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921B1 -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 Google Patents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921B1
KR100639921B1 KR1020050110503A KR20050110503A KR100639921B1 KR 100639921 B1 KR100639921 B1 KR 100639921B1 KR 1020050110503 A KR1020050110503 A KR 1020050110503A KR 20050110503 A KR20050110503 A KR 20050110503A KR 100639921 B1 KR100639921 B1 KR 10063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moving rail
rail
slid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102005011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67Two slid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큰 슬라이드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는 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에 결착되는 고정부,경사부,연장부,상기 고정부와 경사부를 연결하는 제1 주름연결부,및 상기 경사부와 연장부를 연결하는 제2 주름연결부를 갖는 판상의 세장형 플라스틱 동체로 이루어진다.이때,경사부는 제1 경사면부,제2 경사면부,및 이들 두 경사면부의 경계부의 일부만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연결부로 구성되고,상기 경사면 연결부로부터 제2 경사면부로 이격하여 횡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이 횡방향 절개부와 상기 경사면 연결부 사이에 종방향 절개부가 형성된다.또한,제1 경사면부의 바닥면에는 제1 돌기가 형상되고,제2 경사면부의 바닥면에는 제2 돌기가 형성되어서 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부를 결착시켜 분리장치를 설치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의해 제1 경사면부와 제2 경사면부가 내측 이동레일을 향해 V 자형으로 돌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의도적인 경우에만 서랍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반복적인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슬라이드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내구성,슬라이드,분리장치,서랍

Description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Slide with a disconnecting mechanism}
도1은 공지의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분리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분리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가 외측 이동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가 외측 이동레일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6은 도5의 A-A 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 스토퍼가 부착된 내측 이동레일의 부분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외측 스토퍼의 사시도.
도9~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
본 발명은 내구성이 큰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서랍을 책상이나 캐비넷 등의 본체에 대해 인입,인출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슬라이드가 사용되며,슬라이드는 서랍의 양 측벽 또는 서랍 밑바닥의 양 측면에 부착된다.
때로는 서랍의 수리,보수 등을 위해 서랍을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분리시킬 필요가 있으므로,서랍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장치가 슬라이드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때,분리장치는 서랍이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우연적이거나 의도하지 않은 서랍의 분리는 방지하며,의도적인 경우에만 서랍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나아가서 분리장치는 반복적인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특허 제6,238,031호에는 서랍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분리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 분리장치가 적용되는 슬라이드(1)는,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내측 스토퍼(10a)와 정지돌기(10b)를 갖는 고정레일(10),제1 볼리테이너(11)와 결합하는 결합돌기(12a)와 제2 볼리테이너(13)를 정지시키는 정지돌기(12b)를 가지며 고정레일(10) 내에 위치되는 내측 이동레일(12),내측 이동레일(12) 상에 위치되는 외측 이동레일(14)을 포함한다.고정레일(10)은 본체 측벽에 고정되고 외측 이동레일(14)은 서랍 측벽에 고정되어서 슬라이드(1)는 서랍을 본체에 대해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내측 이동레일(12)의 일단부,즉 결합돌기(12a)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제2 볼리테이너(13)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내측 이동레일(12)의 단면형상에 상응하는 단면형상을 하는 외측 스토퍼(16)가 구비된다.이때,다수의 볼이 구비된 제1 볼리테이너(11) 와 제2 볼리테이너(13)가 각각 고정레일(10)과 내측 이동레일(12),내 측 이동레일(12)과 외측 이동레일(14) 사이에 위치되어서 내측 이동레일과 외측 이동레일이 활주운동 할 수 있게 한다 제1 볼리테이너(11)는 내측 스토퍼(10a)와 정지돌기(10b) 사이를 활주운동하며,제2 볼리테이너(13)는 정지돌기 (12b)와 외측 스토퍼(16) 사이를 활주운동함으로써 슬라이드(1)는 3단 망원경 식으로 접철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 분리장치(18)는 일측 단부에는 삽입공(80)이 구비되고,다른 단부에는 파지공(82)이 위치되며,상기 두 단부 사이에는 두개의 경사면(84,86)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동체로 되어 있다.경사면(86)의 단면은 경사면(84)과 만나는 쪽이 얇아지는 사다리꼴 모양이며,두 경사면(84,86) 사이에는 돌출턱(84a)이 형성된다.상기 분리장치(18)는 외측 이동레일(14)의 결착돌기(14a)를 삽입공(80)에 삽입하여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즉 내측 이동레일(12)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다.
