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542B1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542B1
KR100640542B1 KR1020040040480A KR20040040480A KR100640542B1 KR 100640542 B1 KR100640542 B1 KR 100640542B1 KR 1020040040480 A KR1020040040480 A KR 1020040040480A KR 20040040480 A KR20040040480 A KR 20040040480A KR 100640542 B1 KR100640542 B1 KR 10064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ixel
designating
predetermined
b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499A (ko
Inventor
남정주
최창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4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54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8Curs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각종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폰트의 종류 및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폰트가 글자폭이 일정한 폰트인지의 여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글자의 종류 등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법으로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소정 공백 라인을 찾기 위한 검색 방향을 선택하는 검색 방향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으로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여 공백 라인을 찾아내는 라인 검출단계; 상기 찾아낸 공백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지정하는 시작 라인 지정단계;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으로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작 라인 다음 차례의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여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 라인을 찾아내는 라인 재검출단계; 상기 찾아낸 소정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하는 끝 라인 지정단계; 상기 시작 라인과 끝 라인 간의 중앙 위치를 계산하여 중앙 라인으로 지정하는 중앙 위치 계산단계; 상기 중앙 라인을 소정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는 소정 공백 라인 지정단계; 및 상기 소정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는 커서 위치 지정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무선통신 단말기, 픽셀, 픽셀정보, 커서, 가변폭, 폰트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cursor position using pixel information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의 활용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의 활용예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의 활용예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 : 연산/제어부 22 : 저장부
23 : 입력부(키패드) 24 : 표시부(LCD)
25 : 무선송수신부 26 : 코덱(CODEC)
27 : 음성출력부(스피커) 28 : 음성입력부(마이크)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각종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폰트의 종류 및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폰트가 글자폭이 일정한 폰트인지의 여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글자의 종류 등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법으로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편집기"란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편집기, 스케쥴 편집기, 메모 편 집기 등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편집기를 말하는 것으로, 고정폭 폰트(즉, 글자폭이 일정한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와 가변폭 폰트(즉, 글자폭이 일정하지 않은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픽셀정보"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편집기에서 각 픽셀(pixel)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인지 또는 공백을 나타내는 픽셀인지를 결정하게 해주는 정보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세로 공백 라인"이란,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지 않은 공백 라인 중의 하나로서,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기 위한 공백 라인을 말한다.
오늘날, 무선통신 단말기는 진보를 거듭하여 보다 다양한 종류의 폰트를 지원하고 있는 바, 글자폭이 일정한(즉, 폰트 세트 내의 모든 글자의 글자폭이 동일한) 고정폭 폰트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글자폭이 일정하지 않은(즉, 폰트세트 내의 모든 글자의 글자폭이 서로 다른) 가변폭 폰트를 지원하는 경우로 점차 늘어나고 있다.
주로, 종래 기술은 글자폭 정보를 이용하여 커서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으로서, 고정폭 폰트를 지원하는 편집기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였다.
즉, 2 바이트로 구성되는 글자(한국어, 중국어 등) 외에는 모든 글자의 폭이 동일하므로 사용자의 좌/우 방향키 입력에 따라 2 바이트의 글자인 경우에는 정해진 폭의 2배만큼 커서를 이동시키고, 2 바이트의 글자가 아닌 경우에는 정해진 폭만큼 커서를 이동시키면 새로운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 에는 현재 커서 위치의 전/후 글자가 2 바이트의 글자인지 또는 2 바이트의 글자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정해진 고정폭만큼 커서를 이동시키면 새로운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간단한 동작 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 일예를 후술되는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의 활용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은 현재 커서 위치를 나타내고, "12"는 사용자의 좌(왼쪽) 방향키 입력에 따라 현재 커서 위치에서 왼쪽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경우, "13"은 사용자의 우(오른쪽) 방향키 입력에 따라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영문의 고정폭이 8픽셀이라고 가정하면, 현재 커서 위치(11)에서 왼쪽 방향의 글자는 알파벳 "H"이므로 현재 커서 위치의 엑스 좌표(X좌표)에서 8픽셀만큼 뺀 위치를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의 글자는 한국어 "안"이고 이는 2 바이트의 글자이므로 현재 커서 위치의 엑스 좌표(X좌표)에서 16픽셀(8픽셀의 두 배)만큼 더한 위치를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면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커서 위치 지정 방법은,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였던 것에 비하여,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는 부가적인 메모리 및 계산 과정을 필요로 하는 등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 점이 있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는 폰트세트 내의 각 글자마다 글자폭이 서로 다르므로, 현재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전/후 글자가 무슨 글자인지 판단하여 글자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로부터 해당 글자의 글자폭을 찾아낸 후 그 글자폭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커서 위치를 결정해야 했다.
