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446B1 - 오븐의 랙 구조 - Google Patents

오븐의 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446B1
KR100641446B1 KR20040062361A KR20040062361A KR100641446B1 KR 100641446 B1 KR100641446 B1 KR 100641446B1 KR 20040062361 A KR20040062361 A KR 20040062361A KR 20040062361 A KR20040062361 A KR 20040062361A KR 100641446 B1 KR100641446 B1 KR 10064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lide bar
oven
ba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6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770A (ko
Inventor
조해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6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446B1/ko
Priority to US11/199,157 priority patent/US7789082B2/en
Publication of KR2006001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44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랙 구조는 캐비티에 안착되는 고정선반; 상기 고정선반의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물품이 지지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바가 형성되는 다중 슬라이드바; 및 일측은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에 의해서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선반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동선반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랙이 전체적으로 캐비티의 내부에서 제거되지 아니하면서도 음식물이 캐비티 내부에 다양하게 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오븐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랙의 강도가 보강되어 랙에 의해서 지지되는 음식물의 용량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랙의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븐, 랙, 슬라이드바

Description

오븐의 랙 구조{Rack of oven}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오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슬라이드바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가동 선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의해서 상기 가동선반이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랙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가동선반이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랙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랙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슬라이드바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랙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랙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랙 20 : 고정 선반 21 : 제 1 가로바
22, 23, 24, 25, 26, 27 : 세로바 28 : 제 2 가로바
29 : 지지바 30 : 가동선반 35, 36 : 안착홈
40 : 슬라이드바 80 : 다중 슬라이드바
본 발명은 오븐 내부에 장착되는 랙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오븐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식물등의 물품이 안착되는 오븐의 랙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븐 내부의 캐비티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음식물이 올려질 수 있고, 적어도 일 부분은 착탈이 자유롭도록 함으로써, 캐비티 내부에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오븐의 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오븐은 캐비티 내의 랙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전기히터를 가열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전기오븐은 전기 히터의 복사열이나 컨벡션 팬에 의한 대류열풍에 의해 그릴 및 오븐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론이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캐비티의 내부로 방사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더욱 신속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전면에는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도어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힌지에 의해서 상하 방향의 개폐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물을 취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도어를 열거나 닫아서 음식물이 상기 캐비티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오븐의 내부에는 캐비티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안착되어 음식물이 놓이는 랙이 형성된다. 상기 랙의 상측면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트레이가 편리하 게 안착될 수도 있고, 랙의 상측면에 직접 음식물이 놓여질 수도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다. 그러나, 캐비티 내부에 상기 랙이 일단 설치된 뒤에는 사용자가 분리하는 과정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랙에 의해서 랙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분리되기 때문에, 비교적 큰 크기의 음식물이 수납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제한적으로 형성되는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상기 랙에 의해서 다시한번 나뉘어지는 경우에는, 캐비티의 전체 부피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음식물은 수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캐비티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캐비티 내부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랙의 상측면에 음식물이 안정되게 놓이도록 하는 특정의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캐비티 내부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오븐의 랙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캐비티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구체적인 형태에 따라서, 랙의 장착 형태와 구성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오븐의 랙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상기 랙의 전체제거과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랙의 일부분 만이 제거되는 과정에 의해서 음식물이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안 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한층 더 증진될 수 있는 오븐의 랙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랙의 상측면에 놓이는 음식물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오븐의 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랙 구조는 캐비티에 안착되는 고정선반; 상기 고정선반의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물품이 지지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바가 형성되는 다중 슬라이드바; 및 일측은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에 의해서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선반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동선반이 포함된다.