서랍의 완전 인출시,즉 외측 이동레일(14)이 인출방향으로 완전 이동시 상기 분리장치(18)의 돌출턱(84a)이 내측 이동레일(12)의 외측 스토퍼(16)에 걸려지며,따라서 서랍이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우연적이거나 의도하지 않은 서랍의 분리는 방지된다.서랍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외측 이동레일(14)의 완전 인출위치에서 손가락으로 상기 파지공(82)을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으로 가압한다.이는 두 경사면(84,86)이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으로 이동토록 하여 상기 돌출턱(84a)이 내측 이동레일(12)의 외측 스토퍼(16)에 걸려지지 않게 되므로 외측 이동레일(14)이 내측 이동레일(12)과 분리되고,이는 서랍이 본체로부터 분리됨을 의미한다.
상기 분리장치는 서랍이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의도적인 경우에만 서랍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그러나 슬라이드의 반복적인 사용시,반복적인 충격이 상기 돌출턱(84a)에 누적되고 이는 경사면,특히 경사면(84)이 돌출턱(84a)과 만나는 얇은 쪽에 파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이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우연적이거나 의도하지 않은 서랍의 분리는 방지하고,의도적인 경우에만 서랍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반복적인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슬라이드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레일,내측 이동레일,외측 이동레일,고정레일과 내측 이동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볼리테이너 및 내측 이동레일과 외측 이동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볼리테이너로 구성되되,내측 이동레일의 일단부에 외측 스토퍼가 결착되고,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내측 이동레일을 향하는 면)에 분리장치가 설치되어서 의도적인 경우에만 외측 이동레일이 내측 이동레일로부터 분리되는 슬라이드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는 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에 결착되는 고정부,경사부,연장부,상기 고정부와 경사부를 연결하는 제1 주름연결부,및 상기 경사부와 연장부를 연결하는 제2 주름연결부를 갖는 판상의 세장형 플라스틱 동체로 이루어진다.
이때,경사부는 제1 경사면부,제2 경사면부,및 이들 두 경사면부의 경계부의 일부만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연결부로 구성되고,상기 경사면 연결부로부터 제2 경사면부로 이격하여 횡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이 횡방향 절개부와 상기 경사면 연결부 사이에 종방향 절개부가 형성된다.
또한,제1 경사면부의 바닥면에는 제1 돌기가 형상되고,제2 경사면부의 바닥면에는 제2 돌기가 형성되어서 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부를 결착시켜 분리장치를 설치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의해 제1 경사면부와 제2 경사면부가 내측 이동레일을 향해 V 자형으로 돌출하게 된다.
