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432B1 -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 Google Patents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432B1
KR100639432B1 KR1020050043026A KR20050043026A KR100639432B1 KR 100639432 B1 KR100639432 B1 KR 100639432B1 KR 1020050043026 A KR1020050043026 A KR 1020050043026A KR 20050043026 A KR20050043026 A KR 20050043026A KR 100639432 B1 KR100639432 B1 KR 10063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ngle
angle adjusting
station antenna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01Q3/0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over a restricted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Abstract

고층건물 및 등산로 등과 같은 음영지역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가 개시된다.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기지국용 철탑에는 수직한 상태로 지지대가 설치된다. 지지대에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일측이 지지대에 클램핑되는 연결부재가 설치된다. 연결부재에는 상,중,하부로 각각 분할 형성되는 안테나를 각각 설치하되, 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안테나의 중간부재가 고정장착되고, 중간부재의 상,하부에는 안테나의 상,하부 회동부재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는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광중계기 및 철탑, 전주 등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주변환경에 따른 각도조절을 통해 상,하부 회동부재의 상향, 하향 개별적 지향 또는 상향, 하향 동시 지향시켜 통화권 영역을 넓힘으로써, 고층건물 및 등산로 등과 같은 음영지역에 대한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지국, 안테나, 상향, 하향, 고층건물, 등산로

Description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BASE-STATION ANTENNA HAVING AN ANGLE CONTRO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안테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안테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대의 장홈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안테나의 평면도,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기지국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지지대 20 : 연결부재
24 : 외측안내부 26 : 내측안내부
30 : 안테나 32 : 중간부재
34 : 상부 회동부재 34A : 상향 각도조절부
36 : 하부 회동부재 36A : 하향 각도조절부
40 : 체결나사
본 발명은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안테나를 상,중,하부로 각각 분할 형성하고, 안테나 상,하부의 각도조절에 따른 상향, 하향 개별적 지향 또는 동시 지향을 통해서 고층건물 및 등산로 등과 같은 음영지역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전파의 도달거리를 최대한 늘려 고객에게 최상의 통화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도심 건물 옥상의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광중계기 및 도심 근교의 기지국용 철탑, 전주 등에 설치된다.
도 10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기지국 안테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지국 안테나의 구성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심 건물 옥상의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광중계기 및 도심 근교의 기지국용 철탑, 전주 등에 수직 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대(100), 지지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지지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00), 연결부재(2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연결부재(200)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반사판(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되는 안테나(300)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결부재(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일측에는 지지대(100)에 클램핑되기 위한 공지된 형상의 클램프부(2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안테나(300)가 볼트를 의해 고정장착된다. 여기서 연결부재(200)의 클램프부(210)가 지지대(100)에 클램핑되는 것은 공지된 기술적 사상으로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기지국 안테나는 셀 커버리지를 크게 하기 위해 안테나의 주 빔이 지평선 쪽을 향하도록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광중계기 및 철탑, 전주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에 내/외부적으로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어 전파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경우에 한쪽으로만 서비스의 방향이 진행되므로 도심의 고층건물 및 도심 근교의 등산로 등과 같은 음영지역의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역지역의 통화품질 저하로 이들 지역에 상주하는 고객들의 통화품질관련 불만이 증가 추세에 있어 품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전화 기지국, 광중계기, 철탑 및 전주 등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를 상,중,하부로 각각 분할 형성하고, 안테나의 주변환경에 따 른 상,하부의 각도조절에 통해 상향, 하향의 개별적 지향 또는 동시 지향시켜 고층건물 및 등산로 등과 같은 음영지역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전화 기지국, 광중계기, 철탑 및 전주 등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일측이 지지대에 클램핑되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연결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는 안테나로 이루어진 기지국 안테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동되어 상향, 하향 개별적 지향 또는 동시 지향되도록 각도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배면에 고정장착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상,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각도조절되도록 회동되는 상,하부 회동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회동부재의 힌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 1체결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양단이 외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외측안내단이 형성되는 외측안내부; 상기 하부 회동부재의 힌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 2체결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양단에 내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내측안내단이 형성되는 내측안내부; 및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배면에 