즉, 폰트세트 내의 모든 글자의 글자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부가적인 메모리)과, 현재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전/후 글자가 무슨 글자인지 판단하여 글자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로부터 그 글자의 글자폭 정보를 검색하는 테이블 검색 과정(부가적인 계산 과정)을 필요로 하는 등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 무선통신 단말기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이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인 바, 단문 메시지의 경우에는 최대 편집량이 255 바이트로 제한적이었지만,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경우에는 최대 편집량이 1000글자에 달하기도 하는 등 메시지 편집기에서의 메시지 편집량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인지 또는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인지에 따라 새로운 커서 위치 지정에 걸리는 시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는 각 글자의 글자폭이 서로 다르므로, 현재 커서 위치의 전/후 글자가 무슨 글자인지 판단하여 글자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에서 글자폭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한 글자폭만큼 커서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편집량이 많은 경우 글자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을 검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어 사용자에게 고정된 응답 시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각종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폰트의 종류 및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폰트가 글자폭이 일정한 폰트인지의 여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글자의 종류 등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법으로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소정 공백 라 인을 찾기 위한 검색 방향을 선택하는 검색 방향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으로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여 공백 라인을 찾아내는 라인 검출단계; 상기 찾아낸 공백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지정하는 시작 라인 지정단계;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으로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작 라인 다음 차례의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여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 라인을 찾아내는 라인 재검출단계; 상기 찾아낸 소정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하는 끝 라인 지정단계; 상기 시작 라인과 끝 라인 간의 중앙 위치를 계산하여 중앙 라인으로 지정하는 중앙 위치 계산단계; 상기 중앙 라인을 소정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는 소정 공백 라인 지정단계; 및 상기 소정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는 커서 위치 지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 선통신 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편집기 내의 각 세로 라인을 한 라인씩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여 그 결과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지 않은(전부 공백을 나타내는 픽셀로 이루어진) 세로 공백 라인을 찾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기 위한 연산/제어부(21),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세로 공백 라인을 찾기 위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프로그램 및 폰트세트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2), 버튼을 통해 좌/우 방향키 및 편집기 내용(영문, 한국어 등의 각종 문자들)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키패드)(23), 연산/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LCD)(24),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25), 연산/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무선송수신부(25)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부(스피커)(27)로 출력하고, 음성입력부(마이크)(28)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제어부(21)로 전달하여 무선송수신부(25)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26), 코덱(CODEC)(26)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스피커)(27), 음성을 입력받아 코덱(CODEC)(26)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부(마이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연산/제어부(21)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좌/우 방향 키 입력에 따라 새로운 커서 위치를 찾기 위한 좌/우 검색방향으로 현재의 커서 위치에서 검색방향으로 최소폭의 절반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한 라인씩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는 도중에 세로 공백 라인을 찾으면 그 세로 공백 라인을 시작라인으로 지정한 후, 시작라인 이후 한 라인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는데, 순차 검색하는 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으면 그 픽셀의 세로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한 후 시작 라인과 끝 라인의 중앙 위치를 계산하여 그 결과가 되는 세로 공백 라인, 즉 중앙위치를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여 커서 위치를 이동시키고, 시작 라인 이후 연속된 세로 공백 라인을 찾게 되면 공백 문자로 인식하여 현재의 커서 위치에서 공백 문자의 글자 폭 만큼 이동한 위치의 세로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고 그 세로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여 커서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저장부(22)에는 연산/제어부(21)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 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저장부(22)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특히, 저장부(22)에는 본 발명의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입력부(23)는 다수의 숫자키와 메뉴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연산/제어부(21)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입력부(키패드)(23)는 좌/우 방향키를 구비한다.
