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912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912B1
KR100640912B1 KR1019990031571A KR19990031571A KR100640912B1 KR 100640912 B1 KR100640912 B1 KR 100640912B1 KR 1019990031571 A KR1019990031571 A KR 1019990031571A KR 19990031571 A KR19990031571 A KR 19990031571A KR 100640912 B1 KR100640912 B1 KR 10064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eam
box
main box
receiv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950A (ko
Inventor
남차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91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similar hardware or software capabilities as the client device itself, e.g. a first STB connected to a second ST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한 데이터스트림을 다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는 다수의 서비스매체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스트림 중 해당 데이터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송신 및 제어 수단을 가지는 메인박스와;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데이터스트림 송신 및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는 데이터스트림 수신 및 제어 수단과, 데이터스트림 수신 및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서브박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메인박스와 서브박스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각 방마다 고가의 복합형 디지털방송수신기를 마련하지 않고도 원하는 서비스매체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Common Apparatus And Method of Data Stream Received at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종래의 복합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메인박스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서브박스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및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입출력신호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이용되는 서비스 상태 진리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4 : 제1 튜너 및 QPSK 디모듈레이터 36 : 제2 튜너 및 VSB 디모둘레이터
38 : 제3 튜너 및 QAM 디모듈레이터 40 :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
42, 44, 46, 78, 80, 82, 132, 134, 136, 138 : 버퍼
48, 64 : 디먹스/MPEG디코더 50, 66 : MPEG 메모리
52, 68 : 시스템버스 54, 70 : RAM
56, 72 : CPU 58, 74 : ROM
60, 76 : 사용자인터페이스 62 :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
84 : 호스트 인터페이스 86, 140 : 로직제어부
88, 90, 92, 94 : 병렬/직렬 변환기
96, 98, 100, 102, 104, 106, 122 : RS422 송신부(Tx)
108, 110, 112, 114, 116, 118, 120 : RS422 수신부(Rx)
124, 126, 128, 130 : 직렬/병렬 변환기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한 데이터스트림을 다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통상 각 서비스 매체에 따라 위성방송 및 지상파방송과 케이블방송용으로 각각의 시스템으로 존재하거나 상기 3개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복합형 시스템으로 존재하고 있다. 복합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는 위성방송을 수신하여 디지털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튜너(Tuner, 2) 및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 8)와, 지상파방송을 수신하여 디지털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제2 튜너(4) 및 VSB(Vestigial Side Band) 디모듈레이터(10)와, 케이블방송을 수신하여 디지털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제3 튜너(6) 및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디모듈레이터(12)와, 상기 각 구성요소들과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공통 접속된 CPU(28)를 구비한다. 제1 튜너(2)는 시스템 버스(24)를 통한 CPU(28)의 제어하에 위성방송을 수신하여 QPSK 디모듈레이터(8)로 출력한다. QPSK 디모듈레이터(8)는 제1 튜너(2)를 통해 수신된 위성방송 신호를 QPSK 방식으로 복조하여 스트림형태의 디지털데이터를 출력한다. 제2 튜너(4)는 CPU(28)의 제어하에 지상파방송을 수신하여 VSB 디모듈레이터(10)로 출력한다. VSB 디모듈레이터(10)는 제2 튜너(2)를 통해 수신된 지상파방송 신호를 VSB 방식으로 복조하여 데이터스트림을 출력한다. 제3 튜너(6)는 CPU(28)의 제어하에 케이블방송을 수신하여 QAM 디모듈레이터(12)로 출력한다. QAM 디모듈레이터(12)는 제3 튜너(6)를 통해 수신된 케이블방송 신호를 QAM 방식으로 복조하여 디지털 데이터스트림을 출력한다.