호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외,내측안내부의 외,내측안내단 사이로 안내되고,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을 위해 체결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도록 각도조절공이 형성되는 상,하향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배면에는 상,하부 회동부재가 상호 회동시 상기 상,하향 각도조절부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하향 각도조절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삽입공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각도조절공은 상,하부 회동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수직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상,하향 각도안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5°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각도조절공은 상기 상,하향 각도안내부와 동일한 호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홈; 및 상기 연결부재와 평행하도록 일측은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상,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장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타측에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을 위해 체결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지지볼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상,하부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힌지부; 상기 연결부재와 평행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힌지부에 각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각각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 및 전면의 양측에 상기 연결링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공으로 통과되는 볼트에 너트가 결합되어 연결링크의 각 타측이 돌출부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들 사이로 상기 연결링크의 각 타측과 상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지지대에 클램핑되도록 클램핑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는 지지대에 일측이 클램핑되어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타측에 분할 형성되는 안테나의 중간부재를 고정장착시키고, 중간부재의 상,하부에 안테나의 상,하부 회동부재를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하 회동부재의 각도조절에 따른 상향, 하향의 개별적 지향 또는 동시 지향을 통해서 고층건물 및 등산로 등과 같은 음영지역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안테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안테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는 도심 건물 옥상의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광중계기 및 도심 근교의 기지국용 철탑, 전주 등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0), 지지대(10)에 수평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 그리고 연결부재(20)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어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0)를 포함한다.
지지대(10)는 안테나(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전화 기지국, 광중계기, 철탑 및 전주 등에 공지된 설치수단, 예를 들면 용접, 볼트 등을 통해 수직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대(10)에는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해 안테나(30)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는 안테나(30)가 지지대(10)에 지지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ㄷ’자 형상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일측에는 지지대(10)에 클램핑되기 위한 공지된 형상의 클램프부(22)가 구비된다. 연결부재(20)의 상부 양측에는 제 1체결공(24A)이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외측안내부(24)가 각각 돌출하여 형성된다. 외측안내부(24)의 양단에는 외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외측안내단(24B)이 형성된다.
연결부재(20)의 하부 양측에는 외측안내부(24)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제 2체결공(26A)이 형성되도록 내측안내부(26)가 돌출형성된다. 내측안내부(26)의 양단에는 내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내측안내단(26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외,내측안내단(24,26)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20)는 지지대(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측에 형성된 클램프부(22)가 지지대(10)에 클램핑되어 고정되고, 타 측에는 안테나(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연결부재(20)의 클램프부(22)가 지지대(10)에 클램핑되는 것은 공지된 기술적 사상으로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안테나(30)는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30)는 연결부재(20)의 타측에 배면이 볼트를 통해 고정장착되는 중간부재(32), 그리고 중간부재(32)의 상,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를 포함한다.
이때, 안테나(30)의 내부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반사판(도면에 미도시)이 각각 설치된다.
중간부재(32)의 상,하부에는 힌지(33A,33B)에 의해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33A,33B)는 외,내측안내부(24,26)의 제 1,2체결공(24A,26A)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상부 회동부재(34)의 배면에는 연결부재(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외측안내부(24)의 외측안내단(24B) 사이로 안내되도록 힌지(33A)를 중심으로 호형상을 갖는 상향 각도조절부(34A)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회동부재(36)의 배면에는 연결부재(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내측안내부(26)의 내측안내단(26B) 사이로 안내되도록 상부 회동부재(34)의 상향 각도조절부(34A)와 마찬가지로 힌지(33B)를 중심으로 호형상의 하향 각도조절부(36A)가 형성된다. 이때, 외,내측안내단(24B,26B)의 곡률은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에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을 위해 체결나사(40)가 관통되어 외,내측안내부(24,26)의 제 1,2체결공(24A,26A)에 나사결합되도록 각도조절공(34B,36B)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각도조절공(34B,36B)은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상향, 하향에 따른 다양한 각도조절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에 5°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의 각도조절공(34B,36B)을 통해 각도조절되어 회동되는 상,하부 회동부재(34A,36A)의 회동범위는 연결부재(20)를 기준으로 각각 0°∼90°이다.