또한, 표시부(2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연산/제어부(21)의 제어를 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한다. 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편집기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내용 등을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24)는 고정폭 폰트 또는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각종 편집기 화면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3)을 통하여 편집기에 입력받는 내용(글자 등) 및 커서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입력부(키패드)(23)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좌/우 방향키를 입력받는다(301). 여기서, 좌/우 방향키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글자의 추가, 삭제, 편집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커서를 이동시킬 때 커서 이동 방향을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사용자의 좌/우 방향키 입력에 따라, 연산/제어부(21)는 새로운 커서 위치를 찾기 위한 검색 방향을 좌/우 방향 중에서 선택하고(302), 현재 커서 위치에서 검색 방향으로 최소폭의 절반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한 라인씩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한다(303). 여기서, "최소폭"이란, 폰트 세트 내에서 글자폭이 가장 작은 글자의 글자폭을 의미하며, 검색 속도 개선을 위하여 현재 커서 위치에서 검색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커서 위치에서 검색 방향으로 최소폭의 절반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검색을 시작한다. 즉, 최소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공간 내에서는 커서가 위치할 만큼의 여백이 없으므로, 검색 속도 개선을 위하여 최소폭의 절반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검색을 시작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대부분의 폰트 세트 내에서 글자폭이 가장 작은 글자는 알파벳 "I"이다. 예를 들어, 알파벳 "I"의 글자폭이 가장 작고 그 글자폭이 4픽셀이라면 최소폭은 4픽셀이 되고, 현재 커서 위치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방향으로 2픽셀(4픽셀의 절반)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한 라인씩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을 시작한다. 최소폭의 절반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의 첫 픽셀을 검색하여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면 그 세로 라인은 커서가 위치할 수 없으므로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하고,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면(공백을 나타내는 픽셀이면)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한다. 즉, 세로 라인을 한 라인씩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여 어느 한 세로 라인에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으면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하고,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지 못하면 계속하여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픽셀정보(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인지 또는 공백을 나타내는 픽셀인지)를 이용한 순차 검색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연산/제어부(21)는 새로운 커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하여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지 않은 세로 라인(이하, 공백 라인이라 함)을 탐색한다(304). 즉, 세로 라인을 이루는 모든 픽셀이 공백을 나타내는 픽셀로 이루어진 세로 라인을 찾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탐색 결과(304), 연산/제어부(21)는 공백 라인을 찾지 못하였으면(즉, 공백 라인이 없으면) 사용자로부터 좌/우 방향키를 입력받는 과정(301)으로 진행하고, 공백 라인을 찾았으면 이 공백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지정한다(305). 여기서,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여러 개의 공백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이들 여러 개의 공백 라인 중에서 첫 번째 공백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지정하고, 이후 검색을 계속하여 그 결과로 찾아내는 마지막 세로 공백 라인 다음 차례의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표시하는 세로 라인을 찾으면 그 세로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하며, 이후 시작 라인과 끝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 계산에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연산/제어부(21)는 끝 라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시작 라인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부터 한 라인씩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을 계속한다(306). 이때, 시작 라인을 지정하기 위해서 공백 라인을 찾기 위한 순차 검색을 하였던 것에 비하여, 끝 라인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세로 라인을 찾기 위한 순차 검색을 해야 한다. 즉, 어느 한 세로 라인에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으면 순차 검색을 곧 중단한 후 그 다음 과정(즉, "307"과정)으로 진 행하고,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지 못하면 계속하여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하거나 또는 마지막 픽셀까지 이미 검색하였을 경우에는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픽셀정보(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인지 또는 공백을 나타내는 픽셀인지)를 이용한 순차 검색을 계속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21)는 끝 라인을 지정하기 위하여 마지막 공백 라인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 즉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는 세로 라인(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세로 라인)을 탐색한다(307).
