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664B1 -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 Google Patents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664B1
KR100639664B1 KR1020040099335A KR20040099335A KR100639664B1 KR 100639664 B1 KR100639664 B1 KR 100639664B1 KR 1020040099335 A KR1020040099335 A KR 1020040099335A KR 20040099335 A KR20040099335 A KR 20040099335A KR 100639664 B1 KR100639664 B1 KR 10063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diode
window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306A (ko
Inventor
유주용
Original Assignee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6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1One-way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는, 소정 전자제품의 전면에 설치되어 리모콘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하는 것으로, 유색 처리된 것이나, 하프 미러로 된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후방으로 상기 전자제품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을 수광하는 수광 다이오드와; 상기 수광 다이오드와 윈도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광 다이오드에 근접되게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상기 수광 다이오드에 전달되도록 빛을 통과시키는 통과부재와; 상기 통과부재의 전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한 빛을 상기 수광 다이오드까지 반사 및 굴절시켜 도달되게 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 및 굴절시켜 최대한 많은 양의 빛을 수광 다이오드에 수광되게 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빛의 수광 거리, 각도 특성이 향상됨으로써 전자제품으로부터 원거리나, 그 측면에서 리모콘을 동작시켜도 리모콘 작동이 가능해져, 따라서 리모콘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리모콘, 수광 다이오드, 윈도우

Description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STRUCTURE OF LIGHT RECEIVING PART FOR REMOTE CONTROLL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모콘
12. 발광 다이오드
20. 윈도우
40. 수광 다이오드
50. 통과부재
60. 렌즈
본 발명은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의 투과를 방해하는 윈도우가 사용되는 기기에서 수광부까지 도달하는 빛의 양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리모콘은 멀리 떨어져서 무선으로 기계를 조종한다는 의미를 지닌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의 줄임말로, 전자제품에 손을 대지 않고도 스위치를 켜거나 끄고, 채널을 바꿀 수 있는 편리한 기계인 리모콘은 바로 전자기파를 이용한 것이다.
전자기파란 빛과 전파, 적외선, 자외선, X선을 통칭하는 것인데 이 중 빛(가시광선)만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다.
우리가 리모콘의 버튼을 눌러 명령을 내리면 리모컨의 앞쪽에 달린 전구에서 적외선이나 초음파, 전파 등이 나간다. 보통 일반 가정에서 TV시청을 위해 이용하는 리모콘은 가시광선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적외선을 사용한다.
그리고 기계 속에서 적외선을 만드는 것은 발광 다이오드라고 불리는 반도체이고, 반대로 적외선을 받아들이는 것은 수광 다이오드라고 한다. 즉, 리모콘 내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있고, TV나 오디오 등 전자제품에는 수광 다이오드가 있다.
따라서 리모콘으로 TV 채널 7번을 누르면 이미 입력돼 있는 고유 주파수를 지닌 적외선이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사되고, TV에서는 채널 7을 작동시키도록 돼 있는 수광 다이오드가 신호를 받아들여 화면을 채널 7로 바꾸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을 작동하기 위해 리모콘(10)의 스위치(11)를 누르면, 리모콘(10)의 발광 다이오드(12)가 빛을 발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12)의 빛은 전자제품의 윈도우(window)(20)를 통과하고, 통과된 빛이 흡수부재(30)를 통과하게 되고, 다시 흡수부재(30)를 통과한 빛은 수광 다이오드(40)에 도달하게 되어 전자제품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 윈도우(20)는 통상 비발광형의 LCD(액정표시소자)나, 발광형의 유기EL(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FED(전계방출소자 디스플레이), VFD(진공형광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색 처리를 하여 제조하거나, 하프 미러(half mirror)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흡수부재(30)는 빛의 흡수를 위해 수광 다이오드(40)에 밀착되게 수광 다이오드(40)로 돌출되며 형성된 돌기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유색 처리로 이루어진 윈도우(20)나 하프 미러로 된 윈도우(20)의 경우에는, 전자제품이지만 상기 윈도우(20)가 없는 것이나, 무색의 또는 투명한 윈도우에 비해 빛의 투과율이 떨어진다. 실제 수광 다이오드(40)에 도달하는 빛의 양은 빛의 산란이나 굴절, 수광 다이오드(40) 전면에 설치된 흡수부재(30) 등의 구조물에 흡수됨에 따라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거리가 떨어진 곳이나 측면에서 리모콘(10) 동작을 시키면 안 되는 경우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유색 처 리나 하프 미러로 된 윈도우를 사용하여도 수광 다이오드까지 빛의 양이 일정하게 도달되도록 한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는, 소정 전자제품의 전면에 설치되어 리모콘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하는 것으로, 유색 처리된 것이나, 하프 미러로 된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후방으로 상기 전자제품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을 수광하는 수광 다이오드와; 상기 수광 다이오드와 윈도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광 다이오드에 근접되게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상기 수광 다이오드에 전달되도록 빛을 통과시키는 통과부재와; 상기 통과부재의 전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한 빛을 상기 수광 다이오드까지 반사 및 굴절시켜 도달되게 하고, 볼록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렌즈는 상기 통과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후면에 소정 깊이로 인입되며 형성된 인입홈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통과부재의 상기 돌출부 중앙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직접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는, 예컨대, 오디오, TV, DVD 등의 전자제품의 전면에 설치되어 리모콘(10)의 발광 다이오드(12)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빛의 투과를 방해하는 유색 처리된 것이나, 하프 미러로 된 윈도우(20)와, 이 윈도우(20)의 후방으로 전자제품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 다이오드(12)의 빛을 수광하는 수광 다이오드(40)와, 이 수광 다이오드(40)와 윈도우(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광 다이오드(40)에 근접되게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발광 다이오드(12)의 빛이 수광 다이오드(40)에 전달되도록 빛을 통과시키는 통과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에는, 상기 통과부재(50)의 전면으로 설치되어 윈도우(20)를 통과한 빛을 수광 다이오드(40)까지 반사 및 굴절시켜 도달되게 하는 렌즈(lens)(60)가 구비된다.
상기 렌즈(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렌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렌즈(60)는 통과부재(50)의 돌출부(51)의 형성됨에 따라 그 후면에 소정 깊이로 인입되며 형성된 인입홈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통과부재(50)의 돌출부(51) 중앙에는 발광 다이오드(12)의 빛이 직접 통과되도록 관통공(5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렌즈(60)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볼록렌즈를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광 다이오드(4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또는 빛의 통과 형태에 따라 오목렌즈 또는 평면렌즈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는, 윈도우(20)와 수광 다이오드(40) 사이에 빛의 성질, 즉 반사, 굴절 등을 이용한 렌즈(60)를 추가하여 설치함으로써 수광 다이오드(40)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자제품의 디자인이나 구조상 수광 다이오드(40) 전면의 관통시킨 홀을 작게 함으로써 리모콘(10) 수광에 어려움이 있을 때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렌즈(60)를 통과부재(50)의 인입홈에 설치하여 윈도우(20)를 통과한 빛을 도 3의 원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60)가 빛의 반사(A)와, 빛의 굴절(B) 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최대한 수광 다이오드(40)에 도달되게 한다.
특히, 상기 통과부재(50)의 전면에 관통공(51a)을 형성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12)의 빛이 최대한 수광 다이오드(40)에 도달되게 된다.
종래에는 전자제품에서는 빛의 측면 각도가 40도 밖에 나오지 않았으나, 상기 렌즈(60)를 적용한 결과 80도까지 나왔다.
그리고 직선거리도 렌즈(60)의 면을 볼록이나 오목하게 하여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수광 다이오드(40)까지 도달하는 빛의 양을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수광 다이오드와 윈도우 사이에 렌즈를 설치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 및 굴절시켜 최대한 많은 양의 빛을 수광 다이오드에 수광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빛의 수광 거리, 각도 특성이 향상됨으로 써 전자제품으로부터 원거리에서나, 그 측면에서 리모콘을 동작시켜도 리모콘 작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리모콘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소정 전자제품의 전면에 설치되어 리모콘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하는 것으로, 유색 처리된 것이나, 하프 미러로 된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후방으로 상기 전자제품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을 수광하는 수광 다이오드와;
    상기 수광 다이오드와 윈도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광 다이오드에 근접되게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상기 수광 다이오드에 전달되도록 빛을 통과시키는 통과부재와;
    상기 통과부재의 전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한 빛을 상기 수광 다이오드까지 반사 및 굴절시켜 도달되게 하고, 볼록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렌즈는 상기 통과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후면에 소정 깊이로 인입되며 형성된 인입홈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통과부재의 상기 돌출부 중앙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직접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오목렌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평면렌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5. 삭제
  6. 삭제
KR1020040099335A 2004-11-30 2004-11-30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KR10063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35A KR100639664B1 (ko) 2004-11-30 2004-11-30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35A KR100639664B1 (ko) 2004-11-30 2004-11-30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06A KR20060060306A (ko) 2006-06-05
KR100639664B1 true KR100639664B1 (ko) 2006-10-30