상기 제2 경사면부의 종방향 길이가 제1 경사면부의 종방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이동레일의 바닥면과 측부면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예각의 홈부에 끼워지는 측돌출부가 상기 고정부와 연장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분리장치의 설치시 상기 제1 경사면부와 제2 경사면부가 내측 이동레일을 향해 V 자형으로 돌출할 때,상기 횡방향 절개부와 종방향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가 걸려지는 수직 걸림턱과 제2 볼리테이너의 일측 단부가 걸려지는 경사 걸림턱이 외측 스토퍼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분리장치는,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고정레일(10),내측 이동레일(12),외측 이동레일(14),고정레일과 내측 이동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볼리테이너(11) 및 내측 이동레일과 외측 이동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볼리 테이너(13)로 구성되되,내측 이동레일(12)의 일단부에 외측 스토퍼가 결착되는 공지 구성의 슬라이드에 적용된다.따라서,여기서는 슬라이드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범위에서만 설명한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100)는 고정부(110),경사부(180),연장부(160),상기 고정부(110)와 경사부(180)를 연결하는 제1 주름연결부(120),및 상기 경사부(180)와 연장부(160)를 연결하는 제2 주름연결부(150)를 갖는 판상의 세장형 플라스틱 동체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10)에는 결착공(1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100)를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내측 이동레일을 향하는 면)에 결착시키는 수단이 삽입된다.고정부(110)의 양 측면에는 측돌출부(1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또한 고정부(110)의 바닥면(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을 향하는 면)에는 바닥 돌기부(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측돌출부(118)와 바닥 돌기부(114)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경사부(180)는 제1 경사면부(130),제2 경사면부(140),및 경사면 연결부(170)로 구성된다.경사면 연결부(170)는 상기 두 경사면부(130,140)의 경계부의 일부만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되,아코디언의 주름부처럼 형성되어서 분리장치(100)의 설치시 두 경사면부(130,140)가 경사를 이루더라도 이들 두 경사면부(130,140)를 원활하게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또한 경사부(180)에는 상기 경사면 연결부(170)로부터 제2 경사면부(140)로 이격하여 위치되는 횡방향 절개부(172)가 형성되며,이 횡방향 절개부(172)와 경사면 연결부(170) 사이에 종방향 절개부(174)가 형성된다.
제1 경사면부(130)의 바닥면에는 제1 돌기(132)가 형상되고,제2 경사면부(140)의 바닥면에는 제2 돌기(146)가 형성된다.제2 돌기(146)는 제2 경사면(140)의 동체에 연결되는 탄성 변형부(144)의 단부에 형성된다.이들 돌기(132,146)는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부(110)를 결착시켜 분리장치(100)를 설치시 제1 경사면부(130)와 제2 경사면부(140)가 내측 이동레일(12)을 향해 V 자형으로 돌출하게 한다(도6 참조).
제2 경사면부(140)의 윗면에는 손가락 파지부(1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제2 경사면부(140)의 종방향 길이가 제1 경사면부(130)의 종방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이는,후술하는 바와 같이,외측 이동레일(14)을 내측 이동레일(12)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손가락 파지부(142)를 가압할 때,가압이 보다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연장부(160)는 제2 경사면부(140)의 일측에 형성되며,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손가락 파지부(164)가 그 윗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연장부(160)의 양 측면에도 고정부(110)처럼 측돌출부(1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코디언의 주름부처럼 형성되는 제1 주름연결부(120)와 제2 주름연결부(150)가 각각 고정부(110)와 경사부(180) 사이,경사부(180)와 연장부(160) 사이에 형성되어서,경사부(180)가 고정부(110) 및 연장부(16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고정부(110)와 경사부(180),경사부(180)와 연장부(160)를 원활하게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장치(100)는,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공지의 분리장치와 마 찬가지로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에 설치된다.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외측 이동레일(14)에는 그 일측에 고정레일(10)의 내측 스토퍼(10a)에 끼워지는 결착홈(14b)이 형성되어 있고,분리장치(100)의 고정면(110)의 결착공(112)에 삽입되는 고리형 돌기(14c)와 고정면(110)의 바닥 돌기부(114)가 삽입되는 홈(14d)이 형성된다.상기 고리형 돌기(14c)와 바닥 돌기부(114)에 의해 고정면(110)이 외측 이동레일(14)의 바닥면에 고정되므로 분리장치(100)가 외측 이동레일(14)의 바닥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리형 돌기(14c)를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에 형성시켜서 분리장치(100)를 고정시켰으나,별도의 나사나 리벳 결착에 의해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분리장치(100)를 슬라이드에 설치시,제1 경사면부(130)와 제2 경사면부(14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돌기(132)와 제2 돌기(146)에 의해 제1 경사면부(130)와 제2 경사면부(140)가 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으로부터 들려져서 내측 이동레일(12)을 향해 V 자형으로 돌출하게 한다(도6 참조).이때 경사부(180)의 횡방향 절개부(172)와 종방향 절개부(174)에 의해 제1 경사면부(130)에 형성되는 돌출부(136)(도2,도3 참조)가 V 자형의 첨두로부터 더욱 연장되어 외측 이동레일(14)의 측부면(14S)을 넘어 돌출하게 된다.