본 실시 예에서의 상,하부 회동부재(34A,36A)는 안테나(30)가 설치되는 주변환경에 따라서 상향, 하향 지향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각도조절 되거나 상향, 하향 동시 지향되도록 각도 조절될 수도 있다.
이때, 상,하부 회동부재(34A,36A)의 상향, 하향 동시 지향에 따른 회동각도는 연결부재(20)를 기준으로 각각 45°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배면에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상향, 하향 동시 지향되도록 각도조절될 경우에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에 의한 상호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와 상응하는 위치에 삽입공(35,37)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공(35,37)은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 기능 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는 이동전화 기지국, 광중계기, 철탑 및 전주 등에 설치된 지지대(10)에 일측이 클램핑되어 수평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20)의 타측에 상,하부가 회동되어 각도조절되도록 수직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기지국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려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안내부(24)의 제 1체결공(24A)에 나사결합된 체결나사(40)를 풀고, 상부 회동부재(34)를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부 회동부재(34)는 연결부재(20)에 고정장착된 중간부재(32)의 상부에 힌지(33A)로 결합되기 때문에 힌지(33A)를 중심으로 일정한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된다. 이때, 상부 회동부재(34)의 상향 각도조절부(34A)는 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측안내부(24)의 외측안내단(24B)은 상향 각도조절부(34A)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향 각도조절부(34A)가 외측안내단(24B)의 사이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상부 회동부재(34)가 외측안내부(24)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어 상향 각도조절부(34A)의 각도조절공(34B)이 외측안내부(24)의 제 1체결공(24A)과 일치되면, 다시 체결나사(40)를 각도조절공(34B)을 통해 제 1체결공(24A)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상향 각도조절부(34A)가 체결나사(40)에 의해 외측안내부(24)에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므로 상부 회동부재(34)는 설정된 방향으로 지향된다.
계속해서 상부 회동부재(34)가 설정된 방향을 지향하도록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면, 내측안내부(26)의 제 2체결공(26A)에 나사결합된 체결나사(40)를 풀고, 하 부 회동부재(36)를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하부 회동부재(36)는 연결부재(20)에 고정장착된 중간부재(32)의 하부에 힌지(33B)로 결합되기 때문에 힌지(33B)를 중심으로 일정한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된다. 이때, 하부 회동부재(36)의 하향 각도조절부(36A)는 상향 각도조절부(34A)와 마찬가지로 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측안내부(26)의 내측안내단(26B)은 하향 각도조절부(36A)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향 각도조절부(36A)가 내측안내단(26B)의 사이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하부 회동부재(36)가 내측안내부(26)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어 하향 각도조절부(36A)의 각도조절공(36B)이 내측안내부(26)의 제 2체결공(26A)과 일치되면, 다시 체결나사(40)를 각도조절공(36B)을 통해 제 2체결공(26A)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하향 각도조절부(36A)가 체결나사(40)에 의해 내측안내부(26)에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므로 하부 회동부재(36)는 설정된 방향으로 지향된다.
상기와 같은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에 형성된 각도조절공(34B,36B)은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수직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향 각도안내부(34A,36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5°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하부 회동부재(34,36)는 연결부재(20)를 기준으로 수직된 상태에서 각각 0°∼90°까지 회동되어 각도조절되고, 체결나사(40)에 의해 외,내측안내부(24,26)에 각각 설정된 각도로 고정된다.
