제 1 창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중앙부에서부터 제 1 창구멍(2)과는 반대측인 길이방향 타측(도 1 및 도 5 에서 하측, 도 2 에서 우측)으로 약간 치우친 부위에는, 후술하는 제 1 , 제 2 시트형 기판(10, 14)의 제 1 단자 영역(20) 및 제 2 단자 영역(22)이 각각 배치되는 단자 영역 수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창구멍(2)의 주위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가 배치되는 고리형의 제 1 부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부착부(26)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상면측(후술하는 제 2 케이스 부재(6)가 장착되는 측)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부착면은 제 1 창구멍(2)을 향해 아래로 경사지도록(즉, 제 1 창구멍(2)의 중심을 향해 아래로 경사지도록) 연직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 α(도 2)로 경사져 있다. 제 1 부착부(26)에는 고리형 돌기부(28)가 형성되고, 이 고리형 돌기부(28)는 상방(제 2 케이스 부재(6)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면은 이 고리형 돌기부(28)의 상단에서 아래로 경사져 있다(도 2, 도 5 참조).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부착부(26)는 팔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육각형, 십각형 등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 부재(4)의 상면 외주부에 복수의 제 1 위치 결정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제 1 위치 결정 돌기(30)는 고리형 돌기부(28)의 외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4 개 형성되고, 팔각형인 제 1 부착부(26)의 하나 걸러 4 개의 변(구체적으로는 제 1 케이스 부재(4)에 대하여 경사진 각 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부재(4)의 상면 내주부에 복수의 제 2 위치 결정 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제 2 위치 결정 돌기(32)는 제 1 창구멍(2)의 외주연과 제 1 부착부(26)의 내주연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4 개 형성되고, 팔각형인 제 1 부착부(26)의 하나 걸러 4 개의 변이며, 제 1 위치 결정 돌기(30)가 형성되지 않은 각 변(구체적으로는 제 1 케이스 부재(4)에 대하여 수평, 수직인 각 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도 2, 도 6,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제 2 케이스 부재(6)는 제 1 케이스 부재(4)와 동일하게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의 프레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케이스 부재(6)의 중앙부에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부착부(26)의 형상에 대응한 팔각형의 제 2 창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부재(6)의 제 2 창구멍(34)은,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부착부(26)를 예를 들어 육각형 등으로 형성하였을 때에는, 육각형 등으로 형성된다.
이 제 2 창구멍(34)의 내주면은 후술하는 복수의 제 2 발광소자(12)가 배치되는 제 2 부착부(35)로서 기능하며, 이 제 2 부착부(35)는 제 2 케이스 부재(6)를 제 1 케이스 부재(4)에 장착하였을 때에, 그 제 1 부착부(26)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 2 부착부(35)의 부착면은 제 2 창구멍(34)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도록 연직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 β(도 2 참조)로 경사져 있다. 제 1 부착부(26) 및 제 2 부착부(35)의 부착면 각도는 적절히 설정되지만, 이 형태에서는 제 2 부착부(35)의 부착면은 제 1 부착부(26)의 부착면보다도 보다 수직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착부(26)의 부착면의 연직방향에 대한 경사각도 α가 제 2 부착부(35)의 부착면의 연직방향에 대한 경사각도 β각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제 1 발광소자(8)로부터의 조명광의 광축의 연직방향에 대한 경사각도(이것을 「조사각도」라 함)와 각 제 2 발광소자(12)로부터의 조명광의 조사각도가 상이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발광소자(8)로부터의 조명광은 제 1 창구멍(2)의 중심부(중심을 통하여 연직으로 연장되는 축 C)의 상방의 점 P 에 집광되고, 각 제 2 발광소자(12)로부터의 조명광은 제 2 창구멍(34)의 중심부(이 중심을 지나는 축은 제 1 창구멍(2)의 중심을 지나는 축 C 과 일치함)의 점 Q 에 집광된다(도 2 참조). 또, 이것과는 반대로 경사각도 β보다도 경사각도 α 쪽이 작아지도록 구성해도 되며, 또한 경사각도 α와 경사각도 β를 같은 각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케이스 부재(6)의 하면(제 1 케이스 부재(4)가 장착되는 측)의 외주부에는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36)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위치 결정 돌기(30)에 대응하여 제 2 케이스 부재(6)의 네 꼭지 근방에 형성되고, 제 1 위치 결정 돌기(30)에 걸어 맞춰진다.