제안되는 구조의 랙에 의해서 오븐의 내부공간인 캐비티가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큰 크기의 음식물이 캐비티 내부에 수용될 때는, 랙이 전체적으로 제거될 필요가 없이 일 부분만이 용이하게 분리된 뒤에는 음식물이 편리하게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바의 강도가 증진됨으로써, 보다 많은 음식물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그러한 실시예도 본원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오븐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븐(1)에는 오븐의 상측에 형성되는 쿡탑(cook top)(2)과, 상기 쿡탑(2)의 하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캐비티(3)와, 오븐(1)의 상측 전면에 형성되는 조작부(4)와, 상기 캐비티(3)의 전면부에서 상기 캐비티(3)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8)와, 상기 캐비티(3)의 내부에 안착되어 음식물이 상측면에 놓이는 랙(1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어(8)는 상기 오븐(1)에 대하여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도어(8)의 대략 상측단에 형성되는 도어 스위치(7)와, 상기 도처 스위치(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가 도어 스위치(7)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어(8)는 캐비티(3) 내부가 관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 부분에는 투명한 투명창(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랙(10)이 상기 캐비티(3) 내부의 측면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3)의 양 측면에는 그루부(9)가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3)의 좌우 양측의 대응되는 그루브(9)에 랙(10)이 놓이게 됨으로써, 랙(10)은 수평을 유지되면서 지지된다.
제시되는 오븐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쿡탑(2)의 상측면에는 냄비가 놓여서, 냄비의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된다. 그리고, 상기 랙(10)은 캐비티(3) 내부의 그루브(9)에 양측이 지지되는 상태에서 수평으로 안착된다. 물론, 상기 랙(10)의 상측에는 음식물 또는 다른 조리기기가 놓여서 음식 물이 조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10)은 고정선반(도 2의 20참고)과 가동선반(도 2의 30참조)으로 구분됨으로써, 랙(10)의 일부분만이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동선반(30)은 분리됨으로써, 캐비티(3)의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큰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닭과 같은 요리등을 위해서는 상기 가동선반(30)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가동선반(30)이 있던 공간이 개방되도록 하고,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음식물이 올라오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8)는 하측단부가 힌지에 의해서 고정되어 오븐의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도어(8)의 상측단부에는 소정의 도어 스위치(7)가 형성되어, 도어가 닫혀서 상기 도어 스위치(7)가 상기 걸림부(6)에 걸리는 동작에 의해서 끼워짐으로써, 도어(8)가 캐비티(3)를 밀폐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8)의 중앙부분에는 투명창(5)이 형성되어 캐비티(3) 내부의 음식물의 조리상태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4)는 사용자가 오븐을 조작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이 수행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조작부(4)에 의해서 음식물의 조리를 지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랙(10)은 대별하여 상기 캐비티(3)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고정 형성되는 고정 선반(20)과, 상기 고정선반(20)에 대하여 분리가 자유로운 가동선반(30)이 포함된다. 다만, 상기 고정 선반(20)이 상기 캐비티(3)에 대하여 무한정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선반(20)에는 다수의 와이어가 수평, 수직, 경사진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세하게, 고정선반(20)의 최 후단에 형성되는 제 1 가로바(21)와, 상기 제 1 가로바(21)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2, 3, 4, 5, 6 세로바(22)(23)(24)(25)(26)(27)과, 상기 제 1 가로바(21)의 바로 앞쪽에 형성되어 고정선반(20)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제 2 가로바(28)가 포함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선반(20)의 강도가 더욱 보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가로바(28)와, 상기 세로바(22)(23)(24)(25)(26)(27)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지지바(2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9)는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이 강도의 보강을 위해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세로바(25)와, 제 5 세로바(26)의 사이 간격부에는 슬라이드바(40)가 연결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바(40)는 세로바(25)(26)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바(25)(26)의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세로바(25)(26)의 전방에는 하측으로 굴곡져서 형성되는 제 1 안착홈(35)과, 제 2 안착홈(3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5)(36)은 하측으로 굴곡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바(40)가 전후로 움직이는 동작 중에, 슬라이드바(40)가 걸리게 됨으로써, 세로바(25)(26)에 대하여 슬라이드바(40)의 위치가 어느 정도의 지지력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가 슬라이드바(40)를 이동하고자 하는 때에는, 슬라이드바(40)가 작은 힘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안착홈(35)(36)의 위치를 벗어나서 세로바(25)(26)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바(40)의 후방으로의 이동 한계는, 상기 슬라이드바(40)가 상기 세로바(25)(26)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지지바(29)와 닿음으로써,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지 아니하여 