그리고, 도 1의 셋탑박스는 상기 3개의 디모듈레이터(8, 10, 12) 각각에 접속된 제1 내지 제3 버퍼(14, 16, 18)와, 제1 내지 제3 버퍼(14, 16, 18)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디먹스(DEMUX; Demultiplexer)/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디코더(20)와, 디먹스/MPEG디코더(20)에 접속된 MPEG 메모리(22)와, 시스템 버스(24)에 공통 접속된 RAM(26), ROM(30), 사용자 인터페이스(32)를 더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버퍼(14, 16, 18)는 시스템버스(24)를 통한 CPU(28)의 제어하에 QPSK 모듈레이터(8), VSB 모듈레이터(10), QAM 모듈레이터(12)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스트림을 일시저장하게 된다. 디먹스/MPEG디코더(20)는 CPU(14)의 제어하에 제1 내지 제3 버퍼(14, 16, 18)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데이터스트림을 읽어들여 MPEG 메모리(22)에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데이터스트림을 읽어들여 MPEG 방식으로 디코딩하고 출력라인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는 입력되는 사용자명령을 CPU(28)로 전송하여 해당 제어동작을 수행되게 한다. RAM(12)과 ROM(16)은 CPU(14)의 제어동작시 이용되어진다.
이러한 디지털방송수신기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로부터 디지털데이터를 얻기 위한 튜너 및 디모듈레이터는 전체 시스템 단가의 30%이상을 차지하는 고가이다. 이에 따라, 가정용 디지털방송수신기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비스매체에 대응되는 튜너 및 디모듈레이터를 각각 필요로하는 복합형 보다는 각 서비스 전용의 개별형이 보편적이다. 이 경우, 가정에서 A방에는 위성용 박스, B방에는 지상파용 박스, C방에는 케이블용 박스가 있는 경우 각 서비스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해당되는 방에 가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만약, 각 방에서 모든 서비스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각 방마다 상기 고가의 복합형 시스템을 설치해야만 하므로 실용적이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방마다 복합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원하는 서비스매체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는 다수의 서비스매체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스트림 중 해당 데이터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송신 및 제어 수단을 가지는 메인박스와;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데이터스트림 송신 및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는 데이터스트림 수신 및 제어 수단과, 데이터스트림 수신 및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서브박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방법은 다수의 서비스매체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재생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스트림 중 해당 데이터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메인박스와,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메인박스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한 서브박스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스트림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브박스로부터 메인박스에 현재의 서비스 상태를 요구하는 경우 메인박스에 기설정된 서비스테이블에 기초하는 현재의 서비스상태를 서브박스로 송신하는 제1 단계와, 서브박스에서 원하는 서비스 방송을 선택하고 서브박스에 의해 선택된 해당 방송의 데이터스트림을 메인박스에서 송신하는 제1 단계와, 서브박스에서 메인박스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3 단계와, 서브박스로부터 서비스 변경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단계와, 메인박스에서 서브박스로부터 소프트 파워오프 상태가 수신되면 현재의 서비스상태를 업데이트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모든 서비스 매체의 방송을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는 메인박스와, 메인박스를 제어하여 메인박스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는 서브박스를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메인박스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가 내장되고, 서브박스 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62)가 내장되게 된다. 이 경우, 메인박스와 서브박스는 RS422 송수신부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연결거리를 길게 할 수 있게 된다(10Mbps시 최소 15m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메인박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메인박스는 위성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1 튜너 및 QPSK 디모듈레이터(34)와, 지상파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2 튜너 및 VSB 디모듈레이터(36)와, 케이블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3 튜너 및 QAM 디모듈레이터(38)와,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공통접속된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와, 상기 3개의 디모듈레이터(34, 36, 38) 각각에 접속된 제1 내지 제3 버퍼(42, 44, 46)와, 제1 내지 제3 버퍼(42, 44, 46)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디먹스/MPEG디코더(48)와, 디먹스/MPEG디코더(48)에 접속된 MPEG 메모리(50)와, 시스템버스(52)에 공통 접속되어 시스템 제어를 위한 RAM(54), CPU(56), ROM(58), 사용자 인터페이스(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트림송신 및 제어기(4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중복되므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는 튜너 및 디모듈레이터(34 내지 38)로부터 입력되는 병렬 디지털 데이터 중 서브박스가 원하는 서비스 데이터스트림을 'RS422'를 통해 송신함과 아울러 서브박스와의 제어를 위해 'RS232' 포맷의 컨트롤데이터를 'RS422'를 통해 송수신하게 된다. 