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6)의 3 개의 외측면에 각각 2 개씩 제 2 누름 부재(70)의 고정용 오목부(72)(후술함)와 걸어 맞춰지는 고정용 돌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형 기판(10)은 가요성이 있는 시트형(또는 필름형)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패턴(40)이 형성된 조사 영역(42)과, 외부 전원(도시 생략)에 전력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44)가 형성된 제 1 단자 영역(20)을 갖고 있다. 또, 도면이 번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일부의 배선 패턴(40)만 도시하고 있으나, 이 밖에도 다수의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조사 영역(42)의 중앙부에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창구멍(2)에 대향하는 원형의 제 1 개구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개구부(46)의 외주로부터 8 개의 절결(47)이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절결(47)에 의해 제 1 개구부(46) 주위에는 8 개의 제 1 돌출편(48)이 형성되고, 이들 제 1 돌출편(48)은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부착부(26)의 각 부착면에 대응하며, 이 각 제 1 돌출편(48)에 형성된 배선 패턴(40)에 제 1 발 광소자(8)가 각각 3 개씩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시트형 기판(10)은 합계(3×8=) 24 개의 제 1 발광소자(8)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 발광소자(8)의 개수는 조명의 밝기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조사 영역(42)의 외주부에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위치 결정 돌기(30)에 대응하여 제 1 관통구멍(50)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시트형 기판(10)을 부착시킬 때 제 1 위치 결정 돌기(30)가 대응하는 제 1 관통구멍(50)에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조사 영역(42)의 내주부에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2 위치 결정 돌기(32)에 대응하여, 구체적으로는 하나 걸러 4 개의 제 1 돌출편(48)의 선단부에 각각 제 2 관통구멍(52)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시트형 기판(10)을 부착시킬 때 제 2 위치 결정 돌기(32)가 대응하는 제 2 관통구멍(52)에 삽입 통과된다.
제 1 발광소자(8)는 예를 들어 칩 LED 로 구성되며, 배선 패턴(40) 상의 전극부(도시 생략)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즉, 실장)된다. 단자부(44)와 배선 패턴(40)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 케이블을 통하여 단자부(44)에 소정의 전력이 공급되면 이 소정의 전력이 배선 패턴(40)을 통하여 각 제 1 발광소자(8)에 공급되어, 각 제 1 발광소자(8)가 발광한다.
제 2 시트형 기판(14)은, 제 1 시트형 기판(10)과 동일하게 가요성이 있는 시트형(또는 필름형)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시트형 기판(14)은 복수의 제 2 발광소자(12)가 실장되는 배선 패턴(54)이 형성된 조사 영역(55)과, 외부 전원에 전력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56)가 형성된 제 2 단자 영역(22)을 갖고 있다. 또, 도 3 과 마찬가지로 도 4 에서는 일부 배선 패턴(54)만 도시하고 있으나, 이 밖에도 다수의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제 2 시트형 기판(14)의 조사 영역(55)의 중앙부에는, 제 2 개구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개구부(58)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팔각형의 각 변에서 그 중심을 향해 각각 제 2 돌출편(60)이 연장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각 제 2 돌출편(60)은 제 2 케이스 부재(6)의 제 2 부착부(35)의 각 부착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8 개의 제 2 돌출편(60)의 배선 패턴(54)에는 제 2 발광소자(12)가 각각 4 개씩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시트형 기판(14)에는 합계(4 ×8=) 32 개의 제 2 발광소자(12)가 구비되어 있다. 또, 제 2 발광소자(12)의 개수도 조명의 밝기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제 2 시트형 기판(14)의 내주부에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위치 결정 돌기(30)에 대응하여, 구체적으로는, 하나 걸러 4 개의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에 각각 부착 관통구멍(62)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시트형 기판(14)을 부착시킬 때에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위치 결정 돌기(30)가 대응하는 부착 관통구멍(62)에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제 2 시트형 기판(14)의 조사 영역(55)의 네 꼭지는 각각 직사각형으로 절결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절결함으로써, 이 조사 영역(55)의 외주부에는 3 개의 외부 돌출편(63)이 형성된다.