Family

ID=3715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335A KR100639664B1 (ko) 2004-11-30 2004-11-30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84B1 (ko) * 2018-09-21 2020-06-09 세메스 주식회사 가열 처리 유닛,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가열 방법
KR102500524B1 (ko) * 2022-01-20 2023-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167A (ja) 1996-08-15 1998-03-06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0133821A (ja) * 1998-10-26 2000-05-12 Sharp Corp リモコン受光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167A (ja) 1996-08-15 1998-03-06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0133821A (ja) * 1998-10-26 2000-05-12 Sharp Corp リモコン受光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06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6620B2 (en) Proximity sensor device with internal channeling section
KR10233158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201303223A (zh) 照明組件
US8711334B2 (en) Light barrier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s
WO2014044181A1 (zh) 红外触摸屏
CN110300950B (zh) 触摸感测系统中的光学耦合
US20100098430A1 (en) Free space optical communication with optical film
US10996390B2 (en) Light guide plate, optical structure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JP6114924B2 (ja) 受光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US10115539B2 (en) Luminated ke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TWI526898B (zh) 光學觸控面板及其導光模組
WO2007138583B1 (en) Optically driven antenna
KR100639664B1 (ko) 리모콘용 수광부 구조
WO2011052379A1 (ja) 導光ユニット及び入力装置
JP6017054B2 (ja) 表示装置
TWI555051B (zh) 發光模組及發光鍵盤
KR101866322B1 (ko) 전반사를 이용한 터치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법
CN113939703A (zh) 冰箱用透视门及具有其的冰箱
JP2004214058A (ja) 操作パネル入力装置
Choi et al. Light-Guiding Structure For Under-Display Sensor Modules
US11692870B2 (en) Proximity sensor using partial-transmissive-partial-reflective optical element with a same light transmission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06494B (zh) 電子裝置
JP5000423B2 (ja) 静止画像表示装置
TWI680386B (zh) 發光滑鼠墊
CN109032398B (zh) 发光鼠标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