그 형성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은선은 상기 슬라이드바(40)가 최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경우의 위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세로바(22)와 제 6 세로바(27)의 소정 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어느 정도 굴곡되는 굴곡부(9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91)는 상기 그루브(9)의 굴곡부(92)에 걸리게 됨으로써, 일단 삽입된 고정선반(2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하여지기 전에는 빠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되는 각종 바들의 상하 방향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면, 최상측에 제 1 가로바(21)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 세로바(22)(23)(24)(25)(26)(27)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 지지바(29)와 제 2 가로바(28)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바(22)(23)(24)(25)(26)(27)의 상측에는 물품 놓임바(37)가 다수개 형성되어 음식물 등의 물품이 놓이거나, 트레이등의 조리기구가 직접 놓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동선반(30)이 제거되고, 상기 슬라이드바(40)가 후방으로 밀어져서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제 4 세로바(25)와 제 5 세로바(26)의 사이 간격부는 아무것도 없는 개방부(50)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50)를 통해서는 음식물이 통과되어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슬라이드바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바(40)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바(41)와, 상기 바(41)의 단부에서 구부러져서 연장 형성됨으로써, 원호형상으로 이루어 상기 세로 바(25)(26)가 삽입되는 만곡부(42)와, 상기 만곡부(42)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세로바(25)(26)가 삽입되는 삽입홀(43)이 포함된다. 상기 삽입홀(43)을 통하여서 세로바(25)(26)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만곡부(42)에 삽입된 세로바(25)(26)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바(40)의 전후방향의 동작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 4 세로바(25)와, 제 5 세로바(26)의 사이 간격부에는 상기 가동선반(30)이 안착되는데, 상기 가동선반(30)은 나사등과 같은 반영구적인 결합구조가 아니라, 분리가 자유로운 소정의 안착 구조에 의해서 놓이게 된다. 상기 가동선반(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가동 선반의 측면도이다. 상기 가동선반(30)은 좌우측면도가 동일하므로, 도면의 측면도는 어느 쪽의 측면도라도 동일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선반(30)은 전체로서 사각형의 틀을 이루는 프레임(34)과, 상기 프레임(34)의 전후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프론트 가이드부(31) 및 리어 가이드부(32)와, 상기 프레임(34)의 상측단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물품 놓임바(33)가 포함된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부(31)는 상기 슬라이드바(40)에 걸쳐서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리어 가이드부(32)는 상기 제 2 가로바(28)에 걸쳐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즉, 상기 가동선반(30)은 고정선반(30)의 전후단 위치가 고정선반(20)에 대하여 가이드됨으로써, 고정선반(30)에 대한 위치가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선반(30)의 측방은 고정선반(30)에 형성되는 제 4 세로바(25)와 제 5 세 로바(26)에 의해서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 4 세로바(25) 및 제 5 세로바(26)에 비하여 상기 제 2 가로바(28)는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바(40)도 만곡부(42)에 비하여 상기 바(41)가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동선반(30)은 제 4 세로바(25) 및 제 5 세로바(26)와 대등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 4 세로바(25)와 제 5 세로바(26)의 사이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가동선반(30)의 폭이 조절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34)의 측면이 제 4 세로바(25)와 제 5 세로바(26)와 닫게 됨으로써, 가동선반(30)의 위치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선반(30)이 고정선반(20)의 상측면에 놓일 때에는, 상기 지지바(29)에 의해서 하측이 더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선반(30)은 보다 강한 힘으로 하측면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의해서 상기 가동선반이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랙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가동선반이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랙의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순차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가동선반(30)이 상기 고정선반(20)에 안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개방부(50)가 막혀짐으로써, 가동선반(30)의 상측면에도 음식물 또는 기타 조리기구가 놓여질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프론트 가이드부(31)는 상기 슬라이드바(40)에 지지되고, 상기 리어 가이드부(32)는 상기 제 2 가로바(28)에 지지됨으로써, 가동선반(30)의 하측면이 전체적으로 지지되어 요동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가동선반(30)이 상기 고정선반(20)에 안착될 때에는, 상기 프론트 가이드부(31)가 상기 슬라이드바(40)에 정렬되도록 하기만 하면, 상기 리어 가이드부(32)의 위치도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가동선반(30)을 고정선반(20)에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선반(30)이 고정선반(20)에 대하여 분리되었을 때에는, 슬라이드바(40)가 최후방으로 밀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방부(50)가 드러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개방부(50)에도 음식물이 놓여질 수 있고, 랙(10)에 의해서도 음식물의 수용이 방해되지 아니한다.