제 2 발광소자(12)는 칩 LED 로 구성되며, 납땜 등에 의해 배선 패턴(54) 상 의 전극부(도시 생략)에 실장된다. 제 1 시트형 기판(10)과 동일하게 단자부(56)와 배선 패턴(54)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력이 단자부(56)에 공급되면 이 소정의 전력이 배선 패턴(54)을 통하여 제 2 발광소자(12)에 공급되어, 각 제 2 발광소자(12)가 발광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시트형 기판(10, 14)의 부착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케이스 부재(4)의 외주부의 상면에는, 제 1 위치 결정 돌기(30) 사이의 부위에 제 3 위치 결정 돌기(82)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위치 결정 돌기(82)는, 제 1 부착부(26)의 각 부착면의 외측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4 개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5 참조). 그리고, 이들 제 3 위치 결정 돌기(82)에 대응하여 제 2 케이스 부재(6)의 하면에는 제 3 위치 결정 오목부(84)(도 6, 도 7, 도 8 참조)가 형성되고, 이들 제 3 위치 결정 오목부(84)는 절결로 구성되며,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3 위치 결정 돌기(82)가, 대응하는 제 3 위치 결정 오목부(84)에 걸어 맞춰진다. 또한,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외주부에는 절결로 구성되는 제 1 관통부(86)가 형성되어, 제 1 시트형 기판(10)을 부착시킬 때, 제 3 위치 결정 돌기(82)가, 대응하는 제 1 관통부(86)에 삽입 통과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제 2 시트형 기판(14)의 내주부, 구체적으로는 부착 관통구멍(62)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돌출편(60)에는 관통구멍으로 구성되는 제 2 관통부(88)가 형성되어, 제 2 시트형 기판(14)을 부착시킬 때,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3 위치 결정 돌기(82)가, 대응하는 제 2 관통부(88)에 삽입 통과된다(도 2, 도 6 참조).
다시, 도 1, 도 2 및 도 5 를 참조하여, 제 1 누름 부재(64)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팔각형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누름 부재(64)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제 3 창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누름 부재(64)의 외형은 제 1 부착부(26)의 내주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되며,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창구멍(2)의 외주연과 제 1 부착부(26)의 내주연 사이의 부위에 부착된다(부착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함). 이 제 1 누름 부재(64)를 부착시킬 때, 이 제 3 창구멍(66)이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1 창구멍(2)에 합치되도록 부착되며, 그 형상은 제 1 창구멍(2)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누름 부재(64)에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2 위치 결정 돌기(32)에 대응하여 관통구멍으로 구성된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68)는 제 1 케이스 부재(4)의 제 2 위치 결정 돌기(32)에 대응하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4 개 형성되고, 제 1 누름 부재(64)를 제 1 케이스 부재(4)에 부착시킬 때 제 2 위치 결정 돌기(32)와 걸어 맞춰진다.
또, 제 2 누름 부재(70)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U 자형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누름 부재(70)의 3 개의 벽부에는 각각, 제 2 케이스 부재(6)에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부(38)에 대응하여 한 쌍의 고정용 오목부(72)가 형성되며, 제 2 케이스 부재(6)에 부착시킬 때에, 이들 고정용 오목부(72)는 대응하는 고정용 돌기부(38)에 걸어 맞춰진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조명장치(L)의 상기 각 구성요소를 분해한 상태로부터 이들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어 각 구성요소의 고정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를 참조하여, 조명장치(L)을 붙이기 위해서는, 먼저 제 1 시트형 기판(10)의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가 실장되지 않은 측의 면이 제 1 케이스 부재(4) 측이 되도록 제 1 케이스 부재(4)의 상면에 제 1 시트형 기판(10)을 필요한 만큼 탑재한다. 이렇게 탑재하면, 제 1 케이스 부재(4)의 각 제 1 위치 결정 돌기(30)가 제 1 시트형 기판(10)의 각 제 1 관통구멍(50)에, 또 제 1 케이스 부재(4)의 각 제 3 위치 결정 돌기(82)가 제 1 시트형 기판(10)의 각 제 1 관통부(86)에 각각 삽입 통과되며, 이로 인해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외주부가 제 1 케이스 부재(4)의 장착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제 1 시트형 기판(10)의 각 제 1 돌출편(48)에 실장된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가 제 1 부착부(26)의 경사진 각 부착면 상에 배치되도록 각 제 1 돌출편(48)을 제 1 창구멍(2)을 향해 절곡한다. 이렇게 절곡하면 각 제 1 돌출편(48)의 고리형 돌기부(28)에 맞닿는 부위는 고리형 돌기부(28)의 형상을 따라 절곡된다(도 2 참조). 또, 각 제 1 돌출편(48)의 선단부도 제 1 부착부(26)의 내주에 맞닿는 부위에서 절곡하여 제 1 케이스 부재(4)의 표면을 따라 탑재한다. 이렇게 탑재하면, 제 1 돌출편(48)에 형성한 각 제 2 관통구멍(52)에 각각 제 1 케이스 부재(4)의 각 제 2 위치 결정 돌기(32)가 삽입 통과되어, 제 1 시트형 기판(10)의 내주부가 제 1 케이스 부재(4)의 장착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제 1 누름 부재(64)의 각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68)가 각 제 2 위 치 결정 돌기(32)에 걸어 맞춰지도록, 제 1 누름 부재(64)를 제 1 케이스 부재(4)에 부착하여, 서로 걸어 맞추는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68) 및 제 2 위치 결정 돌기(32)를, 예를 들어 고주파에 의해 용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 1 누름 부재(64)를 제 1 케이스 부재(4)에 고착한다. 이와 같이 제 1 누름 부재(64)를 부착시키면,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조사 영역(42)의 내주부, 즉 각 제 1 돌출편(48)의 선단부는 제 1 케이스 부재(4)와 제 1 누름 부재(64)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를 제 1 부착부(26)의 각 부착면에 배치할 때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 1 시트형 기판(10)을 부착시키면, 복수의 제 1 발광소자(8)로부터의 조사광이 제 1 창구멍(2)의 중심부 상방의 점 P 에 집광되게 된다.