이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에 대한 상세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서브박스를 나타내 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서브박스는 도 2의 메인박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62)와,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6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코딩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디먹스/MPEG디코더(64)와, 디먹스/MPEG디코더(64)에 접속된 MPEG 메모리(66)와, 시스템 버스(68)에 공통 접속되어 시스템 제어를 위한 RAM(70), CPU(72), ROM(74), 사용자인터페이스(76)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62)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1과 중복되므로 그들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62)는 메인박스의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림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디먹스/MPEG디코더(64)로 출력함으로써 재생되도록 함과 아울러 메인박스와의 제어를 위해 'RS232' 포맷의 컨트롤데이터를 'RS422'를 통해 송수신하게 된다. 이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62)에 대한 상세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는 제1 내지 제3 튜너 및 디모둘레이터(34, 35, 38) 각각에 접속되는 제1 내지 제3 버퍼(78, 80, 82)와, 제1 내지 제3 버퍼(78, 80, 82)에 공통 접속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84)와, 제1 내지 제3 버퍼(78, 80, 82)로부터 입력되는 병렬 데이터스트림을 직렬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병렬/직렬 변환기(88, 90, 92, 94)와, 제1 내지 제4 병렬/직렬 변환기(88, 90, 92, 94)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제어부(86)와, 제1 내지 제4 병렬/직렬 변환기(88, 90, 92, 94)와 로직제어부(86)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된 제1 내지 제5 RS422 송신부(96, 98, 100, 102, 104)와, RS-232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서브박스로 송신하기 위한 제6 RS422 송신부(106)와, 서브박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RS-232 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RS422 수신부(108)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버퍼(78, 80, 82)는 호스트인터페이스(84)를 통한 CPU(56)의 제어에 따라 제1 내지 제3 튜너 및 디모둘레이터(34, 35, 38)로부터 입력되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데이터, VSB(Vestigial Side Band) 데이터,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데이터 각각을 임시 저장하여 출력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 병렬/직렬 변환기(88, 90, 92, 94)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직제어부(86)의 제어하에 제1 내지 제3 버퍼(78, 80, 8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병렬 데이터스트림을 직렬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 내지 제4 RS422 송신부(96, 98, 100, 102)는 제1 내지 제4 병렬/직렬 변환기(88, 90, 92, 94)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직렬 데이터스트림을 서브박스로 송신하게 된다. 제5 RS422 송신부(104)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직 제어부(86)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림 클럭신호(Stream clk)를 서브박스로 송신하게 된다. 이 스트림 클럭신호(Stream clk)는 서브박스에서 스트림 동기를 위해 사용되게 된다. 제6 RS422 송신부(106)는 RS-232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즉 RS-232 포맷의 컨트롤데이터를 서브박스로 송신하게 된다. RS422 수신부(108)는 서브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 즉 RS-232 포맷의 컨트롤데이터를 수신하여 RS-232 제어부로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62)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스트림 수신 및 제어기(62)는 메인박스의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RS422 수신부(110, 112, 114, 116)와,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로부터 송신되는 스트림 클럭신호(Stream clk)를 수신하기 위한 제5 RS422 수신부(118)와, 제6 RS422 송신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RS-232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하기 위한 제6 RS422 수신부(120)와, RS-232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메인박스로 