한편,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상향, 하향 동시 지향되도록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어 각도조절될 경우에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가 각각 상,하부 회동 부재(34,36)의 배면에 접촉되어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배면에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삽입공(35,37)에 의해 상호 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즉,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상향, 하향 동시 지향되도록 회동되면,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의 끝단이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삽입공(35,37)으로 각각 삽입되므로 상호 간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이동전화 기지국, 광중계기, 철탑 및 전주 등의 안테나(30)가 설치되는 주변환경에 따라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상향, 하향 개별적 지향되도록 설정된 각도로 각도조절될 뿐만 아니라,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상향, 하향 동시 지향되도록 설정된 각도조절되는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도심 건물 옥상의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광중계기 및 도심 근교의 기지국용 철탑, 전주 등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0), 지지대(10)에 수평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 그리고 연결부재(20)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어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제 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즉,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에 형성되는 각도조절공(38A,38B)은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고, 각도조절공(38A,38B)의 가장자리에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회동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각도눈금(39)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도눈금(39)은 0°∼90°까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구조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려는 경우, 외,내측안내부(24,26)의 제 1,2체결공(24A,26A)에 나사결합된 체결나사(40)를 풀고, 상,하부 회동부재(34,36)를 각도조절공(38A,38B)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각도눈금(39)을 확인하면서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외,내측안내부(24,26)에 의해 안내되면서 각도눈금(39)과 제 1,2체결공(24A,26A)이 일치되어 설정된 각도로 각각 회동되면 체결나사(40)를 각도조절공(38A,38B)을 통해 제 1,2체결공(24A,26A)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가 체결나사(40)에 의해 외,내측안내부(24,26)에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므로 상,하부 회동부재(34,36)는 각각 설정된 방향으로 지향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의 기지국 안테나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상 ,하향 각도조절부(34A,36A)에 형성된 각도조절공(38A,38B)이 상,하향 각도조절부(34A,36A)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하부 회동부재(34,36A)의 각도조절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지지대의 장홈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도심 건물 옥상의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광중계기 및 도심 근교의 기지국용 철탑, 전주 등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0), 지지대(10)에 수평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 그리고 연결부재(20)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어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제 1,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즉, 지지대(10)에는 연결부재(20)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장홈(12)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장홈(12)은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수직된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장홈(12)의 가장자리에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회동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각도눈금(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도눈금(14)은 0°∼90°까지 형성된다.
또한,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상,하부에는 연결부재(20)와 평행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상,하부에 힌지로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장홈(12)을 통해 지지대(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지지볼트(50)가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볼트(50)는 체결너트(52)가 지지대(10)에 밀착되도록 나사결합되어 지지대(10)에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2실시 예에서 상,하부 회동부재(34,36)와 연결부재(20)에 각각 구비되는 각도조절수단은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구조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려는 경우, 지지대(10)에 밀착되도록 지지볼트(50)에 나사결합된 체결너트(52)를 풀고, 상,하부 회동부재(34,36)를 장홈(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각도눈금(14)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회동되어 연결부재(20)와 평행을 이루는 지지볼트(50)가 설정된 각도눈금(14)과 일치되면 체결너트(52)가 지지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지지볼트(50)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지지볼트(50)는 지지대(10)에 밀착되는 체결너트(52)에 의해 지지대(10)에 고정되고, 상,하부 회동부재(34,36)는 지지볼트(50)에 지지되어 각각 설정된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의 기지국 안테나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시 지지대(10)에 밀착되도록 지지볼트(5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 나사(52)의 조임과 풀림의 간단한 과정을 통해 상,하부 회동부재(34,36)를 회동시켜 설정된 각도로 고정함으로써,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각도조절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안테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도심 건물 옥상의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광중계기 및 도심 근교의 기지국용 철탑, 전주 등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0), 지지대(10)에 수평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 그리고 연결부재(20)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어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제 1,2,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즉,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상,하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힌지부(60)가 각각 형성된다. 