이어서, 도 6∼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시트형 기판(14)을 제 2 케이스 부재(6)에 부착시킨다. 이 부착은, 제 2 시트형 기판(14)의 복수의 제 2 발광소자(12)가 실장되지 않은 측의 면이 제 2 케이스 부재(6) 측이 되도록, 제 2 케이스 부재(6)의 상면(제 1 케이스 부재(4)가 장착되지 않은 측)에 제 2 시트형 기판(14)을 탑재한다(도 6 참조). 그리고, 복수의 제 2 발광소자(12)가 제 2 부착부(35)의 경사진 각 부착면에 배치되도록, 각 제 2 돌출편(60)을 제 2 창구멍(34)의 상면측 주연부를 따라 아래쪽으로 절곡하고, 다시 각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가 제 2 케이스 부재(6)의 하면측(이면측)에 위치하도록, 각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를 제 2 창구멍(34)의 하면측 주연부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한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절곡하면, 4 개의 제 2 돌출편(60)에 형성한 각 부착 관통구멍(62)이, 제 2 케이스 부재(6)의 각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36)에 합치하도록 위치 부여되는 동시에 나머지 4 개의 제 2 돌출편(60)에 형성된 제 2 관통부(88)가 제 2 케이스 부재(6)의 각 제 3 위치 결정 오목부(84)에 합치하도록 위치 부여된다(도 7, 도 8 참조).
그리고, 제 2 케이스 부재(6)의 상면 외주에서 밀려나간 제 2 시트형 기판(14)의 각 외부 돌출편(63)을 제 2 케이스 부재(6)의 상면측 주연부에서 하방으로 절곡하여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측면 상에 위치 부여하고, 다시 제 2 케이스 부재(6)의 하면 외주에서 밀려나간 4 개의 제 2 돌출편(60)(제 2 관통부(88)가 형성된 제 2 돌출편)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절곡한다. 이렇게 절곡하면, 도 7∼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 개의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외부 돌출편(63)의 일부를 덮게 되는데,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측면에 형성한 각 고정용 돌기부(38)는 각 외부 돌출편(63)에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제 2 시트형 기판(14)의 제 2 단자 영역(22)을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주면 하면측의 주연부에서 외방을 향해 절곡한다(도 9 참조).
그 후, 제 2 케이스 부재(6)에 제 2 시트형 기판(14)을 장착한 상태로, 제 2 누름 부재(70)를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측면에 부착한다. 이 부착은 고정용 돌기부(38)가 형성되고 또 제 2 시트형 기판(14)의 제 2 단자 영역(22)이 배치되지 않은 제 2 케이스 부재(6)의 3 개의 외측면에 제 2 누름 부재(70)의 3 개의 벽부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도 1, 도 9, 도 10 참조). 이렇게 장착하면, 제 2 케이스 부재(6)의 고정용 돌기부(38)와 제 2 누름 부재(70)의 고정용 오목부(72) 가 서로 걸어 맞춰지고, 이 걸어 맞춤 부분을 예를 들어 고주파 등으로 용착함으로써 양자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 2 누름 부재(70)를 고정하면,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측면과 제 2 누름 부재(70)의 내면 사이에 제 2 시트형 기판(14)의 3 개의 외부 돌출편(63) 및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가 각각 겹쳐 협착되어, 제 2 시트형 기판(14)이 제 2 케이스 부재(6)에 부착된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제 2 시트형 기판(14)을 부착시키면, 복수의 제 2 발광소자(12)로부터의 조명광은 제 1 창구멍(2) 중심부의 상방의 점 Q 에 집광되게 된다. 또, 제 2 누름 부재(70)에 의해 고정되는 3 개의 각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를 조금 짧게 하여, 3 개의 각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를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주연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바꿔 말하면, 3 개의 제 2 돌출편(60)을 절곡한 외부 돌출편(63)에 겹치지 않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형 기판(10)이 고정된 제 1 케이스 부재(4)와, 제 2 시트형 기판(14)이 고정된 제 2 케이스 부재(6)를 서로 필요한 만큼 장착한다. 이렇게 장착하면, 제 1 케이스 부재(4)의 각 제 1 위치 결정 돌기(30)가, 제 2 시트형 기판(14)의 각 부착 관통구멍(62)에 삽입 통과됨과 동시에, 이 제 1 위치 결정 돌기(30)는, 부착 관통구멍(62)을 삽입 통과한 후에, 제 2 케이스 부재(6)의 각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36)에 걸어 맞춰진다. 또한, 제 1 케이스 부재(4)의 각 제 3 위치 결정 돌기(82)가 각각 제 2 시트형 기판(14)의 제 2 관통부(88)를 삽입 통과하여 제 2 케이스 부재(14)의 제 3 위치 결정 오목부(84)에 걸어 맞춰지며, 이로 인해 제 1 케이스 부재(4)와 제 2 케이스 부재(6)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 정확하게 위치 부여된다. 이 장착상태에서는, 제 2 케이스 부재(6)의 하면과 제 1 케이스 부재(4)의 상면 사이에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조사 영역(42)의 외주부 및 제 2 시트형 기판(14)의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가 협착되고 고정되어, 이들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도 2 참조). 