출력하기 위한 RS422 송신부(122)와, 제1 내지 제4 RS422 수신부(110, 112, 114, 116)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된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와,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된 제1 내지 제4 버퍼(132, 134, 136, 138)와,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와 제1 내지 제4 버퍼(132, 134, 136, 138)에 공통 접속된 로직제어부(140)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4 RS422 수신부(110, 112, 114, 116)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의 제1 내지 제4 RS422 송신부(96, 98, 100, 102)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여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 각각으로 출력하게 된다. 제5 RS422 수신부(118)는 제5 RS422 송신부(104)를 통해 송신되는 스트림 클럭신호(Stream clk)를 수신하여 로직제어부(140)로 출력하게 된다. 제6 RS422 수신부(120)는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로부터 송신되는 RS-232 포맷의 컨트롤데이터를 수신하여 RS-232 제어부로 출력하게 된다. RS422 송신부(122)는 RS-232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RS-232 포맷의 컨트롤데이터를 스트림 송신 및 제어기(40)로 송신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 각각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직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제1 내지 제4 RS422 수신부(110, 112, 114, 116)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직렬 데이터스트림을 병렬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 버퍼(132, 134, 136, 138) 각각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직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스트림을 임시 저장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로직제어부(140)는 제1 내지 제4 버퍼(132, 134, 136, 138)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스트림의 동기를 맞춰주기 위한 버퍼 클럭신호(Buf clk)를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서브박스의 파워가 온되면 단계 2(S2)에서 서브박스는 RS422 송신부(122)를 통해 메인박스에 현재의 서비스상태를 요구하게 된다. 단계 4(S4)에서 메인박스는 도 8에 도시된 진리표에 의해 현재의 서비스 상태를 RS422 송신부(106)를 통해 서브박스로 송신하게 된다. 서브박스는 도 8에 도시된 진리표에 의해 동작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진리표에서 2번인 경우 현재 메인박스가 마스터(Master)권을 가지고 있는 위성 및 지상파는 사용중에 있으며 케이블은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서브박스는 케이블에 대해서는 마스터권을 가지고 위성 및 지상파에 대해서는 슬레이브(Slave)권만 가지게 된다. 여기서, 서브박스의 마스터권이란 서브박스에서 메인박스의 제1 내지 제3 튜너 및 디모둘레이터(34, 36, 38)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며, 슬레이브권이란 제어는 할 수 없지만 메인박스에 수신되는 데이터스트림을 받 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단계 6(S6)에서 서스박스는 도 8에 도시된 진리표에 기초하여 원하는 서비스 매체의 데이터스트림을 RS422 송신부(122)를 통해 메인박스에 요청하게 된다. 단계 8(S8)에서 메인박스는 서브박스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매체의 데이터스트림을 송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8의 진리표에서 2번인 경우 서브박스가 케이블 방송의 데이터스트림을 원하면 메인박스의 케이블 서비스상태 테이블을 마스터로 변경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박스의 케이블서비스를 위한 제3 튜너 및 QAM 디모듈레이터(38)는 서브박스에 의해서만 제어가 되게 된다. 서브박스의 제어에 의해 메인박스는 케이블 방송신호가 제3 튜너 및 QAM 디모듈레이터(38)를 통해 수신되고 제3 버퍼(82)에 임시 저장되어 출력되게 한다. 아울러, 메인박스는 제3 버퍼(82)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이 로직제어부(86)의 제어에 의해 제1 내지 제4 병렬/직렬 변환기(88, 90, 92, 94)에 번갈아가면서 분산되어 직렬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되고, 제1 내지 제4 RS422 송신부(96, 98, 100, 102)를 통해 서브박스로 송신되게 한다. 여기서, 병렬/직렬 변환기의 수는 데이터스트림의 양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예를 들어, RS422 송신부의 최대 전송률이 10Mbps인 경우 40Mbps의 데이터스트림을 위해서는 RS422 송신부의 채널수는 40Mbps/10Mbps=4가 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4개의 병렬/직렬 변환기가 필요하게 된다. 도 4에서 제1 병렬/직렬 변환기(88)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yte0, Byte4 순으로 전송하고, 제2 병렬/직렬 변환기(90)는 Byte1, Byte5 순으로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제3 병렬/직렬 변환기(82)는 Byte2, Byte6 순으로 전송하고, 제4 병렬/직렬 변환기(94)는 Byte3, Byte7의 순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4 병렬/직렬 변환기(88, 90, 92, 94)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직제어부(86)로부터 입력되는 Latch0∼latch3의 상승에지부에서 데이터스트림 바이트의 MSB가 출력되고, 차례로 P/S clk0∼P/S clk3의 상승에지부에서 나머지의 7비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Latch0∼latch3와 P/S clk0∼P/S clk3의 주파수는 10Mhz이다.
