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830B1 -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830B1
KR102118830B1 KR1020190094635A KR20190094635A KR102118830B1 KR 102118830 B1 KR102118830 B1 KR 102118830B1 KR 1020190094635 A KR1020190094635 A KR 1020190094635A KR 20190094635 A KR20190094635 A KR 20190094635A KR 102118830 B1 KR102118830 B1 KR 10211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ase station
camouflag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규
조현숙
Original Assignee
김문규
조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규, 조현숙 filed Critical 김문규
Priority to KR102019009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안테나 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에 설치되는 이동통신 안테나 및 중계기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장하기 위한 기지국 안테나 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주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들을 위장하기 위한 기지국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로서, 상기 지주상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고, 안테나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의 상측부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위장재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 상기 각도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지주에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한 후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위장재의 하측을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를 내부로 수용하는 위장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Antenna camouflage apparatus for base stations}
본 발명은 기지국 안테나 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에 설치되는 이동통신 안테나 및 중계기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장하기 위한 기지국 안테나 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지국은 건물의 옥상, 도로변, 야산 등에 다수의 안테나가 고정설치되어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용 기지국을 설치하는 경우 여러 통신상의 중계 안테나를 하나의 지주에 빼곡히 설치함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지 않아서 주변 환경을 해치고, 아울러 전자파 발생이 염려되는 혐오시설로 인정됨으로써 거부감이 심해 이에 대한 설치를 매우 꺼리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통신 기지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장 장치를 이용하여 가리게 되는데, 그 하나의 예로서 공개특허 10-2017-0057320(무선통신용 안테나의 환경 친화적 위장장치)에 나타나 있는데, 이를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장용 커버(110)는 안테나(10) 및 고정부재(20)를 감싸기 위하여 안테나(10) 및 고정부재(20)의 외측에 위치하며, 결합수단(120)이 설치된다.
고정부재(20)는 안테나(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안테나(10)를 고정시키는 브라켓(21)이 설치되는 고정용 폴(pole)이며, 기초(30)상에 수직되게 고정된다.
또한, 브라켓(21)은 안테나(10)마다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며, 조임볼트(22)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안테나(10)를 고정시킨다.
결합수단(120)은 위장용 커버(110)에 고정되는 프레임(121)과, 프레임(121)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용 폴 형태의 고정부재(20)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클램프(122)와, 고정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제1 클램프(122)에 결합볼트(124)로 결합되는 제2 클램프(123)로 구성된다.
프레임(121)은 "H"자 형상을 가지고, 위장용 커버(110)의 몸체(111)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1a)과 몸체(111) 하단에 각각 복수의 볼트(121a)로 고정된다.
제1 및 제2 클램프(122,123)는 중심부분이 고정부재(20)의 외주면과 상응하도록 반원형상을 가지고, 이들 사이에 고정부재(2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이 결합볼트(124)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113)를 개방 후 몸체(111) 내측에 안테나(10) 및 고정부재(20)를 위치시킨 다음 지지용 폴인 고정부재(20)를 결합수단(120)의 제 1 클램프(122)에 밀착시킨 다음 제2 클램프(123)를 고정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제1 클램프(122)에 결합볼트(124)로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부재(20)의 상부와 하부를 결합수단(120)으로 위장용 커버(110)에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위장용 커버(110)가 안테나(10) 및 고정부재(20)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안 보이도록 한다.
위장용 커버(110)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라고도 함)으로 제작됨으로써 안테나(10)를 감싸더라도 안테나(10)의 전파를 잘 투과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따른 위장용 커버(110)는 고정된 상태를 가지므로 안테나(10)의 지향 각도 즉 기울임 각도를 고려하여 넉넉한 공간을 가져야 하고, 이에 따라 표면적이 커져서 풍압에 매우 취약하여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커진 표면적에 의해 쉽게 눈에 띄게 되므로, 미관상으로도 그리 좋지 못하여 거부감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장용 커버 즉 위장재의 표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안테나의 지향각도를 따라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미관상으로도 유리한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는,
지주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들을 위장하기 위한 기지국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로서,
상기 지주상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고, 안테나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의 상측부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위장재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
상기 각도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지주에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한 후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위장재의 하측을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를 내부로 수용하는 위장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위장재가 안테나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안테나의 기울임 각도 즉, 지향각도에 따라 안테나와 함께 기울어지도록 설치됨으로써 표면적에 따른풍압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관 형태도 흡사 선박의 돗과 같이 형태를 가질 수 있어 미관상으로도 매우 유리하여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기지국 위장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안테나 위장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4 및 도5는 상부 고정부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6은 상부 거치구의 구조와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7 및 도8은 하부 고정부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9는 각도 조절부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도10 및 도11은 위장재가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에 고정되어 안테나의 기울임에 따라 구조물을 위장한 상태를 보인 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각도 조절부(400), 상부 고정부(500), 하부 고정부(600), 그리고 위장재(700)로 구성된다.