도5에 도시된 부분 측단면도를 참조하면,슬라이드 분리장치(100)의 고정부(110)를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에 고정하여 분리장치(100)를 설치할 때,연장부(16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돌출부(162)가 고정레일(14)의 측부면과 바닥면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예각의 홈부에 끼워지며,마찬가지로 고정부(110)의 측돌출부 (118)도 상기 예각의 홈부에 끼워지게 된다.이렇게 하여 측돌출부(118,162)는 분리장치(100)가 외측 이동레일(14)의 내측면으로부터 들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12)에는 외측 스토퍼가 부착되는데,본 발명에 사용되는 외측 스토퍼(200)는,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종래의 것과 그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다.그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나,일측면에 경사 걸림턱(210)과 수직 걸림턱(220)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것과 상이하다.경사 걸림턱(210)은 외측 스토퍼(200) 동체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며,제2 볼리테이너(13)가 슬라이드의 최대 인출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상기 볼리테이너(13)의 단부측이 걸려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이는 슬라이드를 최대로 인출한 후 또는 서랍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결합시켜서 슬라이드를 인입위치로 이동시 외측 이동레일(14)이 제2 볼리테이너(13)와 충돌하지 않고 원활하게 제2 볼리테이너(13)를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한다.수직 걸림턱(220)은 분리장치(100)의 경사부(180)의 돌출부(136)와 결합하여 외측 이동레일(14)이 내측 이동레일(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그 자세한 작용은 후술한다.
이하에서는,도9~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100)가 부착된 외측 이동레일(14)이 내측 이동레일(12)에 결합된 상태(도9)에서 외측 이동레일(14)이 인출방향으로 이동하여 최대 인출 위치(도10)로 이동하면,분리장치(100)의 돌출부(136)가 내측 이동레일(12)에 부착된 외측 스토퍼(200)의 걸림턱(220)에 걸려지게 된다.따라서 외측 이동레일(14) 즉,서랍이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우연적이거나 의도하지 않은 서랍의 분리는 방지된다.반면에,의도적인 서랍의 분리를 위해서는 최대 인출위치에서 제2 경사면부(140)의 손가락 파지부(142) 부분을 손가락으로 가압하여야 한다(도11 참조).이와 같은 가압시 제2 경사면부의 탄성변형부(144)(도2,도3 참조)가 상기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 하며 동시에 분리장치(100)는 V 자 형태에서 평평한 상태로 펴지고,따라서 상기 돌출부(136)도 평평한 상태로 되므로 서랍은 본체로부터 분리가 된다.서랍의 결합은 마찬가지로 제2 경사면부(140)의 손가락 파지부(142) 부분을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분리장치(100)가 도11 상태로 되었을 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예를 들면,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는 고정레일,외측 스토퍼가 구비된 하나의 이동레일,및 볼리테이너로 구성된 2단 접철형 슬라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분리장치에 의하면,서랍이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우연적이거나 의도하지 않은 서랍의 분리는 방지하고,의도적인 경우에만 서랍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서랍의 반복적인 인입,인출시 상기 돌출부(136)가 외측 스토퍼(200)의 걸림턱과 반복적인 충돌을 하게 되더라도 충격력은 분리장치(100)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경사면 연결부(170)에 집중되지 않고 돌출부(136)를 통해 제1 경사면부(130) 동체 자체가 수용하므로,반복적인 충돌에도 돌출부(136)나 경사면 연결부 (170)에 파단이 일어나지 않는다.따라서 장시간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고정레일,내측 이동레일,외측 이동레일,고정레일과 내측 이동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볼리테이너 및 내측 이동레일과 외측 이동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볼리테이너로 구성되되,내측 이동레일의 일단부에 외측 스토퍼가 결착되고,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내측 이동레일을 향하는 면)에 분리장치가 설치되어서 의도적인 경우에만 외측 이동레일이 내측 이동레일로부터 분리되는 슬라이드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가 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에 결착되는 고정부,경사부,연장부,상기 고정부와 경사부를 연결하는 제1 주름연결부,및 상기 경사부와 연장부를 연결하는 제2 주름연결부를 갖는 판상의 세장형 플라스틱 동체로 이루어지되,
    경사부는 제1 경사면부,제2 경사면부,및 이들 두 경사면부의 경계부의 일부만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연결부로 구성되고,상기 경사면 연결부로부터 제2 경사면부로 이격하여 횡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이 횡방향 절개부와 상기 경사면 연결부 사이에 종방향 절개부가 형성되고,