상기되는 구조에 의해서 캐비티(3)의 내부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는 랙(10)이 전체적으로 제거됨이 없이, 가동선반(20)만이 랙(10)과 분리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 캐비티 내부에 효율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제 2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고정선반(60)에는 자체적으로는 물품놓임바(도 2의 37참조)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이를 대신하여 가동선반이 좌우 양측에 두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랙의 평면도이다.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선반은 고정선반(6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가동선반(70)과 제 2 가동선반(71)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선반(70)(71)의 전단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바도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바(72)와 제 2 슬라이드바(73)가 각각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 외에, 상기 슬라이드바(72)(73)의 설치 위치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다수의 부분을 그대로 원용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랙이 구성됨으로써, 음식물의 부피가 큰 다수의 물품이 캐비티 내부에 수용되어야 할 때에도, 전체적으로 랙이 제거됨이 없이 가동선반(70)(71)이 분리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음식물이 캐비티(3)에 수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개방부(51) 및 제 2 개방부(52)를 통하여 음식물이 놓여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서 부피가 큰 음식물도 수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제안된 바가 있는 상기 슬라이드바(40)가 보다 편리하게 전후로 운동될 수 있고, 슬라이드바(40)에 의해서 랙(10)이 보다 신뢰성있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그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40)가 전후로 움직일 때에는 만곡부(42)와 세로바(25)(26)가 금속간에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원활히 미끄러져 이동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슬라이드바(40)의 강성이 약하여 무거운 음식물은 상측면에 놓여질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다중 슬라이드바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시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바 에 형성되는 바를 다수개로 하는 것에 그 일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슬라이드바(80)에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두개 이상의 슬라이드바(81)(82)와, 상기 슬라이드바(81)(82)의 단부에서 만곡 형성되는 만곡부(83)(84)와, 상기 만곡부(83)(84)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세로바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홀(85)(86)이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드바(81)(82), 만곡부(83)(84), 및 삽입홀(85)(86)은 두개 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세개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83)(84)는 그 단부가 각각 연결부(87)에 의해서 연결되어 다중 슬라이드바(80)가 한 몸으로 형성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80)는 단일의 루프(loop)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다중 슬라이드바(80)에 의해서 지지되는 음식물의 무게가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랙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선반(100)에는 가동선반(101)이 안착되고,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80)는 상기 가동선반(101)의 전단부가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사기 다중 슬라이드바(8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실시예의 안착홈(35)(36)과 달리, 세로바에는 바 안착부(102)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부(87) 길이만큼의 길이로 세로바가 절곡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87)가 바 안착부(102)에 정확하게 가이드된 상태에서, 놓여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87)가 비교적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80)를 보다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80)의 수평각이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세로바에 대하여 다중 슬라이드바(80)가 강하게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특별히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을 그대로 인용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해서는 해당되는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달리, 랙에 개방부가 좌우 두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제 2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달리, 개방부(51)(52)가 두개 형성되는 것과 같이,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대부분이 동일한 상태에서, 개방부가 두개 형성됨으로써, 랙의 사용양태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랙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선반(100)의 좌우 양측 모두에 제 1 개방부(110)와 제 2 개방부(111)가 형성되어, 음식물이 통과하여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110)(111)에는 선택적으로 제 1 가동선반(102) 및/또는 제 2 가동선반(103)이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선반(102)(103)의 전방부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슬라이드바(88)와 제 2 