힌지부(60)에는 연결부재(20)와 상호 평행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각 일측이 힌지부(6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62)가 구비된다. 연결링크(62)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공(64)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10)에는 전면의 양측에 연결링크(62) 방향으로 돌출부(67)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부(67)들 사이로 연결링크(62)의 각 타측과 상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68)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배면에 지지대(10)에 클램핑되도록 클램핑부(69)가 형성된 고정부재(66)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부재(66)는 클램핑부(69)가 지지대(10)에 클램핑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부재(66)의 클램핑부(69) 형상 및 클램핑부(69)가 지지대(10)에 클램핑되는 것은 공지된 기술적 사상으로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66)에는 돌출부(67)를 관통하여 가이드공(64)으로 통과되는 볼트(70A)에 너트(70B)가 결합되어 연결링크(62)의 각 타측이 돌출부(67)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2,3실시 예에서 상,하부 회동부재(34,36)와 연결부재(20)에 각각 구비되는 각도조절수단은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구조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2,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려는 경우, 연결링크(62)의 각 타측이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돌출부(67)를 관통하여 가이드공(64)으로 통과되는 볼트(70A)에 결합된 너트(70B)를 푼다. 이때, 너트(70B)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회동시 연결링크(62)가 고정부재(66)에서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공(64)을 통해 볼트(70A)에 안내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66)의 돌출부(67)에 연결링크(62)의 고정된 상태만 해제되게 볼트(70A)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푼다. 그리고 클램핑부(69)를 통해 지지대(10)에 클램핑된 고정부재(66)의 클램핑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고정부재(66)를 지지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면, 고정부재(66)의 돌출부(67)를 관통하는 볼트(70A)에 가이드공(64)이 안내되면서 연결부재(62)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이드홈(68)을 통해 고정부재(66)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과정을 통해 상,하부 회동부재(34,36)가 각각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면, 고정부재(66)의 클램핑부(69)를 지지대(10)에 클램핑시키고, 연결링크(62)가 고정부재(66)에 고정되도록 볼트(70A)에 너트(70B)를 다시 조인다. 그러면, 지지대(10)에 클램핑된 고정부재(66)에 연결링크(62)가 고정되므로 상,하부 회동부재(34,36)는 연결링크(62)에 지지되어 각각 설정된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의 기지국 안테나는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시 연결링크(62)와 고정부재(66)를 결합시키는 볼트(70A)에 결합된 너트(70B)를 풀고, 지지대(10)에 클램핑부(69)를 통해 클램핑된 고정부재(66)의 클램핑상태를 해제시켜 연결부재(20)와 평행하도록 연결링크(62)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각도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지지대(10)에 고정부재(66)를 클램핑시키고 볼트(70A)에 결합된 너트(70B)를 조임으로써, 상,하부 회동부재(34,36)의 각도조절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안테나를 상,중,하부로 각각 분할 형성하고, 안테나의 상,하부 각도조절에 따른 상향, 하향 개별적 지향 또는 동시 지향을 통해서 고층건물 및 등산로 지역에 대한 통화품질을 개선시켜 음역지역에 상주하는 고객들의 통화품질관련 불만을 예방하고, 이들 음영지역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기지국용 철탑 등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일측이 지지대에 클램핑되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연결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는 안테나로 이루어진 기지국 안테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동되어 상향, 하향 개별적 지향 또는 동시 지향되도록 각도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배면에 고정장착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상,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각도조절되도록 회동되는 상,하부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회동부재의 힌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 1체결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양단이 외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외측안내단이 형성되는 외측안내부;
    상기 하부 회동부재의 힌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제 2체결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양단에 내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내측안내단이 형성되는 내측안내부; 및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배면에 호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외,내측안내부의 외,내측안내단 사이로 안내되고,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을 위해 체결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도록 각도조절공이 형성되는 상,하향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내측안내단은 상기 상,하향 각도조절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배면에는 상,하부 회동부재가 상호 회동시 상기 상,하향 각도조절부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하향 각도조절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삽입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각도조절공은 상,하부 회동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수직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상,하향 각도안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5°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각도조절공은 상,하향 각도안내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홈; 및