    제1 경사면부의 바닥면(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을 향하는 면)에는 제1 돌기가 형상되고,제2 경사면부의 바닥면에는 제2 돌기가 형성되어서 외측 이동레일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부를 결착시켜 분리장치를 설치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의해 제1 경사면부와 제2 경사면부가 내측 이동레일을 향해 V 자형으로 돌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2. 제1항에 있어서,제2 경사면부의 종방향 길이가 제1 경사면부의 종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3. 제1항에 있어서,외측 이동레일의 바닥면과 측부면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예각의 홈부에 끼워지는 측돌출부가 상기 고정부와 연장부의 양 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4. 제1항에 있어서,분리장치의 설치시 상기 제1 경사면부와 제2 경사면부가 내측 이동레일을 향해 V 자형으로 돌출할 때,상기 횡방향 절개부와 종방향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가 걸려지는 수직 걸림턱과 제2 볼리테이너의 일측 단부가 걸려지는 경사 걸림턱이 외측 스토퍼의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1020050110503A 2005-11-18 2005-11-18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10063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503A KR100639921B1 (ko) 2005-11-18 2005-11-18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503A KR100639921B1 (ko) 2005-11-18 2005-11-18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921B1 true KR100639921B1 (ko) 2006-11-01

Family

ID=3762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503A KR100639921B1 (ko) 2005-11-18 2005-11-18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9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008Y1 (ko) 2001-03-05 2001-09-28 박윤식 볼베어링을 사용한 슬라이드레일 분리장치
JP2004113512A (ja) 2002-09-26 2004-04-15 Nippon Slide Kogyo Kk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機構
US20050017613A1 (en) 2003-06-23 2005-01-27 Paul Cirocco Front-release lock arrangement for slid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008Y1 (ko) 2001-03-05 2001-09-28 박윤식 볼베어링을 사용한 슬라이드레일 분리장치
JP2004113512A (ja) 2002-09-26 2004-04-15 Nippon Slide Kogyo Kk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機構
US20050017613A1 (en) 2003-06-23 2005-01-27 Paul Cirocco Front-release lock arrangement for slid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0426A2 (en) Double clip fastener device with retaining plate
JP3119210U (ja) スライドレールのスピード設置構造
US11140947B2 (en) Inserting buckle
US6238031B1 (en) Sliding track assembly for drawers
US20150132078A1 (en) Fixing apparatus, fixing apparatus removing structure and curtain airbag fixing apparatus
US6997529B1 (en) Synchronizing device for a tri-sector slide
US20110043087A1 (en) Slide rail buffering structure
US8833715B2 (en) Connection device for cable management arm and slide assembly
US7090320B2 (en) Coupling structure for a sliding track and a mounting bracket
US8292330B2 (en) Insertable tube system for a vacuum cleaner
EP2632240A2 (en) Connection device for cable management arm and slide assembly
US20160198855A1 (en) Slide rail assembly and mounting device thereof
CN111435261A (zh) 固定机构及其相关电子设备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JP2004538072A (ja) ガイドタブ及びガイドタブを組み込んだスライド
EP3440961B1 (en) Slide rail assembly and rail kit thereof
EP2161441B1 (en) Double locking connector for an injector
EP3041328B1 (en) Slide rail assembly
KR100639921B1 (ko)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US8885359B2 (en) Guide bracket and electronic device adopting the guide bracket
EP3799767B1 (en) Slide rail assembly and slide rail kit thereof
EP2896324B1 (en) A rack comprising a slide assembly and a chassis
EP3045074A1 (en) Slide rail assembly and mounting device thereof
US7156477B1 (en) Release-control stop member of a sliding rail assembly for drawer
CN211622952U (zh) 一种钥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