한편, 메인박스가 진리표 2번 상태로 위성과 지상파를 사용중인 경우인데 서브박스에서 지상파를 선택하면 메인박스의 제2 튜너 및 VSB 디모듈레이터(36)는 서브박스에서 제어가 되지 않으며, 메인박스는 단지 제2 튜너 및 VSB 디모듈레이터(36)에 접속된 제2 버퍼(80)만을 열어 지상파 데이터스트림이 서브박스에 송신되게 한다. 다시 말하여, 서브박스는 메인박스 또는 다른 서브박스에서 보고 있는 지상파 채널에 대한 데이터스트림만을 공급받게 된다.
단계 10(S10)에서 서브박스는 메인박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게 된다. 상세히 하면, 서브박스는 메인박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스트림을 제1 내지 제4 RS422 수신부(110, 112, 114, 116) 각각을 통해 수신하여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에 입력되게 한다. 로직제어부(14)는 제2 RS422 수신부(118)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클럭신호(Rx clk), 즉 스트림 클럭신호(Stream clk)에 동기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 Clk0∼S/P Clk3과 Latch0∼Latch3를 생성하여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 각각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직렬/병렬 변환기(124, 126, 128, 130) 각각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 Clk0∼S/P Clk3의 하강에지부에서 제1 내지 제4 RS422 수신부(110, 112, 114, 116)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입력하게 된다. 이때, S/P Clk0∼S/P Clk3의 주파수는 메인박스에서처럼 10Mhz이다. 이어서, 로직제어부(140)에서 차례로 입력되는 Buf Enb0∼Buf Enb3에 의해 제1 내지 제4 버퍼(132, 134, 136, 138)가 번갈아가면서 데이터스트림을 입출력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 버퍼(132, 134, 136, 138)로부터 번갈아가면서 출력되는 데이터스트림은 로직제어부(140)로부터 발생된 Buf Clk에 동기하여 디먹스/MPEG디코더(64)로 전송되게 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4 버퍼(132, 134, 136, 138)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스트림과 로직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Buf Clk는 메인박스에서 송신한 데이터스트림 및 스트림 클럭신호와 같아지게 되어 디먹스/MPEG디코더(64) 또는 원하는 기능에 따라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단계 12(S12)에서 서브박스로부터 서비스변경이 요구되면 상기 단계 2(S2)로 진행하여 전술한 단계 2 내지 단계 10(S2∼S10)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단계 14(S2)에서 서브박스의 파워(소프트 파워)가 오프되면 단계 16(S16)으로 진행하여 서브박스의 주전원을 오프하기 전에 서브박스에서 메인박스에 파워오프 상태를 송신하게 된다. 이는 다음 단계 18(S18)에서 메인박스가 현 서비스상태를 업데이트(Up date)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서브박스가 연결되어 있다면 마스터 서비스권을 얻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단계 20(S20)에서 메인박스의 파워가 오프되면 상기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모든 서비스 매체의 방송을 지원할 수 있는 메인박스와 메인박스를 제어하여 선택수신할 수 있는 서브박스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각 방마다 고가의 복합형 디지털방송수신기를 마련하지 않고도 원하는 서비스매체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메인박스와 서브박스를 RS422 송수신부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연결거리를 길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된 데이터스트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서비스매체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스트림 중 해당 데이터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송신 및 제어 수단을 가지는 메인박스와,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스트림 송신 및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는 데이터스트림 수신 및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스트림 수신 및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다수의 서브박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스트림 송신 및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박스에 원하는 데이터스트림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직렬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병렬/직렬 변환 수단과,
    상기 병렬/직렬 변환 수단에 타이밍제어신호를 공급함과 기준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스트림 송신 및 제어를 위한 로직제어수단과,
    상기 병렬/직렬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과 상기 메인박스의 제어신호 및 상기 로직제어수단으로부터의 기준 클럭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스트림 수신 및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과 제어신호 및 기준 클럭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시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병렬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직렬/병렬 변환수단과,
    상기 직렬/병렬 변환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재생가능하게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과,
    상기 기준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직렬/병렬 변환 수단 및 출력수단에 타이밍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 전송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수신 및 제어를 위한 로직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4. 다수의 서비스매체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스트림 중 해당 데이터스트림을 송신하는 메인박스와,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메인박스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서브박스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스트림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박스로부터 상기 메인박스에 현재의 서비스 상태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메인박스에 기설정된 서비스테이블에 기초하는 현재의 서비스상태를 상기 서브박스로 송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서브박스에서 원하는 서비스 방송을 선택하고 상기 서브박스에 의해 선택된 해당 방송의 데이터스트림을 상기 메인박스에서 송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서브박스에서 상기 메인박스로부터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서브박스로부터 서비스 변경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메인박스에서 상기 서브박스로부터 소프트 파워오프 상태가 수신되면 현재의 서비스상태를 업데이트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박스는 상기 메인박스에서 비사용중인 서비스 방송에 대해서는 제 어가 가능한 마스터권을 가지며, 사용중인 서비스의 방송에 대해서는 그 서비스 방송에 대한 데이터스트림만 수신할 수 있는 슬레이브권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방법.