또, 제 2 케이스 부재(6)를 이렇게 장착하면, 그 하면은 고리형 돌기부(28)의 외측 근방에 작용하기 때문에,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외주부는 제 2 케이스 부재(6)에 의해 고리형 돌기부(28)의 정점에서 제 1 케이스 부재(4)의 상면을 따라 외방향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제 2 케이스 부재(6)를 제 1 케이스 부재(4)에 장착하였을 때 제 1 시트형 기판(10)이 이완되는 일 없이 제 1 시트형 기판(10)을 제 1 케이스 부재(4)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발광소자(8)로부터의 조명광의 조사각도와 제 2 발광소자(12)로부터의 조명광의 조사각도는 상이하여, 제 1 발광소자(8)로부터의 조명광은 축 C 상의 점 P 에 집광되고(즉 점 P 가 초점), 또 제 2 발광소자(12)로부터의 조명광은 축 C 상의 점 P 보다도 제 1 창구멍(2) 측에 있는 점 Q 에 집광된다(즉 점 Q 가 초점). 또, 제 1 부착부(26)의 부착면의 경사각도 α와 제 2 부착부(35)의 부착면의 경사각도 β를 각각 변경함으로써 각 발광소자(8, 12)로부터의 조명광의 조사각도도 각각 변경되어, 조명광이 촛점이 되는 점 P 및 점 Q 를 축 C 상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부착부(26)의 부착면의 경사각도가 상이한 제 1 케이스 부재(4)를 복수 개 준비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그대로 두고 제 1 케이스 부재(4)만 교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부착부(35)의 부착면의 경사각도 β는 고정된 그대로이고 제 1 부착부(26)의 부착면의 경사각도 α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교환만으로 최적의 조사방향을 갖는 조명장치를 다수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 2 시트형 기판(14)과 제 2 케이스 부재(6)와의 위치 맞춤, 및 제 2 케이스 부재(6)와 제 1 케이스 부재(4)와의 위치 맞춤이, 동시에 정확하게 실시된다. 또한, 이와 같이 장착하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형 기판(10)의 제 1 단자 영역(20) 및 제 2 시트형 기판(14)의 제 2 단자 영역(22)은 각각 서로 겹치는 일없이 제 1 케이스 부재(4)의 단자 영역 수납부(24)에 배치되고, 이 형태에서는 제 1 단자 영역(20)이 단자 영역 수납부(24)의 좌부에 배치되고, 제 2 단자 영역(22)이 단자 영역 수납부(24)의 우부에 배치되고, 각 단자 영역(20, 22)의 단자부(44, 56)에 각각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지막으로, 커버 부재(74)를, 제 2 케이스 부재(6)를 장착한 제 1 케이스 부재(4)의 상면측을 덮도록 하여 부착시킨다. 이 커버 부재(74)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 편측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제 2 케이스 부재(6)의 제 2 창구멍(34)에 대응하여 제 4 창구멍(76: 도 10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명장치(L)에서는, 예를 들어 접착제나 고정핀, 고정비스 등(도시 생략)을 사용하여 제 1 케이스 부재(4), 제 2 케이스 부재(6) 및 커버 부재(74)가 각각 일체가 되도록 고정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74)의 하면(제 1 케이스 부재(4) 측)에는 누름판부(78)가 형성되어 있고, 커 버 부재(74)를 장착하면 이 누름판부(78)가 제 2 시트형 기판(14)의 단자 영역(55) 측에 위치하는 외부 돌출편(63) 및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에 작용하고, 이 외부 돌출편(63) 및 제 2 돌출편(60)이 누름판부(78)와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측면 사이에 협착되어 이들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를 조금 짧게 형성하여,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가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주연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조명장치(L)를 붙일 수 있지만, 이 조명장치(L)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화상처리 검사에 사용된다. 도 11 에 있어서, 이 조명장치(L)를 사용하여 검사할 때에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상하가 반대가 되도록, 즉 제 1 케이스 부재(4)가 상측이 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상태에서 조명장치(L)의 제 1 창구멍(2)의 하방으로 검사대상물(X)이 위치 부여되고, 제 1 발광소자(8) 및 제 2 발광소자(12)로부터의 조명광이 각각 검사대상물(X)의 표면을 향해 조사하도록 조명장치(L)가 검사대상물(X)의 상방에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8, 12)는 검사대상물(X)의 기울기 상방으로부터 검사대상물(X)의 표면을 조명한다. 검사대상물(X)의 상방에는 제 1 창구멍(2)으로부터 검사대상물(X)을 들여다 보기 위한 CCD 카메라(Y)가 설치된다. CCD 카메라(Y)는 제 1 창구멍(2)을 통해 검사대상물(X)를 촬상하고, 촬상하여 얻은 화상신호는 PC 등(도시 생략)으로 송신되어 이 촬상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하여 검사대상물(X)이 검사된다.
이러한 화상처리 검사에서는, 제 1 발광소자(8)의 조명광의 조사각도와 제 2 발광소자(12)의 조명광의 조사각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1 대의 조명장치(L)로 예를 들어 크기(높이)가 다른 두 종류의 검사대상물(X, Z)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검사 라인 상의 벨트 컨베이어 등(도시 생략)에 의해 예를 들어 높이가 낮은 검사대상물(X)이 반송되면, 소정 위치에 설치한 조명장치(L) 바로 아래에 이 검사대상물(X)이 반송된 시점에서 벨트 컨베이어 등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제 1 시트형 기판(10)의 단자부(44)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면 제 1 발광소자(8)가 발광하여 그 조명광은 검사대상물(X)의 표면에 집광되어, CCD 카메라(Y)에 의해 이 검사대상물(X)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 검사가 완료된 후, 벨트 컨베이어가 운전되어, 검사대상물(X)에 계속해서 예를 들어 높이가 높은 검사대상물(Z)이 반송되면, 조명장치(L) 바로 아래에 이 검사대상물(Z)이 반송된 시점에서 벨트 컨베이어가 다시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제 1 시트형 기판(10)의 단자부(44)에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고(제 1 발광소자(8)가 소등됨), 제 2 시트형 기판(14)의 단자부(56)에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이 때에는 제 2 발광소자(12)가 발광하여 그 조명광은 검사대상물(Z;검사대상물(X)보다도 길이가 길다)의 표면에 집광되어, CCD 카메라(Y)에 의해 검사대상물(Z)에 대한 검사가 실시된다. 