상기 탐색 결과(307), 연산/제어부(21)는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는 세로 라인을 찾았으면, 이 세로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하고(308), 시작 라인과 끝 라인의 중앙 위치를 계산하여 그 계산 결과가 되는 공백 라인, 즉 중앙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309). 즉, 시작 라인의 첫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와 끝 라인의 첫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렇게 계산하여 얻은 평균값에 위치한 세로 라인(즉, 중앙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만약에, 평균값에 위치한 세로 라인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즉 임의의 두 세로 라인의 경계선에 평균값이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상기 평균값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한 픽셀만큼 이동한 위치의 세로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임의의 두 세로 라인의 경계선에 평균값이 위치하게 될 경우란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하나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상기 세로 라인은 주로 시작 라인으로 지정되고, 본 발명은 상기 평균값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한 픽셀만큼 이동한 위치의 세로 라인, 즉 시작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함으로써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여러 개의 세로 라인이 아닌 하나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동일하게 새로운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세로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한다(310).
탐색 결과(307), 연산/제어부(21)는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는 세로 라인을 찾지 못하였으면, 지정된 시작 라인 이후 순차 검색 하자마자 연속으로 세로 공백 라인을 검출한 것으로 공백문자로 인식하여 현재 커서 위치에서 검색방향으로 공백 문자의 글자 폭 만큼 이동한 위치의 세로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고(311), 그 세로 공백 라인에 새로운 커서 위치를 지정한다(S31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편집기에서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은 여러 개의 세로 라인 또는 하나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는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여러 개의 세로 라인이 아닌 하나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하는 기술이 현재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서,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하나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서 위치 지정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본 발명에서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하나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진 경우란 시작 라인과 끝 라인의 중앙 위치(평균값)에 임의의 세로 라인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이며, 이 경우 중앙 위치로 계산된 위치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한 픽셀만큼 이동한 위치의 세 로 라인(주로, 시작 라인이 됨)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하나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진 경우 및 여러 개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구분할 필요없이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커서 위치 지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은,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만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 뿐만 아니라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편집기 내의 각 세로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함으로써 글자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부가적인 메모리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자폭 정보 검색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와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으로 새로운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 및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 4 및 도 5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의 활용예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네모칸이 하나의 픽셀을 나타내는 편집기의 화면에 "HI안녕"이란 글자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되어 있고, 현재 커서는 "HI"와 "안녕" 사이에 위치해 있다. 고정폭 폰트에서는 비록 문자의 종류(영문, 한국어, 중국어 등)마다 글자폭이 서로 다르지만, 동일한 문자의 종류 내에서는 글자폭이 모두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영문 알파벳 "H"와 "I"가 각각 6픽셀이라면, 한국어인 "안"과 "녕"은 각각 12픽셀이다. 즉, 영문과 한국어의 글자폭은 각각 6픽셀과 12픽셀로 서로 다르지만, 영문 내에서는 6픽셀, 그리고 한국어 내에서는 12픽셀로 모든 글자의 글자폭이 동일하다.
한편, 각 글자(H,I,안,녕)를 감싸고 있는 굵은 선은 고정폭을 나타내기 위한 테두리로서, 이 테두리의 존재로 인해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는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와는 달리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여러 개의 공백 라인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새로운 커서 위치의 검색 방향이 사용자의 좌/우 방향키 입력에 따라 오른쪽으로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고정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의 활용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커서 위치인 "HI"와 "안녕" 사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기 위한 세로 공백 라인을 찾기 위해 순차 검색을 시작한다. 폰트세트 내의 최소폭이 영문 글자폭인 6픽셀이라면, 좀 더 빨리 새로운 커서 위치를 찾기 위하여 6픽셀의 절반인 3픽셀만큼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순차 검색을 시작한다.