각도 조절부(400)는 안테나(300)의 기울임 각도 즉 지향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구(410)가 클램프에 의해 지주(200)에 고정되는데, 상기 설치구(410)의 상측에는 상부 힌지(411)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하부 힌지(412)가 구비되며, 이러한 하부 힌지(412)는 상부 힌지(411) 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설치구(410)는 'L' 형태로 되어 상측에 상부 힌지(411)가 구비되고, 하측 앞쪽에 하부 힌지(412)가 힌지가 구비된 형태이다.
상기 하부 힌지(412)에는 세로로 세워진 상부지지대(310)의 하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상부지지대(310)의 상측에는 힌지(421)가 구비되어 상부힌지(411)와 힌지(421) 사이에서 길이 조절부(420)의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4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턴버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310)는 안테나(300)의 후면에 고정되어 결합됨으로써 길이 조절부(420)의 길이 조절에 의해 안테나(300)의 기울임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하부 힌지(412)를 고정점으로 하여 길이 조절부(420)의 길이에 따라 안테나(30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기울임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부 고정부(500)는 상기 각도 조절부(400)의 상측에 위치하는데, 도4에서와 같이 안테나(300)의 상측에서 상부 지지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520)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부 지지대(310)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서 나란히 바 형태로 된 한 쌍의 상부 프레임(510,511)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축(520)이 한 쌍의 상부 프레임(510,511)의 후방 부위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상부 프레임(510,511)의 전방 부위에는 상부 프레임(510,511)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축(551)에 상부 거치구(55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거치구(550)의 전면은 평평하게 되어 있어서, 위장재(700)의 상측 부위가 부착되거나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부 프레임(510,511)은 상부 지지대(3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각도 조절구(54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축(520)과 상부 거치구(550) 사이에는 판 형태의 회전부(530)가 상부 프레임(510,511) 사이에서 회전축(531)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회전각도 조절구(540)가 그 회전부(53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회전각도 조절구(540)의 일측은 상기 상부 지지대(310)에 회전축(54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회전각도 조절구(540)는 장볼트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430)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로 된 스토퍼(560)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러한 스토퍼(560)가 회전각도 조절구(540) 상에서의 체결위치에 따라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회전부(53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부 프레임(510,511)이 지지축(520)을 매개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각도 조절부(400)에 의해 상부 지지대(310)와 안테나(300)의 각도가 기울어지면, 회전각도 조절구(540)의 길이 즉 회전부(530)와 상부 지지대(310) 사이의 거리를 스토퍼(560)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상부 프레임(510,511)이 안테나(300)의 지향 각도와 무관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프레임(510,511)과 상부거치구(550)는 'ㄷ' 형태로 형성되고, 안테나(300)의 외측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
하부 고정부(600)는 도7 및 도8에서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부(400)의 하측에서 지주(200)에 고정되는데, 바 형태로 된 한 쌍의 하부프레임(610,611)이 지주(200)를 가운데 두고 상기 상부프레임(510,511)과 동일하게 나란히 위치하고, 지주(200)에 고정된 고정 클램프(620)에 위치 고정부(632,642)에 의해 연결되며, 그 전방부위에는 상부거치구(550)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하부거치구(65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610,611)에는 동일한 위치에 각각 위치 결정부(630,631,640,6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위치 결정부(630,631,640,641)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일 수 있다.
상기 고정클램프(620)는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그 돌출된 전후방 부위에 각각 바 또는 볼트 형태의 위치고정부(632,642)가 고정되어 있어서, 그 위치고정부(632,642)의 양측이 상기 위치 결정부(630,631,640,641)에 각각 삽입되어 너트 형태의 고정구(633,64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630,631)는 지주(200)의 전방부위에 위치하고, 또 다른 위치 결정부(640,641)는 지주(200)의 후방부위에 위치하여 하부 프레임(610,6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전후방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안테나(300)의 기울임에 따라 하부프레임(610,611)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구(633,643)를 푼 다음 하부프레임(610,611)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위치 결정부(630,631,640,641)가 위치 고정부(532,542)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610,611)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위치가 결정되면 고정구(533,543)를 잠궈서 고정구(533,543)와 하부프레임(610,611)의 마찰력에 의해 결정된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위치 결정부(630,631,640,641)가 등간격으로 된 복수의 구멍 형태라고 한다면, 위치 고정부(632,642)를 각 구멍에 끼워서 하부프레임(610,61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부프레임(610,611)과 하부거치구(650)도 마찬가지로 'ㄷ' 형태로 형성되고, 안테나(300)의 외측 부위를 둘러싸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510,511)과 하부프레임(610,611)은 'ㄷ' 형태뿐만 아니라 '⊂', '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9는 각도 조절부(400)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상부 클램프(410-1)와 하부 클램프(410-2)가 지주(200)에 곧바로 체결되고, 상부 클램프(410-1)와 하부 클램프(410-2)에 각각 상부 힌지(411)와 하부 힌지(412)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며, 길이 조절부(420)가 턴버클로 되어 있어서 안테나(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이다.