이와 같이 검사대상물에 따라 최적의 조사각도로 전환함으로써 복수 종의 검사대상물의 검사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 12 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도 10 과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누름 부재와 커버 부재를 따로따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와 제 2 누름 부재를 일체화하여, 커버 부재(74A)의 안쪽면에 제 2 누름 부재와 동등한 기능을 주고 있다. 즉, 제 2 케이스 부재(6)를 장착한 제 1 케이스 부재(4)의 상면 측에 이 커버 부재(74A)를 부착시켰을(덮었을) 때, 제 2 시트형 기판(14)의 외부 돌출편(63) 및 제 2 돌출편(60)의 선단부가 제 2 케이스 부재(6)의 외측면과 커버 부재(74A)의 안쪽면(제 2 누름 부재에 상당) 사이에 협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74A)의 안쪽면에는, 제 2 케이스 부재(6)에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부(38)에 대응하여 한 쌍의 고정용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케이스 부재(6)에 부착시킬 때 이들 고정용 오목부(72)는 대응하는 고정용 돌기부(38)에 걸어 맞춰진다. 그리고, 이 걸어 맞춤 부분을 고주파에 의해 용착하여 커버 부재(74A)가 제 2 케이스 부재(6)에 고착되며, 또한 고정 비스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커버 부재(74A)가 제 1 케이스 부재(4)에 고착된다. 이러한 커버 부재(74A)를 사용함으로써 부품 수를 적게 하여 제조 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내지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케이스 부재(4)에 제 1 위치 결정 돌기(30)를, 그리고 제 2 케이스 부재(6)에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36)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제 1 케이스 부재(4)에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를, 그리고 제 2 케이스 부재(6)에 제 1 위치 결정 돌기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케이스 부재(4)에 제 2 위치 결정 돌기(32)를, 그리 고 제 1 누름 부재(64)에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68)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제 1 케이스 부재(4)에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를, 그리고 제 1 누름 부재(64)에 제 2 위치 결정 돌기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케이스 부재(4)에 제 3 위치 결정 돌기(82)를, 그리고 제 2 케이스 부재(6)에 제 3 위치 결정 오목부(84)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제 1 케이스 부재(4)에 제 3 위치 결정 오목부를, 제 2 케이스 부재(6)에 제 3 위치 결정 돌기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 의하면, 제 1 시트형 기판의 조사 영역의 외주부를 제 1 케이스 부재와 제 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고정하고, 또 조사 영역의 내주부를 제 1 케이스 부재와 제 1 누름 부재 사이에 고정하기만 하여 제 1 시트형 기판을 제 1 케이스 부재에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시트형 기판의 복수의 제 1 발광소자를 제 1 케이스 부재의 제 1 부착부에 정확하게 위치 부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제 1 시트형 기판을 조사 영역에 고정할 때 제 1 케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제 2 케이스 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 1 시트형 기판의 부착에 관련하여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조명장치의 소형화·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제 2 시트형 기판의 조사 영역의 외주부를 제 2 케이스 부재와 제 2 누름 부재 사이에 고정하고, 또 조사 영역의 내주부를 제 1 케이스 부재와 제 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고정함으로써 제 2 시트형 기판을 제 2 케이스 부재에 용이하고 또 한 확실하게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2 시트형 기판의 복수의 제 2 발광소자를 제 2 케이스 부재의 제 2 부착부에 정확하게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 의하면, 제 1 케이스 부재 및 제 2 케이스 부재의 위치 결정 고정을 제 1 위치 결정 돌기 및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에 의해 실시하고, 제 1 시트형 기판의 외주부의 위치 결정을 이 제 1 위치 결정 돌기를 이용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제 1 시트형 기판의 외주부를 제 1 케이스 부재에 고정할 때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제 1 케이스 부재 및 제 1 누름 부재의 위치 결정 고정을 제 2 위치 결정 돌기 및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에 의해 실시하고, 제 2 시트형 기판의 내주부의 위치 결정을 이 제 2 위치 결정 돌기를 이용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제 1 시트형 기판의 내주부를 제 1 케이스 부재에 고정할 때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제조의 편차가 없이 제 1 시트형 기판의 부착에 관련하여 조립 