즉, "1, 2, 3.."의 숫자는 검색 순서(순번)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3픽셀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의 첫 번째 픽셀이 순번 1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순번 1의 픽셀을 검색한 결과,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 즉 순번 2의 픽셀을 검색한다. 여기서, 순번 2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에서 검색하는 것을 멈추고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한다. 이어서, 순번 3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인 순번 4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하고, 순번 4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므로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색을 계속하던 중, 순번 24의 픽셀부터 순번 34의 픽셀까지 하나의 세로 라인을 이루는 모든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님을 알게 된다. 즉, 순번 24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 순번 34의 픽셀을 마지막 픽셀로 하는 공백 라인을 찾게 된다.
이렇게 찾은 첫 번째 공백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지정하고, 시작 라인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순차 검색을 계속 진행한다.
이후, 순번 90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하는 세로 라인을 검색하던 중 순번 91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임을 알게 된다. 즉, 순번 90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하는 세로 라인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는 세로 라인임을 알게 되고, 이 세로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21)는 시작 라인의 첫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와 끝 라인의 첫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렇게 계산한 평균값에 위치한 세로 라인, 즉 중앙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즉, 시작 라인과 끝 라인의 중앙에 위치한 공백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21)는 이 세로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의 활용예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의 일실시예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고 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하나의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네모칸이 하나의 픽셀을 나타내는 편집기의 화면에 "HI안녕"이란 글자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되어 있고, 현재 커서는 "HI"와 "안녕" 사이에 위치해 있다.
도 5에서 "51"은 사용자의 좌(왼쪽) 방향키 입력에 따라 커서 이동 방향을 왼쪽으로 선택한 경우이고, "52"는 사용자의 우(오른쪽) 방향키 입력에 따라 커서 이동 방향을 오른쪽으로 선택한 경우이다. 고정폭 폰트와는 달리, 가변폭 폰트 내에서는 영문, 한국어 등 문자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글자의 글자폭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H"는 7픽셀이고, "I"는 4픽셀이며, "안"은 8픽셀이고, "녕"은 5픽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변폭 폰트세트 내에서 가장 작은 글자폭을 가진 글자가 "I"라면, 이 폰트세트의 최소폭은 "I"의 글자폭인 4픽셀이 된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의 왼쪽 방향 커서 위치 지정에 대한 활용예("51")를 상세히 살펴보면, 좀 더 빨리 새로운 커서 위치를 찾기 위하여 최소폭인 4픽셀의 절반인 2픽셀만큼 현재 커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순차 검색을 시작한다.
즉, "1, 2, 3.."의 숫자는 검색 순서(순번)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 커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2픽셀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의 첫 번째 픽셀이 순번 1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순번 1의 픽셀을 검색한 결과,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 즉 순번 2의 픽셀을 검색한다. 여기서, 순번 2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에서 검색하는 것을 멈추고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한다. 이어서, 순번 3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인 순번 4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하고, 순번 4의 픽셀 역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색을 계속하던 중, 순번 3의 픽셀부터 순번 13의 픽셀까지 하나의 세로 라인을 이루는 모든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님을 알게 된다. 즉, 순번 3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순번 13의 픽셀을 마지막 픽셀로 하는 공백 라인을 찾게 된다.
이렇게 찾은 첫 번째 공백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지정하고, 시작 라인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순차 검색을 계속 진행한다.