    상기 연결부재와 평행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은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상,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장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타측에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을 위해 체결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공과 상기 장홈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른 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각도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상,하부 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힌지부;
    상기 연결부재와 평행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힌지부에 각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각각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 및
    전면의 양측에 상기 연결링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공으로 통과되는 볼트에 너트가 결합되어 연결링크의 각 타측이 돌출부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들 사이로 상기 연결링크의 각 타측과 상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지지대에 클램핑되도록 클램핑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청구항 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회동부재의 회동범위는 상기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각각 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KR1020050043026A 2005-05-23 2005-05-23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KR100639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026A KR100639432B1 (ko) 2005-05-23 2005-05-23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026A KR100639432B1 (ko) 2005-05-23 2005-05-23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432B1 true KR100639432B1 (ko) 2006-10-30

Family

ID=3762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026A KR100639432B1 (ko) 2005-05-23 2005-05-23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4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1866A (zh) * 2018-10-19 2019-03-01 江苏中伟业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5g天线支架
WO2020197251A1 (ko) * 2019-03-25 2020-10-01 김문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20210021436A (ko) * 2019-08-18 2021-02-26 김문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CN112993520A (zh) * 2021-02-10 2021-06-18 沈阳竞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专用于5g信号rru天线安装及固定的工艺
CN113131177A (zh) * 2021-02-26 2021-07-16 上海国动网络通信有限公司 一种低压线路通讯的5g通讯基站及使用方法
WO2021243494A1 (zh) * 2020-05-31 2021-12-09 南京唐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5g基站快速安装的支撑安装装置及方法
CN116315673A (zh) * 2023-05-22 2023-06-23 哈尔滨途通科技有限公司 一种5g天线安装结构及角度调节系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1866A (zh) * 2018-10-19 2019-03-01 江苏中伟业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5g天线支架
WO2020197251A1 (ko) * 2019-03-25 2020-10-01 김문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20210021436A (ko) * 2019-08-18 2021-02-26 김문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102396891B1 (ko) * 2019-08-18 2022-05-12 김문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WO2021243494A1 (zh) * 2020-05-31 2021-12-09 南京唐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5g基站快速安装的支撑安装装置及方法
CN112993520A (zh) * 2021-02-10 2021-06-18 沈阳竞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专用于5g信号rru天线安装及固定的工艺
CN113131177A (zh) * 2021-02-26 2021-07-16 上海国动网络通信有限公司 一种低压线路通讯的5g通讯基站及使用方法
CN116315673A (zh) * 2023-05-22 2023-06-23 哈尔滨途通科技有限公司 一种5g天线安装结构及角度调节系统
CN116315673B (zh) * 2023-05-22 2023-10-24 哈尔滨途通科技有限公司 一种5g天线安装结构及角度调节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432B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US11264696B2 (en) Multi-antenna mounting device and multi-antenna assembly
US7027007B2 (en) Antenna mast and device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an antenna
US10734719B1 (en) Low-PIM channel runner assembly and cable support rail system
US20010015707A1 (en) Adjustable antenna mount with rotatable antenna brackets for PCS and other antennas
US20030042374A1 (en)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a tile roof
US20220328949A1 (en) Clamping device for base station antenna
CA2011328C (en) Support downtilt bracket for mounting an antenna on a metallic tower
US11437801B1 (en) Low-PIM multi-function mounting system
KR101455691B1 (ko) 설치방향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장치
WO2005076406A1 (ja) ル−ネベルグレンズアンテナ装置
KR100422324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섹터 통합형 안테나
KR102145149B1 (ko)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CN101599579B (zh) 高交叉极化比天线及其双极化辐射单元
US6745051B1 (en) Six sector antenna structure
US20030189527A1 (en) Universal antenna mount
JP5123751B2 (ja) 遮蔽体およびレピータ局
KR102118830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US11708918B1 (en) Grip enhancing low-PIM cable tie anchor
KR20190093854A (ko) 이동통신 안테나 위장 장치
JPH0851311A (ja) 簡易fpu架台装置
KR101047123B1 (ko) 위성방송용 수신안테나의 마운팅장치
CN212392363U (zh) 射灯天线的固定装置
JP3753376B2 (ja) アンテナ支持構造
KR200325090Y1 (ko) 안테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