정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 의하면, 제 2 시트형 기판의 내주부의 위치 결정을 제 1 위치 결정 돌기를 이용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제 2 시트형 기판의 내주부를 제 2 케이스 부재에 고정할 때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조의 편차가 없이 제 2 시트형 기판의 부착에 관련하여 조립 정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 의하면, 제 1 케이스 부재의 제 1 부착부는 창구멍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부착면을 갖고, 복수의 제 1 발광소자 를 이 부착면에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제 1 발광소자로부터의 조명광은 창구멍을 통해서 그 중심부 상방을 조사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다른 구성요소는 그대로 두고 부착면의 경사각도가 다른 제 1 케이스 부재를 준비하여 이것을 교환하면, 검사대상물에 따라 알맞은 조사방향이 얻어지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 의하면, 제 1 부착부의 부착면과 제 2 부착부의 부착면의 경사각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제 1 발광소자로부터의 조명광의 조사각도와 제 2 발광소자로부터의 조명광의 조사각도가 상이하고, 제 1 발광소자, 제 2 발광소자의 발광을 전환함으로써 조명광의 초점위치가 변화하여 1 대의 조명장치로 크기(높이)가 다른 복수 종류의 검사대상물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 에 기재된 조명장치에 의하면, 제 2 케이스 부재가 장착된 제 1 케이스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와 제 2 누름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창구멍 및 이 창구멍 주위에 형성된 제 1 부착부를 갖는 제 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부착부에 대응하여 그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부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부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발광소자를 구비한 제 1 시트형 기판과, 상기 제 2 부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발광소자를 구비한 제 2 시트형 기판과, 상기 제 1 시트형 기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제 1 누름 부재와, 상기 제 2 시트형 기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제 2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형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 및 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조사 영역과,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단자 영역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 2 시트형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 2 발광소자 및 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조사 영역과,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단자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시트형 기판의 상기 조사 영역의 외주부가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조사 영역의 내주부가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누름 부재 사이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2 시트형 기판의 상기 조사 영역의 외주부가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누름 부재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조사 영역의 내주부가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의 이면측으로 절 곡되어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 중 어느 한 쪽의 외주부에는 제 1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되고, 이들중 다른 쪽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돌기와 걸어 맞춰지는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의 내주부 및 상기 제 1 누름 부재 중 어느 한 쪽에는 제 2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되고, 이들중 다른 쪽에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돌기와 걸어 맞춰지는 제 2 위치 결정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시트형 기판의 상기 조사 영역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돌기가 삽입 통과하는 제 1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 영역의 내주부에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돌기가 삽입 통과하는 제 2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트형 기판의 내주부에는 부착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돌기가 상기 부착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제 1 위치 결정 오목부에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부착부에는,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구멍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부착면을 갖는 고리형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를 이 부착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는 상기 창구멍의 중심부 