이후, 순번 14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하는 세로 라인을 검색하던 중 순번 15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임을 알게 된다. 즉, 순번 14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하는 세로 라인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는 세로 라인임을 알게 되고, 이 세로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21)는 시작 라인의 첫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와 끝 라인의 첫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렇게 계산한 평균값에 위치한 세로 라인, 즉 중앙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즉, 시작 라인과 끝 라인의 중앙에 위치한 공백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여기에서는,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하나의 세로 라인, 즉 순번 3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순번 13의 픽셀을 마지막 픽셀로 하는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세로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21)는 이 세로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중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의 오른쪽 방향 커서 위치 지정에 대한 활용예("52")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좀 더 빨리 새로운 커서 위치를 찾기 위하여 최소폭인 4픽셀의 절반인 2픽셀만큼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순차 검색을 시작한다.
즉, "1, 2, 3.."의 숫자는 검색 순서(순번)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2픽셀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의 첫 번째 픽셀이 순번 1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순번 1의 픽셀을 검색한 결과,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 즉 순번 2의 픽셀을 검색한다. 여기서, 순번 2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에서 검색하는 것을 멈추고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한다. 이어서, 순번 3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인 순번 4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하고, 순번 4의 픽셀 역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니므로 동일한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색을 계속하던 중, 순번 22의 픽셀부터 순번 32의 픽셀까지 하나의 세로 라인을 이루는 모든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님을 알게 된다. 즉, 순번 22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순번 32의 픽셀을 마지막 픽셀로 하는 공백 라인을 찾게 된다.
이렇게 찾은 첫 번째 공백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지정하고, 시작 라인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순차 검색을 계속 진행한다.
이후, 순번 33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하는 세로 라인을 검색하던 중 순번 34의 픽셀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임을 알게 된다. 즉, 순번 33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하는 세로 라인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하는 세로 라인임을 알게 되고, 이 세로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21)는 시작 라인의 첫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와 끝 라인의 첫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렇게 계산한 평균값에 위치한 세로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즉, 시작 라인과 끝 라인의 중앙에 위치한 공백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여기에서는,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 하나의 세로 라인, 즉 순번 22의 픽셀을 첫 번째 픽셀로, 순번 32의 픽셀을 마지막 픽셀로 하는 세로 라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21)는 이 세로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한다.
지금까지는 도 5를 참조하여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 "HI안녕"과 같이 공백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예를 살펴보았는데, 이하에서는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에서 연속된 공백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편집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후술하기로 한다.
연속된 공백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HI 안녕"과 같이 글자와 글자 사이에 연속된 세 개의 공백 문자가 있고, 현재 커서는 "I"란 글자의 오른쪽에 위치해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우(오른쪽) 방향키 입력을 받는 경우, 폰트세트 내의 최소폭이 4픽셀이라면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2픽셀(최소폭인 4픽셀의 절반)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순차 검색을 시작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2픽셀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픽셀 단위로 검색하자마자 연속된 공백 라인을 찾게 된다. 그런데, 어떠한 폰트세트에서도 이러한 공백 라인은 공백 문자를 나타내는 것임이 자명하다. 그러므로,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공백 문자의 글자폭만큼 이동한 위치의 세로 라인을 세로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고, 이 세로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새로운 커서 위치 지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고정된 최대 응답 시간을 보장한다.