KR1019990031571A 1999-07-31 1999-07-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64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71A KR100640912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71A KR100640912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950A KR20010011950A (ko) 2001-02-15
KR100640912B1 true KR100640912B1 (ko) 2006-11-02

Family

ID=1960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571A KR100640912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857B1 (ko) * 2006-10-13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모델들이 공유하는 공유모듈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266A (ja) * 1993-03-05 199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90082959A (ko) * 1998-04-08 1999-11-25 브릭크만 게오르그 가정용 네트워크 환경에서 오디오/비디오/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용 자원 공유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28219A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메인 텔레비전에 의한 다수의 서브 텔레비전 제어장치
KR20000034349A (ko) * 1998-11-30 2000-06-15 전주범 메인 텔레비전에 의한 다수의 서브 텔레비전 채널 제어장치
KR20000037639A (ko) * 1998-12-01 2000-07-05 전주범 마스터 및 슬레이브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266A (ja) * 1993-03-05 199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90082959A (ko) * 1998-04-08 1999-11-25 브릭크만 게오르그 가정용 네트워크 환경에서 오디오/비디오/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용 자원 공유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28219A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메인 텔레비전에 의한 다수의 서브 텔레비전 제어장치
KR20000034349A (ko) * 1998-11-30 2000-06-15 전주범 메인 텔레비전에 의한 다수의 서브 텔레비전 채널 제어장치
KR20000037639A (ko) * 1998-12-01 2000-07-05 전주범 마스터 및 슬레이브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950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8552C (zh) 电视系统
JP3276895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20060236354A1 (en) Wireless audio for entertainment systems
KR100554185B1 (ko) 전송장치및전송방법
US6349115B1 (en) Digital signal encoding apparatus, digital signal decoding apparatus, digital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JP2004356938A (ja) 放送受信システム
KR10064091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공유 장치 및 방법
JP2005223443A (ja) 高速無線データ通信機における待機電力の削減システム
JP2000236523A (ja) Catvシステム用再送信装置
KR100661253B1 (ko) 수신장치 및 수신 복호방법
JP2007288244A (ja) 地上デジタルチューナ
CN101491088A (zh) 终端及其操作方法
KR20030050392A (ko) 멀티 디지털 방송수신기
KR100677970B1 (ko) 텔레비전 시스템의 송신장치 및 그의 송신 방법
KR100286277B1 (ko)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KR101253163B1 (ko) 방송 수신기
JP3278618B2 (ja) 番組情報伝送装置及び番組情報伝送方法
KR100662458B1 (ko) 방송수신장치의 외부 모듈 인터페이스장치
KR100307951B1 (ko) 비디오신호 전송장치
KR100813887B1 (ko) 자동차용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KR20060014605A (ko) 디지탈 영상 처리 장치
KR20050017613A (ko) 무선송신장치 및 방법
JP2008541567A (ja) マルチ・チャネル変調装置
JP2001036887A (ja) Catvシステム
JPH11146358A (ja) サイマル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