상방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부의 부착면의 연직방향에 대한 경사각도와 상기 제 2 부착부의 부착면의 연직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발광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 2 발광소자의 조사방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가 장착된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를 덮기 위한 커버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제 2 누름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40068564A 2004-04-01 2004-08-30 조명장치 KR100641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9143A JP4454370B2 (ja) 2004-04-01 2004-04-01 照明装置
JPJP-P-2004-00109143 2004-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443A KR20050097443A (ko) 2005-10-07
KR100641612B1 true KR100641612B1 (ko) 2006-11-02

Family

ID=3504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564A KR100641612B1 (ko) 2004-04-01 2004-08-30 조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54370B2 (ko)
KR (1) KR100641612B1 (ko)
CN (1) CN100540980C (ko)
TW (1) TWI2637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198A2 (ko) * 2008-07-08 2010-01-14 Moon Kyu-Sik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7056B (zh) * 2008-10-31 2013-09-01 Foxconn Tech Co Ltd Led室內燈具
JP2012009723A (ja) * 2010-06-28 2012-01-12 Nichia Chem Ind Ltd 光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582932B2 (ja) * 2010-09-16 2014-09-03 日東電工株式会社 検査装置、および、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6456646B2 (ja) * 2014-10-01 2019-01-23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光照射装置
JP6717611B2 (ja) * 2016-02-19 2020-07-01 ローム株式会社 Led照明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6990149B2 (ja) * 2018-06-15 2022-02-0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JP2022053780A (ja) * 2020-09-25 2022-04-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読取装置
JP7434139B2 (ja) * 2020-12-02 2024-02-20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光照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198A2 (ko) * 2008-07-08 2010-01-14 Moon Kyu-Sik 조명 장치
WO2010005198A3 (ko) * 2008-07-08 2010-03-25 Moon Kyu-Sik 조명 장치
KR200450043Y1 (ko) * 2008-07-08 2010-09-01 문규식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3752B (en) 2006-10-11
JP4454370B2 (ja) 2010-04-21
JP2005294631A (ja) 2005-10-20
CN1676992A (zh) 2005-10-05
KR20050097443A (ko) 2005-10-07
TW200533862A (en) 2005-10-16
CN100540980C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578B1 (ko) 링 형상 조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3061B1 (ko) 전자 부품의 실장 방법, 광전자 부품의 기능성 검사 방법 및 전자 부품의 실장용 자동 장착기
KR100880418B1 (ko) 자동화된 광학 검사 시스템
US7525593B2 (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position detection method, test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641612B1 (ko) 조명장치
KR20090071329A (ko) 조명 장치
US20100246174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visual inspection and visual inspection apparatus
US7679673B2 (en) Socket
GB2413435A (en) Camera lens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H11295047A (ja) 照明装置
JP2009288206A (ja) ライン型光源装置
JP2005294631A5 (ko)
CN108692289A (zh) 具有电连接保护的折叠式热沉
US20100264939A1 (en) Inductive sensor module and inductive proximity sensor
WO2013024711A1 (ja) チューナモジュール、回路基板、及び回路基板の組立方法
JP3109825U (ja) リング照明装置
JP4198498B2 (ja) 環状斜光照明装置の製造方法と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EP1903524B1 (en) Smoke detector
US7535244B2 (en)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009283959A (ja) 集合プリント配線基板
CN109661540A (zh) 具有由印刷电路板中预先切割的舌部定向的led的医疗照明装置
WO2022091969A1 (ja) 受発光素子実装基板および受発光素子実装基板の製造方法
WO2016203534A1 (ja) 挿入部品位置決め検査方法及び挿入部品実装方法並びに挿入部品位置決め検査装置及び挿入部品実装装置
US20040239952A1 (en) Sensor for visual position detection with a modular lighting unit
US20220252524A1 (en) Insp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