즉, 새로운 커서 위치 지정을 위하여 세로 공백 라인을 검색할 때에 검색 시간에 있어서 최악의 경우(worst-case)를 제공한다. 어느 한 세로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 하던 중, 맨 마지막 픽셀만이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인 경우, 예를 들어 언더바(_)인 경우가 바로 검색 시간에 있어서 최악의 경우가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글자폭 정보 검색 시간의 변동폭이 커 사용자에게 고정된 최대 응답 시간을 보장할 수 없었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고정된 최대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각 세로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고, 그 결과로 세로 공백 라인을 찾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는 방법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커서 위치 지정을 위하여 글자폭 정보가 필요없으나, 가장 작은 글자의 글자폭 및 공백 문자에 한해서는 그 폭(글자폭)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각종 편집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폰트의 종류 및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폰트가 글자폭이 일정한 폰트인지의 여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글자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법으로 커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새로운 커서 위치 지정을 위하여 현재 커서 위치의 전/후 글자가 2 바이트의 글자인지 또는 2 바이트의 글자가 아닌지를 판단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변폭 폰트를 제공하는 편집기일 경우에 글자폭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 크기 만큼의 메모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글자폭 정보를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시간이 없으므로, 새로운 커서 위치 지정을 위한 전체 계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고정된 최대 응답 시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소정 공백 라인을 찾기 위한 검색 방향을 선택하는 검색 방향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으로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여 공백 라인을 찾아내는 라인 검출단계;
    상기 찾아낸 공백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지정하는 시작 라인 지정단계;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으로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작 라인 다음 차례의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여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 라인을 찾아내는 라인 재검출단계;
    상기 찾아낸 소정 라인을 끝 라인으로 지정하는 끝 라인 지정단계;
    상기 시작 라인과 끝 라인 간의 중앙 위치를 계산하여 중앙 라인으로 지정하는 중앙 위치 계산단계;
    상기 중앙 라인을 소정 공백 라인으로 지정하는 소정 공백 라인 지정단계; 및
    상기 소정 공백 라인을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는 커서 위치 지정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공백 라인은,
    공백 라인 중의 하나로서, 새로운 커서 위치로 지정하기 위한 세로 공백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위치 계산단계에서 중앙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시작 라인의 첫 번째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와 상기 끝 라인의 첫 번째 픽셀의 엑스 좌표(X좌표)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검출단계에서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에 위치한 각 세로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던 중, 일 세로 라인에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으면 다음 차례의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하고, 상기 일 세로 라인에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지 못하면 동일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하여 순차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재검출단계에서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에 위치한 각 세로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던 중, 일 세로 라인에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으면 곧 순차 검색을 중단하고 상기 끝 라인 지정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일 세로 라인에서 글자를 나타내는 픽셀을 찾지 못하면 동일 세로 라인의 다음 차례의 픽셀로 검색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일 세로 라인의 마지막 픽셀 검색을 마쳤을 경우에 다음 차례의 일 세로 라인으로 검색을 진행하여 순차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검출단계 및 상기 라인 재검출단계에서 각 소정 라인을 픽셀 단위로 순차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시작 라인에서 상기 선택된 검색 방향으로 최소폭(폰트세트 내에서 가장 작은 글자폭을 가진 글자의 글자폭)의 절반을 지난 위치의 세로 라인부터 검색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 방법.
KR1020040040480A 2004-06-03 2004-06-0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방법 KR100640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480A KR100640542B1 (ko) 2004-06-03 2004-06-0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480A KR100640542B1 (ko) 2004-06-03 2004-06-0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99A KR20050115499A (ko) 2005-12-08
KR100640542B1 true KR100640542B1 (ko) 2006-10-30

Family

ID=3728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480A KR100640542B1 (ko) 2004-06-03 2004-06-0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5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99A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2654B2 (ja) 携帯端末機でアバターを用いたメッセージ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815003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및 문자/영상 표시 방법
RU243193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а канала связи
US20070004461A1 (en) Terminal with messaging application
US7973764B2 (en) Switching between input modes in a limited input device
KR20150053339A (ko) 전자 디바이스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050251745A1 (en) Input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01002001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40542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픽셀정보를 이용한 커서 위치 지정방법
JP5052043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500513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분할을 통한 메시지 작성 방법
JP2004078819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60798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KR1006641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용구 입력 방법
KR100611906B1 (ko) 가변폭 폰트 문자를 고정폭 폰트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10010539A (ko) 휴대폰에서 정보 검색방법
JP2009230727A (ja) 文字入力装置
JP200607287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電子メール装飾編集方法
JP4485650B2 (ja) 電子機器
KR2005009857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수 문자 입력 방법
JP2000333264A (ja) 移動体通信端末
KR0181111B1 (ko) 페이저의 문자편집 방법
KR100874096B1 (ko) 특정키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그 방법 및기록매체
JP2005115429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