슬라이드바(8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바(88)(89)의 설치 위치가 신뢰성있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세로바의 전방부에는 제 1 바안착부(104)와, 제 2 바안착부(10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아니한 부분은 상기 제 1, 2,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그대로 원용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 랙의 사용양태가 캐비티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구체적인 양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가동선반이 보다 강한 힘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랙 사용상의 신뢰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랙이 전체적으로 캐비티의 내부에서 제거되지 아니하면서도 음식물이 캐비티 내부에 다양하게 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오븐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랙의 강도가 보강되어 랙에 의해서 지지되는 음식물의 용량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랙의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사상의 구체적인 적용 형태에 따라서는, 음식물의 수용공간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기 때문에, 오븐의 사용상 편의가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선반의 장착과정과 분리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일단 랙이 장착된 뒤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오븐의 사용 시에 신뢰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랙은 두개 이상의 바에 의해서 상기 가동선반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물품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캐비티에 안착되는 고정선반;
    상기 고정선반의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물품이 지지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바가 형성되는 다중 슬라이드바; 및
    일측은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에 의해서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선반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동선반이 포함되는 오븐의 랙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선반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가 지지되는 세로바가 포함되는 오븐의 랙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는 상기 고정선반의 개방부의 전후로 이동되는 오븐의 랙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는 양단부가 지지되는 루프인 오븐의 랙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의 바는 서로 평행한 오븐의 랙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는 상기 바와, 각각의 상기 바의 단부에 형성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는 오븐의 랙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슬라이드바 및 상기 가동선반은 상기 고정선반의 좌우 양측에 두개 형성되는 오븐의 랙 구조.
KR20040062361A 2004-08-09 2004-08-09 오븐의 랙 구조 KR10064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2361A KR100641446B1 (ko) 2004-08-09 2004-08-09 오븐의 랙 구조
US11/199,157 US7789082B2 (en) 2004-08-09 2005-08-09 Rack structure of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2361A KR100641446B1 (ko) 2004-08-09 2004-08-09 오븐의 랙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770A KR20060013770A (ko) 2006-02-14
KR100641446B1 true KR100641446B1 (ko) 2006-10-31

Family

ID=3712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62361A KR100641446B1 (ko) 2004-08-09 2004-08-09 오븐의 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552B1 (ko) * 2006-11-09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KR101935493B1 (ko) * 2017-04-10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770A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082B2 (en) Rack structure of oven
US11946648B2 (en) Cooking appliance
US20040050841A1 (en) Microwave oven with toaster
KR20140104514A (ko) 조리기구
US6621053B1 (en) Toaster oven rack
KR100641446B1 (ko) 오븐의 랙 구조
KR100641445B1 (ko) 오븐의 랙 구조
KR10105595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101898797B1 (ko)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5116705B2 (ja) グリ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US6543338B2 (en) Toaster oven with modular storage compartment
JP2019138526A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0727161B1 (ko) 가열 조리기기
KR101233246B1 (ko) 슬라이딩 랙걸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CN220988516U (en) Linkage device and cooking equipment
JP6832099B2 (ja) 加熱調理器
CN209018493U (zh) 一种具有烤架的烤箱
KR102166397B1 (ko) 물품 캐리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
US20230243516A1 (en) Appliance, in particular cooking appliance
CN215424286U (zh) 一种烤箱用的多层置物架组件
JP5442882B2 (ja) 加熱調理器
JP7209251B2 (ja) 調理台
KR100697461B1 (ko) 전기오븐의 유동방지 오븐랙
KR101932322B1 (ko)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2015194291A (ja) 調理容器および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