위장재(700)는 금속,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된 판, 또는 필름, 또는 천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 고정부(500)의 상부거치구(550)와 하부 고정부(600)의 하부거치구(650)에 상하측이 각각 고정되는 전면판(710)을 가지며, 또한 상부프레임(510,511)과 하부프레임(610,611)의 양측에서 상하측이 각각 고정되는 측면판(720,7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10에서와 같이 전면판(710)의 상하측을 상부거치구(550)와 하부거치구(650)에 고정시키고, 또한 양측면판(720,730)의 상하측을 상부프레임(510,511)과 하부프레임(610,611)에 고정시키게 되면, 안테나(300)와 각도 조절부(400)의 구조물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위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11과 같이 안테나(300)가 지향 각도에 따라 기울어진 경우에는 기울어진 안테나(300)와 나란히 전면판(710)이 위치하도록 상부고정부(50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하부고정부(60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상부거치구(55)와 하부거치구(650)도 하향 회전하여 안테나(300)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전면판(710)과 함께 안테나(300)와 나란히 위치하도록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측면판(720,730)은 상부고정부(500)와 하부고정부(600)의 위치에 따라 재단하여 상부프레임(510,511)과 하부프레임(610,611)에 상하측을 부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200 : 지주
300 : 안테나
310 : 상부지지대
400 : 각도조절부
500 : 상부고정부
510,511 : 상부프레임
520 : 지지축
530 : 회전부
540 : 회전각도 조절구
550 : 상부거치구
560 : 스토퍼
600 : 하부고정부
610,611 : 하부프레임
620 : 고정클램프
630,631,640,641 : 위치결정부
650 : 하부거치구
700 : 위장재

Claims (10)

  1. 지주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들을 위장하기 위한 기지국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로서,
    상기 지주상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고, 안테나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의 상측부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위장재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
    상기 각도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지주에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한 후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위장재의 하측을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를 내부로 수용하는 위장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지주 상에서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힌지;
    상기 상부 힌지보다 하측에 설치된 하부 힌지;
    상기 하부 힌지에 하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안테나의 후면부위에 체결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힌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부 지지대에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턴버클 또는 장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안테나의 양측방에 위치하고, 후방은 상기 각도조절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부;
    일측이 상기 각도조절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체결되는 회전각도 조절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선단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고, 위장재의 상측부위가 고정되어 거치되는 상부거치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조절구는 장볼트로서,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의 양측에서 스토퍼에 의해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지주상에 고정되는 고정 클램프;
    상기 안테나의 양측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고정 클램프와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동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공;
    상기 고정 클램프와 위치 결정공을 연결하여 하부 프레임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선단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고, 위장재의 하측부위가 고정되어 거치되는 하부거치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공은 장공 형태 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KR1020190094635A 2019-08-03 2019-08-03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KR10211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35A KR102118830B1 (ko) 2019-08-03 2019-08-03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35A KR102118830B1 (ko) 2019-08-03 2019-08-03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830B1 true KR102118830B1 (ko) 2020-06-04

Family

ID=7108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635A KR102118830B1 (ko) 2019-08-03 2019-08-03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8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410A (ko) * 2005-09-23 2007-03-28 성호티에스(주) 송수신기 은폐형 통신안테나
KR20070057320A (ko) * 2005-12-01 2007-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환경 친화적 위장장치
KR20160081524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이에프디자인 이동통신용 안테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410A (ko) * 2005-09-23 2007-03-28 성호티에스(주) 송수신기 은폐형 통신안테나
KR20070057320A (ko) * 2005-12-01 2007-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환경 친화적 위장장치
KR20160081524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이에프디자인 이동통신용 안테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6347B (zh) 移动通信网络的天线一体型基站装置及天线固定设备
KR200454837Y1 (ko) 안테나용 고정브래킷
US5926151A (en) Antenna unit having integral radio transmitter-receiver and fixed to a base affixable to a support strut
US20030112194A1 (en) Motorized antenna pointing device
SK8732002A3 (en) Antenna mast and device for adjusting an antenna orientation
CA2011328C (en) Support downtilt bracket for mounting an antenna on a metallic tower
KR101791224B1 (ko) 태양광 모듈형 안테나
US6331839B1 (en) Satellite antenna enhancer an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n existing satellite dish for aiming replacement dish
KR100639432B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KR20220113192A (ko) 개선된 이동통신용 기지국 안테나 거치대
JP4838102B2 (ja) アンテナ装置
KR20220012986A (ko) 기지국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101455691B1 (ko) 설치방향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장치
US20070273598A1 (en) Luneberg Lens Antenna Device
KR102118830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CN109546287B (zh) 一种5g单支点天线支架
CN210040512U (zh) 一种便于全方位调节角度的车载监测天线定位安装底座
KR100422324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섹터 통합형 안테나
JP4312982B2 (ja) パラボラアンテナを調整する方法
IE44740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tenna arrangements
CN215680932U (zh) 一种简易的天线对准装置
KR20150000561A (ko)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JP3844953B2 (ja) アンテナ設置方法およびアンテナ設置装置
KR20190093854A (ko) 이동통신 안테나 위장 장치
KR20200066784A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